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272B1 -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272B1
KR101459272B1 KR1020130017094A KR20130017094A KR101459272B1 KR 101459272 B1 KR101459272 B1 KR 101459272B1 KR 1020130017094 A KR1020130017094 A KR 1020130017094A KR 20130017094 A KR20130017094 A KR 20130017094A KR 101459272 B1 KR101459272 B1 KR 101459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preparation
tablets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566A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3001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272B1/ko
Priority to US13/948,500 priority patent/US9311451B2/en
Priority to CN201310349545.9A priority patent/CN103995949A/zh
Priority to EP13180216.7A priority patent/EP2767916A3/en
Publication of KR2014010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6Trinkets, e.g. shirt buttons or jewellery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을 일시 집결시킨 후 포장 유닛으로 배출하는 정제 집결부, 상기 정제 집결부에 집결된 정제들의 영상을 획득하는 집결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집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조제 오류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Medicine checking apparatus based on image processing}
본 발명은 약제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방전에 따른 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검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약제 포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제 캐비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정제 형태의 약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자동으로 분배하여 포장해주는 도 1과 같은 약제 포장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약제 포장 장치는 각종 정제가 종류별로 수납되는 정제 캐비닛(10)과, 정제 캐비닛(10)의 하측에서 정제 캐비닛(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 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제 캐비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본체(11)와 컨테이너(12)를 구비한다. 캐비닛 본체(11)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캐비닛 본체(11)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쪽 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12)는 다수의 카트리지(13)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캐비닛 본체(11)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카트리지(13)들이 함께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카트리지(13)는 카트리지 케이스(13a)와 카트리지 케이스(13a)의 하단에 결합하는 카트리지 베이스(13b)를 구비한다. 카트리지 케이스(13a)에는 여러 종류의 정제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가 수납된다. 카트리지 베이스(13b)는 카트리지 케이스(13a)에 수납된 정제를 처방 신호에 따라 배출하도록 제어된다.
카트리지(13)들로부터 배출된 정제들은 해당 이송 통로를 통해 낙하하여 해당 중간 셔터(30)에 일시 수용되거나 중간 셔터(30)가 없을 경우 바로 호퍼(40)에 집결된다. 참고로 이송 통로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11061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중간 셔터(30)가 있을 경우, 중간 셔터(30)들은 정제들을 일시 수용한 후 개방되어 수용하고 있던 정제를 배출한다. 이에 중간 셔터(30)들로부터 배출된 정제들은 다시 낙하하여 호퍼(40)에 모두 집결된다. 호퍼(40)에 집결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은 호퍼(40) 하측에 위치한 포장 유닛(20)으로 배출되며, 포장 유닛(20)에 의해 1회 복용 분량씩 포장된다. 여기서 포장 유닛(2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포장지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포장지를 밀봉하는 밀봉 기기 및 포장지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이 자동으로 포장된다.
