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172B1 -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172B1
KR101461172B1 KR20130071757A KR20130071757A KR101461172B1 KR 101461172 B1 KR101461172 B1 KR 101461172B1 KR 20130071757 A KR20130071757 A KR 20130071757A KR 20130071757 A KR20130071757 A KR 20130071757A KR 101461172 B1 KR101461172 B1 KR 10146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step
intermediate layer
layer forming
heat
polyu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일건화
주식회사 에스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일건화, 주식회사 에스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일건화
Priority to KR2013007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기능을 하는 중도층 표면에,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열을 외부로 분산시키고 일정 온도 미만일 경우 열을 통과시키는 열교환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방수 및 단열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은, 시공면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하도층 형성단계; 상기 하도층의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도포하는 제1중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1중도층에 보강제를 부착하는 보강층 형성단계; 상기 보강층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도포하는 제2중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2중도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계 방수제를 도포하는 제3중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3중도층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1상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1상도층의 표면에 열교환도료를 도포하는 제2상도층 형성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waterproof using polyurea and heat exchange paint}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 옥상 등의 콘크리트 외벽에 방수 및 단열을 위해 도막을 형성하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보호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방수재료에는 그 시공방식에 따라 쉬트식 방수재료, 도막식 방수재료 및 침투식 방수재료가 있다.
이 중 침투식 방수재료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과거에 교량 상판 등의 방수시공에 사용하던 방법으로, 주로 실리콘을 강력한 용제로 용해하여 액상의 침투방수제로 사용한 공법이다.
이러한 침투식 방수재료를 사용한 시공방법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낮고, 300 kgf/㎠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에는 침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쉬트식 방수시공은 균일하고 우수한 방수효과를 발휘하기는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시공과정에서 쉬트 간의 연결작업이 어려워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고, 연결부위 누수로 인하여 방수기능을 상실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도막식 방수시공은 연결부위가 없는 연속시공이 가능하고, 효과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건축 및 토목용으로 도막식 방수시공에 사용되는 방수제는 고무아스팔트, 아크릴고무 또는 아크릴수지 등이 주성분인 에멀젼형과, 클로로프렌이나 클로로설폰화폴리에틸렌이 함유된 용액형 우레탄이나 에폭시수지가 주성분인 반응형이 있으며, 이들 중 고무아스팔트계와 우레탄계 방수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무아스팔트계 방수제는 아스팔트에 합성고무와 각종 수지를 혼합하여 고분자의 열가소성 성질을 이용하여 급격히 경화시키는 열공법과, 합성라텍스에 아스팔트를 유화시킨 후 수분의 증발에 의해 자연 경화시키는 냉공법에 의해 제조되며, 보통 아스팔트에는 스티렌 계통의 중합체, 어탁틱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등이 혼합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우레탄계 도막방수제는 용제형 우레탄계가 흔히 사용되며, 최근에는 환경공해나 독성에 대한 작업안전성을 고려하여 폴리우레탄 에멀젼, 폴리우레탄 콜로이드 분산체, 폴리우레탄 수용액 등의 성상으로 수용성 우레탄계 방수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우레탄계 도막방수제는 건물의 옥상 등의 콘크리트 외벽에 시공되는데, 건물 옥상은 태양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며, 이로 인해 방대한 태양열이 도막층을 통과하여 건물 내부가 더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종래에는 벽면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와 단열을 중심으로 열을 차단하는 방식의 일반형 차열도료를 벽면에 도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 반사형 차열도료를 건출물의 외벽이나 바닥면에 도장을 한 직후에는 일정한 차열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 일반 반사형 차열도료에 의해 구조물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페이트층에 오염된 표면이 형성되어 반사효과가 저감된다.
