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873B1 -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873B1
KR102214873B1 KR1020200091425A KR20200091425A KR102214873B1 KR 102214873 B1 KR102214873 B1 KR 102214873B1 KR 1020200091425 A KR1020200091425 A KR 1020200091425A KR 20200091425 A KR20200091425 A KR 20200091425A KR 102214873 B1 KR102214873 B1 KR 10221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ll
image
packaged
portabl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조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훈 filed Critical 조성훈
Priority to KR102020009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약을 파우치에 포장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는 조제기와, 상기 조제기의 출구부 일측에 설치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로 공급되는 포장알약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와, 상기 영상촬영부와 연동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와 연동되고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포장알약의 이미지와 비교데이터를 대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을 분석하는 분석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Portable automatic sign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제기의 출구부 일측에 포터블한 검수기가 설치됨으로서, 출구부로 부터 공급되는 포장알약을 제어부 및 분석서버부를 통해 알약의 종류 및 알약의 정량 조제 유무 등을 검수하기 위한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 포장 장치는 인쇄 기능이 없는 단순 약 포장을 위한 약 포장 장치와 약사가 직접 처방전의 조제 약들을 일일이 손으로 선택하여 인쇄하는 반자동(semiautomatic) 인쇄형 약 포장 장치인 두 가지 약 포장 장치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대형 병원의 경우, 전자동 시스템(automatic system)을 채용한 고가의 대형 약 포장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소형 병원이나 약국은 값비싼 반자동 시스템을 채용한 저가의 소형 약 포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조제약 불출 시스템은, 약제가 포장되기 이전 약제 파우치에 인쇄되는 약제의 종류 및 수량 등에 관한 인쇄 정보 및 약제가 포장된 이후 비젼 장치(vision apparatus) 등에 의해 촬영된 약제 파우치의 촬영 이미지가 별도로 관리되어, 사용자가 빠르고 정확하게 약제의 조제 이력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약제가 포장되기 이전 약제 파우치에 인쇄되는 인쇄 정보가 텍스트 파일로 관리되어 사용자가 쉽게 편집 가능하기 때문에, 약제조제 이력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어 약제의 잘못된 조제로 인한 약화 사고의 발생을 증명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고 포장한 다음, 약제 조제 이력을 확인과, 사용자가 일일이 약제 파우치에 삽입한 후, 알약의 종류 및 형상과 갯수를 육안으로 파악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과, 약제의 잘못된 조제로 인한 약화 사고가 빈번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59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제기의 출구부 일측에 포터블한 검수기가 설치되어, 출구부로 부터 공급되는 포장알약을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알약의 종류 및 알약의 정량 조제 유무를 신속히 검수하기 위한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알약의 종류 및 알약의 정량 조제 유무에 따라 제어부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하여 약화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알약을 파우치에 포장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는 조제기와, 상기 조제기의 출구부 일측에 설치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로 공급되는 포장알약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와 연동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와 연동되고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포장알약의 이미지와 비교데이터를 대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을 분석하는 분석서버부;
를 포함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서버부는,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포장알약을 분석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구부 일측에 설치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분석서버부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출구부에 위치한 상기 포장알약의 무게정보를 전송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서버부는,
상기 알약의 기준무게와 상기 로드셀에서 전송받은 상기 포장알약의 무게를 비교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 일측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과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의 무게와 상기 알약의 기준무게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 이미지와 비교데이터와 대조 시, 상기 알약의 형상과 갯수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약을 파우치에 포장하여 출구부 측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출구부로 공급된 포장알약을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처리부를 통해 처리하는 처리단계;
상기 영상처리부와 통신부가 연동되어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단계;
상기 통신부와 제어부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포장알약의 이미지와 비교데이터와 대조하는 대조단계;
상기 제어부와 분석서버부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분석단계;
를 포함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이용한 검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단계에서,
상기 분석서버부는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포장알약을 분석하는 알고리즘 분석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이용한 검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에 따르면, 조제기의 출구부 일측에 포터블한 검수기가 설치되어, 출구부로 부터 공급되는 포장알약을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알약의 종류 및 알약의 정량 조제 유무를 신속히 검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알약의 종류 및 알약의 정량 조제 유무에 따라 제어부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하여 약화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의 검수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이용한 검수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6(a)와, (b)는 영상촬영부에서 포장알약을 촬영한 사진,
