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671B1 -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671B1
KR101462671B1 KR20140031025A KR20140031025A KR101462671B1 KR 101462671 B1 KR101462671 B1 KR 101462671B1 KR 20140031025 A KR20140031025 A KR 20140031025A KR 20140031025 A KR20140031025 A KR 20140031025A KR 101462671 B1 KR101462671 B1 KR 10146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refrigerant
drying
condens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주)에네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네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에네스이엔지
Priority to KR2014003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8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 또는 냉동을 위한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과 구획된 건조실이 형성된 본체와,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제1증발기와, 제1연결관에 의해 상기 제1증발기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제2연결관에 의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제1응축기와, 제3 및 제4연결관에 의해 상기 제1응축기와 제1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교축하기 위한 교축밸브가 마련된 냉각유닛과, 본체에 설치되며, 압축기와 교축밸브 사이에 순환하는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실의 내부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는 냉각유닛 내에 순환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건조되는 건조실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건조식품이 습기에 의해 눅눅해지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Refrigerator with dry room}
본 발명은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냉각유닛에 순환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건조실의 내부공기를 건조시켜 물품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하는 냉동사이클을 수행함에 따라 고내를 저온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1901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 및 기계실이 마련된 본체를 구비한다. 종래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상하로 적층된 단문형 냉장고가 많이 소비되었으나, 최근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구획칸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획된 냉장실과 냉동실을 갖는 양문형 냉장고의 수요가 더 큰 편이다. 기계실의 경우에는 본체의 하부 후측에 통상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에는 압축기, 응축기 및 냉각팬 등이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에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의 냉매관에는 교축기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후에 교축기로 보내지고, 상기 교축기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를 거친 후 다시 압축기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에는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므로,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기계실 내에서는 냉각팬이 회전된다.
이러한 냉각팬이 회전됨에 따라 외기가 기계실 내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외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냉각시킨 후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를 냉각시킴에 의해 냉각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냉장고는 고춧가루와 같은 건조식품을 장시간 보관 시에는 냉장고 내부의 습기에 의해 건조식품이 눅눅해지거나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는 물품의 건조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계적인 방법과 자연건조 방법으로 대별된다. 기계적인 방법은 대형 건조장이나 산업용 건조기로 이용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소량의 식품의 경우 자연건조를 행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건조의 경우 날씨에 매우 민간해 건조 중 식품이 쉽게 변질될 경우가 발생하고, 청정구역 외의 일반 도시공간에서 건조를 할 경우, 대기 중의 먼지나 자동차 배기가스 등의 유해가스의 접촉에 의한 식품 내 침투 및 유해곤충(파리, 모기 등)에 의해 식품이 손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식품을 취급하는 상인 또는 농어민들이 오염되지 않는 건조식품을 제조하여 판매 및 공급할 수 있고, 일반가정에서는 과일과 같은 식품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는 냉장 또는 냉동을 위한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과 구획된 건조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제1증발기와, 제1연결관에 의해 상기 제1증발기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제2연결관에 의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제1응축기와, 제3 및 제4연결관에 의해 상기 제1응축기와 제1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교축하기 위한 교축밸브가 마련된 냉각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와 교축밸브 사이에 순환하는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실의 내부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며, 상기 교축밸브를 통과한 상기 냉매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연결관에 분기된 제1분기관에 연결되어 액상의 상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와 제1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증발기를 통과한 상기 냉매를 상기 제1연결관에 공급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상기 냉매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관에 분기된 제2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2응축기와, 상기 제2응축기와 제3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응축기를 통과한 상기 냉매를 상기 제3연결관에 공급하는 제2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건조실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제2응축기 및 제2증발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챔버가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챔버로 상기 건조실의 내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응축기 및 제2증발기를 통과하는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건조실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수용함체를 더 구비한다.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의 내부공기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강제순환시키는 순환팬을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본체는 상기 건조실의 천장벽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건조실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실의 천장벽 전방부에 상기 공기통로에 연통되는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공기통로에 연통되게 상기 건조실 내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유닛은 상면에 건조대상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건조실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채반을 더 구비하고, 상기 채반은 전단부가 상측에 인접한 채반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는 냉각유닛 내에 순환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건조되는 건조실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건조식품이 습기에 의해 눅눅해지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의 냉각유닛 및 건조유닛에 대한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으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100)는 냉장 또는 냉동을 위한 저장실(210)과, 상기 저장실(210)과 구획된 건조실(220)이 형성된 본체(200)와, 상기 저장실(210)을 냉각시키는 냉각유닛(300)과,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220)의 내부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40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200)는 최상측에 건조실(220)이 마련되며, 상기 건조실(220)의 하측에는 상기 저장실(21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저장실(210)은 상하방향을 따라 냉동실(211) 및 냉장실(212)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본체(200)는 냉장실(212), 냉동실(211) 및 건조실(2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개폐도어(231,232,233)를 구비한다.
