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33A - 푸시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33A
KR20190000633A KR1020170079876A KR20170079876A KR20190000633A KR 20190000633 A KR20190000633 A KR 20190000633A KR 1020170079876 A KR1020170079876 A KR 1020170079876A KR 20170079876 A KR20170079876 A KR 20170079876A KR 20190000633 A KR20190000633 A KR 20190000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housing
plunger
dispos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945B1 (ko
Inventor
홍선종
김시철
손하예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동작 정확도가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푸시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은, 내측에 하우징 수용홈이 마련된 하우징과,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 수용홈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하우징의 상단부에 하우징 수용홈을 덮으면서 스위치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노브와, 노브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수용홈에 설치되는 광원과, 노브에 연동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와 노브 사이에 개재되고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의 평면 상에서 광원으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의 내측면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 유닛 {PUSH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푸시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노브의 누름 조작을 통해 작동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는 차량, 공작 기계,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및 게임기 등 매우 다양한 장치들에 선택 및 조작을 위한 부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스위치는 적용 대상 디바이스의 종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적 선택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스위치로는 간단한 누름 조작이 가능한 푸시 스위치, 축방향 회전 조작이 가능한 로터리 스위치, 레버형 스위치 등이 있다.
푸시 스위치는 조작이 간단하고 누름 조작부를 돌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어 장치의 외관 디자인과 조화를 이룰 수 있어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차량에 사용되는 종래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푸시 스위치는 버튼(11)이 하우징(12)의 내측에 설치되는 무빙 블록(13)과 함께 정해진 스트로크를 가지고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무빙 블록(13)은 광원(14)을 둘러싸는 중공형 구조를 갖는다. 사용자에 의한 버튼(11) 조작에 의해 무빙 블록(13)이 하강하여 온(ON) 상태가 되면, 무빙 블록(13)에 구비되는 하트 캠 구조에 의해 버튼(11) 및 무빙 블록(13)은 스트로크 만큼 하강한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버튼(11)을 한번 더 눌러 오프(OFF) 상태가 되면 버튼(11)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푸시 스위치는 하트 캠을 이용하는 푸쉬 락 방식으로 락 온/오프에 관련된 부품의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이 어려워 작업 속도 저감으로 인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푸쉬 락 오작동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5487호 (2013. 02. 2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동작 정확도가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푸시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은, 내측에 하우징 수용홈이 마련된 하우징;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수용홈에 배치되는 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상기 하우징 수용홈을 덮으면서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노브; 상기 노브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수용홈에 설치되는 광원; 및 상기 노브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와 상기 노브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의 평면 상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는, 노브 바디와,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바디와, 상기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노브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브 바디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하측 가장자리에 한 쌍씩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바디의 네 개의 측면 각각에 상기 노브 가이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는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의 평면 상에서 상기 노브 바디 상면의 가로 중심선 및 세로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노브 중 어느 하나는 스냅 핏 홈을 포함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스냅 핏 홈에 삽입되는 스냅 핏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냅 핏 홈이 상기 노브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스냅 핏 돌기가 상기 노브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플런저 바디와,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플런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런저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배치되는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일면과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하단부에 상기 플런저 바디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 바디와 상기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를 연결하는 플런저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상기 노브 바디의 내면측으로부터 상기 플런저 측으로 돌출되는 노브 플런저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노브 플런저 가압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노브 측으로 돌출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플런저 노브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노브에 대한 누름 조작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노브 바디의 하단부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설치 대상 디바이스에 상기 하우징 바디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디바이스 조립홈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디바이스 조립홈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홈에 삽입되는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가 상기 디바이스 조립홈의 삽입 정위치에 대하여 180도 회전되어 상기 디바이스 조립홈에 삽입 시 상기 설치 대상 디바이스와 간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은 종래 기술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다. 따라서 잔고장 발생의 가능성이 낮고, 분해 후 재조립이 어렵지 않아 부품의 교체나 수리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부품의 수가 적고 하우징 내측의 구조가 단순하여 광원에서 노브 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가로막는 요소가 적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광원의 조명 범위가 넓고, 설계 자유도가 높아 다양한 설치 대상 디바이스에 맞춰 맞춤형 제작이 유리하다.