또한, 종래의 일반 반사형 차열도료의 반사방식은 광택이 있거나, 백색 또는 백색에 가까운 색만을 이용하여야만 차열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색상 선택의 폭이 좁으며, 복사열의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일반 반사형 차열도료를 건물의 지붕, 외벽 등에 도장한 후 각 부위의 온도를 일반도료와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겨울철에는 일반 반사형 차열도료의 온도가 일반도료보다 평균 2-3℃ 저하된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이는 겨울철에 난방비 절감을 위해 일반 반사형 차열도료를 시공한다면 오히려 난방비가 증가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13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수 기능을 하는 중도층 표면에,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열을 외부로 분산시키고 일정 온도 미만일 경우 열을 통과시키는 열교환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방수 및 단열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은, 시공면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하도층 형성단계; 상기 하도층의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도포하는 제1중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1중도층에 보강제를 부착하는 보강층 형성단계; 상기 보강층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도포하는 제2중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2중도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계 방수제를 도포하는 제3중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3중도층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1상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1상도층의 표면에 열교환도료를 도포하는 제2상도층 형성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도료는, 아크릴에멀젼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촉매, 수용성 송진변성수지, 수용성안료 및 속이 빈 구형상의 고분자재료와 상기 고분자자료를 감싸는 구형상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열교환물을 포함한다.
상기 제1상도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프라이머는 ㎡당 소요량이 0.2~0.3kg으로 도포되며, 상기 제2상도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열교환도료는 ㎡당 소요량이 0.2~03kg으로 도포된다.
상기 제1중도층 형성단계에서는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0.6kg로 도포하고, 두께 0.5mm로 형성시키며, 상기 제2중도층 형성단계에서는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1.2kg으로 도포하고, 두께 1.0mm로 형성시킨다.
상기 보강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보강제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잠재성경화제와 잠재성경화제 분해촉매가 첨가된 주제; 물로 이루어진 경화제; 를 포함하며, 상기 잠재성경화제는 옥사졸리딘계 잠재성경화제, 케티민계 잠재성경화제, 알디민계 잠재성경화제, 에나민계 잠재성경화제 중 적어도 어느 1종이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5~5.0중량% 첨가되고, 상기 잠재성경화제 분해촉매는 유기산 또는 시릴에스터 중에 적어도 1종이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1~2.0중량% 첨가된다.
상기 제3중도층 형성단계는, 상기 폴리우레아계 방수제를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으로 사용하여 분사시키며, 도장면과의 거리는 50~60cm로 유지하고, 토출 압력이 110~125kgf/cm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3중도층 형성단계는, 상기 폴리우레아계 방수제가 두께 0.5mm로 도포되며, ㎡당 소요량이 1.5~1.65kg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폴리우레탄계 방수제 및 폴리우레아계 방수제가 도포된 방수 도막층에, 열교환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방수 및 단열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1중도층에서 제3중도층에 이르는 구간이 열에 의해 손상되어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제적인 도막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1중도층 형성단계에서,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0.6kg로 도포하고, 두께 0.5mm로 형성시키며, 상기 제2중도층 형성단계에서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1.2kg으로 도포하고, 두께 1.0mm로 형성시킴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작업효율을 높이며, 사용량 대비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작업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드라이비트용 부직포를 부착함으로써, 건축물이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 되었을 때 건물 외벽으로부터 흡수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3중도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폴리우레아계 방수제가 두께 0.5mm로 도포되며, ㎡당 소요량이 1.5~1.65kg이 되도록 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작업효율을 높이며, 사용량 대비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작업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은, 하도층(110) 형성단계(S110), 제1중도층(120) 형성단계(S120), 보강층(130) 형성단계(S130), 제2중도층(140) 형성단계(S140), 제3중도층(150) 형성단계(S150), 제1상도층(160) 형성단계(S160) 및 제2상도층(170) 형성단계(S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도층(110) 형성단계(S110)에서는 시공면, 즉 콘크리트 등의 외벽에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물론,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전 시공면 위의 레이턴스, 먼지, 유분 등의 기타 오염물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고, 돌출 부위 및 노화 부위는 그라인더 및 와이어 브러쉬 등을 사용하여 평탄하게 처리되어야 하며, 표면은 충분히 건조되어야 한다.