냉각유닛(300)은 상기 저장실(210)에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제1증발기(310)와, 제1연결관(321)에 의해 상기 제1증발기(310)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20)와, 제2연결관(331)에 의해 상기 압축기(320)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320)에 의해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제1응축기(330)와, 제3 및 제4연결관(341,342)에 의해 상기 제1응축기(330)와 제1증발기(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응축기(33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교축하기 위한 교축밸브(340)를 구비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증발기(310)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냉동실(211) 및 냉장실(212)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기(32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며, 압축기(320)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제2연결관(331)을 통해 제1응축기(330)로 공급된다. 제1응축기(330)는 고온의 기체상태인 냉매를 응축하면서 냉매의 열에너지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때, 냉매는 응축되어 저온 고압의 액체 상태가 되고, 제3연결관(341)을 통해 교축밸브(340)로 공급된다. 상기 교축밸브(340)에 의해 냉매는 교축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상태가 된다. 저온 저압의 액체상태가 된 냉매는 제4연결관(342)을 통해 냉동실(211) 및 냉장실(212)에 설치된 제1증발기(310)에 공급된다. 제1증발기(310)로 유입된 냉매는 각각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제1증발기(310) 주변을 냉각시키게 되며, 증발된 냉매는 제1연결관(321)을 통해 다시 압축기(320)로 공급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냉매는 압축기(320), 제1응축기(330), 교축밸브(340) 및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며 냉장실(212) 및 냉동실(211)을 냉각시킨다.
건조유닛(400)은 상기 저장실(210)에 설치되며, 상기 교축밸브(340)를 통과한 상기 냉매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연결관(342)에 분기된 제1분기관(411)에 연결되어 액상의 상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제2증발기(410)와, 상기 제2증발기(410)와 제1연결관(32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증발기(410)를 통과한 상기 냉매를 상기 제1연결관(321)에 공급하는 제1배출관(420)과, 상기 저장실(210)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320)를 통과한 상기 냉매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관(331)에 분기된 제2분기관(431)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2응축기(430)와, 상기 제2응축기(430)와 제3연결관(34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응축기(430)를 통과한 상기 냉매를 상기 제3연결관(341)에 공급하는 제2배출관(440)과, 상기 건조실(220)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제2응축기(430) 및 제2증발기(4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챔버(451)가 마련된 수용함체(450)와, 상기 수용함체(450)에 설치되어 건조실(220) 내의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순환팬(460)을 구비한다.
수용함체(450)는 제3개폐도어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건조실(220) 천장면에 고정된다. 수용함체(450)는 내부에 제2증발기(410) 및 제2응축기(430)가 설치되는 챔버(451)가 마련되며, 후단 하면에는 상기 챔버(451)로 건조실(220) 내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452)가 형성된다. 또한, 수용함체(450)는 전면에 챔버(451) 내의 공기가 건조실(2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453)가 형성되어 있다.
제2증발기(410)는 상기 수용함체(450)의 챔버(451) 내에 설치되며, 제2응축기(430)는 챔버(451) 내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2증발기(410)의 후방 측 챔버(451) 내에 설치된다.
