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940B1 - 오일 스키머 - Google Patents

오일 스키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940B1
KR101463940B1 KR20130148540A KR20130148540A KR101463940B1 KR 101463940 B1 KR101463940 B1 KR 101463940B1 KR 20130148540 A KR20130148540 A KR 20130148540A KR 20130148540 A KR20130148540 A KR 20130148540A KR 101463940 B1 KR101463940 B1 KR 10146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loating
storage tank
tank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4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5Float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저장탱크(110)와, 상기 제1저장탱크(110)에 채워지는 절삭유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구(120)와, 상기 부유구(120)의 중앙테두리를 따라 밀착되는 배출링(140)이 구비되는 제1절삭유정화장치(10)와; 정화탱크(210)와, 상기 정화탱크(210) 내부에 적층되는 정화판(220)과, 상기 정화탱크(210) 타측에 설치되는 필터(230)와, 상기 필터(230)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펌프(240)와, 상기 정화탱크(210)에서 정화된 절삭유를 일시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정화탱크(2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저장탱크(250)와, 상기 정화탱크(210)에서 여과된 폐유를 일시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250)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저장탱크(260)가 구비되는 제2절삭유정화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스키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일 스키머{An oil skimmer}
본 발명은 오일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여과장치를 도입하여 절삭공정을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 및 각종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절삭유를 재사용할 수 있는 오일 스키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절삭공정을 거치며 배출되는 절삭유에는 공작기계의 가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윤활유, 그리고 절삭대상으로의 소재에 묻어 있던 방청유 등과 같은 오일이 섞이게 된다. 절삭유는 한번 사용하면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정화과정을 거쳐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절삭유에 오일이 유입되어 섞이게 되면 절삭유가 쉽게 부패될 뿐 아니라 절삭가공의 정밀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
또한, 절삭공정 중 고온의 환경이 조성되면 열에 약한 계면활성제의 파괴로 인해 절삭유 자체에서 분리되어 오일이 부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유오일은 윤활유, 방청유, 유압유 등의 혼합물로서 표면 흡착성이 커서 공작기계 등에 잔유물로 부착되어 공구의 파손 및 수명단축의 원인이 되고, 박테리아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고, 피부 접촉시 피부병을 발병시키며 제품 가공시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방류하게 되면 환경오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수거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관련업계에서는 절삭공정을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로부터 부유오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일 스키머라는 장치를 부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7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7075호로 종래 제안된 오일 스키머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구동모터(11)에 의해 무한회전하는 벨트(30)의 일측 단부부위가 미도시된 오일수거함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절삭유에 함유되어 있던 오일이 벨트(30) 표면에 흡착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면 압착롤(24)을 이용하여 벨트(30) 표면에 흡착되어 있던 오일을 호퍼(40)에 의해 수거하는 작동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기술은 벨트(30)에 흡착되어 있던 오일을 압착롤(24)이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전제하게 제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오일은 그 특성상 벨트에 한번 흡착되면 압착롤에 의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고 일정양 잔존하게 되며 벨트에서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는 오일의 양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누적됨은 경험칙상 자명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오일을 회수하는 경우 그 회수율은 시간이 경과할 수록 현저히 떨어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70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유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은 물론 이물질까지 용이하게 걸러내어 절삭유를 재사용할 수 있는 오일 스키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수용공간이 구비되는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의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114)로 이루어지는 제1저장탱크(110)와, 상단에는 상기 제1저장탱크(110)의 덮개(1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봉(125)이 설치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110)에 채워지는 절삭유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구(120)와, 상면에는 절삭유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걸러내어 배출하는 환형의 거름홈(146)이 마련되되 상기 거름홈(146)의 하부에는 외부배출관(149)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147)이 형성되어 상기 부유구(120)의 중앙테두리를 따라 밀착되는 배출링(140)이 구비되는 제1절삭유정화장치(10)와; 일측 하부에는 