그런데 만일 조제 대상의 정제가 카트리지(13)의 동작 이상이나 시스템 에러 등으로 인해 카트리지(13)로부터 배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잘못된 조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베이스(13b)의 배출구(13b-1)에는 광학식의 센서(50)가 장착된다. 이 센서(50)는 정제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정제의 배출이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13)들로부터 조제 대상 정제들은 모두 배출되었으나, 호퍼(40)에는 모두 집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통로에서의 예상치 못한 문제로 인해 카트리지(13)들로부터 배출된 정제들 중 일부가 호퍼(40)에 집결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정제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광학식 센서(50)는 단지 물체가 배출구(13b-1)를 통과하는지 여부만을 감지한다. 따라서 만일 정제가 아닌 가루 날림과 같은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정제 배출로 오인할 소지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13a)에 지정된 종류의 정제가 아닌 다른 종류의 정제가 수용된 경우, 잘못된 정제의 배출인지를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여전히 잘못된 조제가 초래될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52493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11061호
본 발명은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보장할 수 있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을 일시 집결시킨 후 포장 유닛으로 배출하는 정제 집결부, 상기 정제 집결부에 집결된 정제들의 영상을 획득하는 집결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집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정제 수량, 형상, 색,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정제 집결부는 집결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의 무게를 인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무게를 더 고려하여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판단 결과 조제 오류일 경우에 상기 집결된 정제들을 회수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회수 제어에 따라 상기 정제 집결부로부터 배출된 정제들을 회수 영역으로 분류하거나 포장 영역으로 분류하는 분류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상기 획득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조제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조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영상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재조제 입력이 있을시 상기 집결된 정제들이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상기 포장 유닛에 의해 포장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의 영상을 획득하는 포장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포장 유닛에 의해 포장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의 영상을 획득하는 포장 영상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정제 수량, 형상, 색,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조제 오류일 경우에 해당 포장 용지가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회수 제어에 따라 회수 대상 포장 용지에 회수용 마크하는 회수 마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상기 획득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조제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조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영상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재조제 입력이 있을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제 영상에 대응하는 정제들이 포장된 포장 용지가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어 집결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 혹은 포장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하므로, 조제 오류 발생시 이를 명확히 구별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에 대한 무게 정보를 더 고려하여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하므로,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조제 오류 발생한 정제들을 자동으로 회수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구별시킴으로써, 관리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부가적으로 관리자(약사)로 하여금 직접 조제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조제 진행을 컨트롤할 수 있게 함으로써, 법적으로 약사가 반드시 조제 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 이를 만족시킨다. 또한 약사가 직접 시각적으로 조제 오류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제 검사 장치의 검사 오류에 의한 잘못된 조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1차로 집결 정제 영상을 분석하여 조제 오류를 검사하고 2차로 포장 정제 영상을 분석하여 조제 오류를 검사하므로, 결과적으로 조제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종래 약제 포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제 캐비닛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카트리지 베이스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영상 획득부인 카메라 배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형상 관련 영상 처리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분류기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류기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분류기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UI 화면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블록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블록도이다.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약제 포장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와 입력부(110)와 저장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제 집결부(140)와 집결 영상 획득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표시부(10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FT-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aply)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입력부(110)는 터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10)는 표시부(100)와 일체로 구현되어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에 따라 조제에 대한 블랙박스 기능을 위해 이용된다. 