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974B1 -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974B1
KR101097974B1 KR1020100070167A KR20100070167A KR101097974B1 KR 101097974 B1 KR101097974 B1 KR 101097974B1 KR 1020100070167 A KR1020100070167 A KR 1020100070167A KR 20100070167 A KR20100070167 A KR 20100070167A KR 101097974 B1 KR101097974 B1 KR 10109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heat
heat exchange
cooling
exchan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548A (ko
Inventor
김덕선
Original Assignee
김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선 filed Critical 김덕선
Priority to KR102010007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97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12Removing frost by hot-fluid circulating system separate from the refrigerant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1Evaporator distribut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2Removal by evaporation using condenser heat or heat of desuper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상작업중에도 냉각기능이 계속 유지됨과 동시에 제상작업에 이용되는 열 에너지를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냉장냉동창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고와, 상기 저장고의 내부에 설치되며 열교환매체가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잠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송풍시켜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키는 팬유니트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열교환 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기상의 열교환 매체를 응축하는 응축부와, 상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열교환 매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냉각수단과, 증발기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Refrigeration warehouse for energy saving}
본 발명은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상작업중에도 냉각기능이 계속 유지됨과 동시에 제상작업에 이용되는 열 에너지를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냉장냉동창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동시설은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팽창밸브 및 증발기가 포함된 폐회로 냉동사이클에 의해 순환하는 냉매의 물리적인 상전이를 통해 냉기를 생성시키게 된다.
즉, 팽창밸브를 경유하면서 저온저압으로 액화된 냉매가 증발기로 인가되었을 때, 그 주변의 뜨거운 공기로부터 기화되는 과정에서 증발잠열을 흡수하게 됨으로 궁극적으로는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증발기 주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기 표면에 응결되면서 성에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증발기의 열 교환 성능이 저하됨은 물론, 냉동시설 전체 전력소비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증발기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작업, 즉 제상(defrost)이 필요하다.
냉장냉동창고들에서 이루어지는 제상의 방법들에는 크게 냉동기의 운전을 일정 시간동안 정지시켜 자연 제상하는 방법, 핫 가스(hot gas)를 유입시켜 녹이는 핫가스 제상법, 증발기에 전기 히터를 설치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열 제상법, 물을 분무하여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7845호(2005. 10. 10. 공개)에는 종래의 제상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은 제상효율을 높이고 저장실의 온도상승을 방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소비전력을 낮추는 것을 그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개시된 종래기술은 제상모드 즉, 증발기의 제상작업 중에는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이는 결국 제상작업이 끝날 때까지 증발기의 냉장 및 냉동기능이 정지되어 저장실의 온도상승이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제상작업시 냉장창고에 보관 중인 물품을 다른 냉장창고로 옮긴 뒤 해당 냉장창고의 제상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여러 가지 번거로운 문제점 즉, 물품의 운반이나 이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제상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등과 같은 문제점을 전혀 해결할 수 없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제상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전기히터와 같은 형태를 이용하므로, 제상을 위한 별도의 에너지가 추가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제상작업중에도 냉각기능이 계속 유지됨과 동시에 제상작업에 이용되는 열 에너지를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냉장냉동창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는 내부에 식재료들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고와; 상기 저장고의 내부에 설치되며 열교환매체가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잠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송풍시켜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키는 팬유니트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열교환 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기상의 열교환 매체를 응축하는 응축부와, 상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열교환 매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증발기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응축부는 상기 저장고의 외부에 설치되는 통형의 냉각조와,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 공급라인과 상기 냉각조를 연결하여 상기 냉각조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시키는 냉각수 유입관과, 상기 냉각조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상의 열교환 매체가 흐르면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냉각코일과, 상기 냉각조에서 열교환매체의 의해 가열된 온수가 유출되며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가 설치된 온수 유출관과, 상기 냉각수 유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온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냉각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습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후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통로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통로를 제 1유로 및 제 2유로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 1유로 및 제 2유로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유로 및 제 2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응축시키는 제 1 및 제 2열교환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유로 및 제 2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단속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열교환기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상부는 상기 온수 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분사노즐과, 상기 연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조에서 배출되는 온수를 상기 제 1 및 제 2분사노즐로 이송시키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제 1 유로 및 제 2유로의 상하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들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인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들에 상단 및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유로를 각각 개폐하는 제 1 및 제 2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팬유니트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제습수단인 제 1열교환기 또는 제 2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되므로 저장고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에 성에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열교환기 및 제 2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통과시킴과 동시에 공기가 통과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열교환기에서는 제상작업이 가능하므로 증발기의 냉장 및 냉동기능은 중단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가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상 작업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응축부에서 발생하는 온수를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방열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냉동창고는 크게 저장고(1)와, 냉각수단과, 제습수단을 구비한다.