정화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제1관통공(216)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폐오일이 배출되는 제2관통공(218)이 형성되는 정화탱크(210)와, 상기 정화탱크(210) 내부에 적층되는 정화판(220)과, 상기 제1절삭유정화장치(10)에서 배출되는 오일 중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정화탱크(210) 타측에 설치되는 필터(230)와,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절삭유정화장치(10)로부터 오일을 상기 필터(230)로 이동시키고 상기 필터(23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오일을 상기 정화탱크(210)로 송출하기 위해 상기 필터(230)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펌프(240)와, 상기 정화탱크(210)에서 정화된 절삭유를 일시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정화탱크(210)의 제1관통공(216)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정화탱크(2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저장탱크(250)와, 상기 정화탱크(210)에서 여과된 폐유를 일시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정화탱크(210)의 제2관통공(218)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저장탱크(250)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저장탱크(260)가 구비되는 제2절삭유정화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유구(120)의 중앙테두리에는 환형의 돌출단(122)이 형성되며; 상기 부유구(120) 하측에는, 중앙에 상기 부유구(120)의 직경과 동일한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상면 내측에는 상기 부유구(120)의 돌출단(122)에 밀착되는 걸림단(134)이 마련되어 상기 부유구(120)의 돌출단(122)에 밀착되는 하부고정링(20)이 결합되며; 상기 배출링(140)은 중앙에 상기 부유구(120)의 직경과 동일한 관통공(142)이 형성되어 부유구 상측을 통해 상기 부유구(120)의 돌출단(122)에 밀착결합되며; 상기 배출링(140) 상측에는, 중앙에 상기 부유구(120)의 직경과 동일한 관통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링(140)의 거름홈(146)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오일유도홈(156)이 마련되는 오일가이드판(150)이 부유구 상측을 통해 상기 배출링(14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절삭유정화장치(20)의 제2저장탱크(250) 상부에는 정화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토출관(25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일가이드판(150)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여과재(220)는, 복수 개의 관통공(222)이 복수 개의 돌기(226)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절삭공정을 거쳐 배출되는 절삭유를 정화함에 있어 제1, 2절삭유정화장치를 거쳐 이중으로 정화함으로써 절삭유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 및 이물질들을 보다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제1절삭유정화장치에서 1차 여과된 오일을 다시 제2절삭유정화장치에서 2차로 여과하여 이를 다시 사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폐유로 버려지는 양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삭유를 정화하는 제1, 2절삭유정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필요한 기능만을 각각에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동이 가능하여 필요한 현장마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절삭유정화장치에는 절삭유의 수면에 따라 연동하며 부유하는 부유구를 이용하여 오일을 여과하도록 설치하고, 제2절삭유정화장치에는 연속해서 재사용이 가능한 여과재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부품교환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스키머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스키머에 있어 제1절삭유정화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스키머에 있어 제1절삭유정화장치를 구성하는 부유구, 배출링, 고정링, 오일가이드판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3b 내지 도 3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스키머에 있어 제1절삭유정화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링, 배출링, 오일가이드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스키머에 있어 제2절삭유정화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스키머에 있어 제2절삭유정화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스키머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7은 종래 오일 스키머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스키머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스키머에 있어 제1절삭유정화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절삭공정을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를 1차 여과하는 제1절삭유정화장치(10)와, 상기 제1절삭유정화장치(10)에서 송출되는 절삭유를 2차 여과하는 제2절삭유정화장치(20)로 이루어지는 오일 스키머를 제공한다. 이하 각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제1절삭유정화장치(10)는, 제1저장탱크(110)와 상기 제1저장탱크(110) 내부에 설치되는 부유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저장탱크(110)는 내부수용공간이 구비되는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의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114)로 이루어진다. 몸체(112)의 내부수용공간에는 절삭공정을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가 채워진다.
상기 부유구(120)는 제1저장탱크(110) 내부에 채워지는 절삭유에 연동하여 절삭유 수면위를 부유하는 부분이다. 제1저장탱크(110) 내부에 채워지는 절삭유는 절삭공정을 통해 배출되는 절삭유로서 방청유 등과 같은 오일은 물론 절삭공정에서 생성되는 팁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부유구(120)의 상단에는 가이드봉(125)이 설치되며, 그 중앙테두리에는 배출링(140)이 밀착된다. 상기 가이드봉(125)은 제1저장탱크(110)의 덮개(1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미설명도면부호 116은 가이드봉(125)의 수직운동을 보조하는 부분이다.