순환팬(460)은 배출구(453)에 인접하는 수용함체(450)의 전면에 설치되어 건조실(220) 내의 공기가 유입구(452)로 유입되어 제2증발기(410) 및 제2응축기(430)를 통과한 다음 배출구(453)를 통해 건조실(220)로 배출되도록 건조실(220) 내의 공기를 강제순환시킨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순환팬(460)이 배출구(453)에 인접한 수용함체(450)의 전면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순환팬(46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입구(452)에 인접한 수용함체(450)의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유입구(452)를 통해 수용함체(450)의 챔버(451) 내로 유입된 공기는 챔버(451) 내에 설치된 제2증발기(410)를 통과하는 데, 제2증발기(410)에서 기화되는 냉매에 의해 공기는 냉각되어 제습된다. 제2증발기(410)를 통과한 공기는 제2증발기(410)의 후방에 설치된 제2응축기(430)를 통과하는 데, 상기 제2응축기(430)에 의해 응축된 냉매에 의해 공기는 가열되어 배출구(453)를 통해 건조실(220)로 배출된다. 배출구(453)를 통해 제습 및 가열된 공기는 건조실(220)로 유입되고, 건조실(220) 내에 보관된 식품을 건조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32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며, 압축기(320)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제2연결관(331)을 통해 제1응축기(330)로 공급된다. 제1응축기(330)는 고온의 기체상태인 냉매를 응축하면서 냉매의 열에너지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때, 냉매는 응축되어 저온 고압의 액체 상태가 되고, 제3연결관(341)을 통해 교축밸브(340)로 공급된다. 상기 교축밸브(340)에 의해 냉매는 교축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상태가 된다. 저온 저압의 액체상태가 된 냉매는 제4연결관(342)을 통해 냉동실(211) 및 냉장실(212)에 설치된 제1증발기(310)에 공급된다. 제1증발기(310)로 유입된 냉매는 각각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제1증발기(310) 주변을 냉각시키게 되며, 증발된 냉매는 제1연결관(321)을 통해 다시 압축기(320)로 공급된다.
이때, 교축밸브(340)에서 제4연결관(342)을 통해 제1증발기(310)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는 제4연결관(342)에 분기된 제1분기관(411)을 통해 수용함체(450)의 내부에 설치된 제2증발기(410)로 공급된다. 제2증발기(410)는 냉매를 증발시켜 수용함체(450) 내부를 냉각시켜 수용함체(450)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한다.
또한, 압축기(320)에서 제2연결관(331)을 통해 제1응축기(330)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는 제2연결관(331)에 분기된 제2분기관(431)을 통해 수용함체(450)의 내부에 설치된 제2응축기(430)로 공급된다. 제2응축기(430)는 공급된 냉매를 응축하면서 냉매의 열에너지를 수용함체(450) 내부에 방출시키고, 제2증발기(4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냉매의 열에너지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유입구(452)를 통해 수용함체(450)의 챔버(451) 내로 유입된 공기는 챔버(451) 내에 설치된 제2증발기(410)를 통과하여 냉각 및 제습되고, 제2증발기(410)의 후방에 설치된 제2응축기(430)를 통과하여 가열되어 배출구(453)를 통해 건조실(220)로 배출된다. 배출구(453)를 통해 제습 및 가열된 공기는 건조실(220)로 유입되고, 건조실(220) 내에 보관된 식품을 건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100)는 냉각유닛(300) 내에 순환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건조되는 건조실(22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건조식품이 습기에 의해 눅눅해지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조실(220)에 설치된 제2응축기(430)를 구비하므로 제1 및 제2응축기(330,430)에 의해 냉매를 다단으로 응축하므로 냉각유닛(30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응축기(4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건조실(220)의 공기를 건조시켜 냉동사이클에서 발생한 폐열을 재사용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조유닛(5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건조유닛(500)은 상면에 건조대상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건조실(220)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채반(504)을 더 구비한다.
이때, 본체(200)는 건조실(220)의 천장벽 내부에 공기통로(50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로(50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건조실(220)로 분사될 수 있도록 건조실(220)의 천장벽 전방부에 공기통로(501)에 연통되는 분사구(50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통로(501)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후단부는 상기 챔버(451)의 배출구(453)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챔버(451)는 건조실(220)의 후방에 설치되며, 전면 하부에 상기 유입구(452)가 형성된다. 이때, 제2증발기(410) 및 제2응축기(430)은 챔버(451)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순환팬(460)은 챔버(451)의 배출구(45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챔버(451)는 내부에 응축된 응축수를 건조실(22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50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채반(504)은 건조실(22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채반(504)은 건조실(220)의 좌우측 내벽면에 형성된 채반(504)걸이(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채반(504)은 전단부가 상측에 인접한 채반(504)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최상측에 설치된 채반(504)은 전단부가 상기 분사구(502)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구(502)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상측에 인접한 채반(504)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채반(504)의 전단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채반(504)들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므로 각 채반(504)들 사이 공간으로 비교적 균일한 양의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채반(504)에 안착되는 건조대상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200: 본체
210: 저장실
211: 냉동실
212: 냉장실
220: 건조실
300: 냉각유닛
310: 제1증발기
320: 압축기
321: 제1연결관
330: 제1응축기
331: 제2연결관
340: 교축밸브
400: 건조유닛
410: 제2증발기
411: 제1분기관
420: 제1배출관
430: 제2응축기
440: 제2배출관
450: 수용함체

Claims (5)