통신부(130)는 내부 통신부(131)와 외부 통신부(132)를 포함한다. 내부 통신부(131)는 약제 포장 장치 내 카트리지와 같은 통신 가능한 유닛들과의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통신의 신뢰성 보장을 위해 유선 통신 규격에 따를 수 있으며, 시리얼 통신으로서 반이중 통신(half-duplex communication)을 예로 들 수 있다. 외부 통신부(132)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유선 혹은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약사 등 관리자가 사용하는 컴퓨터로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조제 정보를 입력받아 약제 포장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정제 집결부(140)는 조제 명령에 따라 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된 1회 복용 분량의 조제 대상 정제들을 일시 집결시킨 후 1회 복용 분량 단위로 포장되도록 포장 유닛으로 배출하는 호퍼(hopper)이다. 이 호퍼는 일시 집결된 조제 대상 정제들을 포장 유닛으로 배출하기 위해 개방 제어되는 개폐 수단(일명 ‘셔터’라 함)을 포함한다. 집결 영상 획득부(150)는 정제 집결부(140)에 집결된 정제들의 영상을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집결 영상 획득부(150)는 정제 집결부(140)의 집결 영역을 촬영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151)로 구성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51)는 호퍼의 상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로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정제에 대한 용이한 삼차원 형상 예측을 위해 스테레오 모아레(Moire)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영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조명부(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조명부(170)는 정제 집결부(140)의 집결 영역을 조명하는데, 조명을 위한 광원으로는 가시광, 적외선, 자외선, 레이저, X-ray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조제 정보 또는 서버로부터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조제 정보에 따른 조제 명령 데이터를 해당 카트리지들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카트리지들로부터 조제 대상 정제들이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의 동작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집결 영상 획득부(150)는 정제 집결부(140)에 집결된 조제 대상 정제들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며, 획득된 영상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전달된 영상을 분석한다. 영상 분석을 통해 정제 정보가 인식될 수 있으며, 또한 약품의 크랙 등 불량 정보와 이물질 삽입 등도 인식될 수 있다. 여기서 인식되는 정제 정보에는 정제의 총 수량과 정제별 형상, 색, 크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다. 참고로 형상 관련 영상 처리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조제 대상 정제들에 대해 촬영된 이미지 획득
(b) 획득된 이미지 확장(scale_image 적용)
(c) 정제(알약) 후보 영역 추출(threshold)
(d) 정제들의 붙어있는 영역 분리를 위한 영역 침식(erosion), 붙어있는 영역에서의 형태 복원을 위해 opening 적용, 정제 분리(connection), 실제 정제 영역 복귀 dilation
(e) 정제 아닌 부분 제거
(f) 정제 종류 구분(형상 및 색상)
(g) 정제 영역 추출 및 추출된 영역을 둘러싼 임의의 타원 영역을 생성하여 장축과 단축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원, 타원, 작은 타원을 분리
제어부(160)는 위와 같은 영상 분석을 통해 정제 정보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정제 정보와 조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적절한 오차 범위를 두어 판단할 수 있다. 정제의 종류와 종류별 수량이 모두 일치하면, 자동으로 정상적인 조제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정제의 종류와 종류별 수량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60)는 조제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약품의 크랙 등 불량 정보와 이물질 삽입 등이 인식된 경우에도, 제어부(160)는 조제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알림 방식으로는 에러 화면 표시, 에러 발생을 알리는 오디오 출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에러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조제 에러 발생시 조제 오퍼레이션을 일시 중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정제 집결부(140)는 집결된 정제들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제 집결부(140)에는 무게 측정을 위한 전자 저울과 같은 무게 측정 유닛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무게 측정 유닛은 무게 측정을 위해 정제 집결부(140)에 집결된 정제들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정제 집결부(140)에 의해 무게가 측정될 경우, 제어부(160)는 측정된 무게 정보를 더 고려하여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조제에 대한 신뢰도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60)는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 조제 오류일 경우에 정제 집결부(140)에 집결된 정제들이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분류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류기(180)는 호퍼(140)의 하측에 마련되는데, 상부가 개구되고 양 옆에 제1개방구(182a)와 제2개방구(182b)를 갖는 분류 용기(181)와, 회전 동작함에 따라 제1개방구(182a)와 제2개방구(182b)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분류판(183), 및 분류판(183)을 회전 구동시키는 분류판 구동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류 용기(181)는 호퍼(140)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상부 개구를 통해 공급받는다. 제1개방구(182a)는 정상 조제로 판단된 정제들을 배출시켜 포장 처리될 수 있게 한다. 제2개방구(182b)는 비정상 조제로 판단된 정제들을 배출시켜 회수 처리될 수 있게 한다. 