KR101464320B1 - 중량물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중량물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320B1
KR101464320B1 KR1020140057624A KR20140057624A KR101464320B1 KR 101464320 B1 KR101464320 B1 KR 101464320B1 KR 1020140057624 A KR1020140057624 A KR 1020140057624A KR 20140057624 A KR20140057624 A KR 20140057624A KR 101464320 B1 KR101464320 B1 KR 10146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oupled
outer member
packing box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영 filed Critical 최재영
Priority to KR102014005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포장용 스틸박스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거치대를 제작함으로써 포장박스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간단한 결합구조로 거치대끼리 횡방향 결합과 종방향 적층이 가능하므로 세트화하여 운송한 후 거치대를 개별로 해체하여 최종 목적지로 운송할 수 있어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량이 증가하더라도 기존의 포장용 스틸박스에 비해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중량물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게차를 포함한 인양수단으로 들어올리는 기준이 되고 중량물을 거치하며 단부에 연결 브래킷을 구비하는 거치대와, 거치대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복수개의 연결 포스트를 포함하는 단위 포장박스가 연결 포스트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연결 브래킷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중량물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량물 포장박스{Packing box for weights}
본 발명은 중량물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포장용 스틸박스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거치대를 제작함으로써 포장박스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간단한 결합구조로 거치대끼리 횡방향 결합과 종방향 적층이 가능하므로 세트화하여 운송한 후 거치대를 개별로 해체하여 최종 목적지로 운송할 수 있어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량이 증가하더라도 기존의 포장용 스틸박스에 비해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중량물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중량물인 트랙터 등의 기계류는 포장된 상태로 컨테이너에 중첩되게 적재되어 선적되며, 포장박스의 재료로는 가공이 용이하고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목재가 사용되고 있다.
목재박스는 목재에 의한 병충해의 유입 우려에 따라 통관시 검역절차가 번잡하고 산림자원의 파괴라는 자연보호 차원의 압력과, 포장박스 해체 후 재활용이 곤란하여 쓰레기 처리비용 부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활용이 용이한 스틸 또는 골판지를 이용하는 포장박스로 점차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스틸박스의 경우, 트랙터 등 고중량물의 보호와 포장을 위해 일반적으로 각 중량물 하나당 스틸박스로 개별포장을 하여 최종 도착지까지 운송을 수행하고 있다. 이 경우 고중량물의 수량에 비례하여 포장박스의 부피가 증가하고, 스틸박스 하나당 목적지로 개별 운송하여야 하므로 물류비용이 증가하며, 포장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0724910호(2007.6.4.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트랙터 등 고중량물 개별로 스틸박스 포장을 수행할 경우의 포장비용을 감소시키고, 목적지로 개별운송함에 의한 물류비용을 감소시키며, 수량에 비례하여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중량물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포장박스는 지게차를 포함한 인양수단으로 들어올리는 기준이 되고 중량물을 거치하며 단부에 연결 브래킷을 구비하는 거치대와, 거치대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복수개의 연결 포스트를 포함하는 단위 포장박스가 연결 포스트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연결 브래킷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다.
또한, 거치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외곽부재와 제2 외곽부재, 제1 외곽부재 및 제2 외곽부재와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3 외곽부재, 제3 외곽부재에 평행하도록 제1 외곽부재와 제2 외곽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제1 활재, 제1 외곽부재와 제2 외곽부재에 평행하도록 일측 단부가 제3 외곡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되는 제1 부하, 제1 부하와 평행하도록 제1 부하와 이격되되 일측 단부가 제3 외곽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되는 제2 부하, 제1 부하 및 제2 부하와 평행하도록 제1 부하와 제2 부하 사이에 배치되되 일측 단부는 제3 외곽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 활재에 결합되는 제3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는 제3 외곽부재에 평행하도록 일측 단부는 제1 외곽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부하에 결합되는 제2 활재, 제3 외곽부재에 평행하되 제2 활재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일측 단부는 제2 부하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3 부하에 결합되는 제3 활재, 제3 외곽부재와 평행하고 제3 활재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일측 단부는 제3 부하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 부하에 결합되는 제4 활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포장용 스틸박스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거치대를 제작함으로써 포장박스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간단한 결합구조로 거치대끼리 횡방향 결합과 종방향 적층이 가능하므로 세트화하여 운송한 후 거치대를 개별로 해체하여 최종 목적지로 운송할 수 있어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량이 증가하더라도 기존의 포장용 스틸박스에 