부유구(120)는 부력의 제공을 위하여 그 내부가 비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주면에는 중앙을 따라 환형의 돌출단(122)이 형성된다. 부유구는 절삭유 및 오일 등에 의한 영향을 감안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럴 경우 금속판을 상, 하 반구 형상으로 제작하고 용접작업을 통해 상호 결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단(122)은 후술할 고정링(130) 및 배출링(140)의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서 용접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부유구(120)에 배출링(140)을 적절하게 밀착시킴과 동시에 배출링(140)을 통해 오일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도 3a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고정링(130), 배출링(140), 오일가이드판(150)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구성을 제안한다.
상기 고정링(130)은 배출링(140) 및 오일가이드판(150)의 고정을 위한 부분이다. 도 3b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고정링(130)의 중앙에는 관통공(132)이 형성되며, 상면 내측에는 걸림단(134)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132)의 직경은 부유구(120)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단(134)은 부유구(120)의 돌출단(122)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고정링(130)은 부유구(120)의 하측을 통해 부유구에 밀착된다. 미설명도면부호 138은 볼트 체결공이다.
상기 배출링(140)은 도 3c에 개시된 것과 같이, 그 중앙에는 관통공(14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거름홈(146)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142)의 직경은 부유구(120)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홈(146)은 절삭유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을 수거하여 일시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일정깊이를 가지며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하부에는 외부배출관(149)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147)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149)은 후술할 에어펌프(240)에 의해 작동되어 거름홈(146)에 수거되어 일시저장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배출링(140)은 부유구(120)의 상측을 통해 부유구에 접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배출링(140)의 하부는 부유구(120)의 돌출단(122)에 밀착된다. 배출링(140)이 부유구(120)에 접하면, 배출링(140)의 테두리부위는 부유구(120)를 사이에 두고 하부고정링(130)의 테두리부위와 긴밀하게 접하게 된다. 배출링(140)은 절삭유 O1의 수면 바로 아래부분에 위치함을 감안하면 그 재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도면부호 148은 볼트 체결공이다.
상기 오일가이드판(150)은 도 3d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절삭유에 함유되어 부유하는 오일을 배출링(140)으로 유도하는 부분이다. 오일가이드판(150)의 중앙에는 관통공(15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52) 내측으로 복수 개의 오일유도홈(156)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152)의 직경은 부유구(120)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유도홈(156)은 배출링(140)의 거름홈(146)과 연통되며, 거름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환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가이드판(150)은 부유구(120)의 상측을 통해 배출링(140) 상면에 안치된다. 미설명도면부호 158은 볼트 체결공이다.
본 발명은 상기 오일가이드판(150)이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데, 이럴 경우 도면과 같이 오일가이드판의 테두리부위 폭이 배출링(140)의 테두리부위 폭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그 재질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면, 절삭유 O1 쪽으로 연장돌출되는 오일가이드판의 외측 부위는 자중으로 절삭유 수면 아래로 처지게 됨에 따라 부유하는 오일을 수거하기에 더욱 유리하기 때문이다.
부유구(120)의 돌출단(122)을 기준으로 부유구 하측에 고정링(130)이 밀착되고, 부유구(120)의 상측에 배출링(140) 및 오일가이드판(150)이 밀착되면, 볼트를 각 체결공(158, 148, 138)으로 순차 삽입하여 고정링(130), 배출링(140), 오일가이드판(150) 각각을 부유구(120)에 대하여 일체화한다.
상기 제2절삭유정화장치(20)는 정화탱크(210)와, 여과재(220)와, 필터(230)와, 에어펌프(240)와, 제2저장탱크(250) 및 보조저장탱크(260)로 구성된다.