저장고(1)는 내부에 각종 식재료들을 보관하는 장소로서, 바닥면과, 내부에 단열재가 마련된 단열벽과, 천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저장고(1)는 통상적인 냉장 또는 냉동용 창고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고(1)로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고(1)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냉각수단은 저장고(1)에 저장된 식재료들을 냉장 또는 냉동시키기 위해 저장고(1)의 내부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냉각수단은 일 예로 열교환매체가 저장고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잠열을 흡수하는 증발기(10)와, 증발기(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저장고(1) 내부의 공기를 증발기(1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송풍시켜 증발기(10)를 통과시키는 팬유니트(3)와, 증발기(10)에서 증발된 열교환 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13)와, 압축기(13)에 의해 압축된 기상의 열교환 매체를 응축하는 응축부(20)와, 응축부(20)와 증발기(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응축부(20)에서 응축된 열교환 매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밸브(15)를 포함한다. 증발기(10) 및 팬유니트(3)는 저장고(1)의 천정에 설치된다. 증발기(10) 및 팬유니트(10)는 케이스(2)에 내장된다. 케이스(2)는 천정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4)에 고정된다.
상기 냉각수단은 열교환 매체가 폐회로를 이루는 순환관(5)을 따라 흐르면서 기체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압축기(13)에서 압축되어 유분리기(17)를 거쳐 응축부(20)에서 응축열을 방출하여 액체상태로 응축된 후 수액기(18)와 드라이(19) 및 중간밸브(7)를 거쳐 팽창밸브(15)에서 저압상태로 팽창되고 증발기(10)에서 기체상태로 증발된 후 다시 압축기(13)로 순환하는 폐회로 냉동사이클을 이룬다. 이러한 냉각수단은 상기 응축부(20)의 구조만 다르고 그 외에는 통상적인 냉동장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응축부(20)는 압축기(13)에 의해 압축된 기상의 열교환 매체가 응축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제상작업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응축부(20)는 저장고(1)의 외부에 설치되는 통형의 냉각조(21)와,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 공급라인(미도시)과 냉각조(21)를 연결하여 냉각조(21)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시키는 냉각수 유입관(23)과, 냉각조(21) 내부에 수용된 냉각코일(25)과, 냉각조(21)에서 열교환매체의 의해 가열된 온수가 유출되며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28)가 설치된 온수 유출관(27)과, 냉각수 유입관(23)에 설치되어 수온센서(28)의 출력신호에 따라 냉각수 유입관(23)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24)를 구비한다. 온수 유출관(27)은 저장고(27)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라인(30)과 연결된다.
냉각코일(25)은 열교환매체가 흐르는 순환관(5)의 중간에 설치된다. 따라서 압축기(13)에서 압축된 열교환 매체가 냉각코일(25)을 경유하게 된다. 냉각코일(25)을 경유하는 고온 고압의 열교환매체는 냉각조(21)로 유입된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응축열을 냉각수로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수 유입관(23)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는 열교환매체로부터 방출된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가열된 상태, 즉 온수가 되어 온수 유출관(27)을 통해 냉각조(21)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수온센서(28)는 온수 유출관(27)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수온센서(28)의 출력 신호에 따라 유량조절밸브(24)는 냉각수 유입관(23)을 지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한다. 즉, 유량조절밸브(24)는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수 유입관(23)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의 양을 줄이고,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오르면 유입되는 냉각수의 양을 늘린다. 유량조절밸브(23)의 제어는 통상적인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 유출관(27)과 연결라인(30) 사이에는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축열탱크(31)가 설치된다. 축열탱크(31)에 저장된 온수는 제상 작업시 이용된다. 축열탱크(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온수가 채워진다. 축열탱크(31)의 외측면에는 보온을 위한 단열재가 둘러싸고, 단열재를 케이스가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조(21)로부터 유출되는 온수에 보조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열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열원공급부는 온수가 제상작업을 하기에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온수에 보조열원을 제공한다.
