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782B1 -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782B1
KR101458782B1 KR1020130044098A KR20130044098A KR101458782B1 KR 101458782 B1 KR101458782 B1 KR 101458782B1 KR 1020130044098 A KR1020130044098 A KR 1020130044098A KR 20130044098 A KR20130044098 A KR 20130044098A KR 101458782 B1 KR101458782 B1 KR 101458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hinge
high rigidity
head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059A (ko
Inventor
이병남
Original Assignee
이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남 filed Critical 이병남
Priority to KR102013004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78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 파이프 형태를 갖는 지주를 보강하기 위하여 지반에 지지력보강대를 더 설치하기 위한 항타정에 대한 것으로, 지주가 내부에 포함되는 지지력보강대를 안전하게 타격하면서 지주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물체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구비하고, 상기 항타정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의 고강성항타필러;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단에 결합되어 물체의 타격시 물체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DRIVING PIPE APPARATUS FOR FORTIFYING SUPPORTING FORCE FOR GUARDRAI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F FORTIFYING SUPPORTING FORCE FOR GUARDRAIL'S SUPPORT USING DRIVING PIPE APPARATUS}
본 발명은 단순 파이프 형태를 갖는 지주를 보강하기 위하여 지반에 지지력보강대를 더 설치하기 위한 항타정에 대한 것으로, 지주가 내부에 포함되는 지지력보강대를 안전하게 타격하면서 지주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시설되는 것으로,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도로의 경계를 알게 하여 안전운전 및 안전도보가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단순히 도로의 경계만 알릴 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전이상으로 인하여 차량이 도로를 벗어나려는 것을 가드레일이 막아줌으로써, 차량의 전복사고를 방지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대부분의 가드레일 부재들은 다수의 시험을 통하여 차량의 추돌시에도 안전성이 확보되는지 확인한 후에라야 도로 가장자리에 시설될 수 있다. 이에 대부분의 가드레일에 대한 시험이 평지면에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해서 시험을 하게 된다.
이에 평지면이라고 하면, 가드레일 지주로부터 도로의 외측 방향으로 평평한 면이 60cm 이상 확보된 도로를 지칭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평지면에서는 지반에 삽입된 지주가 견고하게 지반에 삽입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지반으로부터 지지력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다수의 지주에 걸쳐 띠 형상으로 가드레일바가 연결되기 때문에, 지반으로부터 견고한 지지력을 받는 다수의 지주에 의해 가드레일에 추돌되는 차량을 도로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하여 차량운행의 안전을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로는 가드레일이 시설된 곳으로부터 평지면을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 시행되었던 가드레일에 대한 안전성 시험을 극복하지 못하게 된다.
즉 현실적인 가드레일 시설상황은, 대부분 경사면에 시설되기 때문에, 평지면에서 추돌 시험에 합격한 가드레일 및 가드레일 시공상태라 하여도, 막상 현실적인 경사면에서의 차량추돌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지주의 형태를 변형시켜 가드레일을 시공하나, 신설로 이루어진 도로의 시공에서는 새로 보강된 형태의 지주 또는 가드레일을 시설할 수 있지만, 기존에 경사면에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해서는 새로운 지주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곤란한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존의 가드레일 지주의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지주가 내부에 포함되게 하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력보강대를 더 추가하여 시설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단순 파이프 형태를 갖는 지주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가 부가한 지지력보강대에 의하여, 지반에 의한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여 가드레일의 안전성을 더욱 부가하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파이프 형상을 갖는 지지력보강대의 일측 파이프 내부로 지주가 포함된 상태로 지지력보강대를 지반에 강제 타격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주가 내부에 포함된 상태로 지지력보강대를 타격으로 지반에 강제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일일이 햄머로 타격하는 종래기술 이외의 알려진 방법은 없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항타 장비로는 실용신안출원 제20-1997-0034068호(항타기의 항타장치)에서와 같이 건축물 시공시 지반에 파일을 박는 장비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장비의 경우 내부에 지주가 포함된 파이프 형태의 것은 도저히 지반에 박을 수 없는 구조를 갖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지주가 내부에 포함된 파이프 형상의 지지력보강대를 지반에 타격으로 삽입 설치하기가 용이하면서, 기존에 지반에 시설된 지주를 훼손시키지 않는 장비의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실용신안출원 제20-1997-0034068호 특허출원 제10-1996-0004032호 특허출원 제10-2000-006939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있어서 단순 파이프 형태를 갖는 지주를 보강하기 위하여 지반에 지지력보강대를 더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가 내부에 포함되는 지지력보강대를 안전하게 타격하면서 지주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항타정이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를 지반에 삽입하는 중에, 내부에 지주가 포함되게 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고강성항타필러를 제공하여 타격이 가해지는 중에도 지주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에 더하여, 포크레인과 같은 타격의 힘이 작용하는 항타장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항타로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포크레인과 같은 항타장비의 강한 타격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도 고강성항타필러를 비롯한 항타정의 다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지주가 포함되게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지반에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타격의 힘이 지지력보강대에 잘 전달되게 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장비에 연결된 항타로드의 결합부분이 상협하광의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강제 끼움 결합됨으로써, 강한 타격의 항타 힘이 작용하더라도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구비하고, 상기 항타정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의 고강성항타필러;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단에 결합되어 물체의 타격시 물체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드레일 지주를 보강하기 위해 지반에 대해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구비하고, 상기 항타정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할 경우 타격시 지지력보강대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내부로 지주가 위치되도록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강성항타헤드는 내부로 지주가 위치되도록 링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항타로드와 결합된 부분의 외면이 상부측으로 작은 외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항타로드는 상측으로 작은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을 이루며,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항타정을 이용하여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여 