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695B1 - 렌즈의 코팅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의 코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695B1
KR101461695B1 KR1020097021856A KR20097021856A KR101461695B1 KR 101461695 B1 KR101461695 B1 KR 101461695B1 KR 1020097021856 A KR1020097021856 A KR 1020097021856A KR 20097021856 A KR20097021856 A KR 20097021856A KR 101461695 B1 KR101461695 B1 KR 10146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coating
suction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718A (ko
Inventor
가쯔히로 모리
나오또 다까하시
슈헤이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Publication of KR2010001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23Transferring contact lenses
    • B29D11/0024Transferring contact lenses using a vacuum suction grip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Abstract

본 발명의 렌즈 (10)의 코팅 장치에서, 렌즈 측정부 (3), 프라이머 코팅부 (5), 포토크로믹 코팅부 (7) 및 UV 조사부 (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가 렌즈의 중앙 저면부를 지지하고, 어떠한 처리를 행하는 지지축 (57, 78, 85, 97)을 갖고, 반송 수단 (45, 63, 68)이 렌즈의 중앙 저면부를 지지하는 흡착부를 갖고, 지지축의 주위에 설치된 렌즈 적재부 (58, 72, 74, 81, 88, 115)가 지지축 및 흡착부가 렌즈를 지지하는 영역 이외의 렌즈 저면을 지지하는 핀을 갖고 있고, 지지축과 반송 수단 사이 및 반송 수단과 별도의 반송 수단 사이에서의 렌즈의 전달시에 렌즈를 렌즈 적재부에 임시 설치하여, 렌즈 적재부, 지지축 및 반송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렌즈를 상기 지지축 또는 반송 수단에 지지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해 렌즈에 모멘트가 가해지지 않으며, 렌즈를 왜곡하지 않고 장치간에 전달할 수 있다.
렌즈의 코팅 장치, 포토크로믹 코팅, 프라이머 코팅

Description

렌즈의 코팅 장치{LENS COATING DEVICE}
본 발명은, 안경 등의 렌즈에 프라이머 코팅 및 포토크로믹 코팅 등을 행하는 코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빛에 의해 색이 변화되는 재료에는 포토크로믹 물질이 있다. 포토크로믹 물질은 자외선의 유무에 따라 구조가 가역적으로 변화되고, 흡수 스펙트럼이 변화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것은 하나의 이성체에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면, 빛의 작용에 의해 단일의 화학 물질이 흡수 스펙트럼이 상이한 이성체를 가역적으로 생성하는 물질의 성질이다. 생성된 다른 이성체는, 열 또는 별도의 파장의 빛에 의해 본래의 이성체의 색으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포토크로믹 재료의 성질을 렌즈에 이용한 포토크로믹 안경이 있다. 포토크로믹 안경은, 태양광과 같은 자외선을 포함하는 빛이 조사되는 옥외에서는 렌즈가 빠르게 착색되어 선글라스로서 기능하고, 빛의 조사가 없는 옥내에서는 퇴색되어 투명한 통상적인 안경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렌즈의 제조 방법은 자동화되어 있으며, 우선 손으로 1개의 렌즈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센서 등을 사용하여 렌즈의 높이나 렌즈의 곡률 반경 등을 계측한다. 포토크로믹 코팅액을 코팅하는 코팅 전에는, 포토 크로믹층과 렌즈 기재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포토크로믹 코팅(이하, 포토크로 코팅이라고도 함) 작업의 전처리로서, 렌즈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팅 작업을 행하고 있다. 또한, 포토크로 코팅, UV 조사 등의 일련의 작업에 의해 포토크로 코팅 렌즈가 코팅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이들 렌즈의 일련의 코팅 처리에서, 렌즈의 전달이 행해진다. 프라이머 코팅 처리, 포토크로 코팅 처리에서는 렌즈를 스핀축에 의해 지지하고, 렌즈를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키면서 각 코팅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렌즈의 전달시에 렌즈의 중심축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스핀축으로의 렌즈의 전달이 용이해지는 수단으로서, 렌즈 U자 형상의 렌즈 유지부를 갖는 렌즈의 반송 장치에 대하여 제안하였다(국제 출원 번호 PCT/JP2006/321923).
도 25는, 출원인이 본 발명의 관련 기술(종래 기술이 아님)로서 개발한 유지부가 U자 형상의 렌즈 유지부를 도시한다. 도 25의 A는, 스핀축 (101)에 지지된 렌즈 (102)를 렌즈 (102)의 반송 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렌즈 지지 핸드 (103)이 지지하려고 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렌즈 유지부에서 안정적으로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스핀축 (101)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착 수단과 연통하는 흡착 구멍 (101a)가 스핀축 (10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흡인에 의해 렌즈 (102)의 중앙 저면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지지 핸드 (103)에는, U자 형상의 렌즈 지지부 (103a)가 설치되어 있으며, 렌즈 지지부 (103a)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착 수단과 연통하는 흡착 구멍 (103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렌즈 (102)의 전달시에는 렌즈 지지 핸드 (103)이 스핀축 (101)측으로 전진하고,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지지부 (103a)가 스핀축 (101)에 걸치도록 하여, 렌즈 (102)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렌즈 지지 핸드 (103)을 상승시켜 스핀축 (101)과 렌즈 (102)의 결합을 해제하고, 렌즈 지지부 (103a)가 렌즈 (102)를 지지하고, 이 후 도 2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지지 핸드 (103)을 후퇴시킨다. 렌즈 지지 핸드 (103)은, 렌즈 지지부 (103a)에 설치되어 있는 흡착 구멍 (103b)에 의해 렌즈를 흡착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102)의 반송 중에 렌즈 (102)가 어긋나거나, 렌즈 (102)가 낙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렌즈 지지 핸드 (103)은 후속 공정에 렌즈를 반송할 수 있다.
이러한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렌즈(포토크로믹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토크로믹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사용하여 렌즈의 표면에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층(포토크로믹 코팅층)을 설치하는 방법(코팅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를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렌즈를 연속적으로 코팅할 수 있는 장치(특허 문헌 1 참조), 코팅액을 연전(延展)하는 보조 기능을 부설한 장치(특허 문헌 2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렌즈의 계측 장치를 설치하여, 포토크로믹의 코팅 피막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3436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387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2784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렌즈 지지 핸드 (103)에 의한 렌즈 (102)의 반송 중에는, 렌즈 (102)의 위치 어긋남이나 렌즈 (102)의 낙하가 없도록 렌즈 (102)를 확실히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렌즈 지지 핸드 (103)에는 U자 형상의 렌즈 지지부 (103a)에 흡착 구멍 (103b)를 형성하고, 공기 흡인에 의해 렌즈 (102)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흡착 구멍 (103b)에 의해 렌즈 (102)를 흡인하면 렌즈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에는 문제없지만, 두께가 얇은 렌즈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도 2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 구멍 (103b)의 양단부 (103d), (103d)가 떨어진 위치에 있고, 렌즈 (102)를 흡착 구멍 (103b)에 의해 공기 흡인하면 렌즈 (102)에 큰 모멘트가 부하되어, 열을 받아 강도가 저하된 수지제의 렌즈에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방지책으로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102)의 저면에 패드 (104)를 접착하고, 이 패드 (104)를 통해 렌즈 (102)를 지지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패드 (104)를 접착하는 시간과 박리하는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생산 능력을 높이고자 하면 할수록 이 시간을 없앨 필요가 있으며,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우선 손으로 1개의 렌즈를 렌즈의 중심이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면, 이후에는 자동화되어 있어 자동적으로 코팅된 렌즈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생산 능력이 높아질수록 오퍼레이터에 가해지는 부담은 증가하기 때문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할 때 UV 램프가 열을 발생하지만, 코팅한 렌즈를 효율적으로 연속하여 생산하면 할수록 이 열의 영향에 의해 장치 본체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포토크로믹 코팅에서는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쉽고, 프라이머 코팅에서는 온도 및 습도의 영향을 받기 쉽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 때문에, 렌즈의 코팅 처리를 연속하여 행하는 경우, UV 조사의 영향에 의해 장치 본체의 온도가 높아지면 고품질의 코팅 렌즈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프라이머 코팅 작업에서는 렌즈를 회전시키면서 프라이머 코팅액을 렌즈에 도포하지만, 프라이머 코팅액은 포토크로믹 코팅액과 상이하며, 점성이 낮고 미스트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국제 출원 번호 PCT/JP2007/053572에서, 미스트가 재차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머 코팅부의 스핀축을 커버로 덮고, 커버에 배기구를 형성하여 배기구로부터 미스트를 강제적으로 배기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도 27 참조, 커버 (91), 배기구 (91a), 강제 배기 수단 (92), 미스트의 흐름 (b)).
이와 같이 프라이머 코팅부에서 미스트를 강제적으로 배기하는 경우, UV 램프가 발생한 열을 프라이머 코팅부에 끌어들일 우려가 있고, 프라이머 코팅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미스트를 강제적으로 배기하기 위해 코팅 장치의 실내가 부압이 되어,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이 침입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코팅 장치 본체를 배치하는 장소가 충분한 청정도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 문제점은 생산 능력을 높이고자 하면 할수록 큰 문제가 되기 때문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 특히 렌즈를 대량으로 생산할 때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핀축(지지축)과 렌즈의 반송 장치가 서로 렌즈의 전달을 행할 때, 두께가 얇은 렌즈인 경우에도 패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렌즈가 왜곡되지 않고, 렌즈의 전달 또는 반송을 행할 수 있는 렌즈의 코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가 렌즈를 1매당 세팅하지 않고, 렌즈 직경의 크기를 장치 본체에 지시할 필요가 없으며, 오퍼레이터의 시간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는 렌즈의 코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UV 램프의 열의 영향을 없애거나 경감시켜, 보다 높은 청정도로 고도의 코팅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렌즈의 코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품질이 높은 렌즈를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코팅 장치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료 렌즈의 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렌즈 측정부 (3), 원료 렌즈에 프라이머액을 도포하여 미건조된 프라이머 코팅층을 갖는 제1 중간체 렌즈를 제작하기 위한 프라이머 코팅부 (5), 상기 제1 중간체 렌즈를 건조부 (6)에서 건조시킨 제2 중간체 렌즈에 포토크로믹 코팅액을 도포하여 미경화된 포토크로믹 코팅층을 갖는 제3 중간체 렌즈를 제작하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 제3 중간체 렌즈에 UV를 조사하여 미경화된 포토크로믹 코팅층을 경화시켜 제품 렌즈를 제작하는 UV 조사부 (8)을 포함하는 코팅 라인과, 상기 코팅 라인 내에 각 부로 렌즈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 측정부 (3), 프라이머 코팅부 (5), 포토크로믹 코팅부 (7) 및 UV 조사부 (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에서, 렌즈를 지지하는 수단이 렌즈의 중앙 저면부를 공기의 흡인 수단에 의해 지지하는 지지축이고, 상기 반송 수단에는 렌즈의 중앙 저면부를 공기의 흡인 수단에 의해 지지하는 흡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의 주위에는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흡착부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영역 이외의 렌즈 저면을 지지하는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과 상기 흡착부에서의 렌즈의 수취 또는 전달시에 상기 렌즈 적재부에 렌즈를 임시 설치하고, 상기 렌즈 적재부,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흡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를 상기 지지축 또는 상기 흡착부에 지지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의 상기 렌즈 적재부는 상기 지지축 주위에 입설(立設)한 3개 이상의 핀 부재이며, 상기 핀 부재의 선단부로 렌즈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는 상기 지지축의 높이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렌즈 적재부 및 상기 흡착부를 승강시켜 상기 렌즈의 수취 또는 전달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에는 상기 반송 수단이 2개 이상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반송 수단끼리의 렌즈의 수취 또는 전달시에 렌즈를 임시 설치하는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반송 수단의 흡착부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영역 이외의 렌즈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의 상기 반송 수단에는 상기 흡착부가 2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흡착부 중 1개가 상기 렌즈 적재부를 통해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어 있는 렌즈를 수취하고, 다른쪽 흡착부가 상기 흡착부에 지지되어 있는 렌즈를 상기 지지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장치의 상기 렌즈 측정부 (3)에는, 렌즈 중심부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계측 장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에는 포토크로믹 코팅액을 공급하는 용기 노즐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의 선단부와 렌즈의 중심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의 상기 UV 조사부 (8)에는, 제3 중간체 렌즈의 렌즈 중앙 저면부를 공기의 흡인 수단에 의해 지지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에 지지된 제3 중간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실로서 질소 치환이 가능한 렌즈 수용실 (96)을 설치하고, 상기 UV 조사부 (8)로 렌즈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에는 렌즈의 중앙 저면부를 공기의 흡인 수단에 의해 지지하는 흡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의 주위에는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흡착부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영역 이외의 렌즈 저면을 지지하는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과 상기 흡착부에서의 렌즈의 수취 또는 전달시에 상기 렌즈 적재부에 렌즈를 임시 설치하고, 상기 렌즈 적재부,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흡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를 상기 지지축 또는 상기 흡착부에 지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를 상기 지지축에 지지시킨 후, 상기 렌즈 적재부를 상기 렌즈의 하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렌즈 적재부를 상기 렌즈 수용실과 이격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코팅 장치의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에는 상기 지지축 및 상기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코팅시에 비산된 액상 및 미스트상의 프라이머 코팅액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 덕트 (134)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적재부에 이들 프라이머 코팅액의 부착을 방지하는 부착 방지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흡입 덕트 (134)는 렌즈의 주연부 근방의 렌즈보다 높은 위치에 중앙 개구 (131a)를 갖는 돔상의 상컵 (131)과, 렌즈의 주연부 근방의 렌즈보다 낮은 위치에 중앙 개구 (132a)를 갖고 상기 상컵과 간격을 두고 배치한 돔상의 중컵 (13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흡입 덕트 (134)는 액상 및 미스트상의 프라이머 코팅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 덕트(134)의 흡입구는, 상기 상컵 (131)의 중앙 개구 (131a)와 상기 중컵 (132)의 중앙 개구 (132a)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부착 방지 부재는, 상기 중컵 (132)의 상기 중앙 개구 (132a)의 주연부 근방에 상단부가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렌즈 적재부의 상단측을 둘러싸는 통 형상 부재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는, 복수의 원료 렌즈를 수평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에 배열한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와, 상기 원료 렌즈 수용 유닛에 수용된 상기 원료 렌즈의 저면을 공기 흡인에 의해 지지하는 렌즈 흡착부 (45c)를 갖고, 상기 렌즈 흡착부 (45c)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원료 렌즈를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로부터 상기 렌즈 측정부 (3)에 반송하는 제1 렌즈부 반송 수단 (31)을 구비하는 원료 렌즈 공급부 (2)를 상기 코팅 라인의 상류측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는, 복수의 제품 렌즈를 수평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에 배열할 수 있는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와, 제품 렌즈의 저면을 공기 흡인에 의해 지지하는 렌즈 흡착부 (45c)를 갖고, 상기 렌즈 흡착부 (45c)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제품 렌즈를 상기 코팅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에 반송하는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을 구비하는 제품 렌즈 저류부 (9)를 상기 코팅 라인의 하류측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의 상기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에는, 동심원상이면서도 상측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계단상의 복수의 원료 렌즈 장착부 (25)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원료 렌즈 장착부의 중앙부와 상기 렌즈 장착부의 상기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측의 부위에 상기 렌즈 흡착부 (45c)가 통과 가능한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계단상의 단부에 렌즈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의 상기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에는, 동심원상이면서도 상측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계단상의 복수의 제품 렌즈 장착부(상기 원료 렌즈 장착부 (25)와 동일한 형상임) (75a)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품 렌즈 장착부의 중앙부와 상기 렌즈 장착부의 상기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측의 부위에 상기 렌즈 흡착부 (45c)가 통과 가능한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계단상의 단부에 렌즈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는 상기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을 구획하여, 상기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렌즈의 코팅 장치는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를 구획하여,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 수단 및 습도 조정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는 상기 상기 UV 조사부 (8)을 구획하여, 상기 UV 조사부 (8) 내의 공기를 상기 장치 본체의 외부에 배기하는 배기 덕트 (93c)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는,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 및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흡기 덕트 (20a, 20b)를 설치하고, 필터 (19a, 19b)를 개재시켜 배치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렌즈의 코팅 장치는, 반송 수단에는 렌즈의 중앙 저면부를 공기의 흡인 수단에 의해 지지하는 흡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의 주위에는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흡착부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영역 이외의 렌즈 저면을 지지하는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과 상기 흡착부에서의 렌즈가 수취 또는 전달시에 상기 렌즈 적재부에 렌즈를 임시 설치하여, 상기 렌즈 적재부,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흡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를 상기 지지축부 또는 상기 흡착부에 지지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반송 유닛의 렌즈를 지지하는 흡착부가 축상으로 중심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렌즈에 모멘트가 가해지지 않고, 렌즈를 왜곡하지 않고 반송시킬 수 있다. 