보조열원공급부로 축열탱크(31)와, 축열탱크(31)에서 연장되는 제 1온수 경유라인(33)과, 제 1온수 경유라인(33)이 유입구에 연결되며 제 1온수 경유라인(33)을 통해 유입된 온수가 태양열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집열판(35)과, 집열판(35)의 유출구에서 연장되어 축열탱크(31)와 연결되는 제 2온수 경유라인(37)을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축열탱크(31)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온센서가 설치된다. 그리고 수온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 1온수 경유라인(33) 및 제 2온수경유라인(37)의 통로를 각각 개폐하는 밸브들(34)(38)이 설치된다. 제 1온수경유라인(33)을 통해 온수를 집열판(35)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9)가 제 1온수 경유라인(33)에 설치된다.
따라서 축열탱크(31)에 저장된 온수가 설정된 온도, 가령 30 내지 40도 이하인 경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 1 및 제 2온수경유라인(33)(37)에 설치된 밸브들(34)(38)을 개방함과 동시에 순환펌프(39)를 가동시킨다. 이에 따라 축열탱크(31)에 저장된 온수는 제 1온수 경유라인(33), 집열판(35), 제 2온수경유라인(37)을 통해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집열판(3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태양열을 흡수하여 가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상작업시 필요한 열에너지를 열교환매체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함과 동시에 태양열을 보조열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제상작업에 소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저장고(1)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0)에 성에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습수단에서 공기 중의 습기를 먼저 제거 한 후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증발기(10)로 통과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적용된 제습수단은 하우징(50)과, 격벽(51)과, 제 1 및 제 2열교환기(60)(70)와, 단속부와, 제상부로 이루어진다.
하우징(50)은 증발기(10)의 후면에 설치된다. 하우징(50)의 상부는 천정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4)에 고정설치된다. 하우징(50)은 사각의 통 형상으로,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전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팬유니트(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는 하우징(50)의 통로 후면으로 유입되어 통로를 따라 흐르게 된다. 통로를 통과한 공기는 증발기(10)를 거쳐 팬유니트(3)에 의해 전방으로 송풍된다.
하우징(50)의 내부에 설치된 격벽(51)에 의해 하우징(50)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는 제 1 및 제 2유로(53)(55)로 구획된다. 격벽(51)은 하우징(50)의 중간 높이에서 통로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격벽(51)의 상방에 제 1유로(53)가 형성되고, 격벽(51)의 하방에 제 2유로(55)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유로(53) 및 제 2유로(55)에는 제 1 및 제 2열교환기(60)(70)가 각각 설치된다.
제 1열교환기(60)는 다수의 열전달핀들(61)과, 열전달핀들(6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열교환 파이프(63)로 이루어진다. 열전달핀(61)은 판상의 부재를 파형으로 절곡한 구조를 갖는다. 열전달핀(61)은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를 이용한다. 각 열전달핀(61)은 열교환파이프(63)가 관통하는 다수의 삽입공들(65)이 형성되다. 열전달핀들(61)은 제 1유로(53)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열교환파이프(63)는 동 재질로 형성된다. 열교환파이프(63)는 각 열전달핀(61)에 형성된 삽입공(65)을 지그재그로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열교환파이프는 순환관(5)에서 분기된 제 1분기관(81)과 연결된다. 따라서 순환관(5)을 따라 흐르는 열교환매체의 일부가 열교환파이프(63)를 통과한다. 열교환파이프(63)를 경유한 제 1분기관(81)은 압축기(13)의 전방 지점의 순환관(5)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열전달핀(61)에는 삽입공(65)의 주변에 형성된 유통공(69)과, 충돌리브(67)가 마련된다. 유통공(69)을 통해 열전달핀들(61) 사이의 빈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인접하는 열전달핀 사이로 유통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유통공(69)의 가장자리마다 형성된 충돌리브(67)는 유통공(69)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충돌리브(67)는 유입된 공기와 충돌하여 공기의 흐름을 방해한다. 따라서 충돌리브(67)는 난류를 발생시켜 열전달핀(61)과 공기의 접촉 횟수를 증대시킨다.
