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364B1 - 버튼 조립체 - Google Patents

버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364B1
KR101460364B1 KR1020080027120A KR20080027120A KR101460364B1 KR 101460364 B1 KR101460364 B1 KR 101460364B1 KR 1020080027120 A KR1020080027120 A KR 1020080027120A KR 20080027120 A KR20080027120 A KR 20080027120A KR 101460364 B1 KR101460364 B1 KR 10146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utton base
centering
ring portion
in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776A (ko
Inventor
진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36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에 로터리모듈(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로터리모듈(20)에는 회전에 의하여 회로의 접속을 바꾸는 구성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센터링(30)은 상기 관통공(22')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센터링(30)에는 다수개의 안착공(30')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82)가 구비된 기판(80)이 설치된다. 상기 안착공(30')에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50)가 상기 센터링(30)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버튼베이스(50)의 내부에는 누름돌기(60)가 상기 스위치(82)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일단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7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 조립체에 의하면, 로터리모듈의 내부에 다수개의 버튼이 기구적으로 분리되어 개별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80027120
버튼,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센터링, 버튼베이스

Description

버튼 조립체{Button assembly}
본 발명은 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회로의 접속을 변경시키는 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등에서 음량조절, 빛의 밝기, 주파수 설정 등의 선형적인 선택을 통해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곳에는 로터리 모듈(Rotary module)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로터리 모듈은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대하여 회전하는 방향 및 위치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로터리 모듈은 적용되는 기능의 조절범위에 따라서 적절한 텐션(tension)을 유지하도록 기구적으로 조정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튼 조립체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버튼 조립체의 버튼(1)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이드버튼(2)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버튼(2)은 아래에서 설명될 노브(4)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로터리모듈(3)의 내부를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12) 에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모듈(3)은 노브(4), 제1회전자(7), 발광소자베이스(8), 제2회전자(9), 슬라이드컨택터(11) 및 베이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4)는 회전에 의하여 변환된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4)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발광소자베이스(8)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인디케이터(5)가 설치된다.
상기 노브(4)와 발광소자베이스(8) 사이에는 제1회전자(7)가 상기 노브(4)의 회전에 연동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베이스(8)의 저면에는 제2회전자(9)가 상기 노브(4)의 회전에 연동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회전자(9)는 슬라이드컨택터(11)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컨택터(11)는 상기 제1회전자(7) 및 제2회전자(9)의 회전시에 저항의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기 위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스프링디텐트(도시되지 않음) 및 볼디텐트(도시되지 않음)에 접촉하여 저항의 변화를 일으킨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컨택터(11)는 상기 가이드버튼(2)이 고정된 베이스(12)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튼 조립체는 사용자가 상기 노브(4)를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드컨택터(11)와 상기 베이스(12)의 접촉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저항이 변화된다. 이와 같은 저항의 변화는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로 전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튼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버튼 조립체는 회전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제품의 표면에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버튼(1)이 하나밖에 사용되지 못하였다. 즉, 상기 버튼 조립체는 기구적으로 구분되어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버튼이 상기 노브(4)의 내부에 배치되기 어려워 공간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리 모듈에서 기구적으로 분리되어 개별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버튼이 설치되는 버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하여 회로의 접속을 바꾸는 로터리모듈과; 상기 로터리모듈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된 기판이 설치되는 센터링과; 상기 센터링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돌기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베이스의 외주면에는 상기 버튼베이스의 유동방향에 수직하게 구획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과 버튼베이스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버튼베이스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가이드홈 및 가이드리브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과 버튼베이스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유동홈 및 상기 유동홈에 삽입되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유동홈의 길이는 상기 스위치의 이동행정에 대응되게 설정된다.