상기 하도층(110) 형성단계(S110)에서 사용되는 프라이머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판매하는 프라이머(진도화성(주), 제품명:UP-100)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하도층(110) 형성단계(S110)에서는 로라, 붓 또는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프라이머를 ㎡당 소요량이 0.2~03kg으로 도포하고, 충분히 건조 및 경화시켜야 한다.
여기에서, 경화시간은 하절기에는 2~4시간, 동절기에는 5~6시간으로 한다.
또한, 1회 도장 후 도장면의 흡수가 심한 부분은 추가로 도장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중도층(120) 형성단계(S120)에서는 상기 하도층(110)의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도포한다.
여기에서,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판매하는 제품(진도화성(주), 제품명:Jepo Tex-2U 또는 제품명:Jepo Tex-2NS)이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는 2액형 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주제와 경화제로 구성되며, 경화제로서는 물이 사용된다.
상기 주제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잠재성경화제와 잠재성경화제 분해촉매가 첨가되어 이루어진다.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한 분자당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한 분자당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을 사용하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 화합물의 배합비를 NCO기/OH기(당량비)로 계산하여 1.2~2.5 정도로 배합하고, 50~130℃에서 5~15시간 반응시켜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우레탄 프리폴리머 용액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 함량은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5~6.0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도료제로서의 물성이 확보되고,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방출에 대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잠재성경화제는 구체적으로, 옥사졸리딘계, 케티민계, 알디민계, 에나민계 잠재성경화제가 있으며, 이 중에서 특히 분자 내에 오사졸라딘 환을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N-히드록시옥시옥사졸리딘 화합물이 내발포성과 저장안정성 면에서 우수하므로 좋다.
또한, 잠재성경화재의 최적 첨가량은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5~5.0 중량%이며, 이 범위일 때 우레탄 수지조성물의 경화체 물성이 좋게 유지된다.
잠재성경화제 분해촉매는 유기산 또는 시릴에스터(silyl ester)가 사용되며, 첨가량은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1~3.0 중량%가 적당하다.
이와 같이, 주제에 잠재성경화제 분해촉매를 사용하는 이유는, 유기산이나 시릴에스터가 주제에 경화제로 물이 혼합되는 경우, 계 내에 존재하는 물과 주제에 같이 함유된 잠재성경화제가 반응하여 아민기(-NH2)와 히드록실기(-OH)를 생성시키는 개열반응을 촉진하여, 계 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주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와 반응하여 우레아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발포를 억제하는 동시에 가사시간과 경화성과의 벨런스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중도층(120) 형성단계(S120)에서는,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로라, 붓 또는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당 소요량이 0.6kg로 도포하고, 두께 0.5mm로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보강층(130) 형성단계(S130)에서는 상기 제1중도층(120)에 보강제를 부착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제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특히, 건축물 외벽 시공시 사용되는 드라이비트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제가 드라이비트용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되는 건물 외벽으로부터 흡수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2중도층(140) 형성단계(S140)에서는 상기 보강층(130)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도포한다.
여기에서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는 상기 제1중도층(120) 형성단계(S120)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제품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상기 제2중도층(140) 형성단계(S140)에서는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1.2kg으로 도포하고, 두께 1.0mm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중도층(120) 형성단계(S120)에서,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0.6kg로 도포하고, 두께 0.5mm로 형성시키며, 상기 제2중도층(140) 형성단계(S140)에서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1.2kg으로 도포하고, 두께 1.0mm로 형성시킴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작업효율을 높이며, 사용량 대비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작업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3중도층(150) 형상단계에서는 상기 제2중도층(140)의 표면에 폴리우레아계 방수제를 도포한다.