지반에 지지력보강대를 설치하는 지지력보강대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지력보강대가 지주를 감싸도록 지주와 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여 지면위로 지지력보강대가 위치되는 지지력보강대결합단계; 지지력보강대를 지반에 삽입시키기 위해 항타정 내부로 지주를 삽입하는 항타준비단계; 항타정에 의한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가 지반으로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항타단계; 지지력보강대가 지반에 삽입되고 항타정을 지주로부터 분리시키는 항타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드레일 지주를 보강하기 위해 지반에 대해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구비하고, 상기 항타정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할 경우 타격시 지지력보강대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 및 고강성항타헤드는 결합되며,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부로 결합되는 항타로드의 내면에 테이퍼진 로드테이퍼내면부와 결합되며 상부로 작아지는 외경의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필러상테이퍼부; 및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헤드가 결합된 후 헤드고정구가 삽입되어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항타로드는, 항타로드의 아래 내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측 외면에 테이퍼진 필러상테이퍼부와 결합되며 내면 상부로 작아지는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진 내면을 이루는 로드테이퍼내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성항타헤드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되도록 외향은 개방되고 내향은 필러결착원주면에 가려지는 단차를 이루는 필러안착단차부; 고강성항타필러가 필러안착단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강성항타필러 아래 내면이 접하도록 하여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 사이의 요동을 방지는 원주형태의 돌출부분을 이루는 필러결착원주면부; 및 필러안착단차부에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체결되는 헤드고정구의 끝 부분이 고강성항타필러의 헤드체결공을 지나 나사체결되는 필러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내부로 지주가 위치되도록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강성항타헤드는 내부로 지주가 위치되도록 링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항타로드와 결합된 부분의 외면이 상부측으로 작은 외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항타로드는 상측으로 작은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을 이루며,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항타정을 이용하여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여 지반에 지지력보강대를 설치하는 지지력보강대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지력보강대가 지주를 감싸도록 지주와 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여 지면위로 지지력보강대가 위치되는 지지력보강대결합단계; 지지력보강대를 지반에 삽입시키기 위해 항타정 아래로 지지력보강대 상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항타준비단계; 항타정에 의한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가 지반으로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항타단계; 지지력보강대가 지반에 삽입되고 항타정을 지주로부터 분리시키는 항타완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항타정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할 경우 타격시 지지력보강대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 및 고강성항타헤드는 결합되며,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부로 결합되는 항타로드의 내면에 테이퍼진 로드테이퍼내면부와 결합되며 상부로 작아지는 외경의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필러상테이퍼부; 및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헤드가 결합된 후 헤드고정구가 삽입되어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항타로드는, 항타로드의 아래 내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측 외면에 테이퍼진 필러상테이퍼부와 결합되며 내면 상부로 작아지는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진 내면을 이루는 로드테이퍼내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성항타헤드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되도록 외향은 개방되고 내향은 필러결착원주면에 가려지는 단차를 이루는 필러안착단차부; 고강성항타필러가 필러안착단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강성항타필러 아래 내면이 접하도록 하여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 사이의 요동을 방지는 원주형태의 돌출부분을 이루는 필러결착원주면부; 및 필러안착단차부에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체결되는 헤드고정구의 끝 부분이 고강성항타필러의 헤드체결공을 지나 나사체결되는 필러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타준비단계는, 항타로드 - 고강성항타필러 - 고강성항타헤드를 결합하여 항타정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항타완료단계 이후 지주에 가드레일바를 결합시키는 지지력보강시공완료단계를 더 포함하며, 지지력보강대가 지반에 삽입되어 지지력보강대의 지반삽입보강부 내에 흙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있어서 단순 파이프 형태를 갖는 지주를 보강하기 위하여 지반에 지지력보강대를 더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가 내부에 포함되는 지지력보강대를 안전하게 타격하면서 지주가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항타정이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를 지반에 삽입하는 중에, 내부에 지주가 포함되게 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고강성항타필러를 제공하여 타격이 가해지는 중에도 지주가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에 더하여, 포크레인과 같은 타격의 힘이 작용하는 항타장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항타로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포크레인과 같은 항타장비의 강한 타격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도 고강성항타필러를 비롯한 항타정의 다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내부에 지주가 포함되게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지반에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타격의 힘이 지지력보강대에 잘 전달되게 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장비에 연결된 항타로드의 결합부분이 상협하광의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강제 끼움 결합됨으로써, 강한 타격의 항타 힘이 작용하더라도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의 항타로드에 대해서 상측에 저면도 및 하측에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의 고강성항타필러에 대해서 상측에 평면도 및 하측에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의 고강성항타헤드에 대해서 상측에 평면도 및 하측에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대한 상방향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대한 하방향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대한 분해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한 설치 예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한 설치 예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한 설치 예시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되는 가드레일의 지주와 지지력보강대가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된 가드레일이 지반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에 대한 평면에서의 분리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에 있어서 타격삽입기둥과 지반삽입보강부가 분리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에 의해 시설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 및 지주와 항타정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과 가드레일지주 및 지지력보강대에 대한 분리상태의 측방향 예시도이다.