또한, 패드를 생략할 수 있으며, 코팅의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는, 상기 렌즈 적재부가 상기 지지축 주위에 입설된 3개 이상의 핀 부재이며, 상기 핀 부재의 선단부로 렌즈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핀 부재의 간극으로부터 반송 장치의 흡착부를 삽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해진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의 상기 반송 수단에는 상기 흡착부가 2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흡착부 중 1개가 상기 렌즈 적재부를 통해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어 있는 렌즈를 수취하고, 다른쪽 흡착부가 상기 흡착부에 지지되어 있는 렌즈를 상기 지지축으로 전달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흡착부가 1개인 경우에는 흡착부가 렌즈를 수취하고, 렌즈를 하류측에 반송한 후, 렌즈를 상류측에서 수취하여 렌즈를 지지축으로 전달하지만, 본 발명에 의해 렌즈의 전달을 그 자리에서 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게 되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의 상기 장치 본체에는 렌즈 중심부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포토크로믹 코팅액을 공급하는 용기 노즐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노즐의 선단부와 렌즈 중심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조정하도록 하였다. 종래에는 수동으로 노즐의 선단 위치를 조정하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익숙도에 따라 높이의 변동이 있었지만, 오퍼레이터의 익숙도에 의존하지 않고 용기의 교환시에 노즐의 선단 위치와 렌즈의 간격을 일정값으로 할 수 있으며, 코팅층에 거품이 포함되지 않는 품질이 양호한 코팅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UV 조사부에는, 지지축과 반송 수단의 흡착부에서의 렌즈 전달 또는 수취시에 사용하는 렌즈 적재부를 지지축에 지지된 렌즈의 하부로부터 이동 가능한 기구로 하고, UV 조사부에서의 렌즈 수용실 내에 상기 렌즈 적재부가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효과와 함게 렌즈 수용실을 조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에서는, 장치 본체의 코팅 라인의 상류측 위치에 상기 원료 렌즈 공급부 (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렌즈를 1회에 장치 본체에 세팅할 수 있고, 렌즈 공급부에 1매당 세팅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은 상기 렌즈 흡착부를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의 전달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는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렌즈의 설치를 장치 본체 외에서 행할 수 있고, 작업 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에서는, 장치 본체의 코팅 라인의 하류측 위치에 상기 제품 렌즈 저류부 (9)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팅 처리된 복수의 제품 렌즈를 통합하여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작업 효율이 향상되게 되었다. 또한, 상기 렌즈 수용 유닛을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코팅 처리한 복수의 렌즈를 1회에 통합하여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은, 상기 렌즈 흡착부를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의 전달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는, 상기 렌즈 수용 유닛에는 동심원상이면서도 상측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계단상의 복수의 렌즈 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장착부의 중앙부와 상기 렌즈 장착부의 상기 부렌즈 반송 수단측의 부위에 상기 렌즈 지지부가 통과 가능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 장착부 중 어느 1개의 상기 계단상의 단부에 렌즈를 장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렌즈의 중심 위치의 결정을 대략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렌즈 직경이 상이한 렌즈여도 수용이 가능하다. 또한, 개방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렌즈 반송 수단의 렌즈 흡착부가 용이하게 렌즈를 지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는, 상기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로부터 렌즈를 수취하여 렌즈의 외경, 곡률 및 높이를 검지하는 렌즈 계측 장치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코팅 장치의 오퍼레이터가 렌즈 직경을 코팅 장치의 제어부에 알릴 필요가 없어져, 오퍼레이터의 시간을 대폭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조작 실패를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렌즈의 코팅 장치에 따르면, 포토크로믹 코팅부 (7) 및 프라이머 코팅부 (5)를 각각 구획하여 온도 조절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UV 조사부 (8)에서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품질이 높은 포토크로믹 렌즈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프라이머 코팅부 (5)의 습도 조정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보다 품질이 높은 포토크로믹 렌즈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UV 조사부 (8)을 구획하여 장치 본체의 외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덕트 (93c)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포토크로믹 코팅 및 프라이머 코팅 작업으로의 열적 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프라이머 코팅부 (5) 및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흡기 덕트 (20a, 20b)를 설치하고, 필터 (19a, 19b)를 개재시켜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부 내에 오염된 공기가 혼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흡기 덕트 (20a, 20b)로부터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장치 본체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공기가 혼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프라이머 코팅부 (5)에 특정한 프라이머컵을 배치함으로써 비산된 프라이머 코팅액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포토크로믹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온도를 20 내지 23 ℃의 범위로 조정하고, 프라이머 코팅부 (5)의 온도를 20 내지 22 ℃, 습도를 45 내지 55 %의 범위로 조정하면, 더욱 품질이 양호한 포토크로믹 렌즈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코팅 장치의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에는 상기 지지축 및 상기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렌즈 코팅시에 비산된 액상 및 미스트상의 프라이머 코팅액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 덕트 (134)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미스트가 렌즈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렌즈 적재부에 액상 및 미스트상의 프라이머 코팅액의 부착을 방지하는 부착 방지 부재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렌즈 적재부에 프라이머 코팅액이나 그의 미스트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코팅 장치 전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도 1의 코팅 장치에 배치된 원료 렌즈 수용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3] 도 1의 코팅 장치에 배치된 원료 렌즈 수용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 도 2의 원료 렌즈 수용 유닛에 배치되어 있는 렌즈 장착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 도 1의 코팅 장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또는 제2) 렌즈 부반송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6] 도 5의 제1(또는 제2) 렌즈 부반송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7] 도 5의 제1(또는 제2) 렌즈 부반송 수단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 도 5의 제1(또는 제2) 렌즈 부반송 수단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9] 도 1에 도시한 코팅 장치의 렌즈 계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 도 1에 도시한 코팅 장치의 렌즈 계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 도 10에 도시한 렌즈 계측 장치의 레이저 투광부 및 수광부를 나타내고, A는 렌즈를 지지하지 않은 센터링 로드가 측정 영역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 B는 렌즈를 지지한 센터링 로드가 측정 영역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 C는 렌즈의 단 부가 측정 영역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 도 10에 도시한 렌즈 계측 장치의 레이저 투광부 및 수광부를 나타내고, A는 렌즈의 이동 방향 선단부가 측정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의 평면도, B는 렌즈의 이동 방향 후단부가 측정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의 평면도, C는 렌즈의 이동 방향 후단측이 측정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3] 도 1의 제1 주반송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14] 도 1의 프라이머 코팅부에 배치되어 있는 프라이머 코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5] 도 1의 포토크로믹 코팅부에 배치되어 있는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6] 도 1의 UV 조사부에 배치되어 있는 렌즈 전달부의 정면도이다.
[도 17] 도 1의 UV 조사부에 배치되어 있는 자외선 조사실의 정면도이다.
[도 18] 도 1에 도시한 코팅 장치의 렌즈 수용 유닛과 렌즈 지지 유닛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9] A는 렌즈 지지 유닛이 렌즈를 핀의 바로 위쪽에 배치한 상태의 측면도, B는 렌즈 지지 유닛이 렌즈를 핀에 놓은 상태의 측면도, C는 렌즈 지지 유닛이 후퇴하여 핀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의 측면도, D는 센터링 로드가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0] A는 렌즈 계측 유닛의 센터링 로드가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 B는 입설핀이 상승하여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 C는 전달 핸 드의 흡착부가 입설핀으로부터 렌즈를 수취하는 상태의 측면도, D는 전달 핸드의 흡착부가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1] A는 전달 핸드의 흡착부가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 B는 전달 핸드의 흡착부로부터 입설핀이 렌즈를 전달한 상태의 측면도, C는 입설핀으로부터 스핀축으로 렌즈를 전달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D는 스핀축이 렌즈를 지지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코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3] 도 1에 도시한 칸막이벽(프라이머 코팅부 및 포토크로믹 코팅부)의 부 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24]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코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5] 도 25는 종래의 전달 핸드의 렌즈의 전달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스핀축이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평면도, B는 전달 핸드가 렌즈를 전달하고 있는 상태의 평면도, C는 전달 핸드가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6] 도 25의 C의 전달 핸드가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7] 종래 기술의 프라이머 코팅부에서의 미스트를 배기하는 커버를 설치한 프라이머 코팅 장치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코팅 장치
5: 프라이머 코팅부
7: 포토크로믹 코팅부
10: 렌즈
22: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5 내지 30, 75a: 렌즈 장착부
31: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43: 슬라이드 유닛
45: 렌즈 지지 유닛
48: 렌즈 계측 유닛
57a: 센터링 로드
58d: 핀
60: 레이저 투광부
61: 레이저 수광부
65: 프라이머 코팅 장치
66: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73: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5: 제품 렌즈 수용 유닛
131: 상컵
131a, 132a: 중앙 개구
132: 중컵
133: 하컵
133a: 통 형상 부재
134: 흡입 덕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코팅 장치를 사용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의 코팅 장치의 X축 방향의 방향을 코팅 장치의 폭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의 방향을 전후 방향(Y축의 화살표와 반대 방향을 전측으로 함)으로 하고, Z축 방향(도 1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코팅 장치 (1)의 장치 본체 (1a)에는, 렌즈의 코팅 작업의 흐름 순서에 따라 원료 렌즈의 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렌즈 측정부 (3)과, 원료 렌즈에 프라이머액을 도포하여 미건조된 프라이머 코팅층을 갖는 제1 중간체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프라이머 코팅부 (5)와, 제1 중간체 렌즈의 미건조된 프라이머 코팅층을 건조시켜 건조한 프라이머 코팅층을 갖는 제2 중간체 렌즈를 제조하는 건조부 (6)과, 제2 중간체 렌즈에 포토크로믹 코팅액을 도포하여 미경화된 포토크로믹 코팅층을 갖는 제3 중간체 렌즈를 제조하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과, 제3 중간체 렌즈에 UV를 조사하여 미경화된 포토크로믹 코팅층을 경화시켜 제품 렌즈를 제조하는 2개의 UV 조사부 (8a) 및 (8b)를 포함하는 코팅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코팅 라인에는, 상기 제3 중간체 렌즈를 임시 설치하기 위한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 및 상기 제품 렌즈를 임시 설치하기 위한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료 렌즈, 제1 중간체 렌즈, 제2 중간체 렌즈, 제3 중간체 렌즈 및 제품 렌즈는 상기에 나타낸 양태의 렌즈를 말하지만, 하기의 설명 에서는 간단히 렌즈로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UV 경화는 포토크로믹 코팅에 비해 긴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UV 조사부가 1개인 경우에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처리가 종료된 후 UV 조사부에서의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가동을 일시 중지하여 시간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도 1에 도시한 장치에서는,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를 설치함과 동시에 2개의 UV 조사부 (8a) 및 (8b)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 UV 조사부(예를 들면 (8a))가 가동 중에 제조된 상기 제3 중간체 렌즈를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에 일단 놓고, 그로부터 가동하지 않은 다른쪽 UV 조사부(예를 들면 (8b))에 제3 중간체 렌즈를 반송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을 연속 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코팅 장치 (1)에서는, 원료 렌즈 및 각 중간체 렌즈가 상기 코팅 라인 내에 배치된 주반송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도 1에 도시한 코팅 장치 (1)에서의 주반송 수단은, (i) 상기 원료 렌즈를 상기 렌즈 측정부 (3)으로부터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로 반송하는 기능과, 상기 제1 중간체 렌즈를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로부터 상기 건조부 (6)으로 반송하는 기능과, 상기 제2 중간체 렌즈를 상기 건조부 (6)으로부터 상기 포토크로믹 코팅부 (7)로 반송하는 기능과, 상기 제3 중간체 렌즈를 상기 포토크로믹 코팅부 (7)로부터 상기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로 반송하는 기능을 겸비하는 제1 주반송 수단 (62)와, (ii) 제3 중간체 렌즈를 상기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로부터 상기 UV 조사부 (8)로 반송하는 기능과, 상기 제품 렌즈를 상기 UV 조사부 (8)로부터 상기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로 반송하는 기능을 겸비하는 제2 주반송 수단 (67)의 2개의 주반송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반송 수단 (62)는, 렌즈 측정부 (3), 프라이머 코팅부 (5), 건조부 (6), 포토크로믹 코팅부 (7) 및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와 각각 인접하는 제1 주반송부 (4a)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주반송 수단 (67)은, 상기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 상기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 UV 조사부 (8a) 및 (8b)에 각각 인접하는 제2 주반송부 (4b)에 배치되어 있다.