상기 정화탱크(210)는 제1절삭유정화장치(10)에서 1차 여과된 절삭유를 2차 여과하는 부분으로서,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일측 하부에는 정화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제1관통공(216)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폐오일이 배출되는 제2관통공(218)이 형성된다. 정화탱크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정화탱크 상부는 덮개로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220)는 정화탱크(210) 내부로 유입되는 절삭유를 여과하는 부분으로서 정화탱크 내부의 수용공간에 채워진다. 상기 여과재(220)는 도면에 표현되어 있듯이, 복수 개의 관통공(222)이 복수 개의 돌기(226)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판으로 이루어져 정화탱크 내부 수용공간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22)은 절삭유가 이동하는 통로이며, 상기 돌기(226)는 다공판 사이에 일정수직높이의 공간을 형성하며 절삭유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을 흡착하는 부분이다. 즉, 복수 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오일을 흡착하는 면적을 최대화한 것이다. 여과재가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정시간 경과후에 세척을 통해 연속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필터(230)는 제1절삭유정화장치(10)에서 배출되는 오일에 포함되어 있는 팁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내부에는 다공판이 구비되며 정화탱크(210) 타측에 설치된다. 유입단(232)을 통해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오일이 유입되면, 그 내부의 다공판이 이물질들을 여과하고, 배출단(236)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오일이 배출된다. 상기 다공판의 구성은 관련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에어펌프(240)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1절삭유정화장치(10)의 제1저장탱크(110)로부터 오일을 흡입하고 이를 정화탱크(210)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필터(230) 일측에 설치된다. 즉, 제1저장탱크(110)로부터 오일을 필터(230)로 이동시키고, 필터(23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오일을 정화탱크(210)로 송출한다. 미설명도면부호 242, 246 각각은 흡입튜브 및 공급튜브이다.
상기 제2저장탱크(250)는 정화탱크(210)에서 정화된 절삭유를 일시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정화탱크(210)의 일측에 마련된다. 제2저장탱크(250)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251)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251)은 도 5와 같이 정화탱크(210)의 제1관통공(216)과 연통된다. 상기 보조저장탱크(260)는 정화탱크(210)에서 여과된 폐유를 일시저장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제2저장탱크(250) 일측에 마련된다. 보조저장탱크(260)는 역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261)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261) 역시 도 5와 같이 정화탱크(210)의 제2관통공(218)과 연통된다. 미설명도면부호 258, 268 각각은 배출공이다.
도면에는 보조저장탱크(260)가 제2저장탱크(250)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례일 뿐, 보조저장탱크는 물론 제2저장탱크의 설치위치 및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2연통공(216, 218) 각각은 제2저장탱크 및 보조저장탱크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무방하므로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2저장탱크(250) 상부에 정화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토출관(252)이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제2저장탱크(250)의 상부에는 격벽(255)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252)은 격벽(255)에 관통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관(252)은 격벽(255)에 고정설치되는 하부 고정관(도면부호 미도시)과, 상기 하부 고정관에 나사결합되는 상부 이동관(도면부호 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작업자가 상부 이동관에 형성되는 손잡이(254)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이동관이 일정수직높이만큼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정화되어 제2저장탱크(250)에 일시저장되는 절삭유는 그 수면 높이가 변화된 토출관의 수직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만 토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도면부호 253은 정화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간극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을 전술한 설명과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살펴본다.
절삭공정을 통해 오일, 팁 등과 같은 이물질을 포함하는 절삭유(이하 O1)이 배출되면 미도시된 펌프의 작동으로 절삭유는 제1저장탱크(110)로 유입된다. O1이 제1저장탱크(110)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부유구(120)는 O1의 수면에 부유하면서 점차 상승하게 된다. 부유구(120)는 가이드봉(125)에 의해 인도되면서 서서히 연직상승하며, O1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은 절삭유의 수면으로 상승하면서 부유한다.
이때, 외부배출관(149)과 연결되어 있는 에어펌프(240)를 작동시키면, 외부배출관(149)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링(140)의 거름홈(146) 공간부위에는 강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에어펌프가 펌핑할 때마다 발생하는 간헐적인 진동으로 인해 부유구(120)는 일정간격 상하 수직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배출링(140)은 O1의 수면 부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거름홈(146) 공간부위에 발생하는 강한 흡입력은 배출링과 인접한 위치에 부유하고 있는 O1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을 배출링(140) 방향으로 강하게 끌어당기게 되고, 부유구(120)의 간헐적인 수직 승하강운동은 배출링 인접 부위에서 부유하고 있던 오일을 인근 절삭유와 함께 강한 흡입력을 따라 오일가이드판(150)의 상면을 자연스럽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에 따라 배출링과 인접한 부위에서 부유하고 있거나, 배출링과 인접한 부위의 하부로부터 O1 수면으로 부상하는 오일은 오일가이드판(150)의 테두리 단부 부위를 타고 넘어와서, 오일유도홈(156)을 통해 배출링(140)의 거름홈(146)으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거름홈(146)으로 순차 유입되는 오일들은 거름홈에 일시 저장되고,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에어펌프(240)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순서에 따라 외부배출관(14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①). 제1저장탱크(110) 외부로 배출되는 오일(이하 O2)에는 절삭유는 물론 절삭공정에서 배출되는 팁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제1저장탱크(110)로부터 배출되는 O2는 에어펌프(240)의 작동으로 필터(220) 유입단(232)을 통해 유입된 다음 다공판을 거쳐 배출단(236)으로 배출된다(②). 필퍼(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O2에 함유되어 있던 팁과 같은 이물질들은 완전하게 제거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오일(이하 O3)은 에어펌프(240)에 의해 정화탱크(210)로 공급된다(③).