도 22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을 이용하여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를 삽입시키는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에 설치된 지주의 상향에 지지력보강대와 항타정이 위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을 이용하여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를 삽입시키는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주를 지지력보강대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을 이용하여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를 삽입시키는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주가 내부로 삽입된 지지력보강대 상부에 항타정이 위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을 이용하여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를 삽입시키는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있어서, 항타정에 의한 타격으로 지주가 설치된 지반으로 지지력보강대가 삽입되는 도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을 이용하여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를 삽입시키는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있어서, 항타정에 의한 타격으로 지주가 설치된 지반에 지지력보강대가 삽입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을 이용하여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를 삽입시키는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주가 설치된 지반에 지지력보강대가 삽입된 후 항타정이 분리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8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을 이용하여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를 삽입시키는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8 등에서와 같이, 지반에 시설되는 지주, 지주에 결합되어 지주의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지지력보강대 및 지지력보강대를 지반에 타격으로 삽입시키는 항타정 등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대상인 항타정은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물체를 타격하는 것이다. 이에 항타장비라하면 포크레인과 같이 주로 중장비로 브레이커(breaker) 또는 일명 쁘레카, 파쇄기라고도 하는 것이며, 이러한 항타장비에 의한 힘을 전달받아 항타정(50)은 다른 물체를 마치 강하게 두드리는 힘으로 타격하게 된다.
이에 항타정에 대해서, '항타'(杭打)라는 것은 물체(또는 후술되는 지지력보강대 등)를 타격한다는 의미이고, '정'은 기구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항타정의 세부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즉 물체(또는 후술되는 지지력보강대 등)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항타정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의 고강성항타필러와,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 그리고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단에 결합되어 물체의 타격시 물체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항타로드(로드(rod), 일명 노미, 정 이라고도 함)는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인 항타장비와 연결되어 타격의 힘을 전달받는 것이고, 항타로드와 연결되는 고강성항타필러(pillar)는 항타로드의 타격의 힘을 물체 측으로 전달하도록 길게 형성된 것이고, 고강성항타필러의 타측에 연결된 고강성항타헤드(head)는 물체에 집적 접촉되어 물체에 타격의 힘을 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항타정에 대해서 특히 고강성항타필러는 종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봉형상이나 파이프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항타정으로 다양한 물체를 타격할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땅에 특정 물체를 두드려 박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강성항타필러는 항타로드와 결합된 부분의 외면이 상부측으로 작은 외경을 이루어 상협하광(上陜下廣)으로 소정각도(s)의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항타로드는 상측으로 작은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上陜下廣)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처음 고강성항타필러가 준비된 상태에서는 상부의 외경이 균일하게 되나, 항타로드의 내경이 상협하광을 이룬 상태에서 항타장비에 의한 힘에 의해 고강성항타필러 상부로 항타로드가 감싸면서 강제 끼움되기 때문에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부도 상협하광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가 강제 끼움됨으로써 한번 결합된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헤드고정구는 바람직하게는 육각렌지볼트 또는 별렌지볼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 및 후술되는 항타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로 가장자리에 시설되는 가드레일에 적용되는 항타정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항타정을 이용하여 지반에 삽입되는 지주에 적용될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드레일의 지주가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부가되는 지지력보강대를 지반에 타격으로 삽입하는데 이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가드레일(10) 지주(13)를 보강하기 위해 지반에 대해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20)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50)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항타정(50)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5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강성항타필러(51)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52)와, 상기 고강성항타필러(51)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력보강대(20)를 타격할 경우 타격시 지지력보강대(20)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53)를 포함하게 된다.