도 1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노브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노브를 생략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의 하우징을 디바이스 바디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의 하우징 오조립 방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4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의 플런저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100)은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위치(135) 및 광원(150)과, 하우징(11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160)와, 노브(160)의 움직임에 따른 가압력을 스위치(135)에 전달하기 위한 플런저(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푸시 스위치 유닛(100)은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 도 10 참조)에 장착되어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의 기능 조작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푸시 스위치 유닛(100)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하저드 스위치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우징(110)은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조립홈(210)에 삽입되는 하우징 바디(111)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111)는 내측에 하우징 수용홈(113)이 마련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바디(111)는 그 중간에 배치되는 하우징 스토퍼부(125)를 기준으로 하우징 스토퍼부(125) 하측의 하부 바디(115)와, 하우징 스토퍼부(125) 상측의 상부 바디(120)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 바디(115)는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부 바디(120)는 노브(16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푸시 스위치 유닛(100)이 설치되는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 조립홈(210)과 연장홈(215)을 갖는다. 하우징(110)의 하부 바디(115)가 디바이스 조립홈(21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푸시 스위치 유닛(100)이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조립될 수 있다. 하부 바디(115)의 하단부는 디바이스 조립홈(2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의 연장홈(215)은 디바이스 조립홈(210)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하부 바디(115)에는 하우징 디바이스 결합부(116)와, 하우징 커버 결합홈(117)이 구비된다. 하우징 디바이스 결합부(116)는 하부 바디(115)의 외측면으로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하부 바디(115)가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삽입될 때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걸림으로써 하부 바디(115)가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서 분리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 디바이스 결합부(116)는 도시된 것과 같은 돌기 또는 후크 형상 이외에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결합홈(117)은 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바텀 커버(13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하우징 바텀 커버(130)는 하부 바디(115)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하우징 수용홈(113)을 덮는다. 하우징 바텀 커버(130)에 구비되는 커버 하우징 결합돌기(131)가 하부 바디(115)의 하우징 커버 결합홈(117)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10)과 하우징 바텀 커버(130)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바디(115)의 외측면에는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118)가 돌출 구비된다.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118)는 푸시 스위치 유닛(100)의 조립 과정에서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의 연장홈(215)에 삽입된다. 도 10 및 도 11의 (a)와 같이, 하우징(110)이 올바른 조립 방향으로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조립홈(210)에 삽입되는 경우,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118)가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연장홈(215)으로 진입한다.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118)가 하우징(110)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하우징(110)은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118)가 연장홈(215)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하우징(110)이 뒤틀리지 않고 디바이스 조립홈(210)에 대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디바이스 조립홈(210) 속으로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반면, 도 11의 (b)와 같이, 푸시 스위치 유닛(100)의 조립 시 하우징(110)이 정해진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바이스 조립홈(210) 측으로 이동하면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118)가 디바이스 조립홈(210)의 주변부에 걸려 하우징(110)이 디바이스 조립홈(210)에 삽입되지 못한다. 즉, 하우징 바디(111)가 디바이스 조립홈(210)의 삽입 정위치에 대하여 180도 회전되어 디바이스 조립홈(210)에 삽입 시, 하우징 스토퍼부(125)가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와 간섭됨으로써 하우징(110)의 조립을 막게 된다. 따라서 푸시 스위치 유닛(100)의 오조립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도면에는 한 쌍의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118)가 하부 바디(115)의 일측 외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118)의 개수나, 배치 위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연장홈(215)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118)는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바디(115)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리브 형태 이외에,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디바이스 조립홈(21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1)의 상부 바디(120)는 노브(160)와 플런저(180)를 가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부 바디(120)에는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와,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122)(123)와, 스냅 핏 돌기(124)가 구비된다.