코팅 장치 (1)은, 장치 본체의 코팅 라인의 상류측 위치에 상기 원료 렌즈 공급부 (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 공급부 (2)는 프라이머 및 포토크로믹 코팅을 행하는 원료 렌즈를 설치하는 장소이며, 장치 외부에서 준비된 원료 렌즈를 스톡하기 위한 스톡 야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원료 렌즈 공급부 (2)에는 장치 외부로부터 원료 렌즈가 반입되기 때문에, 상기 원료 렌즈 공급부 (2)는 통상적으로 장치의 전면 또는 측면 부근의 오퍼레이터가 작업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된다.
렌즈의 코팅 장치에서는 코팅 라인의 각 공정에서 원료 렌즈 또는 각종 중간체 렌즈의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 내부의 청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코팅 장치 (1)의 원료 렌즈 공급부 (2)의 전측벽부에는, 외부로부터 원료 렌즈를 반입하기 위한 개폐 도어 (2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료 렌즈 공급부 (2)에는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와, 원료 렌즈를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로부터 상기 렌즈 측정부 (3)으로 반송하는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코팅 장치 (1)의 원료 렌즈 공급부 (2)에는, 2개의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는 코팅 장치 (1)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카트리지 타입인 것으로 하여 코팅 장치 (1)로부터의 부착 및 제거가 가능해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제거 가능하게 한 경우 부착 가이드 등을 설치함으로써,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는 원료 렌즈 공급부 (2)의 소정의 정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료 렌즈 공급부 (2)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과의 위치 관계가 일정해지고,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의 작동 제어가 용이해진다.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를 고정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이 개폐 도어 (21a)를 개방하여 상기 렌즈 수용 유닛 (22)에 렌즈가 장착된다. 한편,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를 제거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코팅 장치 (1)의 외부에서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에 렌즈를 장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의 확대도이고, 도 2는 장치 본체 (1a)의 내측으로부터 본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의 정면도, 도 3은 평면도이다.
한 쌍의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는 동일한 형상이며, 한쪽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에 대하여 설명하면,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는 사각형상의 외부 프레임 (23)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 프레임 (23)은 좌우 종프레임 (23a), (23b)와 상하 횡프레임 (23c), (23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의 좌우 중심부에는 내프레임 (24)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프레임 (24)는 2매의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1매일 수도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매 의 내프레임을 구별하지 않고 총칭하여 내프레임 (24)로 한다.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는, 내프레임 (24)와 좌우 종프레임 (23a), (23b) 사이에 렌즈 장착부 (25) 내지 (30)이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의 한쪽 측에 렌즈 장착부 (25) 내지 (27)이 배치되어 있고, 다른쪽 측에 렌즈 장착부 (28) 내지 (30)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렌즈 장착부 (25) 내지 (30)은 각각 동일한 형상이며, 1개의 렌즈 장착부 (25)에 대하여 설명하면, 렌즈 장착부 (25)는 좌우로 2분할된 블록 플레이트 (25a), (25b)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한쪽 블록 플레이트 (25a)가 우측 종프레임 (23b)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쪽 블록 플레이트 (25b)가 내프레임 (24)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원료 렌즈 수용 유닛이 코팅 장치 (1)에 세팅된 상태에서는, Y축 방향으로 렌즈 장착부 (25)가 관통하는 개방부(간극부) (25c)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블록 플레이트 (25a), (25b) 각각에는 렌즈 (10)을 센터링하는 계단상이면서도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단부 (d)를 형성하고 있다. 단부 (d)의 만곡면은, 각 렌즈 (10)의 크기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단부 (d1) 내지 (d5)의 만곡면을 연장하면 원형상이 되고, 가장 하측의 단부 (d1)로부터 (d2), (d3), (d4), (d5)의 순으로 소직경의 렌즈로부터 대직경의 렌즈에 대하여 센터링을 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한 렌즈 장착부 (25) 내지 (27)은 중심축을 동축상에 배치하고, 가로 방향으로 배치한 상단의 렌즈 장착부 (25), (28), 중단의 렌즈 장착부 (26), (29) 및 하단의 렌즈 장착부 (27), (30)의 각 수평 위치 가 동일해지도록 정렬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에 복수의 렌즈를 수평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에 배치함으로써,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로부터 원료 렌즈를 취출할 때의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의 구동 메카니즘을 단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 및 도 6은,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을 도시한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은, 반송하는 렌즈의 종류(원료 렌즈 또는 제품 렌즈)가 상이할 뿐,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은, 베이스 플레이트로서의 X축 가이드 유닛 (32)가 X축 방향으로 연재(延在)되어 있다. X축 가이드 유닛 (32)는, 한쪽 단측에 펄스 모터 (33)이 배치되어 있고, 펄스 모터 (33)의 하단부에는 구동 풀리(drive pulley) (34)가 접속되어 있다. X축 가이드 유닛 (32)의 다른쪽 단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 풀리 (35)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 풀리 (34)와 종동 풀리 (35)에는 벨트 (36)이 권회되어 있다. 또한, 벨트 (36)에는 슬라이드 유닛 (37)이 연결되어 있고, 펄스 모터 (33)에 의한 벨트 (36)의 회전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유닛 (37)은 X축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유닛 (37)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37a)의 상면에는 Z축 유닛 (38)이 설치되어 있고, Z축 유닛 (38)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 (38a)와 Z축 볼 나사 (38b)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 (38a)에는, 승강 부재 (38c)가 상하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감합(嵌合)됨과 동시에 Z축 볼 나사 (38b)에 나착(螺着)되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37a)에는 펄스 모터 (39)가 배치되어 있고, 이 펄스 모터 (39)의 하단부에는 구동 풀리 (40)이 접속되어 있다. 구동 풀리 (40)은, Z축 볼 나사 (38b)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종동 풀리 (38d)와 벨트 (4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풀리 (40)의 회전에 의해 Z축 볼 나사 (38b)가 회전할 수 있다. 이 Z축 볼 나사 (38b)의 회전에 의해 승강 부재 (38c)가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 부재 (38c)에는 펄스 모터 (42)가 부착되어 있으며, 펄스 모터 (42)의 회전축 (42a)의 상부에는 연결부 (44f)를 통해 슬라이드 유닛 (43)이 부착되어 있다. 펄스 모터 (42)는 도 6 중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부재 (38c)와 함께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하여 슬라이드 유닛 (43)은, 회전대 (44)와 이 회전대 (44) 상에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대 (44)는, 펄스 모터 (42)(도 6 참조)를 구동시킴으로써, 회전축 (42a)(44f)를 축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대 (44)의 내부의 한쪽 단부에는 펄스 모터 (44a)가 배치되어 있고, 이 펄스 모터 (44a)의 하단부에는 구동 풀리 (44b)가 접속되어 있다. 회전대 (44)의 내부의 다른쪽 단부에는 종동 풀리 (44c)가 배치되어 있고, 구동 풀리 (44b)와 종동 풀리 (44c)는 벨트 (44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벨트 (44d)는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부 유닛 (45)의 부착부 (45a)와 접속되어 있다.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에는 기단측에 접동 부재 (45b)가 설치되어 있고, 접동 부재 (45b)는 회전대 (44)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부 (44e)에 접동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펄스 모터 (44a)가 회전하면, 벨트 (44d)와 함께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가 회전대 (44)의 상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진퇴 이동이 가능하다(도 7 및 도 8 중의 이점쇄선 참조).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하기의 렌즈 흡착부 (45c)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하여,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의 선단부에는 렌즈의 저면을 공기 흡인에 의해 지지하는 렌즈 흡착부 (45c)가 부착되어 있다.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의 기단측의 측면에는 이음매 (45d)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음매 (45d)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인 수단과 접속되어, 렌즈 흡착부 (45c)와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의 내부에서 연통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렌즈 흡착부 (45c)는, 렌즈 (10)을 장착한 상태로 렌즈 (10)의 저면을 공기의 흡인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10)은,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에서는 원료 렌즈를 나타내고,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에서는 제품 렌즈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렌즈 측정부 (3)에 배치된 렌즈 계측 장치 (48)을 나타낸다. 상기 렌즈 계측 장치 (48)에서는, 상기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로부터 렌즈를 수취하여 렌즈의 외경, 곡률 및 높이를 검지한다.
렌즈 계측 장치 (48)은, 베이스 플레이트로서의 Y축 가이드 유닛 (49)가 Y축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Y축 가이드 유닛 (49)는, 한쪽 단측에 펄스 모터 (50)이 배치되어 있고, 펄스 모터 (50)의 하단부에는 구동 풀리 (51)이 접속되어 있다. Y축 가이드 유닛 (49)의 다른쪽 단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 풀리 (52)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 풀리 (51)과 종동 풀리 (52)에는 벨트 (53)이 권회되어 있다. 또한, 벨트 (53)에는 슬라이드 유닛 (54)가 부착되어 있고, 벨트 (53)의 회전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유닛 (54)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유닛 (54)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54a)에는 펄스 모터 (54b)가 부착되어 있고, 펄스 모터 (54b)의 상부에는 구동 풀리 (54c)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풀리 (54c)는, 회전축 (57)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종동 풀리 (54d)와 벨트 (54e)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 (57)은 베이스 플레이트 (54a)에 지지되어 있으며, 구동 풀리 (54c)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 (57)이 회전할 수 있다. 이 회전축 (57)의 상부에는 센터링 로드 (57a)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링 로드 (57a)의 중심부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인 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렌즈 흡착용 구멍 (57b)와 연결되어 있으며, 센터링 로드 (57a)의 선단부에서 렌즈 (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센터링 로드 (57a)는, 본 발명의 지지축에 해당한다. 펄스 모터 (54b)가 회전하면, 회전축 (57)의 회전에 의해 센터링 로드 (57a)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 (54a)에는 계측용 렌즈 지지 유닛 (58)이 설치되어 있으며, 계측용 렌즈 지지 유닛 (58)은 베이스 플레이트 (54a) 상에 에어 실린더 (58a)가 부착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 (58a)의 신축 로드 (58b)에는 렌즈 지지판 (58c)가 부착되어 있고, 렌즈 지지판 (58c)의 상면에는 렌즈 적재부가 설치되어 있 다.
이 렌즈 적재부는, 렌즈 지지 유닛 (45)의 렌즈 흡착부 (45c) 및 센터링 로드 (57a)(지지축)가 렌즈를 지지하는 영역 이외의 렌즈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렌즈 적재부를 3개 이상의 핀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핀 부재의 간극으로부터 렌즈 흡착부 (45c)를 삽입할 수 있으며,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핀 부재로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해지고, 렌즈 적재부의 경량화로도 이어질 뿐만 아니라, 장치의 파손이 감소한다는 등 그 이점은 매우 많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렌즈 적재부는 모두 입설핀으로 한다.
렌즈 지지판 (58c)의 상면에는, 렌즈 적재부로서 4개의 입설핀 (58d)를 동심원주상에 직립시키고 있다. 에어 실린더 (58a)의 구동에 의해, 렌즈 지지판 (58c)는 승강이 가능하다. 입설핀 (58d)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 센터링 로드 (57a)(지지축)의 중심이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입설핀 (58d)는 선단부에서 렌즈 (10)을 장착할 수 있으며, 계측용 렌즈 지지 유닛 (58)의 상하 이동에 의해 렌즈 (10)을 센터링 로드 (57a)(지지축)의 선단부로 전달 및 수취할 수 있다.
렌즈 계측 장치 (48)의 양측부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측에 레이저 투광부 (60)이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쪽 측에는 레이저 투광부 (60)에 대응하여 레이저 수광부 (61)이 설치되어 있다. 레이저 투광부 (60)에 의해 레이저광을 레이저 수광부 (61)을 향해 조사하면, 레이저 수광부 (61)은 레이저광을 수광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링 로드 (57a)(지지축)의 선 단부에 렌즈 (10)을 고정하고, 센터링 로드 (57a)를 회전 및 직선 이동시켜 측정 영역 (a)에 렌즈 (10)을 통과시켜 렌즈의 외경, 곡률 및 높이를 검지한다.