분류판(18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방구(182a)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경사져 위치됨으로써, 정상적인 정제들을 제1개방구(182a)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분류판(18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방구(182b)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경사져 위치됨으로써, 비정상적인 정제들을 제2개방구(182b)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분류판 구동부(184)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분류판 구동부(184)를 제어해서 분류판(183)에 의해 제1개방구(182a) 혹은 제2개방구(182b)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분류판 구동부(184)는 회전 모터(185)와, 회전 모터(185)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 기어(186)와, 구동 기어(186)와 치합되고 분류판(183)에 결합된 종동 기어(18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모터(185)의 회전력은 구동 기어(186)와 종동 기어(187)를 거쳐 분류판(183)으로 전달됨으로써, 분류판(183)이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분류판 구동부(184)는 분류판(183)을 회전 구동시키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분류기(18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분류기(180)는 상부가 개구된 분류 용기(191)와, 분류 용기(191)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92)를 포함한다. 분류 용기(191)는 호퍼(140)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상부 개구를 통해 공급받는다. 분류 용기(191)는 하단이 컨베이어(192)의 벨트(193)에 고정되어, 벨트(193)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컨베이어(192)의 하측 영역 중 좌측 영역이 정상적인 정제들을 포장 처리하는 포장 영역으로 설정되고, 우측 영역이 비정상적인 정제들을 회수 처리하는 회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류 용기(191) 내에 정상적인 정제들이 공급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9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분류 용기(191)가 좌측으로 이송되어 뒤집어짐으로써, 분류 용기(191) 내의 정상적인 정제들은 포장 영역으로 배출될 수 있다. 분류 용기(191) 내에 비정상적인 정제들이 공급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9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분류 용기(191)가 우측으로 이송되어 뒤집어짐으로써, 분류 용기(191) 내의 비정상적인 정제들은 회수 영역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192)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벨트(193)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서 분류 용기(191)를 포장 영역 또는 회수 영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분류기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영상 처리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조제 이력에 대한 블랙박스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집결 영상 획득부(150)에 의해 획득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조제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여기서 조제 정보에는 조제 대상 정제들의 종류와 수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샘플 이미지도 포함될 수 있다. 이 같이 저장된 조제 관련 데이터는 조제와 관련하여 법적인 다툼시 증빙자료로 사용되기 위해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영상 처리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관리자로 하여금 조제 현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제 현황 정보를 화면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처방전에 따른 조제 정보와 집결 영상 획득부(150)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를 표시부(100)로 출력한다. 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이 도 12와 도 13에 예시되어 있다. 도 12는 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UI를 나타내며, 도 13은 조제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UI를 나타낸다. 먼저, 도 12를 살펴본다. 도 12의 우측 상단에 도시된 조제 대상 약품 준비 중 이미지는 조제 대상 정제의 종류는 셋이며, 각각 하나씩 총 수량은 셋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우측 하단의 조제 영상 정보 이미지는 정제 집결부(140)에 집결된 정제들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조제 대상 약품과 일치하는바 이상 없음(OK)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관리자는 이를 확인하고 ‘계속 진행’버튼을 선택하여 조제를 계속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가 ‘정지’버튼을 선택할 경우에는 조제가 중단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살펴본다. 도 13의 우측 상단에 도시된 ‘조제 대상 약품 준비 중’이미지는 조제 대상 정제의 종류는 셋이며, 그 중 하나는 수량이 둘이며 나머지는 각각 하나씩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우측 하단의 ‘조제 영상 정보’이미지는 정제 집결부(140)에 집결된 정제들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정제의 종류는 총 셋으로 각 종류별 하나씩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조제 대상 정제와 일치하지 않는바 에러, 즉 비정상적으로 조제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잘못된 사항에 대해서는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붉은색으로 구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이를 확인하고 ‘정지’ 버튼을 선택하여 조제를 중단시키거나 ‘재조제’버튼을 선택하여 조제가 다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재조제’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60)는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이 다시 조제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분석 오류에 따른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의 UI 화면에서는‘조제 대상 약품 준비중’에 나타난 조제 대상 정제들과 ‘조제 영상 정보’에 나타난 조제 정제들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영상 분석 오류로 인해 조제가 비정상적으로 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5의 UI 화면에서는 ‘조제 대상 약품 준비중’에 나타난 조제 대상 정제들과 ‘조제 영상 정보’에 나타난 조제 정제들이 동일하지 않음에도 영상 분석 오류로 인해 조제가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관리자는 직접 눈으로 ‘조제 대상 약품 준비중’과 ‘조제 영상 정보’를 확인 및 비교하여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가 잘못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의 경우, 관리자는 ‘재조제’버튼 