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631B1 -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631B1
KR101460631B1 KR1020130047489A KR20130047489A KR101460631B1 KR 101460631 B1 KR101460631 B1 KR 101460631B1 KR 1020130047489 A KR1020130047489 A KR 1020130047489A KR 20130047489 A KR20130047489 A KR 20130047489A KR 101460631 B1 KR101460631 B1 KR 10146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sensing sensor
moving part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708A (ko
Inventor
윤삼걸
Original Assignee
윤삼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삼걸 filed Critical 윤삼걸
Priority to KR102013004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63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d)에 구성되는 감지센서(4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4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 일 측에 결착되며 내부에 삽입부(101)가 구성되는 케이스부(100)와, 상기 삽입부(101)의 단부에 연결 구성되되, 끝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상하 이동부(200)와, 상기 상하 이동부(200)를 밀림 시키는 가압부재(300)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재(300)가 밀림 될 시 상기 상하이동부(200)의 끝부에 힘이 가해져 상하이동부(200)가 유동되어 상기 감지센서(400)와 접촉하여 감지센서(400)를 작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도어(d)에 결착되어 도어에 이물질(t) 또는 사람, 끈과 같은 미세한 물체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으며, 사람 또는 이물질(t)과 맞닿는 가압부재(300)의 끝부분에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사람의 인체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전자로 작동되는 것이 아닌 기계적 장치로 구성되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센서구동장치{Door, for sensor-driven devices}
본 발명은 도어에 구성된 감지센서의 일 측에 구성되어 작동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결착되어 상기 도어에 끼움 되는 사람 또는 이물질과 맞닿게 되면 가압부재가 압력튜브의 측 방향으로 밀림 되어 상하이동부의 끝부를 양 측으로 밀림 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하이동부가 유동하며 감지센서와 접촉되어 상기 감지센서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기술이 발전하면서 종래에 이용되어 오던 수많은 장치들이 전장화되어 가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도 이러한 흐름은 예외가 아니라서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거나, 근방의 물체를 감지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등의 기술에 전기/전자 기술이 응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운전자의 사각을 보완하기 위해서 초음파나 레이저센서 또는 카메라 등의 각종센서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센서들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 또는 뒤에 고정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센서들은 기계장치 및 전자장치로 작동되다 보니 근접하는 물체를 인지하거나 끼임 되는 물체를 인지하여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지만 미세한 물체 및 이물질은 감지조차 하지 못하여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었고, 전자로 제어되며 기계적으로 작동되다 보니 오작동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 -1060601 (특) 차량 전방 및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센서구동부; 핸들의 조향각을 측정하기 위한 조향각 측정부; 상기 조향각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핸들의 조향각에 비례하여 상기 감지센서가 좌 또는 우로 회동하도록 상기 센서구동부를 비례제어하는 제어부; 및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차속측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주행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감지센서의 좌우회동 정도를 가감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반영하여 센서의 측정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안전을 방지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는 즉, 도어에 사용되는 센서와 전혀 무관한 기술일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전기/전자 시스템으로 구성되다 보다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가 빈번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도어의 일 측에 구성되는 작동에 의해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일 