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698B1 - 라이브러리 장치 - Google Patents

라이브러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698B1
KR101458698B1 KR1020130046970A KR20130046970A KR101458698B1 KR 101458698 B1 KR101458698 B1 KR 101458698B1 KR 1020130046970 A KR1020130046970 A KR 1020130046970A KR 20130046970 A KR20130046970 A KR 20130046970A KR 101458698 B1 KR101458698 B1 KR 101458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moving
storage shelf
moving body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057A (ko
Inventor
쯔까사 미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5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2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 G11B15/683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the cassettes being transferred to a fixed recorder or player using a moving carri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7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end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or spo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5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disks are transferred from a fixed magazine to a fixed playing unit using a moving carriage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연결한 경우에는 약간의 개조에 의해, 연결한 라이브러리 장치간의 카트리지의 반송이 가능한 라이브러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캐비넷 내에, 복수의 기록 매체를 수납 가능한 제1 내지 제3 수납 선반과, 카트리지의 드라이브와, 제어 장치로부터의 지령에서 제1 내지 제3 수납 선반과 드라이브간에서 카트리지를 반송하는 로봇을 구비하는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라이브러리 장치에 동일 사양이 다른 라이브러리 장치를 배열하여 증설했을 때, 캐비넷의 설치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있는 배면측에 있는 제1 수납 선반의 일부를, 캐비넷 사이를 관통하는 궤도 부재에 교환하고, 궤도 부재 위에는 카트리지를 반송 가능한 이동체를 설치한 라이브러리 장치이다.

Description

라이브러리 장치{LIBRARY APPARATUS}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 출원 2012-123231(2012년 5월 30일)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출원은, 연결에 의해 수납수를 늘릴 수 있는 라이브러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형 컴퓨터 장치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대용량의 외부 기억 장치로서, 라이브러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라이브러리 장치는, 장치 내에 자기 테이프 매체가 내장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셀을 구비한 매체 수납 선반을 구비하고, 장치 내에 설치된 반송 로봇에 의해 이 카트리지를 테이프 드라이브로 반송하여 테이프 매체에 데이터를 판독 기입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복수의 테이프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것이나,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라이브러리 장치도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76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라이브러리 장치는, 1개의 장치 내에 수납할 수 있는 카트리지의 수는 정해져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매거진에 수납하고, 매거진을 교환 가능하게 하여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라이브러리 장치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7628호 공보에서는, 2대의 라이브러리 장치를 상하로 겹쳐서, 패스 스루 기구에 의해 상단과 하단의 라이브러리 장치 사이에서 카트리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장치 내에 수용하는 카트리지의 수가, 예를 들어 수배로 증가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는 이에 대응할 수 없다. 즉, 수용 가능한 카트리지수가 정해져 있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카트리지 수용수를 수배로 늘려, 대용량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로 변경할 수는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7628호 공보에 개시된 라이브러리 장치와 같이, 라이브러리 장치를 복수대 연결하여 용량의 증가를 도모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연결한 라이브러리 장치간에서 카트리지를 반송하는 로봇을 어떻게 가동시킬지가 용이하지 않다. 즉, 라이브러리 장치를 2대 연결하는 것은 용이해도, 3대 이상을 연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 이유는, 3대 이상 연결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로봇의 개조 작업에 공정수가 걸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카트리지 수용수를 더 확장하는 경우에는, 로봇에 의한 카트리지의 반송 기구의 개조나 반송 속도의 향상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측면에서는, 본 출원은, 단독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연결한 경우에는, 약간의 개조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연결한 라이브러리 장치간의 카트리지의 반송이 가능한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 매체를 수납 가능한 수납 선반을 갖는 캐비넷을 구비하고, 캐비넷과 다른 캐비넷 사이에서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의해, 캐비넷과 다른 캐비넷을 연결 가능한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다른 캐비넷에 연결할 때에 반송 장치가 수납되는 캐비넷 내의 수납 위치에 설치되고, 캐비넷으로부터 떼어냄 가능한 가설 수납 선반과, 가설 수납 선반의 양측에 위치하는 캐비넷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이다.
도 1a는 본 출원의 라이브러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라이브러리 장치의 천장판을 제거하여 내부를 상방에서 본 조감도.
도 1c은 도 1b에 도시한 라이브러리 장치의 기록 매체의 제1 수납 선반의 일부와 교환하는 궤도 부재 및 궤도 부재 위에 설치된 이동체의 평면도.
도 1d는 도 1c에 도시한 궤도 부재에 연결하는 확장 궤도 부재의 평면도.