정화탱크(210) 내부 수용공간에는 여과재(220)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정화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O3 중에서 오일은 적층된 여과재(220)에 의해 흡착되어 절삭유와 분리된다. 정화탱크(210) 내부로 O3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O3로부터 분리되어 여과재(220)에 흡착되는 오일의 양이 증대되며, 그 크기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여과재(220)로부터 분리되어 정화탱크(21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O3에서 분리되어 정화탱크(210) 상부로 이동한 오일덩어리 또는 오일슬러지 등(이하 O5)은 제2관통공(218)을 통해 보조저장탱크(260)에 일시저장되며, O3에서 분리되어 정화탱크(210)에 채워지는 절삭유(이하 O4)는 제1관통공(216)을 통해 제2저장탱크(250)에 일시저장된다. 보조저장탱크(260)에 일시저장되어 있던 O5는 미도시된 펌프의 작동에 의해 배출공(268)으로 배출되어 수거되어 폐기된다(⑥).
한편, 제1관통공(216)을 통해 O4가 지속적으로 제2저장탱크(250)에 유입되면, 그 수면높이가 점점 상승하게 되고, 유입량이 증대함에 따라 그 수면높이가 토출관(254)의 수직높이를 상회하게 되면, 그 상회하는 양만큼 토출관(2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④). 이에 O4는 미도시된 펌프의 작용으로 배출공(258)을 통해 제1절삭유정화장치(10)의 제1저장탱크(110)로 회수되어 저장됨으로써 다음 절삭공정에 대비하게 되는 것이다(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제1절삭유정화장치 20 : 제2절삭유정화장치
110 : 제1저장탱크 120 : 부유구
210 : 정화탱크 220 : 여과재
230 : 필터 240 : 에어펌프
250 : 제2저장탱크 260 : 보조저장탱크

Claims (5)

  1. 내부수용공간이 구비되는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의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114)로 이루어지는 제1저장탱크(110)와, 상단에는 상기 제1저장탱크(110)의 덮개(1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봉(125)이 설치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110)에 채워지는 절삭유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구(120)와, 상면에는 절삭유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걸러내어 배출하는 환형의 거름홈(146)이 마련되되 상기 거름홈(146)의 하부에는 외부배출관(149)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147)이 형성되어 상기 부유구(120)의 중앙테두리를 따라 밀착되는 배출링(140)이 구비되는 제1절삭유정화장치(10)와;
    일측 하부에는 정화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제1관통공(216)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폐오일이 배출되는 제2관통공(218)이 형성되는 정화탱크(210)와, 상기 정화탱크(210) 내부에 적층되는 여과재(220)와, 상기 제1절삭유정화장치(10)에서 배출되는 오일 중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정화탱크(210) 타측에 설치되는 필터(230)와,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절삭유정화장치(10)로부터 오일을 상기 필터(230)로 이동시키고 상기 필터(23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오일을 상기 정화탱크(210)로 송출하기 위해 상기 필터(230)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펌프(240)와, 상기 정화탱크(210)에서 정화된 절삭유를 일시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정화탱크(210)의 제1관통공(216)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정화탱크(2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저장탱크(250)와, 상기 정화탱크(210)에서 여과된 폐유를 일시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정화탱크(210)의 제2관통공(218)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저장탱크(250)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저장탱크(260)가 구비되는 제2절삭유정화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키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구(120)의 중앙테두리에는 환형의 돌출단(122)이 형성되며; 상기 부유구(120) 하측에는, 중앙에 상기 부유구(120)의 직경과 동일한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상면 내측에는 상기 부유구(120)의 돌출단(122)에 밀착되는 걸림단(134)이 마련되어 상기 부유구(120)의 돌출단(122)에 밀착되는 하부고정링(20)이 결합되며; 상기 배출링(140)은 중앙에 상기 부유구(120)의 직경과 동일한 관통공(142)이 형성되어 부유구 상측을 통해 상기 부유구(120)의 돌출단(122)에 밀착결합되며; 상기 배출링(140) 상측에는, 중앙에 상기 부유구(120)의 직경과 동일한 관통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링(140)의 거름홈(146)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오일유도홈(156)이 마련되는 오일가이드판(150)이 부유구 상측을 통해 상기 배출링(14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키머.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삭유정화장치(20)의 제2저장탱크(250) 상부에는 정화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토출관(25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키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가이드판(150)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키머.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여과재(220)는, 복수 개의 관통공(222)이 복수 개의 돌기(226)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키머.