이어서, 렌즈 계측 장치 (48)에서, 렌즈의 외경, 곡률 및 높이를 검지한 렌즈를 프라이머 코팅부 (5)로 반송하는 절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반송부 (4a)에는 제1 주반송 수단 (62)가 배치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반송 수단 (62)에는 X축 방향으로 접동 가능한 접동 유닛 (76)이 배치되어 있고, 접동 유닛 (76)에는 암(arm) (63)이 축 (76a)를 회전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암 (63)은, 기단측의 제1암 (63a)와 선단측의 제2암 (63b)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제2암 (63b)는 제1암 (63a)와의 관절부에 있는 회전축 (63c)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암 (63b)의 선단부에는 전달 핸드 (64)가 접속되어 있으며, 관절부에 있는 회전축 (63d)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달 핸드 (64)의 선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인 수단과 연통하는 흡착부 (64a)가 형성되어 있다(도 20 참조). 이 흡착부 (64a)는 제2암 (63a) 및 제2암 (63b), 나아가서는 전달 핸드 (64)의 회전 이동에 의해 360도의 회전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전달 핸드 (64)는, 렌즈 (10)의 렌즈 계측 장치 (48)의 계측용 렌즈 지지 유닛 (58)로부터 렌즈 (10)을 수취할 수 있으며, 렌즈 (10)을 프라이머 코팅부 (5), 건조부 (6) 및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순서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반송 수단 (62)의 접동 유닛 (76)은,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의 슬라이드 유닛 (37)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X축 슬라이드 기구 및 Z축 슬라이 드 기구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 코팅부 (5)에 배치된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는, 베이스 플레이트 (77)에 스핀축 (78)(지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함과 동시에 펄스 모터 (79)를 부착하고 있다. 펄스 모터 (79)의 회전축의 상부에는 구동 풀리 (79a)가 부착되어 있으며, 구동 풀리 (79a)는 스핀축 (78)에 배치되어 있는 종동 롤러 (78a)와 벨트 (8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스핀축 (78)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인 수단과 연통되어 있는 유통 구멍 (78b)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흡인에 의해 렌즈 (10)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스핀축 (78)은, 본 발명의 지지축에 해당한다.
또한,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에는 프라이머 코팅용 렌즈 지지 유닛 (81)이 설치되어 있으며, 프라이머 코팅용 렌즈 지지 유닛 (81)은 베이스 플레이트 (77)에 부착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 (81a)에 지지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 (81a)의 신축 로드 (81b)의 선단부에는 렌즈 지지판 (81c)가 부착되어 있고, 렌즈 지지판 (81c)의 상면에는 렌즈 적재부로서 4개의 입설핀 (81d)를 직립시켜 부착하고 있다. 에어 실린더 (81a)의 구동에 의해, 렌즈 지지판 (81c)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다. 입설핀 (81d)는 도 9, 10에 도시한 입설핀 (58d)와 동일한 구조이며, 선단부로 렌즈 (10)을 임시 지지할 수 있고, 프라이머 코팅용 렌즈 지지 유닛 (81)의 상하 이동에 의해 렌즈 (10)을 스핀축 (78)로 전달 및 수취할 수 있다.
스핀축 (78)의 상부에는 렌즈 (10)에 프라이머 코팅액을 도포하는 디스펜스 밸브 (82)가 설치되어 있고, 디스펜스 밸브 (8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 (82a)로부터 프라이머 코팅액이 렌즈 (10)에 도포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펜스 밸브 (82)의 상류에는 배관을 통해 프라이머 코팅액 탱크(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으며, 탱크 내부는 프라이머 코팅 토출 전에 질소 등의 가스에 의해 가압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디스펜스 밸브 (82)를 개방함으로써 프라이머 코팅액을 노즐 (82a)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코팅 종료 후에는, 탱크 내부는 대기압에 개방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축 (78)의 주위에 렌즈 지지판 (81c)의 상면에 직립시켜 부착한 입설핀 (81d)를 배치하여, 이 입설핀을 통해 렌즈 (10)을 스핀축 (78)로 전달 및 수취하도록 한 경우에는,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에는 프라이머컵 (10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컵 (100)은, 상컵 (131), 중컵 (132) 및 하컵 (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컵 (131)은 중컵 (132)의 외측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컵 (131)은 중앙의 개구 (131a)가 렌즈 (10)의 높이 위치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돔상의 형상이다. 또한, 중컵 (132)는 중앙의 개구 (132a)가 렌즈 (10)의 높이 위치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으며, 돔상의 형상이다. 흡입 덕트 (134)는 이들 상컵 (131)과 중컵 (132)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 덕트의 흡입구는 상기 개구 (131a)와 개구 (132a)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상컵 (131) 및 중컵 (132)는 각각의 개구 (131a), (132a), 즉 흡입구가 상기 위치에서 형성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컵 (131) 및 중컵 (132)는 각각이 개구 (131a), (132a)의 위치를 높이고, 그 주위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낮아지도록 하여 흡입 덕트 (13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흡입 덕트 (134)를 렌즈의 형상에 따라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효율이 양호한 흡입 덕트로 할 수 있다.
트레이상의 하컵 (133)은 지지대 (135)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하컵 (133)의 외주부는 상컵 (131)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하컵 (133)에는, 중컵 (132)의 외주부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환상벽 (136)을 형성하고, 이 환상벽 (136)의 외측에 프라이머 드레인 (137)을 형성하고, 내측에는 배기구 (138)을 형성하고 있다. 배기구 (138)은 도시하지 않은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펌프에 접속되어 있으며, 프라이머 드레인 (137)은 도시하지 않은 프라이머액의 회수 탱크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양태로 한 경우에는, 액상 및 미스트상의 프라이머 코팅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는 이들 프라이머 드레인 (137) 및 배기구 (138)에 해당한다. 또한, 도 14에서는 배출구로서 프라이머 드레인 (137) 및 배기구 (138)을 각각 나누어 기재하고 있지만, 이들은 통합하여 1개의 배출구로 할 수도 있다.
하컵 (133)의 내측에는, 코팅시에 프라이머 코팅액 또는 그의 미스트의 부착을 방지하는 부착 방지 부재로서의 통 형상 부재 (133a)를 상측으로 입설시키고, 통 형상 부재 (133a)는 렌즈 지지부 (81)의 하강시에 입설핀 (81d)를 둘러싸고 있다. 통 형상 부재 (133a)의 상단부는, 중컵 (132)의 중앙 개구 (132a)의 주연부에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프라이머 코팅부 (5)는, 측벽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합성 수지의 칸막이벽 (11a), (11b)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전벽 이 개폐 자유인 개폐 도어 (12a)로 구획되어 있고, 제1 주반송부 (4a)측의 후벽은 칸막이벽 (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도 23은, 칸막이벽 (13)을 제1 주반송부 (4a)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다. 칸막이벽 (13)에는,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에 거의 대응하는 높이에 사각형상의 렌즈 (10)의 반송용 개구 (13a)를 형성하고, 이 반송용 개구 (13a)에는 상기 반송용 개구 (13a)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 (14)가 배치되어 있다. 셔터 (14)는 실린더 (15)로 지지되어 있으며, 실린더 (15)의 로드 (15a)의 상하 이동에 의해 셔터 (14)는 승강이 가능하다. 셔터 (14)가 하강하면 반송용 개구 (13a)가 폐색되고, 셔터 (14)가 승강하면 반송용 개구 (13a)가 개방된다. 반송용 개구 (13a)가 개방되면, 제1 주반송 수단 (62)의 전달 핸드 (64)(도 1 및 도 13 참조)를 반송용 개구 (13a)로부터 프라이머 코팅부 (5)로 출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 코팅부 (5)의 벽부에 렌즈의 출납을 행하는 개폐 자유인 도어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부 내의 온도, 습도 변동을 최소한 억제할 수 있으며, 거의 균일한 조건하에 코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4에 도시한 코팅 장치 (1)의 평면도를 참조로 하여, 프라이머 코팅부 (5)의 천장부에는 필터 (19a), 예를 들면 HEPA(고효율 미립자 공기;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 (19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HEPA 필터 (19a)의 상부에는 흡기 덕트 (2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기 덕트 (20a)와 프라이머 코팅부 (5) 사이에 HEPA 필터 (19a)가 배치되어 있다. 흡기 덕트 (20a)에는 접속 덕트를 개재시켜, 프라이머 코팅부 (5)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설비 (127), 프라이머 코팅부 (5)로 공급하는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 설비 (128) 및 상기 온도 조정 설비 (127), 상기 습도 조정 설비 (128)로 조정된 공기를 흡기 덕트 (20a)로부터 프라이머 코팅부 (5)로 압송하기 위한 공기 공급용 펌프(압송 장치) (129)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흡기 덕트 (20a), 흡기 덕트 (20a)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 설비 (127) 및 습도 조정 설비 (128), 조정된 공기를 압송하는 압송 장치 (129)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부 (5)의 온도 조정 수단 및 습도 조정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프라이머 코팅부 (5)의 온도 조정 수단 및 습도 조정 수단은, 흡기 덕트 (20a), 흡기 덕트 (20a)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 설비 (127) 및 습도 조정 설비 (128), 조정된 공기를 압송하는 압송 장치 (129)의 각 기능을 구비한 1개의 설비일 수도 있다.
이어서, 이 프라이머 코팅 처리된 렌즈, 즉 미건조된 프라이머 코팅층을 갖는 제1 중간체 렌즈를 건조한다.
도 1에 도시한 제1 중간체 렌즈 (10)의 건조부 (6)은, 상술한 렌즈 계측 장치 (48)의 계측 렌즈 지지 유닛 (58)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인 것이 다수 배치되어 있으며, 렌즈 (10)이 4개의 입설핀 (6a)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건조부 (6)에는, 상기 제1 주반송 수단 (62)에 의해 프라이머 코팅 처리한 렌즈 (10)이 반송된다. 또한, 이 건조부 (6)에서는, 복수의 렌즈 (10)을 건조할 수 있다.
건조부 (6)에서 건조된 렌즈, 즉 건조한 프라이머 코팅층을 갖는 제2 중간체 렌즈는, 제1 주반송 수단 (62)에 의해 포토크로믹 코팅부 (7)로 반송된다.
도 1에 도시한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는, 도 15에 도시한 포토크로믹 코팅액을 제2 중간체 렌즈 (10)에 코팅하는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이 배치되어 있다.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은 베이스 플레이트 (84)에 스핀축 (85)(지지축)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함과 동시에, 펄스 모터 (86)을 부착하고 있다. 펄스 모터 (86)의 회전축의 상부에는 구동 풀리 (86a)가 부착되어 있고, 구동 풀리 (86a)는 스핀축 (85)에 배치되어 있는 종동 롤러 (85b)와 벨트 (8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스핀축 (85)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인 수단과 연통되어 있는 렌즈 흡착용의 구멍 (85a)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흡인에 의해 제2 중간체 렌즈 (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스핀축 (85)는, 본 발명의 지지축에 해당한다.
또한,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에는, 포토크로믹 코팅용 렌즈 지지 유닛 (88)이 설치되어 있으며, 포토크로믹 코팅용 렌즈 지지 유닛 (88)은 베이스 플레이트 (84)에 부착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 (88a)에 지지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 (88a)의 신축 로드 (88b)의 선단부에 렌즈 지지판 (88c)가 부착되어 있고, 렌즈 지지판 (88c)의 상면에는 렌즈 적재부로서 4개의 입설핀 (88d)를 직립시키고 있다. 에어 실린더 (88a)의 구동에 의해, 렌즈 지지판 (88c)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다. 입설핀 (88d)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입설핀 (58d), 도 14에 도시한 입설핀 (81d)와 동일한 구조이며, 렌즈 (10)을 임시 설치할 수 있고, 렌즈 지지판 (88c)의 상하 이동에 의해 렌즈 (10)을 스핀축 (85)(지지축)로 전달 및 수취할 수 있다.
스핀축 (85)(지지축)의 상부에는 렌즈 (10)에 포토크로믹 코팅액을 도포하는 배럴 (89)가 설치되어 있고, 배럴 (89)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 (89a)로부터 포토크로믹 코팅액이 도포된다. 또한,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에는, 스핀축 (85)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높이 계측 센서 (90a), (90b)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럴 (89)의 노즐 (89a)의 하단 위치를 계측할 수 있다. 배럴 (89)와 노즐 (89a)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액체 적하 방지 밸브(역지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가압해야만 상기 코팅액이 토출되는 기구로 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은 측벽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합성 수지의 칸막이벽 (11b), (11c)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전벽이 개폐 자유인 개폐 도어 (12b)로 구획되어 있고, 제1 주반송 수단 (62)측의 후벽은 칸막이벽 (1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칸막이벽 (16)의 구성은 도 23에 도시한 칸막이벽 (13)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칸막이벽 (16)에는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에 대향하는 높이에 사각형상의 렌즈 (10)의 반송용 개구 (13a)를 형성하고, 이 반송용 개구 (13a)에는 상기 반송용 개구 (13a)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 (14)가 배치되어 있다. 셔터 (14)는 실린더 (15)로 지지되어 있으며, 실린더 (15)의 로드 (15a)의 상하 이동에 의해 셔터 (14)는 승강이 가능하다. 셔터 (14)가 하강하면 반송용 개구 (13a)가 폐색되고, 셔터 (14)가 승강하면 반송용 개구 (13a)가 개방된다. 반송용 개구 (13a)가 개방되면, 제1 주반송 수단 (62)의 전달 핸드 (64)를 반송용 개구 (13a)로부터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출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벽부에 렌즈의 출납을 행하는 개폐 자유인 도어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부 내의 온도 변동을 최소한 억제할 수 있으며, 거의 균일한 조건하에 코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4를 참조로 하여,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천장부에는 HEPA 필터 (19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HEPA 필터 (19b)의 상부에는 흡기 덕트 (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기 덕트 (20b)와 포토크로믹 코팅부 (7) 사이에 HEPA 필터 (19b)가 배치되어 있다. 흡기 덕트 (20b)에는 접속 덕트를 개재시켜, 포토크로믹 코팅부 (7)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설비 (127) 및 상기 온도 조정 설비 (127)로 조정된 공기를 흡기 덕트 (20b)로부터 포토크로믹 코팅부 (7)로 압송하기 위한 공기 공급용 펌프(압송 장치) (129)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흡기 덕트 (20b), 흡기 덕트 (20b)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 설비 (127), 조정된 공기를 압송하는 압송 장치 (129)는,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온도 조정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온도 조정 수단은, 흡기 덕트 (20b), 흡기 덕트 (20b)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 설비 (127) 및 조정된 공기를 압송하는 압송 장치 (129)의 각 기능을 구비한 하나의 설비일 수도 있다. 또한, 이 설비는 습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4에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접속된 흡기 덕트 (20b)로 공급되는 공기가 프라이머 코팅부 (5)에 접속된 흡기 덕트 (20a)로 공급되는 공기와 동일한 조정을 행한 것이라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양태로 함으로써 온도 조정 설 비 (127)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프라이머 코팅부 (5)에서의 습도 범위이면 포토크로믹 코팅 처리에 악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도 24에 도시한 양태로 함으로써, 공기를 압송하는 압송 장치 (129)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기 덕트 (20a), (20b)를 각각 구비하고, 온도 조정 기능, 습도 조정 기능 및 공기를 압송하는 기능이 일체가 된 설비를 사용하면, 프라이머 코팅부 (5),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서 설비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포토크로믹 코팅부 (7)로 공급되는 공기는, 온도 조정된 것이면 프라이머 코팅부 (5)로 공급되는 공기와는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 장치 (1)의 장치 본체 (1a)에는 렌즈 측정부 (3)의 천장벽에 HEPA 필터 (19c)가 배치되고, 제1 주반송부 (4a)와 렌즈 건조부 (6) 사이의 천장벽에 HEPA 필터 (19d)가 배치되고, 제품 렌즈 저류부 (9)의 천장벽에 HEPA 필터 (19e)가 배치될 수도 있다.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서 포토크로믹 코팅 처리된 렌즈, 즉 미경화된 포토크로믹 코팅층을 갖는 제3 중간체 렌즈는, 제1 주반송 수단 (62)에 의해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로 반송되고, 이어서 제2 주반송부 (4b)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주반송 수단 (67)에 의해 UV 조사부 (8a) 또는 (8b),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부에 배치된 UV 장치 (70), (71)로 반송된다. 이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는, 예를 들면 4개의 입설핀으로 렌즈 (10)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에서의 4개의 입설핀은, 제1 주반송 수단 (6)으로부터 제2 주반송 수단 (67)로 제3 중간체 렌즈를 전달할 때, 상기 제3 중간체 렌즈를 임시 설치하는 렌즈 적재부에 해당한다.