측에 결착되되, 내부에 압력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공간부 양 측에 끝부가 맞닿으며 대응하되 상, 하로 유동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며 일 측에 상기 압력공간부와 연결되는 유동로가 더 포함되는 압력튜브를 구성하고, 상기 압력튜브의 유동로 측 방향으로 일 측에 상기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맞닿으며 밀림 되어 상기 압력튜브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의 끝부를 각각 밀림 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밀림 될 때 상기 상하이동부의 끝부를 밀림 시켜 감지센서와 접촉하여 감지센서를 구동할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창안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어(d)에 구성되는 감지센서(4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4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 일 측에 결착되며 내부에 삽입부(101)가 구성되는 케이스부(100)와, 상기 삽입부(101)의 단부에 연결 구성되되, 끝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상하 이동부(200)와, 상기 상하 이동부(200)를 밀림 시키는 가압부재(300)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재(300)가 밀림 될 시 상기 상하 이동부(200)의 끝부에 힘이 가해져 상하이동부(200)가 유동되어 상기 감지센서(400)와 접촉하여 감지센서(400)를 작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구조에 의하면, 도어에 일측에 결착되어 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압력튜브와 상기 압력튜브의 일 측에 구성되어 도어에 끼움 된 이물질 또는 사람과 맞닿아 상기 압력튜브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하 이동부의 끝부를 각각 밀림 시키는 가압부재가 각각 구성됨으로써, 도어에 이물질 또는 사람뿐만 아니라 끈과 같은 미세한 물체가 끼이면 끈에 의해 물리작용이 일어나 가압부재가 상하 이동부를 작동시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경제적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전기/전자로 작동되는 것이 아닌 기계적 장치로 구성되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스부의 에 압력튜브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도어(d)에 결착되어 상기 도어(d)에 끼움 되는 사람 또는 이물질(t)과 맞닿게 되면 압력튜브(500)의 측 방향으로 밀림 되어 상하이동부(200)의 끝부를 양 측으로 밀림 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하이동부(200)가 유동하며 감지센서(400)와 접촉되어 상기 감지센서(4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에 구성되는 감지센서(4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4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 일 측에 결착되며 내부에 삽입부(101)가 구성되는 케이스부(100)와, 상기 삽입부(101)의 단부에 연결 구성되되, 끝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상하 이동부(200)와, 상기 상하 이동부(200)를 밀림 시키는 가압부재(300)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재(300)가 밀림 될 시 상기 상하이동부(200)의 끝부에 힘이 가해져 상하 이동부(200)가 유동되어 상기 감지센서(400)와 접촉하여 감지센서(400)를 작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부(100)는 하기될 압력튜브(500)가 끼움되되 상기 압력튜브(500)가 일 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압력공간부(510)에 구성되는 상하 이동부(200)가 양 측으로만 밀림 될 수 있도록 철과 같은 견고한 재질로 고정 구성되며, 도어(d)의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압력튜브(50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일 측과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삽입부(101)가 구성되는 케이스부(100)는 통상의 도어(d)의 일 측에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압력튜브(500)는,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01)에 끼움 되되, 내부에 압력공간부(510)가 구성되며 상기 압력공간부(510)의 양 측에는 상하 이동부(20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공간부(510)의 일 측에는 상기 압력공간부(510)와 연결되는 유동로(550)가 더 구성된다. 상기 유동로(550)는 하기될 가압부재(300)의 가압돌출부(310)가 유동하며 상기 상하 이동부(200)의 끝부를 밀림 시킬 수 있기 위한 구조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부(200)가 상, 하로 이동되되 일정간격 유동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210)가 더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압력튜브(500)의 압력공간부(510)에 끼움 되어 고정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210)는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212)가 구성되며 상부 외주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턱(211)이 더 구성된다.