이에 고강성항타필러(51)는 고강성 재질로 이루어져 타격의 강한 힘이 작용하여도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예로는 압력배관용탄소강관(SPPS, KS D 3562)으로 이용되는 강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항타로드(52)는 기계구조용탄소강이 바람직하며, 특히 sm45c으로 될 수 있다. 나아가 고강성항타헤드(53)는 특수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수강(SKD11) 플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51)는 내부로 지주가 위치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이미 지반에 시설된 지주(13)는 고강성항타필러(51) 내부로 위치된 상태에서 지주(13) 외부를 감싸는 지지력보강대(20)만 타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강성항타헤드(51)도 내부로 지주(13)가 위치되도록 링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주(13)가 고강성항타헤드(51)에 의한 타격에 파손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강성항타필러(51)는 항타로드(52)와 결합된 부분의 외면이 상부측으로 작은 외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항타로드(52)도 상측으로 작은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항타로드(52)와 고강성항타필러(51)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고강성항타필러(51)와 고강성항타헤드(53)도 강제 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51)와 고강성항타헤드(53)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고정구(54)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헤드고정구(54)는 볼트, 리벳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육각렌지볼트 또는 별렌지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항타로드(52) 상부 중앙에는 항타장비(미도시됨)의 항타장비결합구(56)와 결합되기 위한 항타장비결합공(55)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50)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 8 및 도 9 등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이러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 및 고강성항타헤드는 결합되어 하나의 항타정(50)을 이루는 것이다.
이에 이처럼 결합을 위한 부재들의 세부 구성을 보면, 우선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부로 결합되는 항타로드의 내면에 테이퍼진 로드테이퍼내면부(521)와 결합되며 상부로 작아지는 외경의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필러상테이퍼부(511)가 마련된다. 즉 이러한 필러상테이퍼부(511)에 의해 상부로 결합되는 항타로드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또한 고강성항타필러는,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헤드가 결합된 후 헤드고정구(54)가 삽입되어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체결공(51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고강성항타헤드와 헤드고정구(54)에 의해 결합되기 위해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에 헤드체결공(512)을 형성한 것이다.
이처럼 고강성항타필러는 항타정(50)의 중앙 부분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각각 상하로 항타로드 및 고강성항태헤드를 각각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항타로드는, 항타로드의 아래 내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측 외면에 테이퍼진 필러상테이퍼부(511)와 결합되며 내면 상부로 작아지는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진 내면을 이루는 로드테이퍼내면부(521)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강성항타헤드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되도록 외향은 개방되고 내향은 필러결착원주면(532)에 가려지는 단차를 이루는 필러안착단차부(531)가 마련된다. 즉 이러한 필러안착단차부(531)에 고강성항타필러가 위치된다.
또한 고강성항타헤드는, 고강성항타필러가 필러안착단차부(531)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강성항타필러 아래 내면이 접하도록 하여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 사이의 요동을 방지는 원주형태의 돌출부분을 이루는 필러결착원주면부(532)를 포함한다. 즉 필러결착원주면부(532)에 의해 고강성항타필러와의 결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아울러 고강성항타헤드는, 필러안착단차부(531)에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체결되는 헤드고정구(54)의 끝 부분이 고강성항타필러의 헤드체결공(512)을 지나 나사체결되는 필러체결공(533)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헤드고정구(54)에 의해 고강성항타필러 및 고강성항타헤드 등이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50)을 이용하여 지반에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20) 및 가드레일(10)에 대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드레일은 도 10 내지 도 12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가드레일(10)은 도로의 가장자리나 중앙 분리대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로의 가장자리에 시설되어 차량이 도로나 차로 밖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드레일(10)은 차량이 부딪히게 될 경우 차량이 도로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소형차량뿐만 아니라 대형 차량이 부딪힐 경우에라도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도로가 주위보다 높게 형성된 경우 도로 주위는 비탈진 경사면을 갖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 부근에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해서도 안전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가드레일(10)의 지주(13) 일측을 내부에 포함하고 지반에 삽입되어 가드레일(10)의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력보강대(2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10)에 대해 차량을 이용한 충돌시험은 대부분 평지면에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해 시험하게 되며, 이때 평지면이라 함은 가드레일(10)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평평한 지면이 대략 600mm 이상 확보된 지역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평지면에서 가드레일들은 대부분 충돌시험에서도 가드레일이 일부 휘어지는 정도의 훼손만 있을 뿐 파손되는 정도는 발생되지 않게 규격화하고 있다.