상기 센터링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링부와, 상기 내측링부와 같은 중심에서 상기 내측링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외측링부와, 상기 내측링부와 외측링부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안착공을 형성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링부의 내부에는 환형의 버튼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링부와 외측링부의 사이에는 상기 환형 버튼베이스의 주위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내측링부에는 구획링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링의 일단은 외부에 노출된 상기 버튼의 표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버튼베이스와 버튼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돌출부와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하여 회로의 접속을 바꾸는 로터리모듈과; 상기 로터리모듈의 내부에서 상기 로터리모듈이 회전하는 가상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에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센터링과; 상기 스위치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링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베이스에는 상기 버튼베이스를 상기 센터링에 삽입되는 부분과 상 기 버튼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과 버튼베이스에는 상기 버튼베이스가 상기 센터링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리브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과 버튼베이스에는 상기 버튼베이스가 상기 센터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센터링에 대해 상기 버튼베이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홈 및 상기 유동홈에 삽입되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유동홈의 길이는 상기 스위치의 이동행정에 대응되게 설정된다.
상기 센터링은, 중공형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링부와, 상기 내측링부와 같은 중심에서 상기 내측링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외측링부와, 상기 내측링부와 외측링부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안착공을 형성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링부의 내부에는 환형의 버튼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링부와 외측링부의 사이에는 상기 환형 버튼베이스의 주위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내측링부에는 구획링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링의 일단은 외부에 노출된 상기 버튼의 표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버튼베이스와 버튼에는 상기 버튼베이스와 버튼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와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에 의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로터리모듈의 내측에 센터링을 통한 다수개의 버튼을 배치하여 다수의 신호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즉, 로터리모듈의 내부에 다수개의 버튼이 기구적으로 분리되어 개별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터링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터링에 버튼베이스가 결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버튼 조립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기기에는 로터리모듈(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로터리모듈(20)은 버튼 조립체의 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로터리모듈(20)은 회전에 의하여 변환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로터리모듈(20)은 로터리노브(22), 노브베이스(24) 및 회전링(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노브(22)는 전자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도시되지 않음)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로터리노브(22)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센터링(30)이 설치된다. 상기 로터리노브(2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노브베이스(24)는 상기 패널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된다. 상기 노브베이스(24)에는 회전링(26)이 상기 노브베이스(2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링(26)은 상기 로터리노브(22)의 회전에 연동되게 상기 로터리노브(22)에 결합된다. 상기 노브베이스(24)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링(26)의 물리적인 회전을 전기적신호로 변화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모듈(20)과 패널의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노브베이스(24)가 상기 패널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기판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차폐되고, 상기 로터리노브(22)만이 상기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로터리노브(22) 및 상기 회전링(26)의 일부만이 상기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다만,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로터리모듈(20)이 상기 패널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로터리모듈(20)의 관통공(22')에는 센터링(30)이 설치된다. 상기 센터링(30)은 상기 로터리노브(22)의 회전시에 상기 로터리노브(22) 및 회전링(26)과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센터링(30)은 상기 관통공(22')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기판에 구비된다. 다만, 상기 센터링(30)이 반드시 상기 메인기판에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패널이나 그 밖의 다른 구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센터링(30)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베이스(50)가 상기 로터리모듈(20) 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터링(30)의 내부에는 버튼베이스(50)가 설치되는 안착공(3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30')은 내측링부(32), 외측링부(34) 및 상기 내측링부(32)와 외측링부(34)를 연결하는 구획부(3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내측링부(32)와 외측링부(34)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같은 중심을 가지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다. 상기 내측링부(32)와 외측링부(3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는 구획부(36)에 의해 다수개의 안착공(30')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공(30')에는 버튼베이스(50)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내측링부(32)의 일단에는 구획링(38)이 상기 로터리모듈(2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구획링(38)의 내경 및 외경은 상기 내측링부(32)의 내경 및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링부(32)와 구획링(38)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구획링(38)에는 원형의 버튼베이스(50)가 삽입되고, 상기 구획링(38)의 선단은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70)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내측링부(32)와 구획부(36)는 상기 외측링부(3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링부(34)의 타단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80)이 안착된다.