제 1유로(53)로 유입된 공기는 제 1열교환기(60)에 의해 노점 이하로 냉각된다. 따라서 충돌리브(67)와 충돌하면서 공기 중에 함유된 물방울은 공기로부터 제거된다. 이는 충돌포집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제 2열교환기(70)는 상술한 제 1교환기(6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 2열교환기(70)의 열교환 파이프(73)는 제 1분기관(81)에서 분기된 제 2분기관(85)과 연결된다. 제 2열교환기의 열교환파이프(73)를 경유한 제 2분기관(85)은 압축기(13)의 전방 지점의 순환관(5)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분기관(81)(85)에는 팽창밸브(83)(87) 및 중간밸브(8)(9)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유로(53) 및 제 2유로(55)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단속부는 제 1 유로(53) 및 제 2유로(55)의 상하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들(41)과, 가이드 레일들(4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 1 및 제 2도어(43)(45)로 구비된다. 각 유로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41)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제 1유로(43)에서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41)은 하우징(50)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른 가이드 레일(41)은 격벽(51)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2유로(45)에서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41)은 격벽(51)에 설치되고, 다른 가이드 레일(41)은 하우징(50)의 바닥에 설치된다.
하우징(50)의 측면에 2개의 인입홀(미도시)이 상하로 길게 각각 형성된다. 제 1도어(43)는 상부에 형성된 인입홀에 삽입되고, 제 2도어(45)는 하부에 형성된 인입홀에 삽입된다. 제 1 및 제 2도어(43)(45)는 상단 및 하단이 가이드 레일(41)에 각각 지지된다. 제 1 및 제 2도어(43)(45)는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유로(53)(55)를 각각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및 제 2도어(43)(45)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47)가 각각 설치된다.
상술한 제 1 및 제 2도어(43)(45)에 의해 증발기(10)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를 제 1유로(53)를 경유하게 하거나 제 2유로(55)를 경유하도록 한다. 즉, 단속부는 제 1 및 제 2도어(43)(45)의 조작에 의해 제 1유로(53) 및 제 2유로(55)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킨다. 즉, 제 1유로(53)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2도어(45)가 제 2유로(55)를 폐쇄하게 되고, 제 2유로(55)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도어(43)가 제 1유로(53)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유로, 예를 들어 제 1유로(53)만으로 공기를 통과시켜 습기를 제거한 후 공기를 증발기(10)로 보내어 냉각시킨다. 일정 시간 경과되면 제 1유로(53)에 설치된 제 1열교환기(60)에서 응축된 수분이 얼어 성에가 형성되면, 제 1유로(53)를 폐쇄하고 제 2유로(55)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제 1열교환기(60)의 제상작업이 진행되더라도 증발기(10)의 가동은 중단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2열교환기(70)의 제상 작업시에는 제 2유로(55)를 폐쇄하고 제 1유로(53)를 개방시켜 공기를 제 1유로(53)로 통과시킨다.
제 1 및 제 2열교환기(60)(70)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부는 축열탱크(31)와 연결되어 하우징(5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라인(30)과, 연결라인(30)과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0)(7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분사노즐(91)(93)과, 연결라인(30)에 설치되어 냉각조(21)에서 배출되는 온수를 제 1 및 제 2분사노즐(91)(93)로 이송시키는 펌프(95)를 구비한다. 연결라인은 2개로 분기되어 제 1 및 제 2분사노즐(91)(93)과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분기된 연결라인에는 온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97)(99)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및 제 2분사노즐(91)(93)에는 온수가 제 1 및 제 2열교환기(60)(70)의 상부에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홀들(미도시)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상부에 의해 제 1열교환기(60) 또는 제 2열교환기(70)의 제상작업시 제 1 또는 제 2분사노즐(91)(93)을 통해 축열탱크(31)에 저장된 온수를 제 1열교환기(60) 또는 제 2열교환기(70)의 상부에서 분사하여 성에를 녹여 제거한다. 그리고 제상작업시 발생하는 물을 하우징(5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열교환기(60)의 제상작업시 물을 배수하는 제 1배수관(107)과, 제 2열교환기(70)의 제상작업시 물을 배수하는 제 2배수관(109)이 설치된다. 제 1 및 제 2배수관(107)(109)은 저장고(1)의 외부로 연장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0)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증발기(10)의 상부에도 분사노즐(1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100)은 연결라인(30)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열교환기(60)(70)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므로 증발기(10)에 성에가 형성되지 않으나, 장치의 이상 등으로 인해 제 1 및 제 2열교환기(60)(70)에서 제습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경우 증발기(10)에서 제상작업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103은 분사노즐로 유입되는 온수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이고, 도면 부호 105는 증발기의 제상작업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이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저장고 5: 순환관
10:증발기 13:압축기
15: 팽창밸브 20: 응축부
21: 냉각조 25: 열교환 코일
30: 연결라인
50: 하우징 60: 제 1열교환기
70: 제 2열교환기 91: 제 1분사노즐
93: 제 2분사노즐

Claims (2)

  1. 내부에 식재료들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고와;