하지만 경사면을 이루는 경우에서는 대부분 평지면이 600mm 이하로 되어, 차량 충돌시 지주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받쳐줄 수 없을 정도로 횡방향 지면 폭이 확보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도면들에서와 같이 지주가 내부에 포함되고, 지반 속으로 파고들어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20)를 더 구비함으로써, 지지력보강대(20)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600mm 이상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마치 평지면에서와 같은 가드레일의 지지력을 보강해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력보강대(20)는, 내부에 지주(13) 일측이 위치되어 지반에 삽입되는 타격삽입기둥(22) 및 상기 타격삽입기둥(22) 측면에 결합되어 타격삽입기둥(22)과 함께 지반에 삽입되고 내부에 지반 흙을 포함하여 감싸는 지반삽입보강부(2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력보강대(20)는 가드레일(10)의 대부분의 재질과 마찬가지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재질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지지력보강대(20)는 가드레일 지주(13)에 결합되고 지반에 삽입되어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는 것이다.
즉 지주(13)에 결합되고 지반에 삽입되는 삽입원기둥인 타격삽입기둥(22) 및 타격삽입기둥(22) 측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지반 흙을 포함하여 감싸는 지반삽입보강부(24)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드레일이 경사면을 이루어 지반이 약한 곳에 지주(13)와 결합되는 지지력보강대(20)를 구비한 것으로, 결국 지지력보강대(20)의 지반삽입보강부(24) 내부에 강제적으로 흙이 포함되게 함으로써, 가드레일지주의 지반에 대해 지지력이 더욱 보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경사면 지반에 시설된 가드레일이 외부 차량에 의해 추돌되어도 본 발명의 가드레일지주의 지지력보강대(20)에 의한 지반에 대한 지지력 보강으로 지주(13) 및 가드레일(10)의 훼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에 대한 안전부분에 대해 더욱 보강하게 된다.
이에 지지력보강대(20)의 타격삽입기둥(22)은 원형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하여 원형을 이루는 지주(13)가 내부에 삽입이 용이할 것이다. 하지만 타격삽입기둥(22)이 사각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또는 삼각형상, 다각형상, 타원형상의 수평 단면을 이룰 수도 있는 등 시설 상황에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지반삽입보강부(24)는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보다 바람직하며, 타격삽입기둥(22)과 접하는 지반삽입보강부(24) 부분이 내부로 휘어져 원호형상의 접합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형을 이루는 타격삽입기둥(22)과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구비되는 지지력보강대(20)가 구비된 가드레일(10) 및 지주(13)는 도 10에서처럼 지반의 일측이 경사면(15)으로 이루어진 도로가에 시설되는 경우에 더욱 유효한 지지력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지주(13) 및 지지력보강대(20)가 경사면(15)에 시설된 경우, 상기 지반삽입보강부(24)는 타격삽입기둥(22)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면(15) 방향으로 시설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반에 고정된 지주(13) 및 지주(13)에 결합된 가드레일바(11)를 포함한 가드레일(10)에 있어서, 지주(13) 일측을 내부에 포함하고 지반에 삽입되어 가드레일(10)의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력보강대(20)가 구비되어지되, 지지력보강대(20)는 경사면(15)과 가까운 평지면(14) 가장자리에 시설되는 경우에 지지력 보강이 더욱 유효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력보강대(20) 및 지주(13)의 시설 상황의 일 실시예를 보면, 도 10에서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10)이 평평한 평지면에 시설되어 안정적으로 차량의 충돌을 견디도록 하는 시설 안전과 관련하여, 지주(13)로부터 바깥쪽으로 평평한 부분이 대략 600mm 이상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경사면(15)에 대한 시설일 경우에는 평평한 평지면(14)이 600mm 이하로 이루어지고, 평지면(14) 끝에는 경사면(15)이 형성되며, 평지면(14)의 법선 방향에 대해 경사면(15) 대략 사면경사각도(i)가 56도 정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도로의 토목공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가드레일(10)의 지주(13)에 대해서는 대략 전체 지주길이(a)는 2200mm이고, 가드레일바(11)를 설치하기 위해 지상으로 위치되는 지주(13)의 지주지상길이(b)는 700mm가 되며, 지반에 삽입되는 지주삽입깊이(c)는 1500mm가 된다.
이와 같이 시설된 지주 및 가드레일에 대해, 차량의 충돌로 지주가 휘어지는 부분은 지주삽입깊이(c) 전체에 대해 지면으로부터 1/3 지점으로 대략 500mm 정도에서 지주가 휘어진다. 즉 지주삽입깊이(c) 전체 중 제일 깊은 곳으로부터 대략 1000mm 정도 부분은 지반에 의한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한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지주삽입깊이(c) 중에 지면으로부터 1/3 깊이 부분이 휘어지지 않도록 한다면 지반에 대한 지주의 지지력은 상부의 가드레일바가 결합된 부분까지 전달될 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는 의미도 된다.