제2 주반송 수단 (67)은, 암 (68)의 선단부에 전달 핸드 (69)를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제2 주반송 수단 (67)은 기본적으로 제1 주반송 수단 (62)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주반송 수단 (67)의 전달 핸드 (69)는, UV 장치 (70)(또는 (71))의 스핀축 (97a)에 대하여 렌즈 (10)을 전달 또는 수취할 수 있다. 이 스핀축 (97a)는, 본 발명의 지지축에 해당한다.
도 16은, 제2 주반송 수단 (67)로부터 UV 장치 (70)의 스핀축 (97a)(지지축)에 대하여 렌즈 (10)을 전달 또는 수취하는 장치(스테이지 승강 유닛 (120))를 도시하고 있다. UV 장치 (70)의 하부에는 UV 조사용 렌즈 지지 유닛 (110)이 설치되어 있고, UV 조사용 렌즈 지지 유닛 (110)은 베이스 플레이트 (111)에 부착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 (112)로 지지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 (112)의 신축 로드 (113)의 선단부에 렌즈 지지판 (114)가 부착되어 있고, 렌즈 지지판 (114)의 상면에는 렌즈 적재부로서 4개의 입설핀 (115)를 직립시키고 있다. 에어 실린더 (112)의 구동에 의해, 렌즈 지지판 (114)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다. 입설핀 (115)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입설핀 (58d), 도 14에 도시한 입설핀 (81d)와 동일한 구조이고, 렌즈 (10)을 임시 설치 할 수 있으며, 렌즈 지지판 (114)의 상하 이동에 의해 렌즈 (10)을 스핀축 (97a)(지지축)로 전달 및 수취할 수 있다. 스핀축 (97a)(지지축)에 렌즈 (10)을 전달한 후, 입설핀 (115)가 렌즈 (10)의 하부에 존재하지 않도록 렌즈 지지판 (114)는 선회용의 에어 실린더 (114a)에 의해 수평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스테이지 (97)이 상승하고, 렌즈 수용실 (96)을 구성했을 때 상기 수용실 (96)을 조밀하게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핀축 (97a)는, 본 발명의 지지축에 해당한다.
도 17은, UV 장치 (70)을 나타낸다. UV 장치 (70)에는 자외선 조사실 (93)이 설치되어 있으며, 자외선 조사실 (93)은 외측에 차광 커버 (93a)를 배치하고, 차광 커버 (93a)의 내부에는 단열재 (93b)를 배치하고 있다. 자외선 조사실 (93)에는, 배기 덕트 (93c)가 접속되어 있다. 자외선 조사실 (93)에는 UV 유닛 (94)가 배치되어 있고, UV 유닛 (94)의 내부에는 UV 램프 (95)가 배치되어 있다.
UV 장치 (70)의 하부에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렌즈 수용실 (96)이 배치되어 있고, 렌즈 수용실 (96)의 하부에는 스테이지 승강 유닛 (120)(도 16)이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지 승강 유닛 (12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111)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에어 실린더 (1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 (121)의 상단부에는 신축 가능한 로드 (122)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한 쌍의 로드 (122)의 상단부에 스테이지 (97)이 부착되어 있고, 스테이지 (97)은 로드 (122)의 신축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 스테이지 (97)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스핀축 (97a)가 축지(軸支)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지 (97)에는 구동 모터 (123)이 설치되어 있고, 구동 모터 (123)에는 구동 풀리 (124)가 부착되어 있고, 구동 풀리 (124)에는 벨트 (125)가 권회되어 있다. 벨트 (125)는, 한 쌍의 에어 실린더 (121)의 사이를 통과하고, 스핀축 (97a)의 하부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종동 풀리에 권회되어, 구동 모터 (123)의 구동에 의해 스핀축 (97a)를 회전할 수 있다. 스 핀축 (97a)의 중심부에는 렌즈 (10)을 흡인하는 흡인 구멍 (97a)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인 구멍 (97a)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의 흡착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렌즈 수용실 (96)의 상부에는 가스 공급구 (98)이 설치되어 있고, 렌즈 수용실 (96) 내에 불활성 가스인 N2를 도입할 수 있으며, N2는 렌즈 수용실 (96)의 하부에 설치한 가스 배출구 (99)로부터 배출된다. 렌즈 수용실 (96)의 상부에는, UV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붕규산 유리제의 창 (96c)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UV 램프 (95)와 렌즈 (10) 사이에, 적어도 1매의 붕규산 유리제의 창 (96c)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붕규산 유리제의 창 (96c)의 상하에 석영 유리제의 창 (96a), (96d)를 배치할 수도 있다. 렌즈 수용실 (96)의 주위에는, 코일상으로 권회된 냉각 파이프 (96b)가 배치되어 있으며, 냉각 파이프 (96b)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할 수 있다.
이어서, UV 장치 (70)에서 처리된 렌즈 (10)(제품 렌즈)은, 제2 주반송 수단 (67)에 의해 제품 렌즈 저류부 (9)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에 렌즈 (10)을 반송한다. 이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는,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와 마찬가지로 4개의 입설핀 (72a)로 렌즈 (10)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의 입설핀은, 제2 주반송 수단 (67)로부터 하기에 나타내는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으로 제품 렌즈를 전달할 때, 제품 렌즈를 임시 설치하는 렌즈 적재부에 해당한다. 이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에서의 4개의 입설핀은, 제2 주반송 수단 (67)로부터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으로 렌즈 (10)(제품 렌즈)을 전달할 때, 상기 제품 렌즈를 임시 설치하는 렌즈 적재부에 해당한다.
도 1에 도시한 코팅 장치 (1)에서는, 장치 본체 (1a)의 코팅 라인의 하류측 위치에 상기 제품 렌즈 저류부 (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품 렌즈 저류부 (9)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저류부 (9)를 설치함으로써, 코팅 처리된 복수의 제품 렌즈를 통합하여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작업 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제품 렌즈 저류부 (9)에는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와, 제품 렌즈를 상기 코팅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로 반송하는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이 배치되어 있다.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에는,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의 렌즈 지지 유닛 (45)와 동일한 구조의 렌즈 지지 유닛(그것과 동일한 부합 (45)를 부착함)을 구비하고 있다.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 (75)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 (22)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 (75)가 코팅 장치 (1)에 세팅된 상태에서는, 렌즈 지지 유닛 (45)가 렌즈 장착부 (75a)측을 향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렌즈 장착부 (75a)에는 렌즈 지지 유닛 (45)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방부(도 2 및 도 3의 개방부 (25c)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 (75)는, 코팅 장치 (1)에 고정하여 배치할 수도 있고, 부착 및 제거 가능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제거 가능하게 배치한 경우에는, 1회에 통합하여 복수의 코팅 처리된 렌즈를 코팅 장치 (1) 외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은 렌즈 (10)의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로부터 렌즈 (10)을 수취할 수 있고,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 (75)에 렌즈 (10)을 반송한다.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의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코팅 장치 (1)에는 각 유닛 등을 제어하거나, 렌즈 (10)을 적절하게 수취 전달하는 타이밍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장치에서, 상기 펄스 모터는 서보 모터일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 (22)의 렌즈 장착부 (25) 내지 (30)에 원료 렌즈 (10)을 세팅한다. 이 경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직경이 상이한 렌즈 (10) 및 (10a)를 장착할 수 있으며, 불규칙적으로 배치할 수 있지만, 렌즈 (10), (10a)를 렌즈 장착부 (25)에 대응하는 소정의 단차 (d1) 내지 (d5)(도 4참 조)부에 장착한다. 렌즈 (10)은, 외경의 크기에 따른 단부 (d1) 내지 (d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됨으로써 센터링된다.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 (22)가 코팅 장치 (1)에 고정되어 배치된 경우에는, 개폐 도어 (21a)를 개방하여 렌즈 장착부 (25)에 렌즈를 장착한 후, 개폐 도어 (21a)를 폐쇄한다.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 (22)를 제거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코팅 장치 (1) 외에서 통합하여 복수의 렌즈를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 (22)에 장착한 후, 상기 장치 (1)에 상기 렌즈 수용 유닛 (22), (22)를 배치하고, 별도의 부재에 의해 상기 유닛 (22), (22)를 고정한 후, 개폐 도어 (21a)를 폐쇄한다.
이어서, 코팅 장치 (1)을 기동한다.
도 5, 도 6을 참조로 하여, 코팅 장치 (1)에서는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의 X축 가이드 유닛 (32)의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유닛 (37)이 이동하고,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 앞까지 이동한다. 이 때, 슬라이드 유닛 (37)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드 유닛 (43)의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의 선단부가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측을 향하도록 회전 이동하고,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의 렌즈 흡착부 (45c)를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현재부터 지지하고자 하는 원료 렌즈 (10)의 위치보다 하측에 배치한다. 또한,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를 전진 이동시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흡착부 (45c)를 원료 렌즈 (10)의 중심부의 바로 아래에 배치한다. 또한,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를 그대로 Z축 유닛 (38)의 구동에 의해 상승시켜, 렌즈 흡착부 (45c)의 공기 흡인에 의해 렌즈 (10)(원료 렌즈)을 지지시킨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장착부 (25) 내지 (30)은 좌우로 2분할되어 개방부 (25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지지 유닛 (45)가 이들의 사이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또한 전후로도 빠져 나갈 수 있다.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가 렌즈 (1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를 후퇴시키고,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를 회전시키고, 도 5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 선단을 전진시켜, 도 9에 도시한 Y축 가이드 유닛 (49) 앞까지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를 이동시킨다. 또한,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의 렌즈 흡착부 (45c)를 계측용 렌즈 지지 유닛 (58)의 4개의 입설핀 (58d)(렌즈 적재부)의 중앙부 바로 위쪽에 배치한다.
또한, 도 19의 B 및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설핀 (58d)를 가장 높은 위치에 상승시킨 상태에서 렌즈 흡착부 (45c)를 하강시키고, 상기 입설핀 (58d) 상에 렌즈 (10)을 장착함으로써,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로부터 계측용 렌즈 지지 유닛 (58)의 입설핀 (58d)로 렌즈 (10)의 전달을 행한다. 이 후,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를 후퇴시키고, 입설핀 (58d)를 하강시켜, 계측용 렌즈 지지 유닛 (58)의 센터링 로드 (57a)(지지축)의 선단부에 렌즈 (10)을 지지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료 렌즈 공급부 (2)로부터 렌즈 측정부 (3)으로의 원료 렌즈의 반송이 완료된다. 이 후,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는, 다음의 원료 렌즈 (10)의 취출을 위해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 (22)측으로 이동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계측 장치 (48)에서는 레이저 투광부 (60)과 레이저 수광부 (61)이 선단부에 렌즈 (10)을 고정한 센터링 로드 (57a)(지지축)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센터링 로드 (57a)가 측정 영역 (a)를 통과함으로써 렌즈 외경, 곡률 및 높이를 측정한다. 레이저 투광부 (60)과 레이저 수광부 (61) 사이, 즉 측정 영역 (a)에 렌즈 (10)이 놓이면, 상기 렌즈 (10)에 의 해 빛이 차단되어, 빛이 차단된 길이(또는 빛이 차단되어 있지 않은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터링 로드 (57a)는 회전 및 직선 이동이 가능하고, 렌즈 계측 장치 (48)에서는 이 센터링 로드 (57a)의 회전 각도 및 직선 이동량의 지정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의 현재값을 취득할 수 있다.
도 12의 A 및 B를 참조로 하여 렌즈 (10)의 외경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센터링 로드 (57a)를 이동시키고, 렌즈 (10)의 단부가 측정 영역 (a)에 진입한 순간의 센터링 로드 (57a)의 이동 거리 (A)를 측정한다(도 12의 A). 이어서, 추가로 센터링 로드 (57a)를 이동시키고, 렌즈 (10)의 단부가 측정 영역 (a)의 밖으로 나온 순간의 센터링 로드 (57a)의 이동 거리 (B)를 측정한다(도 12의 B). 이동 거리 (B)로부터 이동 거리 (A)를 감산함으로써, 렌즈 (10)의 직경 및 외경을 구한다.