대신에 ‘계속 진행’버튼을 선택하여 조제가 계속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의 경우, 관리자는 ‘계속 진행’버튼 대신에 ‘재조제’버튼을 선택하여 조제가 다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가 ‘재조제’버튼을 선택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정제 집결부(140)에 집결된 정제들이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조제 오류일 경우 무조건 회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를 표시부(100)로 출력한 후에 사용자가 ‘재조제’버튼을 선택 입력한 경우에만 회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와는 무관하게 사실상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회수 제어 수행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블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에 포함된 구성들 중 표시부(200), 입력부(210), 저장부(220), 통신부(230)는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동일명의 구성들과 사실상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포장 영상 획득부(240)는 정제 집결부(140)로부터 배출되어 포장 유닛에 의해 포장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의 영상을 획득한다. 즉, 포장 영상 획득부(240)는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이 포장된 포장 용지를 촬영하여 그 정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포장 용지로는 투명한 용지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장 영상 획득부(240)는 컨베이어 상의 특정 영역을 촬영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포장 영상 획득부(240)는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포장 용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포장 영상 획득부(240)로 이용되는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으며, 특히 정제에 대한 용이한 삼차원 형상 예측을 위한 스테레오 모아레(Moire) 카메라일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영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일 수 있으며,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제 정보에 따른 조제 명령 데이터를 해당 카트리지들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카트리지들로부터 정제들이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도 16에 도시된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의 동작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 영상 획득부(240)는 1회 복용 분량이 포장되어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중인 포장 용지의 영상을 획득한다. 포장 영상 획득부(240)는 컨베이어 상의 지정된 촬영 영역에 대해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게 되는데, 포장 용지가 촬영 영역에 도달하는 시점을 파악하여 촬영을 수행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퍼가 정제들의 배출을 위해 개방 제어되면, 개방된 시점부터 포장 영상 획득부(240)의 촬영 영역에의 도달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은 거의 고정적이라 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250)는 이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포장 영상 획득부(240)의 촬영을 제어하면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포장 용지의 촬영 영역 도달을 감지하는 용지 감지부(280)를 더 포함한다. 용지 감지부(280)는 촬영 영역의 소정 지점, 예를 들어 진입 지점으로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이 광센서를 이용하여 포장 용지의 촬영 영역 도달을 감지하는데, 이를 위해 포장 용지에는 광을 미반사시키는 물질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적외선 흡수 물질이 인쇄되어 있어, 용지 감지부(280)는 반사광의 세기를 구별하여 포장 용지의 도달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포장 용지가 촬영 영역에 도달함이 파악되면, 제어부(250)는 포장 영상 획득부(240)로 하여금 그 도달한 포장 용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게 한다. 이에 포장 영상 획득부(240)는 포장 용지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며, 획득된 영상을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제어부(250)는 전달된 영상을 분석하여 정제 정보를 인식한다. 여기서 인식되는 정제 정보에는 정제의 총 수량과 정제별 형상, 색, 크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다. 제어부(250)는 인식된 정제 정보와 조제 정보에 따른 정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적절한 오차 범위를 둘 수 있다. 정제의 종류와 종류별 수량이 모두 일치하면, 자동으로 정상적인 조제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정제의 종류와 종류별 수량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50)는 조제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알림 방식으로는 에러 화면 표시, 에러 발생을 알리는 오디오 출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50)는 에러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부(230)를 통해 서버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조제 에러 발생시 조제 오퍼레이션을 일시 중단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어부(250)는 영상 내 포장 용지를 분석하여 용지가 찢어지거나 하는 등의 용지 불량 여부를 파악하거나 포장 용지에 인쇄된 인쇄 요소를 분석하여 인쇄 불량 여부도 파악할 수 있으며, 용지 불량 혹은 인쇄 불량의 경우에도 조제 불량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250)는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 조제 오류일 경우에 회수 대상 정제들이 포장된 포장 용지가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50)는 회수 대상 포장 용지에는 회수용임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한다. 이를 위해, 회수 마크부(270)가 더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수 마크부(270)는 포장 용지에 하나 이상의 작은 구멍을 낼 수 있는 펀치 유닛이다. 