특히 경사면(15)의 경우 지면에서의 지반에 의한 지지력을 보장받지 못하기 때문에 지면과 될 수 있으면 가까운 깊이에서 지반의 지지력이 지주에 미치도록 시설됨이 중요한 관점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사면에 시설된 가드레일(10)의 시설 상황을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10)의 경우 가드레일(10)의 지주(13)를 내부에 포함하는 지지력보강대(20)가 지반의 지지력을 효과적으로 지주(13)에 미치도록 시설됨이 중요 특징 구성인 것이다.
즉 도 10의 예시에서처럼, 내부에 지주(13)를 포함하여 지반에 삽입된 지지력보강대(20)는, 지주(13)가 내부에 포함되게 타격삽입기둥(22)이 마련되고, 이러한 타격삽입기둥(22)을 중심으로 하여 볼 때 경사면(15) 방향으로 지반삽입보강부(24)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력보강대(20)에 있어서, 내부에 지주(13)를 포함하는 타격삽입기둥(22)은 원형 파이프 형태를 갖고, 타격삽입기둥(22) 일측면에 결합되는 지반삽입보강부(24)가 전체적으로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갖되, 타격삽입기둥(22)과 결합되는 보강접합면(241)은 내측으로 호를 그리면서 들어간 형태를 갖도록 실시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지반삽입보강부(24)의 보강접합면(241)의 곡률이 타격삽입기둥(22) 외면의 곡률보다 크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타격삽입기둥(22)과 지반삽입보강부(24)는 용접이나 접합에 의해 결합되거나 리벳, 또는 도면에서처럼 볼트 등의 결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볼트나 리벳 등의 결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에는, 타격삽입기둥(22)과 지반삽입보강부(24)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게 결합홀을 형성하는 것으로, 타격삽입기둥(22)의 기둥결합홀(222)과, 이에 대응되는 보강결합홀(242)이 서로 접하여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다. 특히 기둥결합홀(222)과 보강결합홀(242) 등은 서로 다수 개로 형성되어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도록 실시된다.
아울러 기둥결합홀(222) 및 보강결합홀(24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정원의 홀로 형성되거나 또는 측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된 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9에서처럼 타격삽입기둥(22)의 기둥결합홀(222)이 정원의 4개의 홀로 이루어지고, 지반삽입보강부(24)의 보강결합홀(242)이 가운데 2개 홀은 정원의 홀로 이루어지고 상하의 2개 홀은 측방향의 장홀(2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일부가 상하방향의 장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일부 홀이 측방향 또는 상하방향의 장홀로 형성됨으로써, 타격삽입기둥(22)과 지반삽입보강부(24)를 결합할 때, 서로 구멍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추어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항타정(50)을 비롯하여 가드레일(10), 지지력보강대(20) 등에 대해서, 항타정(50)을 이용하여 가드레일용 지주(13)에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20)를 결합하는 가드레일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1 내지 도 9 등의 항타정(50)을 이용하여 도 10 내지 도 12, 도 20 내지 도 28 등에서처럼 가드레일(10)의 지주(13)에 지지력보강대(20)를 결합하는 것으로, 항타정을 이용하는 가드레일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우선 새로운 가드레일을 시설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가드레일을 분리하여 시공하는 것으로, 지주에 더하여 지지력보강대를 보강하게 된다.
이에 가드레일에 시설되는 곳에 대해서, 지반에 지주를 삽입하는 지주설치단계(S01)를 수행한다. 즉 기존의 시설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가드레일에 대한 것일 경우에는 지반에 지주(13)를 설치하게 된다.
또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가드레일(10)의 지주(13)에서 가드레일바(11)를 제거하는 가드레일바제거단계(S02)가 수행된다. 그리하여 지반에 설치된 지주(13)만 남겨놓게 된다.
그리고 도 22, 도 23에서처럼 지지력보강대(20)의 타격삽입기둥(22) 내부로 지주(13)가 삽입되게 지주(13)에 지지력보강대(20)를 결합하여 지면위로 지지력보강대(20)가 위치되는 지지력보강대결합단계(S03)가 수행된다. 이에 사전작업으로 지지력보강대(20)에 대해서, 타격삽입기둥(22)과 지반삽입보강부(24)를 사전에 절단 및 제작하고, 볼트 등의 결착부재에 의해 타격삽입기둥(22)과 지반삽입보강부(24)가 결합된 상태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후 도 24에서처럼 지지력보강대(20)를 지반에 삽입시키기 위한 항타장비와 연결된 항타정(50) 아래로 지지력보강대(20) 상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항타준비단계(S04)가 수행된다. 이러한 항타정(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강성항타필러(51), 항타로드(52), 고강성항타헤드(53)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항타로드(52)-고강성항타필러(51)-고강성항타헤드(53)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준비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항타정(50) 아래로 지지력보강대(20) 상부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항타준비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5에서처럼 본격적으로 항타장비를 작동시켜, 항타정(50)에 의한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20)가 지반에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항타단계(S05)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후 도 26에서처럼 항타작업을 완료하여 지면 아래로 지지력보강대(20)가 삽입된 이후, 도 27에서처럼 지지력보강대(20)가 지반에 삽입되고 항타정(50)을 지주(13)로부터 분리시키는 항타완료단계(S06)를 수행한다.