렌즈 (10)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센터링 로드 (57a)의 선단부에 렌즈 (10)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센터링 로드 (57a)만인 상태)에서 센터링 로드 (57a)의 중심을 측정 영역 (a)로 이동시킨다(도 11의 A). 이 때, 높이 방향으로 빛이 차단된 값을 기준값 (S)로서 측정한다. 이어서, 센터링 로드 (57a)의 선단부에 렌즈 (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센터링 로드 (57a)의 중심을 측정 영역 (a)로 이동시킨다. 이 때, 높이 방향으로 빛이 차단된 값 (T)를 측정하고, 이 값 (T)로부터 기준값 (S)를 감산하여 렌즈 (10)의 두께를 구한다. 이 렌즈 (10)의 중심 높이 (T)의 측정 횟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측정하는 횟수를 N으로 하면, 렌즈 (10)이 고정된 센터링 로드 (57a)를 (360/N)도마다 회전시켜 렌즈 (10)의 중심 높이 (T)를 측정할 수 있다.
렌즈 (10)의 곡률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선단부에 렌즈 (10)을 고정한 센터링 로드 (57a)(지지축)의 중심을 측정 영역 (a)로 이동시킨다(도 11의 B). 이어서, 상기 센터링 로드 (57a)를 임의의 거리 (X)만큼 이동시키고(X는 렌즈 반경보다 짧은 거리로 함: 도 12의 C 참조), 그 위치에서의 렌즈 (10)의 높이 (U)를 측정한다(도 11의 C 참조). 이 렌즈 (10)의 높이 (U)는, 렌즈 (10)의 중심의 높이 (T)와 마찬가지로 측정 횟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들 렌즈 (10)의 높이 (U), 렌즈 (10)의 중심 높이 (T), 렌즈 (10)의 외경 및 렌즈 굴절률로부터, 렌즈 중심부와 렌즈 최외주부의 고저차 및 렌즈의 곡률을 구한다.
렌즈 (10)의 높이를 구함으로써,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 및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의 코팅액의 각 배출 노즐(도시하지 않음)의 높이에 렌즈 (10)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렌즈의 곡률, 분위기 온도 등의 조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코팅 처리 조건을 선택하고, 코팅 처리 조건으로 설정된 값과 렌즈의 두께로부터 프라이머 코팅액의 노즐 (82a)의 액체 토출 개시 위치, 포토크로믹 코팅에서의 노즐 (89a)의 액체 토출 개시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포토크로믹 코팅액은 점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코팅액을 렌즈 (10)의 외주측으로 연전(연장)할 필요가 있지만, 코팅 처리 조건으로 설정된 값과 렌즈의 두께로부터 포토크로믹 코팅액의 연장용 필름의 이동 개시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코팅 조건으로 설정된 값과 렌즈의 외경, 렌즈의 두께 및 렌즈의 중심 높이와 최외주부의 고저차로부터, 프라이머 코팅액의 노즐 (82a)의 액체 토출 개시, 종료 위치, 포토크로믹 코팅에서의 필름의 이 동 개시, 종료 위치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렌즈 직경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코팅 장치의 제어부에 렌즈 직경의 크기를 전환 스위치 등으로 지시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시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여기서 계측한 렌즈 (10)의 외경, 곡률 및 높이가 기준이 되어, 이들 데이터가 하류측 공정의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의 코팅 조건에도 적용된다.
렌즈 (10)의 형상 계측이 종료된 후에는,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링 로드 (57a)(지지축)의 선단부에 렌즈 (10)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적재부인 입설핀 (58d)를 상승시켜 센터링 로드 (57a)(지지축)로부터 입설핀 (58d)로 렌즈 (10)을 전달한다. 또한, 제1 주반송 수단 (62)의 암 (63)을 렌즈 (10)의 직전 위치까지 이동시켜, 전달 핸드 (64)에 의해 그의 선단부에 있는 흡착부 (64a), (64a) 중 하나를 렌즈 (10)의 하부에 배치하고,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부 (64a), (64a)를 상승시켜 상기 한쪽 흡착부 (64a)에 의해 렌즈 (10)을 지지한 후, 렌즈 (10)은 암 (63)의 회전과 접동 유닛 (76)의 이동에 의해 전달 핸드 (64)를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까지 반송한다.
프라이머 코팅부 (5)는, 프라이머 코팅 작업 중에는 도 23에 도시한 셔터 (14)에 의해 반송용 개구 (13a)가 폐색되고, 렌즈 (10)의 출납시에 반송용 개구 (13a)가 개방된다. 따라서, 전달 핸드 (64)가 셔터 (14) 앞으로 이동하면, 실린더 (15)의 구동에 의해 셔터 (14)가 상승하여 반송용 개구 (13a)가 개방된다.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에서는, 제1 주반송 수단 (62)의 흡착부 (64a)로부터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의 스핀축 (78)(지지축)로 렌즈 (10)을 전달한다. 전달 절차의 대표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10)을 지지하고 있는 흡착부 (64a)를 최고점에 있는 입설핀 (81d)(렌즈 적재부), 스핀축 (78)(지지축)의 바로 위쪽에 배치한다. 또한,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부 (64a)를 하강시켜, 입설핀 (81d)에 렌즈 (10)을 놓는다.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 핸드 (64)가 후퇴한 후 입설핀 (81d)를 하강시켜, 스핀축 (78)의 선단부에 렌즈 (10)의 저면을 접촉시킨다. 또한, 도 2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설핀 (81d)를 하강시켜, 스핀축 (78)에 의해 렌즈 (10)을 지지시킨다.
또한, 전달 핸드 (64)에 한 쌍의 흡착부 (64a)를 설치하고 있는 것은, 2회째 이후 스핀축 (78)(지지축)에 있는 렌즈 (10)을 지지하지 않은 한쪽 흡착부 (64a)가 코팅이 종료된 렌즈 (10)을 수취하고, 코팅 전의 새로운 렌즈 (10)을 반송한 다른쪽 흡착부 (64a)가 스핀축 (78)에 렌즈 (10)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렌즈 (10)의 전달 작업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전달 핸드 (64)를 제1 주반송부 (4a)로 되돌려 반송용 개구 (13a)를 셔터 (14)에 의해 폐색한다.
이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에서는 펄스 모터 (79)를 회전시켜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원료 렌즈 (10)을 회전시키면서, 노즐 (82a)를 원료 렌즈 (10)의 중심부로부터 렌즈 (10)의 외주부 (10b)까지 이동시키면서 프라이머 코팅이 실시된다. 프라이머 코팅액은, 렌즈 (1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렌즈 (10)의 표면 전체에 코팅액을 균등하게 확산시킨다. 스 핀 조건(회전수, 시간 및 회전수의 상승 경사 등)은 상술한 렌즈 (10)의 외경, 곡률 및 높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렌즈 (10)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부 (10b)까지 노즐 (82a)를 이동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오퍼레이터가 렌즈 직경을 확인하여, 코팅 장치의 제어부에 렌즈 직경의 크기를 전환 스위치 등으로 전환하여 제어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시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렌즈 (10)에 프라이머 코팅액을 코팅할 때 렌즈 (10)의 회전에 따라 미스트가 발생하지만,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에는 프라이머컵 (100)을 설치하여 흡입 덕트 (134)의 내부를 도시하지 않은 흡인 펌프에 의해 흡인시키고 있다(도 14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10)의 높이 위치에 따라 흡입 덕트 (134)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 덕트 (134)(상컵 (131), 중컵 (132)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에 미스트를 포함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화살표 (b)로 도시한 바와 같이 미스트가 흐르며, 액상이 된 것은 프라이머 드레인 (137)로부터 배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미스트의 저장 탱크에 저장되고, 공기는 배기구 (138)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흡인 수단에 의해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미스트는 프라이머컵 (100) 내의 외부로 배출되고, 렌즈 (10)에 재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품질이 높은 코팅 피막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라이머 코팅 작업 중에는, 렌즈 지지부 (81)을 흡입 덕트 (134) 및 통 형상 부재 (133a)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미스트가 입설핀 (81d)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후의 렌즈 (10)의 지지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였다.
프라이머 코팅부 (5)는 완전한 밀봉 상태는 아니지만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 펌프의 공기 흡인에 의해 부 내가 부압이 되어 통상적으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침입하고, 먼지 등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기 덕트 (20a)로부터 프라이머 코팅부 (5)에 공기를 공급하고 있다. 흡기 덕트 (20a)로부터의 공기의 공급량은 도시하지 않은 흡인 펌프의 공기의 흡인량보다 설정을 크게 함으로써, 프라이머 코팅부 (5)가 부압이 되지 않고, 장치 본체 (1a)의 내부로부터 프라이머 코팅부 (5)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청정도가 유지된다. 나아가서는 프라이머 코팅부 (5)의 공기의 유통이 양호해져, 미스트가 원활히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기 덕트 (20a)로부터 프라이머 코팅부 (5)에 혼입되는 공기는, 스핀축 (78)이 있는 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한다.
프라이머 코팅부 (5)에서는, 프라이머 코팅부 (5) 내의 온도를 20 내지 23 ℃, 습도를 45 내지 55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및 습도를 이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프라이머 코팅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부 내의 온도, 습도에 대해서는, 프라이머 코팅부 (5)로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온도 조절 설비 (127), 상기 공기의 습도를 습도 조절 설비 (128)로 조정하고, 공기 공급용 펌프(압송 장치) (129)에 의해 공기를 부 내로 압송함으로써 행해진다. 조정된 공기는 흡기 덕트 (20a)로부터 HEPA 필터 (19a)를 통해 프라이머 코팅부 (5)에 공급되고, 상술한 온도 및 습도 범위 내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프라이머 코팅부 (5)에서는, 프라이머 코팅에 바람직한 조건에 따라 프라이머 코팅 작업이 행해진다. 프라이머 코팅부 (5) 내의 온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프라이머 코팅층의 막 두께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건조 후의 프라이머 코팅층의 막 두께의 제어를 ±1 ㎛로 할 수 있다. 또한, 습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프라이머 코팅층의 경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프라이머 코팅층의 불량이 원인이 되는 불량품의 발생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불량품이 10 % 정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습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불량품이 50 % 정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 코팅부 (5)는 기밀(氣密)일 필요는 없고, 설정 온도 및 설정 습도 범위로 실내를 조정할 수 있을 정도의 기밀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입된 조정 공기는 프라이머 코팅부 (5)의 간극이나 프라이머 코팅부 (5)에 배치되어 있는 배기 설비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라이머 코팅액의 노즐 (82a)의 선단부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대기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대기조는 내부에 용제를 저류하고, 노즐 (82a)의 비가동시에 노즐 (82a)의 선단부를 상기 용제에 침지함으로써 프라이머 코팅액의 건조 및 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노즐 (82a)의 가동 가능한 범위 내에 배치된다.
프라이머 코팅의 종료 후, 렌즈 (10)(제1 중간체 렌즈)은 건조부 (6)으로 제1 주반송 수단 (62)에 의해 반송된다. 이 때, 렌즈 (10)은 스핀축 (78)(지지축)로부터 전달 핸드 (64)의 흡착부 (64a)로 전달되지만, 그 순서는 도 21A 내지 D와 반대의 절차에 따라 흡착부 (64a)로 전달된다. 즉, 프라이머 코팅이 종료된 렌즈 (10)이 입설핀 (81d)(렌즈 적재부) 상에 놓이고, 이어서 흡착부 (64a)가 렌즈 (10) 의 중앙부 바로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흡착부 (64a)가 상승하여 렌즈 (10)을 흡착부 (64a)로 지지한다. 또한,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의 스핀축 (78)(지지축)의 높이는 부동이다.
건조부 (6)에서는, 렌즈 (10)(제1 중간체 렌즈)의 프라이머 코팅액을 건조시킨다. 건조부 (6)으로 렌즈를 전달하는 절차는, 제1 주반송 수단 (62)에 의해 반송되어, 흡착부 (64a)로부터 입설핀 (6a) 상에 렌즈 (10)이 놓인다. 이 경우, 흡착부 (64a)의 상하 이동에 의해 입설핀 (6a) 상에 렌즈 (10)을 놓을 수 있다. 건조부 (6)의 조건은, 프라이머 코팅액의 조성, 코팅층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건조부 (6)에서는, 복수의 렌즈 (10)을 건조시킬 수 있다.
렌즈 (10)의 프라이머 코팅액이 건조된 후에는, 제1 주반송 수단 (62)에 의해 포토크로믹 코팅부 (7)까지 반송된다.
렌즈 (10)의 프라이머 코팅층이 건조된 제2 중간체 렌즈는, 제1 주반송 수단 (62)에 의해 포토크로믹 코팅부 (7)까지 반송된다. 프라이머 코팅부 (5)의 칸막이벽 (13)과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칸막이벽 (16)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 2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포토크로믹 코팅 작업 중에는 칸막이벽 (16)에 배치된 셔터 (14)에 의해 반송용 개구 (13a)가 폐색되고, 렌즈 (10)의 출납시에 반송용 개구 (13a)가 개방된다. 따라서, 전달 핸드 (64)가 셔터 (14) 앞으로 이동하면, 실린더 (15)의 구동에 의해 셔터 (14)가 상승하고, 반송용 개구 (13a)가 개방된다.