KR20130148540A 2013-12-02 2013-12-02 오일 스키머 KR10146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8540A KR101463940B1 (ko) 2013-12-02 2013-12-02 오일 스키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8540A KR101463940B1 (ko) 2013-12-02 2013-12-02 오일 스키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940B1 true KR101463940B1 (ko) 2014-12-04

Family

ID=5267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8540A KR101463940B1 (ko) 2013-12-02 2013-12-02 오일 스키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9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233B1 (ko) * 2015-11-12 2017-01-09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폐절삭유의 유수분리장치
KR20190093342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에프엔씨이노베이션 산업기기용 유수 분리장치
CN110539196A (zh) * 2019-09-12 2019-12-06 顺景园精密铸造(深圳)有限公司 智能化数控加工中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366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오일 정화장치
KR100889228B1 (ko) * 2008-04-10 2009-03-17 이동원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KR101044042B1 (ko) * 2010-08-19 2011-06-23 김명복 공작 기계용 절삭유 정제장치
KR101142966B1 (ko) * 2010-04-01 2012-05-08 이동원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366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오일 정화장치
KR100889228B1 (ko) * 2008-04-10 2009-03-17 이동원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KR101142966B1 (ko) * 2010-04-01 2012-05-08 이동원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KR101044042B1 (ko) * 2010-08-19 2011-06-23 김명복 공작 기계용 절삭유 정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233B1 (ko) * 2015-11-12 2017-01-09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폐절삭유의 유수분리장치
KR20190093342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에프엔씨이노베이션 산업기기용 유수 분리장치
CN110539196A (zh) * 2019-09-12 2019-12-06 顺景园精密铸造(深圳)有限公司 智能化数控加工中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940B1 (ko) 오일 스키머
JP2006305648A (ja) 工作機のクーラント循環装置
KR101142966B1 (ko)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CN203269667U (zh) 一种含油脂废水的油水分离器
JP2010042402A (ja) ミスト除去装置
CN210751582U (zh) 切削液压滤装置
KR101473297B1 (ko) 오일 스키머
CN211912818U (zh) 一种油水分离过滤器
CN110697837A (zh) 溢流式油液分离装置
RU250362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CN106477669B (zh) 一种嵌入式油水分离器
CN212347807U (zh) 具有流量调整功能的油水分离装置
CN111013195A (zh) 一种油水分离过滤器
CN211393952U (zh) 一种无动力油水快速分离装置
KR101391013B1 (ko) 윤활유 회수용 유수 분리 장치
CN101508516B (zh) 污泥直接滤干自动化生产工艺及自动化生产线
CN217600483U (zh) 一种固液分离机
CN205668980U (zh) 切削液废液过滤杀菌除臭再生装备
KR101747849B1 (ko) 사용후 절삭유 정제 제어장치
KR20090000469U (ko) 오일 스키머
JP2001137620A (ja) 濾過装置
CN218592448U (zh) 一种仪器加工用机床铁屑回收装置
CN212246317U (zh) 一种酯水分离罐
CN212347799U (zh) 基于超声技术的油水分离装置
CN221191714U (zh) 一种密封油真空泵冷却水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