이 펀치 유닛은 포장 완료 후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포장 용지에 구멍을 낼 수 있도록 컨베이어 상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조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펀치 유닛을 제어하여 촬영 영역을 통과한 회수 대상 포장 용지에 마크 표시를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이 조제된 포장 용지들 중 잘못 조제된 포장 용지를 용이하게 구별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영상 처리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조제 이력에 대한 블랙박스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포장 영상 획득부(240)에 의해 획득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조제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여기서 조제 정보에는 조제 대상 정제들의 종류와 수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샘플 이미지도 포함될 수 있다. 이 같이 저장된 조제 관련 데이터는 조제와 관련하여 법적인 다툼시 증빙자료로 사용되기 위해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영상 처리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관리자로 하여금 조제 현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제 현황 정보를 화면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처방전에 따른 조제 정보와 포장 영상 획득부(240)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를 표시부(200)로 출력한다. 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이 도 12, 13, 14, 15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50)는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조제 오류일 경우 무조건 회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조제 이상 여부 판단 결과를 표시부(200)로 출력한 후에 사용자가 ‘재조제’버튼을 선택 입력한 경우에만 회수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처리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구성들과 도 16에 도시된 구성들이 병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중복되는 구성들이 단일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같이 하면, 영상 처리 기반 조제 검사 장치는 2회의 조제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즉, 우선 정제 집결부(140)에 집결된 정제들을 대상으로 영상 분석 기반 조제 검사를 수행한 후에 정제들이 포장된 포장 용지를 대상으로 영상 분석 기반 조제 검사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 같이 하면, 비정상 조제를 보다 확실히 선별해낼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표시부 110 : 입력부
120 : 저장부 130 : 통신부
140 : 정제 집결부(호퍼) 150 : 집결 영상 획득부
160 : 제어부 170 : 조명부
180 : 분류기
200 : 표시부 210 : 입력부
220 : 저장부 230 : 통신부
240 : 포장 영상 획득부 250 : 제어부
260 : 조명부 270 : 회수 마크부
280 : 용지 감지부

Claims (35)

  1. 표시부;
    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을 일시 집결시킨 후 포장 유닛으로 배출하는 정제 집결부;
    상기 정제 집결부에 집결된 정제들의 영상을 획득하는 집결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집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정제 수량, 형상, 색, 크기 중 정제 수량을 포함한 적어도 둘 이상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처방전에 따른 조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영상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표시부로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재조제 입력이 있을시 상기 정제 집결부에 집결된 정제들이 회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집결부는 집결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의 무게를 인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무게를 더 고려하여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조제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회수 제어에 따라 상기 정제 집결부로부터 배출된 정제들을 회수 영역으로 분류하거나 포장 영역으로 분류하는 분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정제 집결부의 집결 공간을 촬영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집결부의 집결 공간을 조명하는 조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유닛에 의해 포장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의 영상을 획득하는 포장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조제 이상 여부를 추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정제 수량, 형상, 색,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조제 이상 여부를 추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판단 결과 조제 오류일 경우에 해당 포장 용지가 회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회수 제어에 따라 회수 대상 포장 용지에 회수용 마크하는 회수 마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조제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조제 정보와 상기 포장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재조제 입력이 있을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제 영상에 대응하는 정제들이 포장된 포장 용지가 회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회수 대상 포장 용지에 회수용 마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영상 획득부는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이 포장된 포장 용지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도달한 포장 용지를 감지하는 용지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 감지부의 감지 결과 포장 용지 도달시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23. 표시부;
    포장 유닛에 의해 포장된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의 영상을 획득하는 포장 영상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정제 수량, 형상, 색, 크기 중 정제 수량을 포함한 적어도 둘 이상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조제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처방전에 따른 조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영상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표시부로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재조제 입력이 있을시 해당 포장 용지가 회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24. 삭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조제 이상 여부 외에 포장 용지 불량 여부와 포장 용지에의 인쇄 불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26. 삭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조제 오류 또는 포장 용지 불량 또는 인쇄 불량일 경우에 해당 포장 용지가 회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28. 제23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회수 제어에 따라 회수 대상 포장 용지에 회수용 마크하는 회수 마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과 그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조제 이상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조제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30. 삭제