제1 주반송 수단 (62)의 흡착부 (64a)로부터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의 스핀축 (85)(지지축)로의 렌즈 (10)(제2 중간체 렌즈)의 전달은, 도 21에 도시한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에서 설명한 흡착부 (64a)와 스핀축 (78)(지지축)의 렌즈 (10)의 수취, 전달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에서는 배럴 (89)의 노즐 (89a)를 렌즈 (10)(제2 중간체 렌즈)의 중심부에 배치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코팅액의 연장용 PET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필름 (91)을 렌즈 (10)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부 (10b)까지 직선상에 필름 (90)을 이동시켜 코팅액을 연전한다. 이 렌즈 (10)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부 (10b)까지의 필름 (90)의 이동 위치는, 렌즈 계측 장치 (48)에서 계측된 렌즈의 외경, 높이 및 곡률을 기초로 결정되어 있다. 또한, 이 때 렌즈 (10)의 측면에 포토크로믹 코팅액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판상의 주걱 (91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크로믹 코팅 작업 중에는, 배럴 (89)의 노즐 (89a)의 선(하)단을 렌즈 (10)의 중심부 표면으로부터 2.5 ㎜ 이내, 특히 1±0.2 ㎜의 범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직경이 작은 노즐로부터 일정량의 도포액을 일정 시간 내에 적하하기 위해서는, 직경이 큰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필연적으로 도포액의 토출 속도(선속)가 빨라진다. 그러나, 선속을 빠르게 하면, 형성되는 도막 중에 기포가 다발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 원인으로서는 이론적으로 구속받지 않지만,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낙하에 따라 분위기압의 영향에 의해 선단부가 오목해지고, 기포가 혼입되어 기재 표면에 도달한 후에도 도포액 중에 혼입된 기포가 잔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포토크로믹 코팅액과 같이 고점도의 도포액이면, 상술한 토출시에서의 기포의 혼입이 다발한다. 이러한 기포의 직경은 10 ㎛ 정도이고, 육안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안경 렌즈에서는, 포토크로믹 코팅층에 기포가 혼입되면 그 상품 가치가 현저히 손상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범위에서, 노즐 (89)의 노즐 (89a)와 렌즈 (10)의 중심부 표면의 갭을 1±0.2 ㎜로 할 필요가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럴 (89)는 지지 부재 (9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포토크로믹 코팅액이 없어지면 코팅액은 노즐 (89)마다 교환된다. 이 때 배럴 (89)의 노즐 (89a)의 높이 위치가 변경된다. 이 높이 위치의 조정은, 종래에는 오퍼레이터가 배럴 (89)의 교환 후 간극 게이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지만, 조정이 오퍼레이터의 부담이 되기 때문에 갭의 정밀도도 한층 더 향상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럴 (89)를 교환한 후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높이 계측 센서 (90a), (90b)를 배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배럴 (89)의 이동 수단에 의해 배럴 (89)를 상하 이동시켜, 노즐 (89)의 선단 위치의 높이를 계측한다. 렌즈 (10)의 중심부의 높이 위치는 렌즈 계측 장치 (48)의 계측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배럴 (89)의 노즐 (89a)의 선단부의 높이가 렌즈 (10)의 중심부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의 스핀축 (85)의 높이는 부동이다.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서는, 미리 부 내의 온도를 20 내지 23 ℃로 조정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를 이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코팅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부 내의 온도에 대해서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로 공급하는 공기를 온도 조절 설비 (127)로 조정하여, 공기 공급용 펌프(압송 장치) (129)에 의해 공기를 부 내로 압송함으로써 행해진다. 조정된 공기는, 흡기 덕트 (20b)로부터 HEPA 필터 (19b)를 통해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공급되어, 상술한 온도 범위 내로 설정된다. 포토크로믹 코팅부 (7) 내의 온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코팅액의 점도의 조정이 용이해지고, 포토크로믹 코팅층의 불량이 원인이 되는 불량품의 발생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불량품이 50 % 정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서는,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불량품의 발생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도 24에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접속된 흡기 덕트 (20b)로 공급되는 공기가 프라이머 코팅부 (5)에 접속된 흡기 덕트 (20a)로 공급되는 공기와 동일한 조정을 행한 것이라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양태로 함으로써 온도 조정 설비 (127)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 코팅부 (5)에서의 상기 습도의 범위이면 포토크로믹 코팅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도 24에 도시한 양태로 함으로써 공기를 압송하는 압송 장치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기 덕트 (20b)로부터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공기를 공급하고 있다.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은 기밀일 필요는 없고, 설정 온도 범위로 실내를 조정할 수 있을 정도의 기밀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입된 조정 공 기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간극이나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배치되어 있는 배기 설비로부터 배출된다. 그 때문에 장치 본체 (1a)의 내부로부터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청정도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서는, 포토크로믹 코팅에 바람직한 조건에 의해 작업이 행해진다.
렌즈 (10)에 포토크로믹 코팅액의 도포가 종료된 후에는 셔터 (14)가 상승하고, 반송용 개구 (13a)가 개방되어, 프라이머 코팅이 종료된 렌즈 (10)의 전달 방법과 마찬가지로 도 21의 A 내지 D와 반대의 절차로 전달 핸드 (64)의 흡착부 (64a)에 렌즈 (10)(제3 중간체 렌즈)이 전달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반송 수단 (62)에 의해 일단 렌즈 (10)을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에 장착한다. 이 임시 설치부 (74)에는 입설핀 (74a)가 설치되어 있다. 입설핀 (74a)는 도 14에 도시한 입설핀 (58d)의 형상과 동일하다.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를 설치한 이유는, 제1 주반송 수단 (62)의 흡착부 (64a)로부터 제2 주반송 수단 (67)의 흡착부 (69a)에서의 렌즈 (10)의 전달이 모두 렌즈 (10)의 중심부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 (10)의 전달을 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를 배치하여,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로 렌즈 (10)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다(후술하는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도 동일함). 이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는, 승강 기구의 유무는 상관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를 설치함과 동시에 UV 장치를 2대 사용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을 연속 가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에서의 4개의 입설 핀은, 제1 주반송 수단 (62)로부터 제2 주반송 수단 (67)로 제3 중간체 렌즈를 전달할 때, 상기 제3 중간체 렌즈를 임시 설치하는 렌즈 적재부에 해당한다.
이어서, 이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에서는, 제2 주반송 수단 (67)이 렌즈 (10)(제3 중간체 렌즈)을 수취한다. 그 후, UV 장치 (70), (71) 중 어느 하나에 렌즈 (10)을 반송하고, 포토크로믹 코팅 도막을 경화시킨다. 임시 설치부 (74)로부터 제2 주반송 수단 (67)이 렌즈 (10)을 수취하기 위해서는, 렌즈 (10)의 중심이며 저면측의 하부에 흡착부 (69a)를 배치하고, 임시 설치부 (74)의 입설핀 (74a)를 상하 이동시키거나, 흡착부 (69a)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UV 장치 (70), (71)에서는 UV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시켜 렌즈 (10) 위의 코팅 도막을 경화시킨다. 이들 UV 장치 (70), (71)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한쪽 UV 장치 (70)에 대하여 설명한다.
UV 유닛부 (8a)에서는, 제2 주반송 수단 (67)에 의해 UV 장치 (70)으로 렌즈 (10)이 반송된다. 스테이지 승강 유닛 (120)의 에어 실린더 (121)의 작동에 의해 스테이지 (97)이 하강하고, 전달 핸드 (69)에 의해 스핀축 (97a)로 렌즈 (10)이 반송된다. 스핀축 (97a)에 의해 렌즈 (10)이 지지된 후에는 스테이지 (97)이 상승하고, 렌즈 (10)이 렌즈 수용실 (96)에 수용된다.
스핀축 (97a)(지지축)로 렌즈 (10)을 전달하는 절차는, 기본적으로 흡착부 (64a)로부터 프라이머 코팅 장치 (65)의 스핀축 (78)(지지축), 포토크로믹 코팅 장치 (66)의 스핀축 (85)(지지축)로 렌즈 (10)을 전달하는 절차와 동일하다. 단,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10)은 질소 치환된 렌즈 수용실 (96) 내에서 UV광에 의해 경화 처리를 행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렌즈 지지판 (114)의 입설핀 (115)를 렌즈 (10)의 하부로부터 이동시키고, 렌즈 수용실 (96) 외로 이동시키는 양태(렌즈 수용실 (96) 내에 존재시키지 않는 양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입설핀 (115)를 상면에 배치한 렌즈 지지판 (114)를 상하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선회용의 에어 실린더 (114a)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가동 가능한 기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핀축 (97a)(지지축)에 렌즈 (10)을 지지시킨 후, 렌즈 지지판 (114)를 수평 방향으로 가동시켜, 스테이지 (97)의 상부로부터 렌즈 지지판 (114)와 함께 입설핀 (115)를 이동시킨다. 그 후, 스테이지 (97)을 상승시키고, 렌즈 (10)을 렌즈 수용실 (96)에 수용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렌즈 수용실 (96)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렌즈 수용실 (96) 내를 질소 치환한다. 질소 분위기로 하는 것은, 산소가 있으면 코팅액의 중합 반응을 저해하여 코팅액이 경화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렌즈 수용실 (96) 내의 질소 치환을 개시한 후, UV광에 의한 코팅 도막의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는 렌즈 수용실 (96) 내의 산소 농도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항상 렌즈 수용실 (96) 내에는 N2가 공급된다.
이 UV 조사 작업 중에는, UV 램프 (95)의 열에 의해 자외선 조사실 (93) 및 UV 장치 (70)이 가열된다. 그러나, 자외선 조사실 (93)에는 배기 덕트 (93c)가 접속되어 있다. 배기 덕트 (93c)는 도시하지 않은 강제 배기 수단과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조사실 (93) 내의 열기가 배기 덕트 (93c)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 된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실 (93)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코팅 장치 (1)의 실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특히 열에 영향을 받기 쉬운 프라이머 코팅부 (5) 및 포토크로 코팅부 (7)에서의 온도 상승의 영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코팅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UV 장치 (70)에서는, UV 램프 (95)의 높이 위치에 따라 렌즈 (10)을 회전시키면서 UV 램프 (95)를 조사시켜 코팅 도막을 경화시킨다. 렌즈 (10)을 회전시키는 것은 렌즈 (10)의 주연부의 액체 저장 영역을 감소시키고, UV광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하여 UV 장치 (70), (71)에서는, UV 램프 (95)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시켜 렌즈 (10) 위의 코팅 도막을 경화시킨다.
이 UV 조사 작업 중에는, UV 램프 (95)의 열에 의해 자외선 조사실 (93) 및 UV 장치 (70)이 가열된다. 그러나, 자외선 조사실 (93)에는 배기 덕트 (93c)가 접속되어 있다. 배기 덕트 (93c)는 도시하지 않은 강제 배기 수단과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조사실 (93) 내의 열기가 배기 덕트 (93c)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실 (93)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코팅 장치 (1)의 실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특히 열에 영향을 받기 쉬운 프라이머 코팅부 (5) 및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서의 온도 상승의 영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코팅 렌즈를 얻을 수 있다.
코팅 도막을 경화시킨 후, 렌즈 (10)(제품 렌즈)을 제2 주반송 수단 (67)의 흡착부 (69a)로 전달하는 방법은, 스테이지 (97)을 하강시키고, 렌즈 지지판 (114) 를 수평 방향으로 가동하고, 입설핀 (115)(렌즈 적재부)를 렌즈 (10)의 하부에 배치하는 것 이외에는, 프라이머 코팅 처리가 종료된 렌즈 (10) 및 포토크로믹 코팅 처리가 종료된 렌즈 (10)의 전달 방법과 마찬가지로 도 21의 A 내지 D의 반대의 절차에 따라 행한다. 또한,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의 입설핀 (72a) 상에 렌즈 (10)을 전달하는 방법은, 제3 중간체 렌즈 임시 설치부 (74)의 입설핀 (74a) 상에 렌즈 (10)을 전달하는 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의 입설핀 (72a) 위의 렌즈 (10)(제품 렌즈)을 제품 렌즈 저류부 (9)의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이 수취한다. 이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에서는, 도 19의 C, B, A의 순서에 따라 렌즈 (10)을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의 렌즈 흡착부 (45c)에 지지시킨다. 즉,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를 입설핀 (72a) 사이에 삽입하고, 렌즈 흡착부 (45c)를 렌즈 (10)의 중심 바로 아래에 배치하고, 렌즈 흡착부 (45c)를 상승시켜 렌즈 (10)을 지지한다. 부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 (45)는, 렌즈 (10)을 지지한 후에는 상술한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과는 반대의 절차로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 (75)에 렌즈 (10)을 장착한다. 또한, 이 제품 렌즈 임시 설치부 (72)의 입설핀은, 제2 주반송 수단 (67)로부터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으로 렌즈 (10)(제품 렌즈)을 전달할 때, 상기 제품 렌즈를 임시 설치하는 렌즈 적재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렌즈 (1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렌즈의 흡착부 (45c), (64a), (69a)가 렌즈 (10)의 중심부를 흡인 지지하고, 종래와 같이 렌즈의 외주부를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에 모멘트가 가해지지 않고, 렌즈의 왜곡을 방지함과 동시에 패드(도 26의 부합 (104) 참조)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당연한 일이지만, 본 발명의 코팅 장치에서는 패드가 저면에 부착된 렌즈를 취급할 수도 있다.
또한, 렌즈 (10)의 전달 장소에 형성한 입설핀 (58d), (81d), (6a), (88d), (74a), (72a)는 승강 이동하거나 또는 정지된 상태이며, 수평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 (10)의 중심이 어긋날 염려가 없다. 단, UV 장치 (70), (71)에 사용하는 입설핀 (115)만은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장치를 조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입설핀 (58d), (81d), (6a), (88d), (74a), (72a), (115)는, 렌즈 (1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핀수는 임의적이지만, 안정적으로 렌즈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라이머 코팅부 (5)를 구획함으로써 UV 조사부 (8a), (8b)의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기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절 설비 (127), 습도의 조정을 행하는 습도 조절 설비 (128)을 설치함으로써, 바람직한 환경하에 프라이머 코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을 구획함으로써, UV 조사부 (8a), (8b)의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기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절 설비 (127)을 설치함으로써 바람직한 환경하에 포토크로믹 코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라이머 코팅부 (5)를 구획함으로써, 흡인 펌프에 의해 부압이 되는 폐해를 흡기 덕트 (20a)로부터 공기를 프라이머 코팅부 (5)로 공급하여, 외부로부터 먼지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포토크 로믹 코팅부 (7)도 흡기 덕트 (20b)에 의해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각 코팅부 (5), (7)의 실내 압력을 높임으로써, 코팅 장치 (1)을 설치하고 있는 장소의 청정도를 보다 높이지 않아도 고품질의 코팅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설비 (127), 습도 조절 설비 (128) 및 공기 공급용 펌프 (129)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과 프라이머 코팅부 (5)측과 공용하여 흡기 덕트 (20a), (20b)로부터 흡입되는 온도, 습도의 조건을 일치시키고 있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장치 구조를 간소화하기 위해, 습도에 그다지 영향 받지 않는 포토크로믹 코팅 작업의 환경을 프라이머 코팅 작업에서 바람직한 습도의 환경하에 함게 작업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단, 프라이머 코팅부 (5)의 흡기 덕트 (20a)와 포토크로믹 코팅부 (20b)의 흡기 덕트 (20b)를 각각 설치하고, 온도 및 습도를 각각의 코팅 작업에 적용시켜 작업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물론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핀축 (78), (85)(지지축)의 높이 위치를 고정하여 렌즈 (10)의 전달을 행하였지만, 스핀축 (78), (85)(지지축)를 상하 이동시켜 렌즈 (10)의 전달을 할 수 있다.