도 2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를 2대 연결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라이브러리 장치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를 2대 연결한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를 2대 연결한 상태를, 천장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방에서 본 평면도.
도 5a는 도 1c에 도시한 카트리지 반송용 궤도 부재와 궤도 부재 위의 이동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
도 5c는 궤도 부재 위에 설치된 이동체의 측면도.
도 6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궤도 부재와 이동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출원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제1 수납 선반으로부터 가설 수납 선반을 제거하고, 그 부분에 설치한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 및 로봇과 핸드 기구부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a는 도 1c에 도시한 궤도 부재와 도 1d에 도시한 궤도 부재의 단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2개의 궤도 부재를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8c는 도 8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2개의 궤도 부재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9a는 도 1c에 도시한 카트리지 반송용 궤도 부재와 궤도 부재 위의 이동체를 2층 구성으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한 2층의 궤도 부재가 장착된 라이브러리 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10은 매체의 캐비넷간의 이동 제어의 수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어떤 캐비넷 내의 자기 기록 매체 반송 로봇이 핸드 기구부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어떤 캐비넷 내의 자기 기록 매체 반송 로봇이 핸드 기구부를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에 접근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어떤 캐비넷 내의 자기 기록 매체 반송 로봇이 핸드 기구부를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에 접근시킨 후에 스토퍼를 쓰러뜨리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 위에 있는 이동체가 이동하여, 어떤 캐비넷 내의 핸드 기구부에 접근하여 스토퍼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어떤 캐비넷 내의 핸드 기구부가 이동체에 있는 플래그를 판독하여 매체의 이동체와의 주고 받기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어떤 캐비넷 내의 핸드 기구부가, 탑재하는 매체를 이동체에 주고 받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어떤 캐비넷 내의 핸드 기구부가, 탑재하는 매체를 이동체에 주고 받은 후에 이동하여 스토퍼를 해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매체의 이동처 캐비넷의 핸드 기구부가 자기 기록 매체 반송 로봇에 의해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에 접근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매체의 이동처 캐비넷의 핸드 기구부가 자기 기록 매체 반송 로봇에 의해 이동하여 스토퍼를 쓰러뜨리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매체를 탑재한 이동체가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 위를 어떤 캐비넷으로부터 매체의 이동처의 캐비넷을 향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 위를 이동해 온 이동체가 매체의 이동처 캐비넷의 핸드 기구부에 접근하여 스토퍼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매체의 이동처 캐비넷 내의 핸드 기구부가 이동에 있는 플래그를 판독하여 매체의 이동체와의 주고 받기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매체의 이동처 캐비넷 내의 핸드 기구부가, 이동체에 탑재된 매체를 취득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5는 매체의 이동처 캐비넷 내의 핸드 기구부를 자기 기록 매체 반송 로봇이 이동하여, 핸드 기구부가 취득한 매체를 상위 서버로부터 지정된 장소에 삽입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사용해서 본 출원의 실시 형태를,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출원의 라이브러리 장치(1)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라이브러리 장치(1)의 하우징인 캐비넷(10)에는 조작부(18)를 갖는 전면 패널(10F)이 있고, 사이드 패널(10S)에는 후술하는 개구부(16)와 이것을 막는 덮개(17)가 있다. 라이브러리 장치(1)에서는, 조작부(18)에 의해 캐비넷(10) 내에 수납되어 있는 기록 매체인 카트리지 테이프의 선택, 기록/재생을 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테이프로서 LTO(Linear Tape Open) 카트리지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LTO 카트리지 테이프는, 하우징 내부에 자기 테이프가 권취된 릴 허브를 수납하고, 자기 테이프의 선단에 설치된 리더 핀이 장착되어 있으며, 리더 핀으로 테이프를 인출하여 사용한다. LTO 카트리지 테이프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LTO 카트리지 테이프는 이후 간단히 카트리지라고 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라이브러리 장치(1)의 천장판(10T)을 제거하고, 캐비넷(10)의 내부를 상방에서 본 조감도이다. 