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는 노브(160)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부 바디(120)의 외측면에 복수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는 노브(160)의 직선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는 상부 바디(120)의 네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122)(123)는 플런저(180)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부 바디(120)의 내측면에 복수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122)(123)는 플런저(180)의 직선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스냅 핏 돌기(124)는 상부 바디(1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된다. 스냅 핏 돌기(124)는 노브(160)에 마련되는 스냅 핏 홈(172)에 삽입됨으로써 노브(160)가 상부 바디(120)에서 분리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 스토퍼부(125)는 하우징 바디(111)의 중간에 하우징 바디(11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된다. 하우징 스토퍼부(125)는 노브(160)의 하단부와 접촉함으로써 노브(160)에 대한 누름 조작 거리를 제한한다. 즉, 노브(160)가 사용자에 의해 과도하게 누름 조작되더라도 노브(160)가 하우징 스토퍼부(125)에 걸림으로써 노브(160)는 정해진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노브(160)가 과도한 압력으로 스위치(135)를 가압하여 스위치(135) 등의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우징(110)은 상술한 것과 같이, 하우징 스토퍼부(125)를 기준으로 하부 바디(115)와 상부 바디(120)로 구분되는 사각 박스 형태 이외에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스위치(135)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하우징 수용홈(113) 속에 배치된다. 스위치(135)는 플런저(180)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으면 눌렸다가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력적으로 원상 복귀하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135)로는 택트 스위치 등 플런저(180)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스위치(135)는 기판(140)에 결합되어 기판(14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140)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 핀(145)이 연결된다. 푸시 스위치 유닛(100)이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조립될 때 커넥터 핀(145)이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스위치(135)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판(140)의 일측에는 광원(150)이 설치된다. 광원(150)은 기판(140)에 지지되어 노브(160) 측으로 빛을 조사한다. 광원(150)으로는 단색 LED나, 삼색 LED 등 단색 또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노브(160)는 하우징 수용홈(113)을 덮으면서 스위치(135)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노브(160)는 하우징(110)의 상부 바디(120) 상단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바디(161)와, 노브 바디(161)의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170)를 포함한다.
노브 바디(161)는 상면(162)과, 상면(162)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차례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측면(163)(164)(165)(166)을 포함한다. 노브 바디(161)는 그 상면(162)과 네 개의 측면(163)(164)(165)(166)으로 하우징(110)의 상부 바디(120) 상단부를 둘러싼다. 상면(162)에는 노브 마크부(169)가 구비된다. 노브 마크부(169)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면(162)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0) 내측의 광원(150)에서 조사되는 빛이 노브 마크부(169)를 통해 노브(160) 외측으로 투과될 수 있다.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17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와 각각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노브(160)의 네 측면(163)(164)(165)(166)에 각각 배치된다. 노브 가이드부(170)는 하우징(110)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에 삽입되어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노브 바디(161)의 내측면에서 하우징 바디(111)의 외측면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노브(160)를 누름 조작할 때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170)가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를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노브(160)가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노브(160)의 가장자리부를 누르더라도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170)가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를 따라 이동하므로 노브(160)가 뒤틀리거나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170)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노브(160)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의 평면 상에서 노브 바디 상면(162)의 가로 중심선(Lw) 및 세로 중심선(Lh)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가로 중심선(Lw)은 노브 바디(161)의 복수의 측면(163)(164)(165)(166)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측면(163)(165)의 중간에 이들 측면(163)(165)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다. 그리고 세로 중심선(Lh)은 서로 마주하는 다른 두 개의 측면(164)(166) 중간에 가로 중심선(Lw)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다. 노브 바디(161)의 상면(162)에 대한 가로 중심선(Lw) 및 세로 중심선(Lh)은 노브(160)의 형상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는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170)에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170)가 노브(160)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의 평면 상에서 비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제조 시 노브(16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노브(160)가 정해진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은 상태로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경우, 노브 가이드부(170)가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와 맞물리지 못하고 노브 가이드부(170)가 하우징(110)과 간섭됨으로써 노브(160)가 하우징(110)에 조립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노브(160)는 정해진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만 하우징(110)에 조립될 수 있다.