Claims (16)

  1. 원료 렌즈의 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렌즈 측정부 (3), 원료 렌즈에 프라이머액을 도포하여 미건조된 프라이머 코팅층을 갖는 제1 중간체 렌즈를 제작하기 위한 프라이머 코팅부 (5), 상기 제1 중간체 렌즈를 건조부 (6)에서 건조시킨 제2 중간체 렌즈에 포토크로믹 코팅액을 도포하여 미경화된 포토크로믹 코팅층을 갖는 제3 중간체 렌즈를 제작하는 포토크로믹 코팅부 (7), 제3 중간체 렌즈에 UV를 조사하여 미경화된 포토크로믹 코팅층을 경화시켜 제품 렌즈를 제작하는 UV 조사부 (8)을 구비한 코팅 라인과, 상기 코팅 라인 내에 각 부로 렌즈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 측정부 (3), 프라이머 코팅부 (5), 포토크로믹 코팅부 (7) 및 UV 조사부 (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에서, 렌즈를 지지하는 수단이 렌즈의 중앙 저면부를 공기의 흡인 수단에 의해 지지하는 지지축이고,
    상기 반송 수단에는 렌즈의 중앙 저면부를 공기의 흡인 수단에 의해 지지하는 흡착부를 설치한 상하 이동 및 전후 이동 가능한 반송 수단용 렌즈 지지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의 주위에는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흡착부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영역 이외의 렌즈 저면을 지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과 상기 흡착부에서의 렌즈의 수취시에, 상기 렌즈 지지 유닛이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흡착부가 렌즈 적재부의 중앙부 바로 위쪽에 배치하도록 전진시키고, 그 다음으로 상기 렌즈 적재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착부를 하강시켜서, 상기 렌즈 적재부 상에 렌즈를 장착시키고, 이어서 렌즈 지지 유닛을 하강시킨 후에 렌즈 지지 유닛을 후퇴시키고, 이어서 렌즈 적재부를 상기 지지축의 선단부로부터도 하강시켜서 상기 선단부에 렌즈를 지지시킴으로써 렌즈를 전달하고,
    상기 지지축과 상기 흡착부에서의 렌즈의 전달시에 상기 렌즈 적재부를 상기 지지축의 선단부로부터도 상승시켜서, 렌즈를 렌즈 적재부에 전달하고, 그 다음으로 렌즈 지지 유닛의 흡착부가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이동한 후, 렌즈 지지 유닛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렌즈를 렌즈 지지 유닛의 흡착부에 지지시킴으로써 렌즈를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적재부가 상기 지지축의 주위에 입설한 3개 이상의 핀 부재이며, 상기 핀 부재의 선단부로 렌즈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높이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렌즈 적재부 및 상기 흡착부를 승강시켜 상기 렌즈의 수취 또는 전달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이 2개 이상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반송 수단끼리의 렌즈의 수취 또는 전달시에 렌즈를 임시 설치하는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반송 수단의 흡착부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영역 이외의 렌즈 저면을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에는 상기 흡착부가 2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흡착부 중 1개가 상기 렌즈 적재부를 통해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어 있는 렌즈를 수취하고, 다른쪽 흡착부가 상기 흡착부에 지지되어 있는 렌즈를 상기 지지축으로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측정부 (3)에는 렌즈 중심부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계측 장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포토크로믹 코팅부에는 포토크로믹 코팅액을 공급하는 용기의 노즐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의 선단부와 렌즈의 중심부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조사부 (8)에는, 제3 중간체 렌즈의 렌즈 중앙 저면부를 공기의 흡인 수단에 의해 지지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에 지지된 제3 중간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실로서 질소 치환이 가능한 렌즈 수용실 (96)을 설치하고,
    상기 UV 조사부 (8)로 렌즈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에는, 렌즈의 중앙 저면부를 공기의 흡인 수단에 의해 지지하는 흡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의 주위에는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흡착부가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영역 이외의 렌즈 저면을 지지하는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과 상기 흡착부에서의 렌즈의 수취 또는 전달시에 상기 렌즈 적재부에 렌즈를 임시 설치하고, 상기 렌즈 적재부,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흡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를 상기 지지축 또는 상기 흡착부에 지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를 상기 지지축에 지지시킨 후, 상기 렌즈 적재부를 상기 렌즈의 하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렌즈 적재부를 상기 렌즈 수용실과 이격 가능하게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에는 상기 지지축 및 상기 렌즈 적재부를 설치하고, 코팅시에 비산된 액상 및 미스트상의 프라이머 코팅액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 덕트 (134)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적재부에 이들 프라이머 코팅액의 부착을 방지하는 부착 방지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흡입 덕트 (134)는, 렌즈의 주연부 근방의 렌즈보다 높은 위치에 중앙 개구 (131a)를 갖는 돔상의 상컵 (131)과, 렌즈의 주연부 근방의 렌즈보다 낮은 위치에 중앙 개구 (132a)를 갖고 상기 상컵과 간격을 두고 배치한 돔상의 중컵 (13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흡입 덕트 (134)는 액상 및 미스트상의 프라이머 코팅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 덕트 (134)의 흡입구는, 상기 상컵 (131)의 중앙 개구 (131a)와 상기 중컵 (132)의 중앙 개구 (132a)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부착 방지 부재는, 상기 중컵 (132)의 상기 중앙 개구 (132a)의 주연부 근방에 상단부가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렌즈 적재부의 상단측을 둘러싸는 통 형상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료 렌즈를 수평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에 배열한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와, 상기 원료 렌즈 수용 유닛에 수용된 상기 원료 렌즈의 저면을 공기 흡인에 의해 지지하는 렌즈 흡착부 (45c)를 갖고, 상기 렌즈 흡착부 (45c)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를 구 비하고, 원료 렌즈를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로부터 상기 렌즈 측정부 (3)에 반송하는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을 구비하는 원료 렌즈 공급부 (2)를 상기 코팅 라인의 상류측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품 렌즈를 수평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에 배열할 수 있는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와, 제품 렌즈의 저면을 공기 흡인에 의해 지지하는 렌즈 흡착부 (45c)를 갖고, 상기 렌즈 흡착부 (45c)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제품 렌즈를 상기 코팅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에 반송하는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을 구비하는 제품 렌즈 저류부 (9)를 상기 코팅 라인의 하류측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렌즈 수용 유닛 (22)에는, 동심원상이면서도 상측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계단상의 복수의 원료 렌즈 장착부 (25)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원료 렌즈 장착부의 중앙부와 상기 렌즈 장착부의 상기 제1 렌즈 부반송 수단 (31)측의 부위에 상기 렌즈 흡착부 (45c)가 통과 가능한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계단상의 단부에 렌즈를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렌즈 수용 유닛 (75)에는, 동심원상이면서도 상 측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계단상의 복수의 제품 렌즈 장착부 (75a)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품 렌즈 장착부의 중앙부와 상기 렌즈 장착부의 상기 제2 렌즈 부반송 수단 (73)측의 부위에 상기 렌즈 흡착부 (45c)가 통과 가능한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계단상의 단부에 렌즈를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을 구획하여, 상기 포토크로믹 코팅부 (7)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 수단을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를 구획하여,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 수단 및 습도 조정 수단을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조사부 (8)을 구획하여, 상기 UV 조사부 (8) 내의 공기를 상기 장치 본체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덕트 (93c)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부 (5) 및 포토크로믹 코팅부 (7)에 흡기 덕트 (20a, 20b)를 설치하고, 필터 (19a, 19b)를 개재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렌즈의 코팅 장치.
KR1020097021856A 2007-05-23 2008-05-21 렌즈의 코팅 장치 KR101461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36789 2007-05-23
JP2007136788 2007-05-23
JPJP-P-2007-136788 2007-05-23
JP2007136789 2007-05-23
JP2007143040 2007-05-30
JPJP-P-2007-143040 2007-05-30
PCT/JP2008/059380 WO2008146687A1 (ja) 2007-05-23 2008-05-21 レンズのコーティ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718A KR20100015718A (ko) 2010-02-12
KR101461695B1 true KR101461695B1 (ko) 2014-11-13

Family

ID=4007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856A KR101461695B1 (ko) 2007-05-23 2008-05-21 렌즈의 코팅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87378B2 (ko)
EP (1) EP2149400B1 (ko)
JP (1) JP5279704B2 (ko)
KR (1) KR101461695B1 (ko)
CN (1) CN101663102B (ko)
AU (1) AU2008255907B2 (ko)
BR (1) BRPI0809453B8 (ko)
MX (1) MX2009012143A (ko)
WO (1) WO2008146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3613A1 (ja) * 2007-02-02 2008-08-07 Tokuyama Corporation コート層を有するレンズの製造方法
JP6086471B2 (ja) * 2012-10-26 2017-03-01 Hoya株式会社 眼鏡用調光レンズ製造装置
CN109046818B (zh) * 2018-10-08 2023-10-20 江阴市新万沅机件有限公司 一种基于冲压件的防锈抗腐蚀静电粉末喷涂装置
CN112570169B (zh) * 2020-12-01 2021-07-13 东莞市爱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与底壳贴合组装流水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6319A (ja) * 2003-10-31 2005-05-26 Seiko Epson Corp 塗布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07052815A1 (ja) * 2005-11-04 2007-05-10 Tokuyama Corporation コーティ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18569E (en) * 1932-08-16 Assigitok to batrsch
US5143552A (en) 1988-03-09 1992-09-01 Tokyo Electron Limited Coating equipment
KR0129664B1 (ko) 1988-03-09 1998-04-06 고다까 토시오 도포 설비
FR2650773B1 (fr) * 1989-08-09 1991-11-22 Essilor Int Dispositif de glantage
JPH0555427A (ja) 1991-08-23 1993-03-05 Yamada Seisakusho Co Ltd Ic製品の排出装置
JPH06293434A (ja) 1993-04-08 1994-10-21 Seiko Epson Corp Ic搬送方式
WO1998006842A1 (en) 1996-08-16 1998-02-19 Schering Corporation Mammalian cell surface antigens; related reagents
JPH1059453A (ja) * 1996-08-26 1998-03-03 Nikon Corp 光学部品の支持部材及び貯蔵ケース
US6296707B1 (en) 1999-03-17 2001-10-02 Gerber Coburn Optical, Inc. Apparatus for coating a surface of one or more lenses
US7520936B2 (en) * 2003-02-12 2009-04-21 Tokyo Electron Limited Hardening processing apparatus, hardening processing method, and coating film forming apparatus
JP4342974B2 (ja) * 2003-02-12 2009-10-1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硬化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塗布膜形成装置
JP4346359B2 (ja) 2003-06-26 2009-10-21 株式会社トクヤマ スピンコート装置
JP4373247B2 (ja) 2004-03-04 2009-11-25 Hoya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溶液硬化装置用レンズラック
JP2006093203A (ja) 2004-09-21 2006-04-06 Nitto Denko Corp 円形平面基板の吸着支持装置
JP4774274B2 (ja) 2005-11-02 2011-09-14 株式会社トクヤマ コーティング装置
JP5010825B2 (ja) 2005-11-04 2012-08-29 株式会社トクヤマ コーティング装置
US8153194B2 (en) 2006-03-01 2012-04-10 Tokuyama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6319A (ja) * 2003-10-31 2005-05-26 Seiko Epson Corp 塗布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07052815A1 (ja) * 2005-11-04 2007-05-10 Tokuyama Corporation コーティ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6687A1 (ja) 2008-12-04
BRPI0809453B8 (pt) 2020-12-01
JPWO2008146687A1 (ja) 2010-08-19
EP2149400A1 (en) 2010-02-03
US8087378B2 (en) 2012-01-03
AU2008255907A1 (en) 2008-12-04
EP2149400A4 (en) 2014-04-02
CN101663102A (zh) 2010-03-03
KR20100015718A (ko) 2010-02-12
BRPI0809453B1 (pt) 2020-07-28
BRPI0809453A2 (pt) 2014-09-09
JP5279704B2 (ja) 2013-09-04
EP2149400B1 (en) 2018-03-21
CN101663102B (zh) 2012-11-14
US20100089317A1 (en) 2010-04-15
MX2009012143A (es) 2010-03-01
AU2008255907B2 (en)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58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optics
EP1947484B1 (en) Coater
EP3055123B1 (en) Spin coater for applying multiple coatings to an optical substrate
EP175982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lenses
KR101461695B1 (ko) 렌즈의 코팅 장치
CN100573198C (zh) 涂敷装置
EP160953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d body
KR20200075819A (ko) 광학 기판을 코팅하기 위한 코팅 시스템, 그 방법 및 코팅된 광학 기판
WO2006070488A1 (ja) 光学レンズのコーティング装置
AU2008211023A1 (en) Method of Producing Coated Lenses
US20090229465A1 (en) Removal Method and Removal Apparatus for Entrained Air in Coating Fluid
EP2255890A1 (en) Centering device for circular member and coater equipped with the same
JP6086471B2 (ja) 眼鏡用調光レンズ製造装置
WO2023179864A1 (en) Optical article co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