캐비넷(10) 내에는, 카트리지를 복수 수납 가능한 제1 내지 제3 수납 선반(11 ~ 13)과, 카트리지의 드라이브(14)와, 제어 장치(1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수납 선반(11 ~ 13)과 드라이브(14) 사이에서 카트리지를 반송하는 로봇(2)이 있다. 제어 장치(15)에는 로봇 컨트롤 보드가 내장되어 있고, 상위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취하기 위한 파이버 채널 패스도 장비되어 있다. 이 파이버 채널 패스에 의해, 로봇의 동작을 상위 서버로부터 컨트롤할 수 있다. 수납 선반 및 카트리지의 정보도 제어 장치(15)로부터 출력되고, 지정된 카트리지를 로봇(2)에 의해 수납 선반으로부터 취출하고, 취출한 카트리지를 지정된 드라이브(14)에 삽입할 수 있다. 카트리지에의 기입 또는 카트리지로부터의 판독 지시도 상위 서버로부터 지시된다. 드라이브(14)는 카트리지의 기록/재생 장치로,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수납 선반(11)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수납 선반(11)은 캐비넷(10)의 배면 패널(10B)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2와 제3 수납 선반(12, 13)은 캐비넷(10)의 좌우 사이드 패널(10S)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수납 선반(11 ~ 13)과 전면 패널(10F)로 둘러싸인 공간 S 내에 로봇(2)이 있다. 로봇(2)에는 소정의 장소로부터 카트리지를 취득하여 본체 내에 수납하고, 반송 후에 지정된 장소에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핸드 기구부(6)가 설치되어 있다. 로봇(2)에는 좌우 방향 이동 기구(21), 깊이 방향 이동 기구(22) 및 상하 방향 이동 기구(23)가 있다. 로봇(2)은 이들 이동 기구(21 ~ 23)를 사용해서, 핸드 기구부(6)를 전술한 공간 S 내에서, 좌우 방향, 깊이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카트리지를 반송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1)의 제1 수납 선반(11)에는, 이점쇄선으로 둘러싼 최상단 부분에 떼어냄이 가능한 가설 수납 선반(11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설 수납 선반(11A)과 수평 방향의 동일 위치(캐비넷의 설치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있는 양측의 사이드 패널(10S)에는, 가설 수납 선반(11A)의 단면 형상과 똑같은 개구부(16)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6)는 통상은 덮개(17)로 막혀 있다. 이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1)에서는, 가설 수납 선반(11A)을 제거하고, 양측의 사이드 패널(10S)에 설치된 덮개(17)를 떼어내면, 한쪽의 사이드 패널(10S)로부터 다른 쪽의 사이드 패널(10S)까지를 관통하는 통로(관통로)가 형성된다.
이 관통로에는 도 1c 및 도 1d에 도시하는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이후 간단히 궤도 부재라고 함)(3)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c 및 도 1d에 도시한 궤도 부재(3)는 접속할 수 있고, 카트리지를 수납하여 반송할 수 있는 이동체(4)를 궤도 부재(3) 위를 달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한 라이브러리 장치(1)에 동일 사양의 별도의 라이브러리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병렬로 배열하고, 2개의 라이브러리 장치로부터 가설 수납 선반(11A)을 제거하고, 인접하는 덮개(17)를 떼어내서 궤도 부재(3)를 부설하면, 2개의 라이브러리 장치가 연결된다. 연결된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는, 로봇(2)과 이동체(4)에 의해, 양쪽에 있는 카트리지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1)는 복수대를 병렬로 설치하여 인접하는 덮개(17)를 제거하고, 가설 수납 선반(11A)을 궤도 부재(3)에 교환하여 연결하는 것만으로, 대용량의 라이브러리 장치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궤도 부재(3) 위를 이동시키는 이동체(4)의 카트리지의 삽입구는, 제거한 가설 수납 선반(11A)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삽입구와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의 이동체(4)에의 삽입은, 각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는 로봇(2)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설 수납 선반(11A)을 떼어낸 후에는, 이 실시예에서는 2층의 궤도 부재를 삽입하고, 각 라이브러리 장치간에 이중 카트리지의 반송 경로를 구축하여, 용장 구성으로 할 수 있지만, 용장 구성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단층의 궤도 부재를 라이브러리 장치간에 부설하면 된다. 또한, 도 1c, 도 1d에 도시한 각 궤도 부재(3)에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핸드 기구부(4)의 가로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2개의 기계적인 정지 기구(5L, 5R)가 정지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기계적인 정지 기구(5L, 5R)는, 궤도 부재(3) 위에 미세하게 이동체(4)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38)를 기어부(37)에 장착하고, 제어 장치(15)에 의해 이동체(4)의 위치를 정밀하게 전자 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필요가 없는 것이다.