노브 바디(161)에는 노브 가이드부(170) 이외에 스냅 핏 홈(172)과 노브 플런저 가압부(174)가 구비된다. 스냅 핏 홈(172)은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스냅 핏 돌기(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노브 바디(161)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노브 바디(161)의 서로 마주하는 두 측면(164)(166)의 내측에는 내격벽(167)(168)이 각각 구비되고, 이들 내격벽(167)(168)에 각각 스냅 핏 홈(172)이 마련된다. 스냅 핏 홈(172)이 노브(16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하우징(110)의 스냅 핏 돌기(124)가 노브(16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스냅 핏 돌기(124)가 스냅 핏 홈(172)에 삽입됨으로써 노브(16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못하며, 스냅 핏 돌기(124)가 노브(160)의 직선 이동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노브 플런저 가압부(174)는 노브 바디(161)의 상면(162) 일측으로부터 플런저(180)를 향해 돌출 구비된다. 사용자가 노브(160)를 누름 조작할 때, 노브 플런저 가압부(174)가 플런저(180)의 상단부에 접하여 플런저(180)를 스위치(135)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노브 플런저 가압부(174)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플런저(180)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노브 플런저 가압부(174)는 노브(160)의 상면(162) 이외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노브(16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가동형으로 설치되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플런저(180)는 노브(160)에 연동하여 스위치(135)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노브(160)와 스위치(135)사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플런저(180)는 노브(160)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의 평면 상에서 광원(150)으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측면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런저(180)가 하우징(110)의 일측 내측면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됨으로써, 플런저(180)로 인한 광량 감소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는 하우징(12) 내측에 가동형으로 배치되는 무빙 블록(13)이 광원(14)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광원(14)에서 조사된 후 노브(11)에 도달하는 빛의 광량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은 플런저(180)가 광원(150)의 광조사 범위 외곽 부위로 편중되어 배치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빛이 보다 넓은 범위로 노브(160)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50)의 출력을 높이거나, 하우징(110)이나 노브(160) 등의 부품 크기를 확대하지 않고도 광원(150)의 광조사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런저(180)는 노브(160)의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플런저 바디(181)와, 플런저 바디(181)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런저 가이드부(183)(184)를 포함한다. 플런저 바디(181)는 광원(150)에서 노브(160)를 향하는 빛을 가능한 차단하지 않도록 납작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플런저 가이드부(183)(184)는 플런저 바디(181)의 양측부 및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플런저 바디(181)의 일측면에 배치된다. 이들 플런저 가이드부(183)(184)는 플런저 바디(181)의 외측면에서 하우징 바디(111)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110)의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122)(123)에 삽입된다. 복수의 플런저 가이드부(183)(184)가 하우징(110)의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122)(123)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플런저(180)는 뒤틀리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 가이드부(183)(184)의 개수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런저 바디(18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플런저 노브 접촉부(185) 및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186)가 각각 구비된다. 플런저 노브 접촉부(185)는 노브(160)의 노브 플런저 가압부(174)와 접촉할 수 있도록 플런저 바디(181)의 상단으로부터 노브(160) 측으로 돌출된다. 도면에는 두 개의 플런저 노브 접촉부(185)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플런저 노브 접촉부(185)의 개수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186)는 플런저 바디(181)의 하단부에 플런저 바디(181)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186)에는 스위치(135)의 상단부에 접하는 플런저 스위치 가압부(187)가 하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플런저(180)가 스위치(135) 쪽으로 하강할 때 플런저 스위치 가압부(187)가 스위치(135)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스위치(135)를 작동시킬 수 있다.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186)는 플런저 보강 리브(188)에 의해 지지된다. 플런저 보강 리브(188)는 플런저 바디(181)와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186)를 연결함으로써,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186)의 변형을 막고 플런저(180)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여준다. 도면에는 한 쌍의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186)가 각각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186)의 개수나 형상,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플런저(18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노브(160)와 스위치(135)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노브(160)의 가압력을 스위치(135)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100)은 사용자가 노브(160)를 누르면 플런저(180)가 노브(160)에 의해 스위치(135) 쪽으로 가압되어 스위치(135)의 가동부를 눌러 작동시킨다. 이때 스위치(135)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는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의 특정 기능을 작동시키는 제어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노브(160)에서 손을 떼면 스위치(135)의 가동부가 탄력적으로 원상 복귀되면서 플런저(180) 및 노브(160)를 밀어올리고, 플런저(180) 및 노브(160)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사용자가 노브(160)를 다시 조작하는 경우, 스위치(135)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는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의 특정 기능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스위치(135)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는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에 대한 온, 오프 제어 신호 이외에,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 등 설치 대상 디바이스(200)의 제어부로 전달되어 다양한 제어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스위치(135)의 작동에 따라 광원(150)도 온-오프 제어되거나,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치(135)의 작동에 따라 광원(150)이 작동하는 경우, 광원(150)에서 발생하는 빛이 노브(160)의 노브 마크부(169)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며, 사용자가 노브(160)의 조명 상태를 보고 푸시 스위치 유닛(100)의 작동 상태를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100)은 종래 기술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다. 