비해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포장박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단위 포장박스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포장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단위 포장박스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포장박스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위 포장박스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단위 포장박스 하나당 공정을 최소화하기 위해 밑판, 앞판, 뒷판, 양옆판, 보, 연결재 등을 이용하여 트랙터 등 고중량물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간단한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거치대(2)끼리 수평으로 연결하고, 거치대(2)끼리 수직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최소의 부피를 갖도록 세트화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대(2) 간의 횡방향 및 종방향 결합도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하며, 거치대(2)끼리의 횡결합 및 종결합을 분리하는 것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해진다.
예컨대, 미국의 각 지역으로 여러 대의 트랙터를 운송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거치대 간의 횡적, 종적 결합으로 전체 트랙터를 하나의 세트로 포장한 후 미국으로 운송하고, 미국 내에서 각 목적지로 운송할 때에는 거치대 간의 결합을 해체하여 개별 운송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포장박스의 단위 포장박스는 거치대(2), 종발이(4), 지지대(6), 연결 포스트(8), 앞축 받침대(10), 명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치대(2)는 연결 포스트(8)를 사이에 두고 다단으로 적층되어, 도 2와 같이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중량물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2)는 연결 브래킷(14)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도 3과 같이 확장할 수 있다.
거치대(2)는 지게차를 포함한 인양수단으로 들어올리는 기준이 되며 중량물을 거치한다.
종발이(4)와 지지대(6)는 거치대(2)를 바닥에 안착시킨다.
연결 포스트(8)는 거치대(2)와 거치대(2)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되, 복수개 구비된다.
앞축 받침대(10)는 거치대(2)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거치대(2)에 거치된 중량물이 거치대(2)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명판(12)은 거치대(2)에 결합되어 중량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치대(2)는 제1 외곽부재(100), 제2 외곽부재(110), 제3 외곽부재(120)를 포함한다. 또한, 거치대(2)는 제1 부하(16), 제2 부하(18), 제3 부하(20), 제1 활재(22), 제2 활재(24), 제3 활재(26), 제4 활재(28), 제1 고정대(30), 제2 고정대(32), 및 제3 고정대(34)를 포함한다.
제1 외곽부재(100)와 제2 외곽부재(110)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외곽부재(100)와 제2 외곽부재(110) 사이의 간격은 포장해야 할 중량물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제3 외곽부재(120)는 제1 외곽부재(100) 및 제2 외곽부재(110)와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제1 외곽부재(100)와 제2 외곽부재(110)를 연결한다.
제1 외곽부재 내지 제3 외곽부재(100, 110, 120)는 거치대(2)의 외곽에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며, 거치대(2)의 외형을 형성한다.
제1 외곽부재(100)의 단부와 제2 외곽부재(110)의 단부에는 연결 브래킷(14)이 구비되어, 거치대(2) 간의 횡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1 부하(16)는 제1 외곽부재(100)와 제2 외곽부재(110)에 평행하도록 일측 단부가 제3 외곽부재(12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된다. 개방된 타측 단부에는 이웃한 다른 단위 포장박스가 횡방향으로 결합된다.
제2 부하(18)는 제1 부하(16)와 평행하도록 제1 부하(16)와 이격되되, 일측 단부가 제3 외곽부재(12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된다. 제1 부하(16)와 마찬가지로, 제2 부하(18)의 개방된 타측 단부에는 이웃한 다른 단위 포장박스가 횡방향으로 결합된다.
제3 부하(20)는 제1 부하(16) 및 제2 부하(18)와 평행하도록 제1 부하(16)와 제2 부하(18) 사이에 배치되되, 일측 단부는 제3 외곽부재(12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 활재(22)에 결합된다.
제1 활재(22)는 제3 외곽부재(120)에 평행하도록 제1 외곽부재(100)와 제2 외곽부재(110) 사이에 결합된다.
제2 활재(24)는 제3 외곽부재(120)에 평행하도록 일측 단부는 제1 외곽부재(10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부하(18)에 결합된다.
제3 활재(26)는 제3 외곽부재(120)에 평행하되 제2 활재(24)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일측 단부는 제2 부하(18)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3 부하(20)에 결합된다.
제4 활재(28)는 제3 외곽부재(120)와 평행하고 제3 활재(26)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일측 단부는 제3 부하(2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 부하(16)에 결합된다.
제1 고정대(30)는 제3 외곽부재(120)에 결합되어, 중량물이 제3 외곽부재(12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드를 형성한다.
제2 고정대(32)는 제3 외곽부재(120)에 결합되되 제1 고정대(3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고정대(30)와 마찬가지로 중량물이 제3 외곽부재(12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드를 형성한다.
제3 고정대(34)는 제1 부하(16)와 제2 외곽부재(110) 사이에 구비된다. 제3 고정대(34)는 도 4와 같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3 고정대(34)는 제2 외곽부재(110)에 제1 부하(16)를 연결하여, 제1 부하(16)에 중량물의 하중이 인가될 때 지지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거치대 4 - 종발이
6 - 지지대 8 - 연결 포스트
10 - 앞축 받침대 12 - 명판
14 - 연결 브래킷 16 - 제1 부하
18 - 제2 부하 20 - 제3 부하
22 - 제1 활재 24 - 제2 활재
26 - 제3 활재 28 - 제4 활재
30 - 제1 고정대 32 - 제2 고정대
34 - 제3 고정대