여기에서, 폴리우레아계 방수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진도화성(주), 제품명: Quick Star JU-95 또는 Quick Star JH-90)이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우레아계 방수제는, 순수 우레아 고형분100%로 이루어지며,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도포된다.
여기에서, 스프레이건과 도장면과의 거리는 50~60cm로 유지하고, 토출 압력이 110~125kgf/c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부착력 및 작업성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3중도층(150) 형성단계(S150)에서는 상기 폴리우레아계 방수제가 두께 0.5mm로 도포되며, ㎡당 소요량이 1.5~1.65kg이 되도록 하며, 이때, 도료의 온도는 20℃로 유지되어야 하고, 한 곳에 집중적으로 도포하는 것보다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왕복으로 도포하는 것이 표면이 깨끗해지고 흐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작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중도층(150) 형성단계(S150)에서, 상기 폴리우레아계 방수제가 두께 0.5mm로 도포되며, ㎡당 소요량이 1.5~1.65kg이 되도록 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작업효율을 높이며, 사용량 대비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작업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3중도층(150) 형성단계(S150)는, 2회 나누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중도층(150) 형성단계(S150) 이후 상기 제3중도층(150)이 충분히 건조되면, 상기 제1상도층(160) 형성단계(S160)를 시행한다.
상기 제1상도층(160) 형성단계(S160)에서는 상기 제3중도층(150)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여기에서 프라이머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멀티프라이머이며, ㎡당 소요량이 약 0.2~0.3kg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1상도층(160)이 충분히 건조된 후, 상기 제2상도층(170) 형성단계(S170)를 시행하는데, 상기 제2상도층(170) 형성단계(S170)에서는, 열교환도료를 도포한다.
여기에서 열교환도료는 표면이 일정온도, 대략 25℃ 이상이 되면 열을 반사시켜 건축물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저지하고, 일정온도 이하, 대략 25℃ 미만이 되면 열을 통과시켜 건축물 내부로 열이 전달되게 한다.
이러한 효능을 갖는 열교환도료는, 구체적으로, 아크릴에멀젼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촉매, 수용성 송진변성수지, 수용성안료 및 속이 빈 구형상의 고분자재료와 상기 고분자자료를 감싸는 구형상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열교환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크릴에멀젼수지(Acrylic emulsion resin)는 아크릴산이나 메타아크릴산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에 계면활성제가 혼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에멀젼수지는 유리 재질 이상의 투명성이 있고 유리 무게의 절반밖에 안되므로 가볍고 가공성이 뛰어난 반면, 경도가 낮아 흠집이 생기기 쉽고 먼지가 붙기 쉬운 결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아크릴에멀젼수지는 항공기·자동차의 방풍유리 또는 티탄백을 혼입한 흰색 조명기구커버, 건축재료 등 여러 방면에 걸쳐 쓰이고 있으며, 의료용 재료로서 콘택트렌즈와 의치의 대부분은 이 수지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 밖에 아크릴산과 아크릴산의 메틸에스테르나 에틸에스테르의 중합물·혼성중합물이 있다.
아크릴산메틸(C4H6O2)의 중합물은 접착제·도료 및 직물의 수지가공용으로서 내마모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광택을 없애는데 쓰인다.
아크릴산중합체의 나트륨염은 수용성 고분자전해질로서 매우 높은 점도를 가지는데, 산을 가하면 곧바로 굳어지지만 잘 흔들어 주면 용해된다.
화장품용으로 헤어로션·포마드 등의 기본재료가 되며, 이것의 칼슘염은 토양 개량제로 쓰인다.
이와 같은 상기 아크릴에멀젼수지는 열교환도료 총중량의 25중량% 미만 또는 3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빛이 용이하게 통과하지 못하므로, 최적의 첨가범위는 25∼35중량%이다.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Water soluble Polyurethane resin)는 분자내에 우레탄결합 -OCONH-(NCO기)를 갖는 고분자화합물의 총칭으로, 고무상태의 탄성체로서 우레탄고무·합성섬유·접착제·도료·우레탄폼 및 자동차 범퍼 등 최근에 그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디올(1,4-부탄디올 등)과 디이소시아네이트(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첨가중합에 의해제조된다.