  31. 삭제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회수 대상 포장 용지에 회수용 마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영상 획득부는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1회 복용 분량의 정제들이 포장된 포장 용지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도달한 포장 용지를 감지하는 용지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 감지부의 감지 결과 포장 용지 도달시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KR1020130017094A 2013-02-18 2013-02-18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KR10145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094A KR101459272B1 (ko) 2013-02-18 2013-02-18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US13/948,500 US9311451B2 (en) 2013-02-18 2013-07-23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medication dispensing error
CN201310349545.9A CN103995949A (zh) 2013-02-18 2013-08-12 用于防止药物分配错误的药物分配设备
EP13180216.7A EP2767916A3 (en) 2013-02-18 2013-08-13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medication dispensing e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094A KR101459272B1 (ko) 2013-02-18 2013-02-18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566A KR20140103566A (ko) 2014-08-27
KR101459272B1 true KR101459272B1 (ko) 2014-11-07

Family

ID=5174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094A KR101459272B1 (ko) 2013-02-18 2013-02-18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357A (ko) * 2017-07-12 2019-01-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음각 표시 인식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폐의약품 분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873B1 (ko) * 2020-07-23 2021-02-09 조성훈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KR102627025B1 (ko) * 2021-11-02 2024-01-19 주식회사 이에스피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알약 계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285B1 (ko) * 2005-05-25 2006-11-27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시스템
KR20070018763A (ko) * 2003-08-19 2007-02-14 글로벌 팩토리즈 비.브이. 일련의 약품을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0149894A (ja) * 2008-12-25 2010-07-08 Fuji Seal International Inc 充填装置
KR20120104522A (ko) * 2009-11-17 2012-09-2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8763A (ko) * 2003-08-19 2007-02-14 글로벌 팩토리즈 비.브이. 일련의 약품을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50285B1 (ko) * 2005-05-25 2006-11-27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시스템
JP2010149894A (ja) * 2008-12-25 2010-07-08 Fuji Seal International Inc 充填装置
KR20120104522A (ko) * 2009-11-17 2012-09-2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분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357A (ko) * 2017-07-12 2019-01-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음각 표시 인식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폐의약품 분류 장치
KR101977477B1 (ko) 2017-07-12 2019-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음각 표시 인식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폐의약품 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566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1451B2 (en)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medication dispensing error
KR100650285B1 (ko) 약포 검사시스템
US11651864B2 (en) Drug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3299997B1 (en)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AU2005306311B2 (en) Automated drug discrimination during dispensing
US98368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aged medicament inspection
WO2014050486A1 (ja) 薬剤検査支援装置及び方法
US10373311B2 (en) Medicine inspection assistance device
EP3248585B1 (en) Control apparatus
KR101459272B1 (ko)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KR20140105625A (ko) 영상 기반 관리자 조제 검사 가능한 약제 포장 장치 및 관리 서버
JP2014221134A (ja) 一包化薬剤鑑査装置
KR20140135934A (ko) 영상 기반 관리자 조제 검사 가능한 약제 포장 장치
JP5127087B2 (ja) Ptp包装機および錠剤分包機
KR101764238B1 (ko) 정량포장이 가능한 약품 검사장치
KR101646848B1 (ko) 의약품 조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659140B1 (ko) 비전을 이용한 다기능 불량 판별 및 카운팅 시스템
KR102162359B1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US11595595B2 (en)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CN112203779B (zh) 检查过程
WO2022092130A1 (ja) 種類判別装置、種類判別方法、種類判別プログラム、及び薬剤仕分装置
CN206494211U (zh) 一种锭剂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