    상기 저장고의 내부에 설치되며 열교환매체가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잠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송풍시켜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키는 팬유니트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열교환 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기상의 열교환 매체를 응축하는 응축부와, 상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열교환 매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증발기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응축부는 상기 저장고의 외부에 설치되는 통형의 냉각조와,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 공급라인과 상기 냉각조를 연결하여 상기 냉각조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시키는 냉각수 유입관과, 상기 냉각조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상의 열교환 매체가 흐르면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냉각코일과, 상기 냉각조에서 열교환매체의 의해 가열된 온수가 유출되며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가 설치된 온수 유출관과, 상기 냉각수 유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온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냉각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후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통로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통로를 제 1유로 및 제 2유로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 1유로 및 제 2유로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유로 및 제 2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응축시키는 제 1 및 제 2열교환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유로 및 제 2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단속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열교환기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상부는 상기 온수 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분사노즐과, 상기 연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조에서 배출되는 온수를 상기 제 1 및 제 2분사노즐로 이송시키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제 1 유로 및 제 2유로의 상하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들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인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들에 상단 및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유로를 각각 개폐하는 제 1 및 제 2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KR1020100070167A 2010-07-20 2010-07-20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KR101097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167A KR101097974B1 (ko) 2010-07-20 2010-07-20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167A KR101097974B1 (ko) 2010-07-20 2010-07-20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932A Division KR100981447B1 (ko) 2010-04-09 2010-04-09 제상기능을 개선한 절전형 냉장냉동창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548A KR20110113548A (ko) 2011-10-17
KR101097974B1 true KR101097974B1 (ko) 2011-12-22

Family

ID=4502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167A KR101097974B1 (ko) 2010-07-20 2010-07-20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9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625B1 (ko) 2016-07-15 2017-01-16 주식회사 현대냉동산업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냉장창고
KR101917293B1 (ko)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1684B1 (ko) 2020-12-10 2021-04-16 하민호 단일 유니트 쿨러와 예비용 냉동장치가 구비된 냉동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83B1 (ko) 2007-09-28 2008-01-21 주식회사삼원기연 토출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냉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83B1 (ko) 2007-09-28 2008-01-21 주식회사삼원기연 토출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냉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625B1 (ko) 2016-07-15 2017-01-16 주식회사 현대냉동산업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냉장창고
KR101917293B1 (ko)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1684B1 (ko) 2020-12-10 2021-04-16 하민호 단일 유니트 쿨러와 예비용 냉동장치가 구비된 냉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548A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2550B (zh) 冰箱
KR10068793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286436B1 (ko) 자동 판매기
CN102967103B (zh) 冰箱以及冷冻装置
CN106196843A (zh) 风冷冰箱及其除湿方法
JP6687384B2 (ja) 冷蔵庫
KR20110006997A (ko) 냉장고
CN107314600A (zh) 冰箱及其冷藏室制冰机脱冰机构
CN105452785A (zh) 冰箱
CN112665286A (zh) 一种冰箱除湿化霜装置、控制方法和冰箱
KR100981447B1 (ko) 제상기능을 개선한 절전형 냉장냉동창고
JPH06249562A (ja) 冷凍冷蔵庫
WO2006031002A1 (en) Continuously operating type showcase
KR101097974B1 (ko)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CN102997558A (zh) 冰箱
KR101361932B1 (ko) 제상장치를 구비한 냉동기
KR101330936B1 (ko) 냉장고
CN103975206A (zh) 冷藏库
CN215597871U (zh) 冷藏冷冻装置
KR100208886B1 (ko) 가정용 냉장고의 제상구조
RU169552U1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грегат
CN214371222U (zh) 一种冰箱除湿化霜装置和冰箱
KR20160010143A (ko) 냉동기용 제상 시스템 장치
JP6940424B2 (ja) 冷蔵庫
KR100945184B1 (ko) 빙축열 시스템의 열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