따라서 잔고장 발생의 위험이 낮고, 분해 후 재조립이 어렵지 않아 부품의 교체나 수리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닛(100)은 하우징(110) 내측의 구조가 단순하여 광원(150)에서 노브(160) 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가로막는 요소가 적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광원(150)의 조명 범위가 넓고, 설계 자유도가 높아 다양한 설치 대상 디바이스에 맞춰 맞춤형 제작이 유리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하우징(110)에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가 노브(160)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 형태로 마련되고, 노브(160)의 네 측면(163)(164)(165)(166)에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에 대응하는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170)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121)나 노브 가이드부(170)의 설치 개수나, 배치 구조,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 가이드부가 홈 형태로 구비되고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가 노브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 중 일부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일부는 홈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는 이들 노브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우징(110)과 노브(160)의 결합을 위해 하우징(110)에 스냅 핏 돌기(124)가 구비되고 노브(160)에 스냅 핏 돌기(124)가 삽입되는 스냅 핏 홈(172)이 마련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스냅 핏 돌기(124)나 스냅 핏 홈(172)의 설치 위치나 개수, 각각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에 스냅 핏 홈이 마련되고, 노브(160)에 이에 대응하는 스냅 핏 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우징(110)에 복수의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122)(123)가 노브(160)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 형태로 마련되고, 플런저(180)의 양측부 및 일측면에 복수의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122)(123)에 대응하는 복수의 플런저 가이드부(183)(184)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122)(123)나 플런저 가이드부(183)(184)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가이드부가 홈 형태로 구비되고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가 플런저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플런저 가이드부 중 일부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일부는 홈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의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는 이들 복수의 플런저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푸시 스위치 유닛
110 : 하우징 111 : 하우징 바디
113 : 하우징 수용홈 115 : 하부 바디
116 : 하우징 디바이스 결합부 117 : 하우징 커버 결합홈
118 :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 120 : 상부 바디
121 :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 122 :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
123 :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 124 : 스냅 핏 돌기
125 : 하우징 스토퍼부 130 : 하우징 바텀 커버
131 : 커버 하우징 결합돌기 135 : 스위치
140 : 기판 145 : 커넥터 핀
150 : 광원 160 : 노브
161 : 노브 바디 162 : 상면
163~166 : 측면 168 : 노브 마크부
170 : 노브 가이드부 172 : 스냅 핏 홈
174 : 노브 플런저 가압부 180 : 플런저
181 : 플런저 바디 183 : 플런저 가이드부
184 : 플런저 가이드부 185 : 플런저 노브 접촉부
186 :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 187 : 플런저 스위치 가압부
188 : 플런저 보강 리브 200 : 설치 대상 디바이스

Claims (16)

  1. 내측에 하우징 수용홈이 마련된 하우징;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수용홈에 배치되는 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상기 하우징 수용홈을 덮으면서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노브;
    상기 노브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수용홈에 설치되는 광원; 및
    상기 노브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와 상기 노브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의 평면 상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노브 바디와,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바디와, 상기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노브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하우징 노브 가이드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 중의 적어도 하나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바디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하측 가장자리에 한 쌍씩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바디의 네 개의 측면 각각에 상기 노브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브 가이드부는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가상의 평면 상에서 상기 노브 바디 상면의 가로 중심선 및 세로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노브 중 어느 하나는 스냅 핏 홈을 포함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스냅 핏 홈에 삽입되는 스냅 핏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냅 핏 홈이 상기 노브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스냅 핏 돌기가 상기 노브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플런저 바디와,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플런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런저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배치되는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의 직선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플런저 가이드부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일면과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하단부에 상기 플런저 바디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 바디와 상기 플런저 스위치 작동부를 연결하는 플런저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노브 바디의 내면측으로부터 상기 플런저 측으로 돌출되는 노브 플런저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노브 플런저 가압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노브 측으로 돌출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플런저 노브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노브에 대한 누름 조작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노브 바디의 하단부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설치 대상 디바이스에 상기 하우징 바디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디바이스 조립홈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디바이스 조립홈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홈에 삽입되는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가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오조립 방지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가 상기 디바이스 조립홈의 삽입 정위치에 대하여 180도 회전되어 상기 디바이스 조립홈에 삽입 시 상기 설치 대상 디바이스와 간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닛.