한편, 상기 안착공(30')을 향해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측링부(32) 및 외측링부(34)의 표면에는 가이드홈(4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0)은 상기 내측링부(32)의 외주면 및 상기 외측링부(34)의 내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버튼베이스(50)의 삽입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40)은 상기 센터 링(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홈(4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리브(54)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링부(32) 및 외측링부(34)에는 스토퍼(4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2)는 상기 내측링부(32)의 내주면 및 외주면 그리고 상기 외측링부(34)의 내주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스토퍼(42)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동홈(56) 내에서 이동된다. 즉, 상기 스토퍼(42)는 버튼베이스(50)가 상기 센터링(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버튼베이스(50)가 상기 센터링(30)에 대해 소정거리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링(30)에서 상기 구획링(38)이 형성되는 일단의 반대방향에는 기판걸이부(44)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걸이부(44)는 대략 직육면체의 판 형상으로 상기 외측링부(34)의 내주면에서 상기 내측링부(32)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기판걸이부(44)는 기판(80)의 걸림부(84)에 삽입되어 기판(80)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센터링(30)의 안착공(30')에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50)가 각각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베이스(50)는 상기 안착공(3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센터링(30)에 삽입된다. 상기 버튼베이스(50)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튼베이스(50)는 환형의 형상과 그 둘레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구획리브(52)가 돌출되게 형성된 다. 상기 구획리브(52)는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삽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베이스(50)가 상기 센터링(30)의 안착공(30')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게 된다. 상기 버튼베이스(50)는 상기 구획리브(52)에 의해 상기 센터링(30)의 안착공(30')에 삽입되는 부분과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7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40)에 대응되는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리브(5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54)는 상기 버튼베이스(50)가 상기 센터링(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리브(54)는 상기 가이드홈(40)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2)에 대응되는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외주면에는 유동홈(56)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동홈(56)은 상기 버튼베이스(50)가 상기 센터링(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유동홈(56)의 연장길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위치(82)의 이동행정에 대응되게 설정된다. 상기 유동홈(56)에는 상기 스토퍼(42)가 삽입되어 스위치(82)의 이동행정만큼 이동된다. 즉, 상기 유동홈(56)에 상기 스토퍼(42)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튼베이스(50)가 상기 센터링(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누름돌기(60)가 스위치(82)의 작동을 위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70)의 결합부(72)에 대응되는 상기 버튼베이스(50)에는 돌출부(58)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8)는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외주면에 돌 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8)는 버튼(70)의 결합부(72)에 삽입되어 버튼(70)을 상기 버튼베이스(5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튼베이스(50)의 내측에는 스위치(82)에 대응되는 누름돌기(60)가 구비된다.(도 4참조) 상기 누름돌기(60)는 상기 버튼베이스(50)의 내부에서 연결부(62)를 통해 상기 버튼베이스(50)에 연결된다. 상기 누름돌기(60)는 상기 버튼베이스(50)가 상기 유동홈(56)의 길이만큼 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치(82)를 누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누름돌기(60)는 상기 버튼베이스(5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버튼베이스(50)에는 버튼(7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버튼(70)은 상기 버튼베이스(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환형의 버튼(70a)과 상기 환형 버튼(70a)의 주위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70b)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70)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70)에서 상기 돌출부(58)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부(7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72)는 상기 버튼(7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72)에는 상기 돌출부(58)가 삽입되어 상기 버튼(70)이 상기 버튼베이스(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튼베이스(50)와 버튼(70)은 별개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 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버튼베이스(50)와 버튼(70)이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센터링(30)의 타단 내부에는 상기 외측링부(34)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기판(80)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80)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버 튼(7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70)의 조작에 의해 눌러지는 스위치(82) 등 각종 부품이 실장된다. 상기 기판(80)은 상기 스위치(82)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의 메인기판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80)과 메인기판 사이의 연결은 별도의 플렉시블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82)는 상기 각각의 누름돌기(60)와 대응되는 위치에 실장되어, 상기 버튼(70)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된다. 상기 스위치(82)의 구조는 접점(接點)과 그것을 동작시키는 기구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위치(82)는 자체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는데, 설계조건에 따라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82)는 상기 누름돌기(60)에 의해 눌러지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기판(80)에서 상기 기판걸이부(44)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부(8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84)는 상기 기판(8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80)의 중심부를 향해 요입된다. 