상기 돌기(212)의 경우 압력공간부(510)에 끼움 될 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턱(211)의 경우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200)가 상하로 이동하되,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림 고정 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가변 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보다 더 나은 수직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210)와 상하 이동부(200) 사이에 롤러 또는 베어링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압력공간부(510)에 끼움 되게 되면 외주에 다수개로 돌출되는 돌기(212)들로 인하여 상기 압력공간부(510)의 외주로 자연스레 돌출부(530)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212)의 개수에 따라 상기 돌출부(530)가 형성되는 개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진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이동부(200) 상기 고정부(210)에 끼움 되며 상기 압력공간부(510)의 내부로 길게 형성되며 양 끝부가 맞닿으며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하 이동부(200)는 고정부(210)에 끼움 되되, 가압부재(300)에 의해 유동하며 상기 고정턱(211)에 걸림턱(201)이 걸림 고정되면 상기 상하 이동부(200) 또한 동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하 이동부(200)가 가압부재(300)의 가압돌출부(310)가 측면에서 밀림 되면 그 힘에 의해 양 측으로 밀림 되어 상하로 수직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가압부재(300)의 가압돌출부(310)가 원래의 상해로 복귀되면 상기 상하 이동부(200) 또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 가압부재(30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하 이동부(200)가 감지센서(400)를 작동 시킨 후, 그 하중이 상기 가압돌출부(310)를 누름 시키도록 되어 있어 원래의 상태로 복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 이동부(200)의 외주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각각 구성하여, 상기 가압부재(300)의 가압돌출부(310)에 의해 밀림 되어 작동하되, 상기 탄성부재로 인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가 구성되는 것은 도시하진 않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압력튜브(500)의 일 측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200)의 끝부를 밀림 시키는 가압부재(300)가 구성되되, 이물질(t) 또는 사람과 맞닿는 면적을 크게 되며 힘을 더 받을 수 있도록, 끝부가 일 측으로 꺾임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재(300)는 이물질(t) 또는 사람에 의해 밀림 되면 찌그러지지 않고 압력공간부(510) 측으로 용이하게 밀림 될 수 있도록 철 재질 또는 단단한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철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가압부재(300)는 상기 압력튜브(500)의 유동로(550)와 대응되는 일 측에는 돌출되며 상기 유동로(550)에서 유동하는 가압돌출부(310)가 구성되어 상기 압력공간부(510)의 내부에 끝부가 상호 맞닿는 상하 이동부(200)를 밀림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00)가 철 재질 또는 단단한 부재로 구성되어 도어(d) 사이에 이물질(t)이 끼일 경우 밀림 되어 본 발명의 핵심인 감지센서(400)를 구동시켜 도어(d)를 재차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가압부재(300)를 상기 압력튜브(5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압부재(30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케이스부(100)의 삽입부(101) 상측에 상기 가압부재(3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각각 구성하여 결합되며 슬라이딩 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0), 상하 이동부(200), 가압부재(300), 압력튜브(500)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4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도어(d)의 일 측에 결착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을, 차량의 도어(d)에 구성된 감지센서(400)의 일 측에 구성했다는 가정 하에 그 작동을 설명하면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d)의 일 측에 구성되어 사람이 승, 하차 후 상기 도어(d)가 닫힐 때 이물질(t)이 끼움 되게 되면 가압부재(300)와 맞닿으며 상기 가압부재(300)가 압력공간부(510) 방향으로 밀림 된다.
상기 가압부재(300)가 밀림 됨과 동시에 그 힘이 압력공간부(510)에 힘이 전달되면 상기 케이스부(100)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내부에 구성된 상하 이동부(200)의 끝부를 밀림 시키게 되어 상기 상하 이동부(200)가 양 측으로 유동하며 감지센서(400)를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감지센서(400)와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며 상하 이동부(200)에 의해 감지센서(400)가 작동하게 되어 재차 도어(d)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감지센서(400)의 경우에는 끈과 같은 미세한 물체들을 감지하지 못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지 못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끈과 같은 미세한 물체가 끼움 될 경우, 끈이 당겨지면서 그 힘이 일측 방향으로 밀림 되면 가압부재(300)가 밀림 되어 작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센서구동장치 구조는 기존의 전기/전자 방식으로 작동되어 감지센서(400)를 구동시키는 장치들로 구성 할 경우보다 오작동률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적은 비용과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로 압력튜브(500)가 양 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압력튜브(500)의 일 측만 상하 이동부(200)가 구성되도록 하고, 타 측에는 막혀지도록 하부밀폐부(600)를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다시 말해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되, 압력튜브(500)의 일 측으로 고정부(210), 상하이동부(200)가 각각 구성되며 타 측에 상기 하부밀폐부(600)가 끼움되며 고정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센서구동장치의 일 측으로 상기 상하 이동부(200)가 유동하면서 상기 감지센서(400)를 작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센서구동장치에 의하면, 도어(d)가 닫힐 때 이물질(t) 및 사람이 끼움 되면 가압부재(300)가 일 측으로 밀림 되면서 가압돌출부(310)가 상하 이동부(200)를 유동시켜 감시센서(4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기계식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어린이들을 이송하는 차량 등 도어(d)에 구성할 수가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전자 또는 전기적 장치의 구성이 아니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케이스부 101 : 삽입부