고무용도로는 디올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에테르디올이나 말단 디올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이용된다.
우레탄폼의 용도로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열경화성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나, 본 발명에서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며, 열가소성 수지를 수용화 시킨 것이다.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는 도료를 도포하였을 때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8중량% 미만 또는 12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도막의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최적의 첨가범위는 8∼12중량%이다.
상기 촉매는 코발트 또는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한 금속화합물로써 열교환물에 의해 열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뀜으로서 열교환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하는, 말 그대로 촉매로 작용하게 되고, 4중량% 미만 또는 6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촉매의 작용효과를 떨어뜨리게 되므로, 최적의 첨가범위는 4∼6중량%이다.
상기 수용성 송진변성수지(Water soluble Pine resin)는 방수 및 도막의 열저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수지이고, 1중량% 미만 또는 2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방수 및 도막의 열저하 효과를 떨어뜨리게 되므로, 최적의 첨가범위는 1∼2중량%이며,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수용성 송진변성수지 등은 변성 플라스틱으로 변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용성 안료(Water soluble pigment)는 착색기능의 안료로 사용하며, 7중량% 미만 또는 9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도막의 색상이 너무 엷거나 너무 진하게 되므로, 제 색상을 내기 위한 최적의 첨가범위는 7∼9중량%이다.
상기 열교환물(Heat-radiation aggregate)은 ㎛ 단위의 아주 미세한 구형상의 알갱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물의 내부는 속이 빈 구형상의 고분자재료 즉, 열가소성 수지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분자재료의 바깥면은 구형상의 무기재료가 감싸고 있으며, 속이 빈 구형상의 상기 고분자재료는 촉매에 의해 열교환운동을 하고, 상기 고분자재료 바깥면의 구형상의 상기 무기재료는 열교환운동을 보조하면서 도막의 마모나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아주 미세한 알갱이로 된 열교환물은 다수개가 도료 내에서 골고루 분포되어 있게 되며, 8중량% 미만 또는 12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열교환물가 너무 적거나 너무 많게 되어 열교환 운동의 효과를 떨어뜨리게 되므로, 최적의 첨가범위는 8∼12중량%이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도료는, 상기 제2상도층(170) 형성단계(S170)에서, ㎡당 소요량이 0.2~03kg으로 도포된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계 방수제 및 폴리우레아계 방수제가 도포된 도막층에, 열교환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방수 및 단열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1중도층(120)에서 제3중도층(150)에 이르는 구간이 열에 의해 손상되어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제적인 도막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1중도층(120) 형성단계(S120)에서,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0.6kg로 도포하고, 두께 0.5mm로 형성시키며, 상기 제2중도층(140) 형성단계(S140)에서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1.2kg으로 도포하고, 두께 1.0mm로 형성시킴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작업효율을 높이며, 사용량 대비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작업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S110 : 하도층 형성단계, S120 : 제1중도층 형성단계,
S130 : 보강층 형성단계, S140 : 제2중도층 형성단계,
S150 : 제3중도층 형성단계, S160 : 제1상도층 형성단계,
S170 : 제2상도층 형성단계,
110 : 하도층, 120 : 제1중도층,
130 : 보강층, 140 : 제2중도층,
150 : 제3중도층, 160 : 제1상도층,
170 : 제2상도층,

Claims (8)

  1. 시공면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하도층 형성단계;
    상기 하도층의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도포하는 제1중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1중도층에 보강제를 부착하는 보강층 형성단계;
    상기 보강층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도포하는 제2중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2중도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계 방수제를 도포하는 제3중도층 형성단계;
    상기 제3중도층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1상도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제1상도층의 표면에 열교환도료를 도포하는 제2상도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잠재성경화제와 잠재성경화제 분해촉매가 첨가된 주제;