도 7(a), (b), (c)는 다양한 포장알약의 형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의 검수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이용한 검수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a)와, (b)는 영상촬영부에서 포장알약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7(a), (b), (c)는 다양한 포장알약의 형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제기(100)는, 알약을 파우치에 포장하여 출구부 측에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제기(100)는 환자가 복용해야할 처방전에 의해 복수개의 알약을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알약이 조제되는 용량에 따라 하나의 알약을 1/2 T, 1/3 T 등의 분절약 형태로 환자가 복용해야할 용량에 맞도록 분절하여, 이를 취합하고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공급된 상기 알약은 상기 조제기(100) 일측에 설치된 포장장치에 의해 파우치(120) 내부로 공급과 동시에 밀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장장치에서 환자의 정보와 처방전의 약제 정보 등을 상기 파우치(120)에 인쇄하는 인쇄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포장알약(130)은 상기 조제기(100) 일측에 설치된 출구부(110) 측으로 자동으로 공급하여 환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검수기(200)는 상기 출구부(1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구부(110) 측으로 자동 공급된 포장알약(130)을 검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검수기(200)는 크게 영상촬영부(210), 영상처리부(220), 통신부(230), 제어부(240), 분석서버부(250), 디스플레이(26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검수기(200)는 상기 출구부(110)로 공급되어 포장알약(130)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210)와, 상기 영상촬영부(210)와 연동되는 영상처리부(220)와, 상기 영상처리부(220)와 연동되고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230)와, 상기 통신부(230)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된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와 비교데이터를 대조하는 제어부(240)와, 상기 제어부(240)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130)을 분석하는 분석서버부(2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영상촬영부(210)는, 상기 출구부(110)로 공급되어 상기 포장알약(130)을 촬영하게 되는데, 상기 영상촬영부(210)는 상기 출구부(110) 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항시 위치하여 상기 포장알약(130)의 외형을 촬영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영상촬영부(210)는 객체 인식 알고리즘 회로가 내장된 다양한 형태의 IP 카메라, 네트워크 카메라, 웹캠, CCTV 등이 될 수 있으며, 카메라 형태는 고정형 카메라, 회전형 카메라, 돔형 카메라, 박스형 카메라, PTZ 카메라 등을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젼장치(Vision apparatus)를 사용하여 정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영상촬영부(210)에서는 포장알약(130)의 2D 이미지 즉, 평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지만, 검수자의 시각에 따라 상기 포장알약(130) 끼리 겹쳐보이거나, 원근감에 의해 상기 포장알약(130)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3D 이미지를 촬영하여 알약의 갯수 및 형태 등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처리부(220)는, 상기 상기 영상촬영부(210)와 연동되어 이하 설명될 통신부(230) 측으로 상기 영상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동작 등을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 등의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 등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230)는, 상기 영상처리부(220)와 연동되고 유무선 통신하게 되는데, 상기 통신부(230)는 상기 영상처리부(220)에서 촬영된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를 이하 설명될 제어부(24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통신부(230)는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230)는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조제기(100) 또는 검수기(200)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내장 또는 외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조제기(100) 또는 검수기(200)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내장 또는 외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HD, WiGig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통신부(230)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된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와 비교데이터를 대조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비교데이터는 최종 조제될 알약의 단품 비교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약학정보원 등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알약의 길이, 두께, 형상, 색깔 등의 외형의 정보와, 더 나아가, 제조회사, 분류, 제형, 성상, 분할선 등의 식별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제어부(240)와 연동된 상기 통신부(230)의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받거나 기타 저장매체에 별도로 저장된 자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분석서버부(250)는, 상기 제어부(240)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130)을 분석하게 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포장알약(130)이 환자가 복용해야할 처방전에 맞도록 제조되어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석서버부(250)는,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포장알약(130)을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포장알약(130)은 환자의 병력에 따른 처방전에 따라 알약의 종류가 다양하고, 알약의 복용용량에 따라 하나의 알약을 1/2 T, 1/3 T 등의 분절약의 경우에 쪼개진 알약의 형상, 크기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객체인식 알고리즘은 영상의 특정 객체를 알약의 형상, 알약의 길이, 알약의 두께, 알약의 쪼개짐 정도(1/2 T, 1/3 T 등의 분절약) 등의 특징값으로 구분하고, 이 특징값을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객체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객체 인식 방법으로 최종 조제될 알약의 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공급되는 상기 포장알약(130)을 비교하여 영상 간 차이에 의해 객체를 인식할 수도 있으며, 다른 예로는 라플라시안(Laplacian) 에지 검출 알고리즘, 캐니(Canny) 에지 검출 알고리즘, 라인(Line) 에지 검출 알고리즘 등과 같은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 내 파우치(120)의 경계선을 검출하고 경계선 내에 있는 알약의 객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석서버부(250)는 복수의 객체를 동시에 인식하기 위해 YOLO(You Only Look Once),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와 같은 객체 인식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YOLO는 객체 인식을 회귀로 접근하여 전체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훈련 및 검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 상기 영상촬영부(210)로 부터 입력된 영상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거쳐 텐서(Tensor)형태로 출력된다.