Claims (3)

  1. 지게차를 포함한 인양수단으로 들어올리는 기준이 되고 중량물을 거치하며 단부에 연결 브래킷을 구비하는 거치대와, 거치대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복수개의 연결 포스트를 포함하는 단위 포장박스가 연결 포스트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연결 브래킷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며,
    거치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외곽부재와 제2 외곽부재, 제1 외곽부재 및 제2 외곽부재와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3 외곽부재, 제3 외곽부재에 평행하도록 제1 외곽부재와 제2 외곽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제1 활재, 제1 외곽부재와 제2 외곽부재에 평행하도록 일측 단부가 제3 외곡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되는 제1 부하, 제1 부하와 평행하도록 제1 부하와 이격되되 일측 단부가 제3 외곽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되는 제2 부하, 제1 부하 및 제2 부하와 평행하도록 제1 부하와 제2 부하 사이에 배치되되 일측 단부는 제3 외곽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 활재에 결합되는 제3 부하를 포함하는 중량물 포장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거치대는
    제3 외곽부재에 평행하도록 일측 단부는 제1 외곽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부하에 결합되는 제2 활재, 제3 외곽부재에 평행하되 제2 활재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일측 단부는 제2 부하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3 부하에 결합되는 제3 활재, 제3 외곽부재와 평행하고 제3 활재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일측 단부는 제3 부하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 부하에 결합되는 제4 활재를 포함하는 중량물 포장박스.

KR1020140057624A 2014-05-14 2014-05-14 중량물 포장박스 KR101464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24A KR101464320B1 (ko) 2014-05-14 2014-05-14 중량물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24A KR101464320B1 (ko) 2014-05-14 2014-05-14 중량물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320B1 true KR101464320B1 (ko) 2014-11-25

Family

ID=5229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624A KR101464320B1 (ko) 2014-05-14 2014-05-14 중량물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6998A (zh) * 2020-09-15 2020-12-08 中汽昌兴(洛阳)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滑橇及其汽车生产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5378A (ja) * 2000-08-29 2002-05-22 Honda Motor Co Ltd 二輪車輸送用リターナブルケース
JP2004035070A (ja) * 2002-07-04 2004-02-05 Kubota Corp 作業車の輸送用梱包体
JP2009113825A (ja) * 2007-11-02 2009-05-28 Oh Industrial Co Ltd 缶用パレ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5378A (ja) * 2000-08-29 2002-05-22 Honda Motor Co Ltd 二輪車輸送用リターナブルケース
JP2004035070A (ja) * 2002-07-04 2004-02-05 Kubota Corp 作業車の輸送用梱包体
JP2009113825A (ja) * 2007-11-02 2009-05-28 Oh Industrial Co Ltd 缶用パレ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6998A (zh) * 2020-09-15 2020-12-08 中汽昌兴(洛阳)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滑橇及其汽车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662B2 (en) Modular reusable vehicle shipping crate
US8905254B2 (en) Transport of goods
US10138017B2 (en) Loaded pallet container
CN102933778A (zh) 纸制坡道
US20180127148A1 (en) Transport package
CN205675401U (zh) 托盘货架系统
US20090218304A1 (en) Collapsible and stackable supporting device for shipping and storage of materials
US1490665A (en) Platform skid
KR101464320B1 (ko) 중량물 포장박스
KR102150318B1 (ko) 골판지에 종이 보강대를 이용한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CN203727813U (zh) 多功能钢制折叠托盘箱
KR200475608Y1 (ko)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JP2008189369A (ja) 紙製品の搬送及び陳列方法
US20130206620A1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CN206857209U (zh) 一种包装箱
NL1038178C2 (nl) Een kartonnen logistiek systeem met geintegreerd platform voor het transporteren en presenteren van producten.
GB2494615A (en) Frames to assist in the stacking of pallets
JP2014118185A (ja) 輸送用コンテナ
CN105539266B (zh) 适用于集卡或挂车运输的卷装型重物托架
JP2011148531A (ja) 貨物車両用荷台ラック
NL1027821C2 (nl) Inklapbare houder.
CN202609212U (zh) 果汁类液体包装箱
CN210707452U (zh) 一种三角台车
CN109229903A (zh) 一种铝卷装载箱
CN217172084U (zh) 防撞式运输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