  1. 냉장 또는 냉동을 위한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과 구획된 건조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제1증발기와, 제1연결관에 의해 상기 제1증발기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제2연결관에 의해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제1응축기와, 제3 및 제4연결관에 의해 상기 제1응축기와 제1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교축하기 위한 교축밸브가 마련된 냉각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와 교축밸브 사이에 순환하는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실의 내부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며, 상기 교축밸브를 통과한 상기 냉매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연결관에 분기된 제1분기관에 연결되어 액상의 상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와 제1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증발기를 통과한 상기 냉매를 상기 제1연결관에 공급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상기 냉매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관에 분기된 제2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2응축기와,
    상기 제2응축기와 제3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응축기를 통과한 상기 냉매를 상기 제3연결관에 공급하는 제2배출관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건조실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제2응축기 및 제2증발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챔버가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챔버로 상기 건조실의 내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응축기 및 제2증발기를 통과하는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건조실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 응축된 응축수를 상기 건조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드레인관이 설치된 수용함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건조실의 천장벽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건조실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실의 천장벽 전방부에 상기 공기통로에 연통되는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함체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공기통로에 연통되게 상기 건조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유닛은 상면에 건조대상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건조실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채반을 더 구비하고,
    상기 채반은 전단부가 상측에 인접한 채반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의 내부공기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강제순환시키는 순환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5. 삭제
KR20140031025A 2014-03-17 2014-03-17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KR10146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1025A KR101462671B1 (ko) 2014-03-17 2014-03-17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1025A KR101462671B1 (ko) 2014-03-17 2014-03-17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671B1 true KR101462671B1 (ko) 2014-11-24

Family

ID=5229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1025A KR101462671B1 (ko) 2014-03-17 2014-03-17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7755A1 (zh) * 2018-09-04 2020-03-12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冰箱
KR102431477B1 (ko) * 2021-11-23 2022-08-11 (주)지명 농산물 복합 건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204A (ko) * 1999-09-18 2001-04-06 진금수 건조겸 냉장창고
KR20020001269A (ko) * 2000-06-27 2002-01-09 왕항종 오븐 및 냉장설비를 구비한 식품의 건조장치
KR20090099356A (ko) * 2008-03-17 2009-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100265A (ko) * 2009-03-05 2010-09-15 박근형 냉장고 응축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방식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204A (ko) * 1999-09-18 2001-04-06 진금수 건조겸 냉장창고
KR20020001269A (ko) * 2000-06-27 2002-01-09 왕항종 오븐 및 냉장설비를 구비한 식품의 건조장치
KR20090099356A (ko) * 2008-03-17 2009-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100265A (ko) * 2009-03-05 2010-09-15 박근형 냉장고 응축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방식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7755A1 (zh) * 2018-09-04 2020-03-12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冰箱
US11828519B2 (en) 2018-09-04 2023-11-28 Guangdong Midea White Home Applianc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Co., Ltd. Refrigerator
KR102431477B1 (ko) * 2021-11-23 2022-08-11 (주)지명 농산물 복합 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6455B2 (en) Refrigerator
US10746444B2 (en) Refrigerator
US8863537B2 (en) Single evaporator refrigeration system for multi-compartment refrigerator appliance with isolated air flows
KR101339519B1 (ko) 도어에 제빙실의 냉동 시스템이 설치된 냉장고
JP6687384B2 (ja) 冷蔵庫
KR101721870B1 (ko) 냉장고
US20070214823A1 (en) Heat exchanging device for refrigerator
WO2021047571A1 (zh) 冰箱
KR20180064059A (ko)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KR101462671B1 (ko) 건조실이 마련된 냉장고
WO2007074125A1 (en) A cooling device
CN105972903A (zh) 冷冻装置
KR2015014585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2017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071808B1 (ko)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1097974B1 (ko)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JP7209145B2 (ja) 冷蔵庫
JP2014048029A (ja) 冷蔵庫
KR102188231B1 (ko) 냉장고용 핫파이프
JP2014085060A (ja) 冷蔵庫
CN107300292B (zh) 冰箱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CN211823411U (zh) 冷藏器结构
KR102295156B1 (ko) 냉장고
KR100469781B1 (ko) 도어 증발관이 설치된 김치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