이 텐서는 영상을 격자 형태로 나눠 각 구역을 표현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해당 구역 객체를 인식한다. 또한 YOLO는 객체를 인식하는 빠른 처리속도와 높은 정확도가 장점이다.
아울러, 상기 분석서버부(250)는 상기 영상촬영부(210)에서 3D로 촬영된 상기 포장알약(130)의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에이다부스트(AdaBoost),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선형판별식 해석(Linear Disciminant Analysis: LDA),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usis: PCA) 등의 알고리즘이 내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 기법들은 모두 외형에 기반하여 인식대상 영역을 식별하는 것으로, 트레이닝에 사용될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 집합에 의해 트레이닝된 모델을 이용해서 상기 포장알약(130)의 외형, 크기 등을 검출하며, 여러 주변의 제약 조건들이 트레이닝을 통해 극복되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포장알약(130)의 인식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출구부(110) 일측에 로드셀(140)이 설치되고, 상기 로드셀(140)은 상기 통신부(230)를 통해 상기 분석서버부(250)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출구부에 위치한 상기 포장알약(130)의 무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서버부(250)는, 상기 알약의 기준무게와 상기 로드셀(140)에서 전송받은 상기 포장알약(130)의 무게를 비교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포장알약(130)의 무게정보를 통해, 조제된 상기 포장알약(130)의 무게를 확인하게 되고, 확인된 무게와 알약의 기준무게를 비교하여 환자가 복용해야할 처방전에 맞도록 제조되어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 일측에 디스플레이(26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로드셀(140)과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130)의 무게와 상기 알약의 기준무게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60)를 통해 최종 조제된 알약이 상이하여 불출이 불가하다는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디스플레이(260)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와 비교데이터와 대조 시, 상기 알약의 형상과 갯수 등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60)를 통해 최종 조제된 알약이 상이하여 불출이 불가하다는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셀(140)은 알약의 무게 측정은 상기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한 이미지 분석과 더불어, 이미지 분석에 한계가 있는 경우, 즉, 크기가 큰 알약 뒤에 크기가 작은 알약(분절약 등)이 가려져 이미지 분석오류를 야기시키거나, 분절약의 절단면 형상이 고르지 못한 경우를 보완하여 알약의 정량 포장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포장알약(130)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검수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스위치(Switch)나 패드(Pad)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검수기(200)에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를 이용한 검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알약을 파우치(120)에 포장하여 출구부(110) 측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S10)가 수행된다.
이후, 상기 출구부(110)로 공급된 포장알약(130)을 영상촬영부(210)를 통해 촬영하는 촬영단계(S20)가 수행된다.
이후, 상기 영상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처리부(220)를 통해 처리하는 처리단계(S30)가 수행된다.
이후, 상기 영상처리부(220)와 통신부(230)가 연동되어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단계(S40)가 수행된다.