    물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잠재성경화제는 옥사졸리딘계 잠재성경화제, 케티민계 잠재성경화제, 알디민계 잠재성경화제, 에나민계 잠재성경화제 중 적어도 어느 1종이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5~5.0중량% 첨가되고,
    상기 잠재성경화제 분해촉매는 유기산 또는 시릴에스터 중에 적어도 1종이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1~2.0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도료는,
    아크릴에멀젼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촉매, 수용성 송진변성수지, 수용성안료 및
    속이 빈 구형상의 고분자재료와 상기 고분자재료를 감싸는 구형상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열교환물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물(Heat-radiation aggregate)은, ㎛ 단위의 미세한 구형상의 알갱이로 이루어지고 다수개가 상기 열교환도료 내에서 골고루 분포되어 있게 되며 최적의 첨가범위는 8∼12중량%이며, 내부는 상기 고분자재료 즉, 열가소성 수지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외부를 구형상의 무기재료가 감싸고 있으며, 상기 고분자재료가 촉매에 의한 열교환운동을 하고 상기 무기재료가 열교환운동을 보조하면서 도막의 마모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도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프라이머는 ㎡당 소요량이 0.2~0.3kg으로 도포되며,
    상기 제2상도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열교환도료는 ㎡당 소요량이 0.2~03kg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도층 형성단계에서는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0.6kg로 도포하고, 두께 0.5mm로 형성시키며,
    상기 제2중도층 형성단계에서는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당 소요량이 1.2kg으로 도포하고, 두께 1.0mm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보강제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중도층 형성단계는, 상기 폴리우레아계 방수제를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으로 사용하여 분사시키며, 도장면과의 거리는 50~60cm로 유지하고, 토출 압력이 110~125kgf/cm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중도층 형성단계는, 상기 폴리우레아계 방수제가 두께 0.5mm로 도포되며, ㎡당 소요량이 1.5~1.65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KR20130071757A 2013-06-21 2013-06-21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KR10146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757A KR101461172B1 (ko) 2013-06-21 2013-06-21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757A KR101461172B1 (ko) 2013-06-21 2013-06-21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172B1 true KR101461172B1 (ko) 2014-12-04

Family

ID=5267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757A KR101461172B1 (ko) 2013-06-21 2013-06-21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17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910B1 (ko) * 2016-06-22 2017-03-03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무기질과 아크릴이 포함된 친환경 수용성 방수재 겸 도장재용 도료를 이용한 방수 방오 컬러 도장공법
KR20190043947A (ko) * 2017-10-19 2019-04-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우레아 변성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박리성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5465B1 (ko) 2019-03-19 2019-08-28 주식회사 리가채움 박공지붕과 경사파라펫을 포함하는 복합시트형 방수단열공법
KR20190121480A (ko)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비전씨앤디 열교환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KR20200048748A (ko) * 2018-10-30 2020-05-0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우레아변성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lng선 화물창 전용 박리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4771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예은씨엔아이 특수도료를 이용한 철판도장방법
KR102225932B1 (ko) * 2020-06-26 2021-03-10 (주)한영개발 차열 효과가 향상된 방수막 코팅 시공 방법
KR20210080778A (ko) * 2019-12-23 2021-07-01 강영갑 바닥의 방습보강 및 문양의 도장방법
KR20220006727A (ko) * 2020-07-09 2022-01-18 (주)썬앤문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KR102607499B1 (ko) * 2022-06-13 2023-11-30 박영진 방폭성을 가지는 지하구조물의 외방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189B1 (ko) * 2003-04-01 2006-02-02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옥상 슬라브의 단열 방수공법