병렬로 설치한 복수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대해, 가설 수납 선반(11A)을 떼어낸 후에 궤도 부재(3)를 연결하여 라이브러리 장치간에 설치하면, 각 라이브러리 장치 내의 카트리지를 각 라이브러리 장치로 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연결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수납할 수 있는 카트리지의 수는, 각 라이브러리 장치에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의 수의 정수배(병렬로 설치한 라이브러리 장치의 대수배)가 된다. 한편, 연결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사용 빈도가 낮은 경우에는, 소정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는 드라이브를, 동일 크기의 카트리지 수납 유닛으로 교환하여 줄임으로써, 연결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수납할 수 있는 카트리지의 수를 증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출원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라이브러리 장치의 실현예를 설명한다. 도 2a는 기준 라이브러리 장치(1)의 옆에 다른 라이브러리 장치(1A)를 두고, 2대 연결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외장 커버를 떼어낸 상태이다. 또한,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라이브러리 장치(1, 1A)를, 조작부(18)를 제거하여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a, 도 2b에 도시한 라이브러리 장치(1, 1A)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a에는 캐비넷(10) 내의 제1 수납 선반(11)과 개구부(16) 및 조작부(18)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는 로봇(2), 궤도 부재(3), 이동체(4), 제1 내지 제3 수납 선반(11 ~ 13) 및 제어 장치(15)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궤도 부재(3), 제어 장치(15) 및 개구부(16)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라이브러리 장치(1, 1A)를 연결한 상태를, 천장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1 수납 선반의 위치에 연결된 궤도 부재(3)가 장착되어 있고, 궤도 부재(3) 위에 이동체(4)가 설치되어 있다. 로봇(2)은 핸드 기구부(6)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방향 이동 기구(21)와, 좌우 방향 이동 기구(21)를 깊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깊이 방향 이동 기구(22)와, 이들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방향 이동 기구(23)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서는 궤도 부재(3)가 다른 라이브러리 장치(1A)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데, 라이브러리 장치의 연결대수가 2대인 경우에는 궤도 부재(3)를 다른 라이브러리 장치(1A) 내부에 수납되게 하면 된다. 이러한 라이브러리 장치는, 연결 대수가 증대함에 따라, 연결하는 궤도 부재의 수를 늘려 갈 수 있다.
도 5a는 도 1c에 도시한 궤도 부재(3)와 궤도 부재(3) 위의 이동체(4) 및 정지 기구(5)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이며, 도 5c는 궤도 부재(3) 위에 설치된 이동체(4)의 측면도이다. 정지 기구(5)는 좌측 정지 기구(5L)와 우측 정지 기구(5R)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 정지 기구(5L)와 우측 정지 기구(5R)는, 수압부(51)와 걸림 멈춤부(52)를 구비한 레버이며, 회전축(53)으로 걸림 멈춤부(52)가 궤도 부재(3)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걸림 멈춤부(52)는 이동체(4)가 궤도 부재(3) 위를 이동하는 것을 걸림 멈춤하는 스토퍼이므로, 걸림 멈춤부(52)는 이후 스토퍼(52)라 한다.
스토퍼(52)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궤도 부재(3) 위를 이동체(4)가 이동하는 영역의 외측에 스토퍼(52)가 있어서, 스토퍼(52)가 이동체(4)의 진로를 차단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궤도 부재(3)는 복수 연결되기 때문에, 이동체(4)의 진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체(4)는 궤도 부재(3)에 설치된 레일(33)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며, 구동원은 이동체(4)에 장착된 구동 장치(45)이다. 구동 장치(45)는 모터이므로, 이후 구동 장치(45)는 모터(45)라 한다. 모터(45)의 회전축(46)에는 기어(피니언)(47)가 장착되어 있고, 이 기어(47)는 궤도 부재(3) 위에 형성된 기어부(랙)(37)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45)가 통전되면 기어(47)가 회전하여 이동체(4)가 레일(33) 위를 이동한다.
궤도 부재(3)의 정지 기구(5)의 설치측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모터(4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과 제2 전극판(31, 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4)측에는 제1과 제2 전극판(31, 32)에 각각 접촉하는 제1과 제2 집전자(41, 42)가 전력 획득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동체(4)에의 전력 공급 부재를 전극판(31, 32)이라고 하고 있는 것은, 궤도 부재(3)의 연결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집전자가 전극판에 접촉하여 이동하면, 접촉부로부터 마모분(구리분)이 흩어져 떨어져서 다른 전극판과 집전자와의 접촉부에 부착되어, 산화하여 전압 저하를 일으키는 등의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궤도 부재(3)의 단부에 설치하는 전극 설치벽(35)의 선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절곡하여 덮개부(36)를 형성하고, 덮개부(36)의 선단부에 제1 전극판(31)을 장착하고 있다. 또한, 제2 전극판(32)은 덮개부(36)의 기초부의 위치에 있는 전극 설치벽(35)의 내면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과 제2 전극판(31, 32)은 평면에서 보면 겹쳐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1 전극판(31)과 제1 집전자(41)의 접촉으로 발생한 마모분이 아래로 떨어져도, 제1 전극판(31)과 제1 집전자(41)의 접촉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지 않은 제2 전극판(32)과 제2 집전자(42)의 접촉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제1과 제2 전극판(31, 32)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기 계통은 제어 장치로부터 제1과 제2 전극판(31, 32) 각각의 어느 1개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1개만으로 하면 되므로, 케이블리스화가 도모된다.