그리고 지지력보강대(20)가 지반에 삽입되고 지지력보강대(20)의 지반삽입보강부(24) 내에 흙이 채워진 상태에서 지주(13)에 가드레일바(11)를 결합시키는 지지력보강시공완료단계(S07)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이용되는 상기 항타정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할 경우 타격시 지지력보강대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포함하는 것이며, 이러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 및 고강성항타헤드는 결합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부로 결합되는 항타로드의 내면에 테이퍼진 로드테이퍼내면부(521)와 결합되며 상부로 작아지는 외경의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필러상테이퍼부(511); 및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헤드가 결합된 후 헤드고정구(54)가 삽입되어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체결공(512)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항타로드는, 항타로드의 아래 내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측 외면에 테이퍼진 필러상테이퍼부(511)와 결합되며 내면 상부로 작아지는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진 내면을 이루는 로드테이퍼내면부(521)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고강성항타헤드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되도록 외향은 개방되고 내향은 필러결착원주면(532)에 가려지는 단차를 이루는 필러안착단차부(531); 고강성항타필러가 필러안착단차부(531)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강성항타필러 아래 내면이 접하도록 하여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 사이의 요동을 방지는 원주형태의 돌출부분을 이루는 필러결착원주면부(532); 및 필러안착단차부(531)에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체결되는 헤드고정구(54)의 끝 부분이 고강성항타필러의 헤드체결공(512)을 지나 나사체결되는 필러체결공(5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항타정(50)을 이용하여 수행된 가드레일지주의 지지력보강시공방법에 의하여, 단순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주(13)에 더하여, 지지력보강대(20)가 지반에 삽입되고, 특히 지지력보강대(20)의 타격삽입기둥(22)에 의해 지주(13)가 휘어지는 부분에서 휨방지의 강성을 부가하여 지주가 잘 휘어지지 않게 하며, 아울러 지지력보강대(20)의 지반삽입보강부(24) 내부에 지반 흙이 강제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지반 내부에 의해 지주(13)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지주나 지지력보강대(20)가 해체되어 다시 시공되지 않고, 항타정(50)에 의한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20)가 강제적으로 지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력보강의 시공이 간편하게 되고, 나아가 지주에 대한 지지력보강이 더욱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가드레일 11 : 가드레일바
13 : 지주 20 : 지지력보강대
22 : 타격삽입기둥 24 : 지반삽입보강부
50 : 항타정 51 : 고강성항타필러
52 : 항타로드 53 : 고강성항타헤드
54 : 헤드고정구

Claims (5)

  1. 가드레일 지주를 보강하기 위해 지반에 대해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을 구비하고,
    상기 항타정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할 경우 타격시 지지력보강대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 및 고강성항타헤드는 결합되며,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부로 결합되는 항타로드의 내면에 테이퍼진 로드테이퍼내면부(521)와 결합되며 상부로 작아지는 외경의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필러상테이퍼부(511); 및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헤드가 결합된 후 헤드고정구(54)가 삽입되어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체결공(512)을 포함하고,
    상기 항타로드는, 항타로드의 아래 내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측 외면에 테이퍼진 필러상테이퍼부(511)와 결합되며 내면 상부로 작아지는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진 내면을 이루는 로드테이퍼내면부(521)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성항타헤드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되도록 외향은 개방되고 내향은 필러결착원주면(532)에 가려지는 단차를 이루는 필러안착단차부(531);
    고강성항타필러가 필러안착단차부(531)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강성항타필러 아래 내면이 접하도록 하여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 사이의 요동을 방지는 원주형태의 돌출부분을 이루는 필러결착원주면부(532); 및
    필러안착단차부(531)에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체결되는 헤드고정구(54)의 끝 부분이 고강성항타필러의 헤드체결공(512)을 지나 나사체결되는 필러체결공(5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내부로 지주가 위치되도록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강성항타헤드는 내부로 지주가 위치되도록 링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항타로드와 결합된 부분의 외면이 상부측으로 작은 외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항타로드는 상측으로 작은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을 이루며,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위한 항타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타정을 이용하여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여 지반에 지지력보강대를 설치하는 지지력보강대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지력보강대가 지주를 감싸도록 지주와 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여 지면위로 지지력보강대가 위치되는 지지력보강대결합단계;
    지지력보강대를 지반에 삽입시키기 위해 항타정 아래로 지지력보강대 상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항타준비단계;
    항타정에 의한 타격으로 지지력보강대가 지반으로 삽입되는 지지력보강대항타단계;