이후, 상기 통신부(230)와 제어부(24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된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와 비교데이터와 대조하는 대조단계(S50)가 수행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240)와 분석서버부(250)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분석단계(S60)가 수행되는데, 상기 분석단계(S60)에서, 상기 분석서버부(250)는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포장알약을 분석하는 알고리즘 분석단계(S61)가 더 수행되어 상기 포장알약(130)의 이미지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한 자동 조제기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은, 조제기(100)의 출구부(110) 일측에 포터블한 검수기(200)가 설치되어, 상기 출구부(110)로 부터 공급되는 포장알약(130)을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알약의 종류 및 알약의 정량 조제 유무를 신속히 검수할 수 있고, 상기 포장알약(130)의 종류 및 알약의 정량 조제 유무에 따라 상기 제어부(240)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260)를 통해 알림하여 약화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조제기 110 : 출구부
120 : 파우치 130 : 포장알약
140 : 로드셀 200 : 검수기
210 : 영상촬영부 220 : 영상처리부
230 : 통신부 240 : 제어부
250 : 분석서버부 260 : 디스플레이

Claims (9)

  1. 알약을 파우치에 포장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는 조제기의 출구부 일측에 설치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로 공급되는 포장알약을 3D로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와 연동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와 연동되고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포장알약의 이미지와 비교데이터를 대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을 분석하는 분석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서버부는,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포장알약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서버부는, YOLO(You Only Look Once) 또는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중 어느 하나의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복수의 객체를 동시에 인식하고,
    상기 분석서버부는, 에이다부스트(AdaBoost) 또는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또는 선형판별식 해석(Linear Disciminant Analysis: LDA) 또는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usis: PCA)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3D로 촬영된 상기 포장알약의 인식율을 높이는 것과,
    상기 출구부 일측에 설치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분석서버부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출구부에 위치한 상기 포장알약의 무게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알약의 기준무게와 상기 로드셀에서 전송받은 상기 포장알약의 무게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일측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과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의 무게와 상기 알약의 기준무게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 이미지와 비교데이터와 대조 시, 상기 알약의 형상과 갯수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8. 청구항 1,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를 이용한 검수방법에 있어서,
    알약을 파우치에 포장하여 출구부 측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출구부로 공급된 포장알약을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처리부를 통해 처리하는 처리단계;
    상기 영상처리부와 통신부가 연동되어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단계;
    상기 통신부와 제어부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포장알약의 이미지와 비교데이터와 대조하는 대조단계;
    상기 제어부와 분석서버부가 연동되어 상기 포장알약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분석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를 이용한 검수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에서,
    상기 분석서버부는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포장알약을 분석하는 알고리즘 분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를 이용한 검수방법.
KR1020200091425A 2020-07-23 2020-07-23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KR10221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25A KR102214873B1 (ko) 2020-07-23 2020-07-23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25A KR102214873B1 (ko) 2020-07-23 2020-07-23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873B1 true KR102214873B1 (ko) 2021-02-09

Family

ID=7455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425A KR102214873B1 (ko) 2020-07-23 2020-07-23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874B1 (ko) * 2021-07-27 2022-06-24 주식회사 제이엔제이테크 조제검수장치의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422A (ko) * 2012-02-08 2013-08-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약품 적재함 내의 알약 영상 검출방법.
KR20140103566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인포피아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KR20140135934A (ko) 2014-10-23 2014-11-27 주식회사 인포피아 영상 기반 관리자 조제 검사 가능한 약제 포장 장치
KR20150041913A (ko) * 2013-10-10 2015-04-20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9082A (ko) * 2014-12-05 2016-06-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의약품 조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93486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라이너스 알약 인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422A (ko) * 2012-02-08 2013-08-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약품 적재함 내의 알약 영상 검출방법.
KR20140103566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인포피아 영상 기반 조제 검사 장치
KR20150041913A (ko) * 2013-10-10 2015-04-20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5934A (ko) 2014-10-23 2014-11-27 주식회사 인포피아 영상 기반 관리자 조제 검사 가능한 약제 포장 장치
KR20160069082A (ko) * 2014-12-05 2016-06-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의약품 조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93486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라이너스 알약 인식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874B1 (ko) * 2021-07-27 2022-06-24 주식회사 제이엔제이테크 조제검수장치의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7477B2 (en) Automated pharmaceutical pill identification
JP6009888B2 (ja) 薬剤検査装置及び方法
US9311451B2 (en)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medication dispensing error
JP5916032B2 (ja) 薬剤検査支援装置及び方法
US20170305589A1 (en) Inspection assistance system and tablet packaging device
US8374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contents of a filled, capped pharmaceutical prescription
JP5997120B2 (ja) 薬剤照合装置、薬剤照合システム、及び薬剤照合方法
JP6497856B2 (ja) 錠剤識別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分包錠剤監査装置
EP3109623B1 (en) Medicine packet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3031010A1 (en) Remote pharmaceutical verification
US9672420B2 (en) Method for a medication dispenser to obtain information from a medication package, and medication dispenser
US10937152B2 (en) Inspection support method and inspection support device
US2015016982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he Identification and Packaging of Medication
US20200058385A1 (en) Drug inspection assisting apparatus and drug inspection assisting method
US1026211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he packaging and verification of medication information
KR102214873B1 (ko)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KR102433327B1 (ko) 약제 검사 장치 및 그 약제 검사 방법
JP2017058919A (ja) 薬剤情報登録装置、薬剤情報登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74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Verification in Pharmacy Workflow
US11595595B2 (en)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WO2023120366A1 (ja) 一包化鑑査装置、一包化鑑査プログラムおよび一包化鑑査方法
KR20230042917A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조제 검수 시스템
CN116830150A (zh) 用于从药品包装去除无关内容以便于验证其中内容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