KR1020170079876A 2017-06-23 2017-06-23 푸시 스위치 유닛 KR102131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76A KR102131945B1 (ko) 2017-06-23 2017-06-23 푸시 스위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76A KR102131945B1 (ko) 2017-06-23 2017-06-23 푸시 스위치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33A true KR20190000633A (ko) 2019-01-03
KR102131945B1 KR102131945B1 (ko) 2020-07-08

Family

ID=6502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76A KR102131945B1 (ko) 2017-06-23 2017-06-23 푸시 스위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497B1 (ko) * 2021-11-23 2023-04-26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치
CN117395923A (zh) * 2023-12-07 2024-01-12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电子设备封装用壳体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63U (ja) * 1991-07-01 1993-01-2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ツチ装置
KR100465487B1 (ko) 2002-03-12 2005-01-13 주식회사 방산테크노로지 도어 고정 장치를 구비한 총기류 검색 시스템
KR200441764Y1 (ko) * 2007-05-10 2008-09-05 유철상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KR20160006080A (ko) * 2014-07-08 2016-01-1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스위치 조립체
KR20170049688A (ko) * 2015-10-27 2017-05-11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유니트
JP2017091615A (ja) * 2015-11-02 2017-05-2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組付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63U (ja) * 1991-07-01 1993-01-2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ツチ装置
KR100465487B1 (ko) 2002-03-12 2005-01-13 주식회사 방산테크노로지 도어 고정 장치를 구비한 총기류 검색 시스템
KR200441764Y1 (ko) * 2007-05-10 2008-09-05 유철상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KR20160006080A (ko) * 2014-07-08 2016-01-1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스위치 조립체
KR20170049688A (ko) * 2015-10-27 2017-05-11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유니트
JP2017091615A (ja) * 2015-11-02 2017-05-2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組付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497B1 (ko) * 2021-11-23 2023-04-26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치
CN117395923A (zh) * 2023-12-07 2024-01-12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电子设备封装用壳体模组及电子设备
CN117395923B (zh) * 2023-12-07 2024-03-05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电子设备封装用壳体模组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945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4344B2 (en) Seesaw switch
JP424856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20060000699A1 (en) Push switch
EP2775497B1 (en) Switch
EP3709328B1 (en) Middle light-emitting key switch
US6888075B2 (en) Push-button switch
US6900404B2 (en)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guiding a push button switch in a switch housing
US20060132347A1 (en) Switching device and remote control using the switching device
KR20190000633A (ko) 푸시 스위치 유닛
KR20160003029A (ko) 측변 풀컬러 발광 키보드 스위치
US9105416B2 (en) Push switch
US6777633B2 (en) Switch device
JP2016004767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113451064A (zh) 按钮开关
JP2007265938A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KR101714136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WO2015136729A1 (ja) 照光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JP200503270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10453630B2 (en) Surface mount snap switch
CN113436917B (zh) 开关
CN213635795U (zh) 中通道开关
KR101155265B1 (ko) 다방향 스위치 장치
JPH0722819Y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604409Y2 (ja) スイッチ装置
JP2012099241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