200 : 상하 이동부 201 : 걸림턱
210 : 고정부 211 : 고정턱 212 : 돌기
300 : 가압부재 310 : 가압돌출부 400 : 감지센서
500 : 압력튜브 510 : 압력공간부 530 : 돌출부
550 : 유동로
600 : 하부밀폐부 t : 이물질 d : 도어

Claims (4)

  1. 도어(d)에 구성되는 감지센서(4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4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 일 측에 결착되며 내부에 삽입부(101)가 구성되는 케이스부(100);
    상기 삽입부(101)의 단부에 연결 구성되되, 끝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상하 이동부(200);
    상기 상하 이동부(200)를 밀림 시키는 가압부재(300); 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재(300)가 밀림 될 시 상기 상하 이동부(200)의 끝부에 힘이 가해져 상하 이동부(200)가 유동되어 상기 감지센서(400)와 접촉하여 감지센서(400)를 작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1)에 끼움 구성되되, 탄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 압력공간부(510)가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압력공간부(510)와 연결되는 유동로(550)가 형성된 원통형의 압력튜브(5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부(200)는 하부 내측으로 걸림턱(201)이 구성되고, 상기 압력공간부(510)에 끼움 되며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턱(211)이 구성되는 고정부(210)가 구성되어 상기 걸림턱(201)이 상기 고정턱(211)에 걸림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튜브(500)는 일측으로 가압공간부(520)를 구성하여 상기 가압부재(300)를 상기 가압공간부(520)에 위치시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KR1020130047489A 2013-04-25 2013-04-25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KR10146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489A KR101460631B1 (ko) 2013-04-25 2013-04-25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489A KR101460631B1 (ko) 2013-04-25 2013-04-25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708A KR20140127708A (ko) 2014-11-04
KR101460631B1 true KR101460631B1 (ko) 2014-11-12

Family

ID=5228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489A KR101460631B1 (ko) 2013-04-25 2013-04-25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40A (ko) 2020-07-01 2022-01-1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창문 상태 감시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037B1 (ko) * 1996-05-20 1999-04-01 박병재 버스 자동문의 안전 장치
KR20080048603A (ko) * 2006-11-29 2008-06-03 김두환 자동감지센서가 구비된 안전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037B1 (ko) * 1996-05-20 1999-04-01 박병재 버스 자동문의 안전 장치
KR20080048603A (ko) * 2006-11-29 2008-06-03 김두환 자동감지센서가 구비된 안전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40A (ko) 2020-07-01 2022-01-1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창문 상태 감시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708A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11004A1 (en) Set of seals for a door
KR20140138610A (ko) 작동 장치
KR101373292B1 (ko) 차량의 장애물 감지용 센서스트립 조립체
US8898956B2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with pressure sensing unit and sealing unit
WO2019056636A1 (zh) 一种电动双开内摆门及其内摆门驱动装置
JP6689069B2 (ja) 戸挟み検知装置及び引き戸装置
KR101460631B1 (ko)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CN108369054A (zh) 冷藏和/或冷冻设备
KR101135632B1 (ko)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CN103670041A (zh) 一种地铁站台屏蔽门电动锁闭装置
KR101460634B1 (ko) 도어용 센서구동장치
JP2007182303A (ja) エレベータの故障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KR200478798Y1 (ko) 전동액추에이터의 스트레인게이지장치
KR101291249B1 (ko)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휠체어 고정장치
TWM524804U (zh) 兩段式安全開車門裝置
KR100854475B1 (ko) 차량통제용 차단기의 차단바 자동복귀장치
JP2007093227A (ja) 挟み込み検知装置
KR20170088027A (ko) 전동차 출입문 되밀침 장치
CN103306224B (zh) 闸机
KR200478185Y1 (ko)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KR20180075745A (ko) 안전사고 방지용 자동문
JP2004262636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KR20120129594A (ko) 차량용 사이드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621372B1 (ko) 문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1924A (ko) 차량 도어 손 끼임 방지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