    지지력보강대가 지반에 삽입되고 항타정을 지주로부터 분리시키는 항타완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항타정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강성항타필러;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된 항타로드;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할 경우 타격시 지지력보강대와 접하는 고강성항타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강성항타필러와 항타로드 및 고강성항타헤드는 결합되며,
    상기 고강성항타필러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부로 결합되는 항타로드의 내면에 테이퍼진 로드테이퍼내면부(521)와 결합되며 상부로 작아지는 외경의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루는 필러상테이퍼부(511); 및
    고강성항타필러의 하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헤드가 결합된 후 헤드고정구(54)가 삽입되어 고강성항타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헤드체결공(512)을 포함하고,
    상기 항타로드는, 항타로드의 아래 내부로 결합되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상측 외면에 테이퍼진 필러상테이퍼부(511)와 결합되며 내면 상부로 작아지는 내경을 이루어 상협하광의 경사진 내면을 이루는 로드테이퍼내면부(521)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성항타헤드는: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되도록 외향은 개방되고 내향은 필러결착원주면(532)에 가려지는 단차를 이루는 필러안착단차부(531);
    고강성항타필러가 필러안착단차부(531)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강성항타필러 아래 내면이 접하도록 하여 고강성항타필러와 고강성항타헤드 사이의 요동을 방지는 원주형태의 돌출부분을 이루는 필러결착원주면부(532); 및
    필러안착단차부(531)에 고강성항타필러의 아래 부분이 위치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체결되는 헤드고정구(54)의 끝 부분이 고강성항타필러의 헤드체결공(512)을 지나 나사체결되는 필러체결공(5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항타준비단계는, 항타로드 - 고강성항타필러 - 고강성항타헤드를 결합하여 항타정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항타완료단계 이후 지주에 가드레일바를 결합시키는 지지력보강시공완료단계를 더 포함하며,
    지지력보강대가 지반에 삽입되어 지지력보강대의 지반삽입보강부 내에 흙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
KR1020130044098A 2013-04-22 2013-04-22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 KR101458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098A KR101458782B1 (ko) 2013-04-22 2013-04-22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098A KR101458782B1 (ko) 2013-04-22 2013-04-22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59A KR20140126059A (ko) 2014-10-30
KR101458782B1 true KR101458782B1 (ko) 2014-11-07

Family

ID=5199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098A KR101458782B1 (ko) 2013-04-22 2013-04-22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071B1 (ko) 2016-09-06 2018-06-01 (주)한국건설시험원 지주 지지력 측정장치
KR102291157B1 (ko) * 2020-03-12 2021-08-19 주식회사 가야산업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935U (ja) * 1996-02-14 1996-08-20 繁 平嶺 ガードレールの支柱建込促進加工工具
JPH11209979A (ja) * 1998-01-23 1999-08-03 Ohbayashi Corp 軟弱地盤における杭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杭打ち用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935U (ja) * 1996-02-14 1996-08-20 繁 平嶺 ガードレールの支柱建込促進加工工具
JPH11209979A (ja) * 1998-01-23 1999-08-03 Ohbayashi Corp 軟弱地盤における杭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杭打ち用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59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0436B2 (en) Breakaway sign post
KR101626257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US20110017968A1 (en) Metal safety rail for open floors of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KR20150034826A (ko) 지주 구조
KR101535863B1 (ko) 상하 체결형 말뚝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 시공방법
KR101458782B1 (ko) 가드레일지주용 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항타정 및 항타정을 이용한 지주 지지력보강시공방법
JP4375566B2 (ja) 高耐力アンカー
KR101229250B1 (ko) 펜스의 파일형 지주장치
KR102120997B1 (ko) 지주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893658B1 (ko) 모노파일 시공을 위한 현장 타설 말뚝 상단과 교각 하단 사이 연결부 거푸집 장치 및 시공방법
KR101944728B1 (ko) 로드킬 방지 및 방초기능을 가진 지주 보강장치의 시공방법
KR101626255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KR101476992B1 (ko) 지지력보강대와 완충연장부재가 구비된 가드레일 및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KR101253579B1 (ko) 가드레일 지주 보강 구조체
KR101425733B1 (ko) 토사와의 접지력 및 내충격성이 강화된 가드레일 지주 구조 및 지주를 박기 위한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단부 및 이들을 이용한 시공방법
FI126402B (fi) Tolpan perustus
KR101947964B1 (ko)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구조
KR101825387B1 (ko) 연성토용 지주 및 상기 지주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117898A (ko) 다단 윙 구조를 이용한 지주
GB2536867A (en) Street furniture apparatus
KR101388456B1 (ko) 천공기용 낙하물 방지 안전장치
US20220064986A1 (en) Anchoring system for securing a post
JP6652462B2 (ja) 橋梁用防護柵
JP2021092074A (ja) 支柱構造物
KR101611344B1 (ko) 교량용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