상기 기판(80)이 상기 외측링부(34)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부(84)에 상기 기판걸이부(44)가 삽입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 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70)을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일단에 각각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버튼(70)의 결합부(72)에 상기 버튼베이스(50)의 돌출부(58)가 삽입되어 상기 버튼(70)이 상기 버튼베이스(5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베이스(50)는 상기 센터링(30)의 안착공(30')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버튼베이스(50)의 가이드리브(54)가 상기 센터링(30)의 가이드홈(40)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삽입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일부가 삽입되면 상기 버튼베이스(50)의 구획리브(52)가 상기 내측링부(32), 외측링부(34) 및 구획부(36)의 선단에 걸리고, 상기 센터링(30)의 스토퍼(42)가 상기 버튼베이스(50)의 유동홈(56)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기판걸이부(44)가 형성된 상기 외측링부(34)의 내부에는 상기 기판(80)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80)의 걸림부(84)에는 상기 기판걸이부(44)가 삽입되어 상기 기판(80)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기판(80)은 후크나 볼트 등에 의하여 상기 센터링(30)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버튼베이스(50)에 구비된 상기 누름돌기(60)의 선단은 상기 기판(80)에 실장된 스위치(82)의 선단과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로터리모듈(20)은 전자기기 등의 패널에 설치된 상태이고, 상기 센터링(30)은 상기 로터리모듈(20)의 관통공(22')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에 장착된다. 상기 로터리노브(22)와 회전링(26)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노브베이스(24)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체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70)을 누르면 상기 가이드리브(54)가 상기 가이드홈(4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버튼베이스(50)가 상기 기판(80)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버튼베이스(50)가 상기 기판(80)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버튼베이 스(50)에 구비된 누름돌기(60)에 의해 상기 스위치(82)가 눌러진다. 이때, 상기 스위치(82)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기판(80)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7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위치(82)가 복원되면서 상기 누름돌기(6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누름돌기(6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스토퍼(42)가 상기 유동홈(56)에 걸려 상기 버튼베이스(50)가 상기 센터링(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누름돌기(60)는 상기 스위치(82)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센터링(30)의 내부에서 이동되며, 상기 누름돌기(60)의 이동거리는 상기 유동홈(56)의 길이에 대응된다.
한편, 상기 로터리모듈(20)은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대하여 회전하는 방향 및 위치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사용자가 상기 로터리노브(22)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링(26)이 상기 로터리노브(22)의 회전에 연동한다. 상기 회전링(26)이 회전하면 상기 노브베이스(24)의 내부에서 전기적신호의 발생을 위한 접점이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즉, 상기 로터리모듈(20)은 상기 로터리노브(22)의 회전을 통해 음량조절이나 주파수 설정 등을 위한 선형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터링(30)에 의해 다수개의 버튼(70)을 상기 로터리모듈(2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로터리모듈(20)의 내측에 상기 센터링(30)을 통한 다수개의 버튼(70)을 배치하여 다양한 신호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 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42)와 유동홈(56)이 각각 상기 센터링(30)과 버튼베이스(50)에 각각 형성되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스토퍼(42)와 유동홈(56)의 형성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홈(40)과 가이드리브(54) 또는 상기 돌출부(58)와 결합부(72) 역시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튼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터링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터링에 버튼베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버튼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로터리모듈 22: 로터리노브
22': 관통공 24: 노브베이스
26: 회전링 30: 센터링
30': 안착공 32: 내측링부
34: 외측링부 36: 구획부
38: 구획링 40: 가이드홈
42: 스토퍼 44: 기판걸이부
50: 버튼베이스 52: 구획리브
54: 가이드리브 56: 유동홈
58: 돌출부 60: 누름돌기
62: 연결부 70: 버튼
72: 결합부 80: 기판
82: 스위치 84: 걸림부

Claims (18)

  1.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하여 회로의 접속을 바꾸는 로터리모듈과;
    상기 로터리모듈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된 기판이 설치되는 센터링; 그리고
    상기 센터링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돌기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베이스에는, 버튼베이스를 센터링에 삽입되는 부분과 버튼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과 버튼베이스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버튼베이스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가이드홈 및 가이드리브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과 버튼베이스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유동홈 및 상기 유동홈에 삽입되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홈의 길이는 상기 스위치의 이동행정에 대응되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6. 제 1 항, 제3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링부와,
    상기 내측링부와 같은 중심에서 상기 내측링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외측링부, 그리고
    상기 내측링부와 외측링부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안착공을 형성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부의 내부에는 환형의 버튼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링부와 외측링부의 사이에는 상기 환형 버튼베이스의 주위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부에는 구획링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링의 일단은 외부에 노출된 상기 버튼의 표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베이스와 버튼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돌출부와 결합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10.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하여 회로의 접속을 바꾸는 로터리모듈과;
    상기 로터리모듈의 내부에서 상기 로터리모듈이 회전하는 가상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에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센터링; 그리?