KR101064589B1 (ko) * 2010-11-18 2011-09-15 (주)한일이앤지 열차단 복합방수시트
KR101148090B1 (ko) * 2011-04-29 2012-05-22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차열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189B1 (ko) * 2003-04-01 2006-02-02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옥상 슬라브의 단열 방수공법
KR101064589B1 (ko) * 2010-11-18 2011-09-15 (주)한일이앤지 열차단 복합방수시트
KR101148090B1 (ko) * 2011-04-29 2012-05-22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차열방수공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910B1 (ko) * 2016-06-22 2017-03-03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무기질과 아크릴이 포함된 친환경 수용성 방수재 겸 도장재용 도료를 이용한 방수 방오 컬러 도장공법
KR20190043947A (ko) * 2017-10-19 2019-04-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우레아 변성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박리성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6125B1 (ko) 2017-10-19 2021-07-13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우레아 변성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박리성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1480A (ko)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비전씨앤디 열교환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KR20200048748A (ko) * 2018-10-30 2020-05-0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우레아변성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lng선 화물창 전용 박리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2843B1 (ko) 2018-10-30 2021-02-0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우레아변성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lng선 화물창 전용 박리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8040B1 (ko) * 2019-02-27 2020-10-21 주식회사 예은씨엔아이 특수도료를 이용한 철판도장방법
KR20200104771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예은씨엔아이 특수도료를 이용한 철판도장방법
KR102015465B1 (ko) 2019-03-19 2019-08-28 주식회사 리가채움 박공지붕과 경사파라펫을 포함하는 복합시트형 방수단열공법
KR20210080778A (ko) * 2019-12-23 2021-07-01 강영갑 바닥의 방습보강 및 문양의 도장방법
KR102350899B1 (ko) 2019-12-23 2022-01-14 강영갑 바닥의 방습보강 및 문양의 도장방법
KR102225932B1 (ko) * 2020-06-26 2021-03-10 (주)한영개발 차열 효과가 향상된 방수막 코팅 시공 방법
KR20220006727A (ko) * 2020-07-09 2022-01-18 (주)썬앤문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KR102443457B1 (ko) * 2020-07-09 2022-09-15 (주)썬앤문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KR102607499B1 (ko) * 2022-06-13 2023-11-30 박영진 방폭성을 가지는 지하구조물의 외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172B1 (ko) 폴리우레아와 열교환도료를 이용한 도막 방수 시공방법
JP6077932B2 (ja) ノンブリード高強度・高伸張形手塗ウレタン塗膜防水材組成物
KR101740239B1 (ko) 유ㆍ무기 복합수지를 이용하여 중성화 및 염해방지 기능이 향상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코팅제
CA2581538A1 (en) White reflective coating for modified bitumen membrane
KR102101788B1 (ko) 열교환도료
CN206069753U (zh) 一种防水耐候聚脲涂层
KR102220289B1 (ko) 구조물의 도장 방법
KR101901865B1 (ko) 폴리우레아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5026054A (zh) 用于涂覆基材的方法和组合物
US20130227909A1 (en) Roofing repair system and method
JP6980844B2 (ja) 被膜形成方法
CN103421371A (zh) 一种沥青路面热反射涂料
JP3516833B2 (ja) 超耐候性塗料組成物
US20160289971A1 (en) Coating composition and system for renewal of asphalt shingle roofs and method of application thereof
SG193164A1 (en) Film-forming method and film-formed article
CN101921539B (zh) 一种用于涂覆板材的组合物及其在板材上的应用
ES2534074T3 (es) Composiciones de revestimiento anti-erosión
JP6931288B2 (ja) 建材用シーラー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10235652A (ja) 無溶剤型硬化性樹脂組成物
KR102168040B1 (ko) 특수도료를 이용한 철판도장방법
KR102558070B1 (ko) 친환경 우레아를 이용한 고인장성 및 공기단축 도장방법
KR102533949B1 (ko) 우레탄 변성 에폭시수지계 복합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86174B1 (ko) 에폭시 변성 폴리우레탄수지계 복합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JPH11302566A (ja) 透湿性塗料組成物
JPH09157584A (ja) 非汚染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