    상기 스위치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링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베이스에는, 상기 버튼베이스를 센터링에 삽입되는 부분과 버튼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과 버튼베이스에는 상기 버튼베이스가 상기 센터링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리브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과 버튼베이스에는 상기 버튼베이스가 상기 센터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센터링에 대해 상기 버튼베이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홈 및 상기 유동홈에 삽입되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홈의 길이는 상기 스위치의 이동행정에 대응되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15. 제 10 항,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은,
    중공형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링부와,
    상기 내측링부와 같은 중심에서 상기 내측링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외측링부, 그리고
    상기 내측링부와 외측링부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안착공을 형성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부의 내부에는 환형의 버튼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링부와 외측링부의 사이에는 상기 환형 버튼베이스의 주위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버튼베이스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부에는 구획링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링의 일단은 외부에 노출된 상기 버튼의 표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베이스와 버튼에는 상기 버튼베이스와 버튼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와 결합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체.
KR1020080027120A 2008-03-24 2008-03-24 버튼 조립체 KR10146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120A KR101460364B1 (ko) 2008-03-24 2008-03-24 버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120A KR101460364B1 (ko) 2008-03-24 2008-03-24 버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776A KR20090101776A (ko) 2009-09-29
KR101460364B1 true KR101460364B1 (ko) 2014-11-10

Family

ID=4135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120A KR101460364B1 (ko) 2008-03-24 2008-03-24 버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9831B2 (en) * 2020-08-28 2023-08-29 Hyundai Motor Company Dial-type shift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50U (ja) * 1992-09-22 1994-04-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JP2004178813A (ja) * 2002-09-30 2004-06-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多方向スイッチ及び複合スイッチ
JP2004200033A (ja) * 2002-12-19 2004-07-15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JP2005174806A (ja) * 2003-12-12 2005-06-30 Calsonic Kansei Corp 多機能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50U (ja) * 1992-09-22 1994-04-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JP2004178813A (ja) * 2002-09-30 2004-06-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多方向スイッチ及び複合スイッチ
JP2004200033A (ja) * 2002-12-19 2004-07-15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JP2005174806A (ja) * 2003-12-12 2005-06-30 Calsonic Kansei Corp 多機能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9831B2 (en) * 2020-08-28 2023-08-29 Hyundai Motor Company Dial-type shift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776A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4551B2 (en) Operating device
US20060131140A1 (en) Single button six-way sunroof switch
KR101096925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101094034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101460364B1 (ko) 버튼 조립체
JP2016004767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6244331B2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US20210054924A1 (en) Dial transmission lever device
JP2001345031A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KR200471416Y1 (ko) 차량용 다방향 스위치 장치
KR200465491Y1 (ko) 푸시 스위치 장치
JP491367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20190000633A (ko) 푸시 스위치 유닛
JP2008305687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CN210011708U (zh) 拉线装置以及车辆
US20170278648A1 (en) Push type switch
JP4364037B2 (ja) 電子部品用操作板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101919432B1 (ko) 스위치 장치
KR200259990Y1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JP2006331698A (ja) 押圧スイッチ付き摺動式電子部品
KR20100134239A (ko) 스위치 장치
KR0155649B1 (ko) 중립 복귀 로타리 놉구조
JP2011018601A (ja) 多方向スライド型電子部品
JP2007165222A (ja) 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