도 6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궤도 부재(3)의 일부와 이동체(4)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모터(45)의 양측에 있는 제1 집전자(41)는 압축 스프링부(48)에 의해 그 선단부가 제1 전극판(31)에 가압되어 있다. 제2 집전자는 제1 집전자(41)에 숨겨져서 보이지 않지만, 제1 집전자(41)와 마찬가지로 압축 스프링부에 의해 그 선단부가 제2 전극판에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4)의 이동 방향의 양단부에는, 스토퍼(51)에 접촉할 때에 모터(45)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스위치(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44)에는 궤도 부재(3) 상에서 정지 기구(5L 또는 5R)의 스토퍼(51)에 접촉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37은 모터(45)의 하측에 설치된 기어가 맞물리는 기어이다.
도 7은 인접하는 라이브러리 장치(1, 1A)에 있어서의 제1 수납 선반(11)으로부터 가설 수납 선반(11A)을 제거하고, 그 부분에 설치한 궤도 부재(3)와 이동체(4, 4A) 및 로봇(2)과 핸드 기구부(6)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로부터, 제1 수납 선반(11)에는 최하단에 드라이브(14)가 설치되어 있고, 최상단의 가설 수납 선반(11A)이 궤도 부재(3)에 교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인접하는 라이브러리 장치(1, 1A)에 있어서의 핸드 기구부(6, 6A)가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핸드 기구부(6)는, 예를 들어 로봇(2)의 깊이 방향 이동 기구(22)에 의해 제1 수납 선반(11)에 접근하여, 최하단의 수납 유닛(11D)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취득하고, 도시하지 않은 로봇(2)의 상하 방향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체(4)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도 8a는 도 1c에 도시한 궤도 부재(3)와, 도 1d에 도시한 궤도 부재(3)의 단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연결되는 측(기준측)의 궤도 부재(3)의 레일(33)의 단부에는 연결 구멍(33H)이 있고, 연결하는 측(확장측)의 궤도 부재(3)의 레일(33)에는 연결 구멍(33H)에 삽입되는 연결 핀(33P)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되는 측(기준측)의 전극 설치벽(35)에는 제2 전극판(3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 구멍(32H)이 있고, 덮개부(36)에는 제1 전극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 구멍(31H)이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하는 측(확장측)의 전극 설치벽(35)에는 제2 전극판(3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 핀(32P)이 있고, 덮개부(36)에는 제1 전극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 핀(31P)이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2개의 궤도 부재(3)를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2개의 궤도 부재(3)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연결 핀(31P, 32P)이 연결 구멍(31H, 32H)에 삽입되므로, 접속된 2개의 궤도 부재(3)에 있는 전극판(31, 3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8c는 도 8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2개의 궤도 부재(3)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는 도 1c에 도시한 궤도 부재(3)를 2층 구조로 해서, 떼어낸 가설 수납 선반(11A)의 위치에 설치한 경우의 궤도 부재(3)와 이동체(4)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b는 도 9a에 도시한 2층의 궤도 부재(3)가 장착된 라이브러리 장치(1, 1A)의 부분 정면도이다. 궤도 부재(3)를 2층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병렬로 설치한 라이브러리 장치(1, 1A) 사이에서 카트리지의 주고 받기 빈도가 많은 경우나, 안전성을 고려하여 용장 구성으로 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가설 수납 선반(11A)을 떼어낸 후에는, 단층의 궤도 부재(3)와 2층의 궤도 부재(3) 중 어느 하나를, 비용 중시, 용장화, 또는 성능 중시에 따라서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2층의 궤도 부재(3)로 용장화를 선택한 경우에는, 궤도 부재(3)의 상단, 하단의 어느 한쪽이 퇴피 상태로 되고, 가동측의 하우징간 반송 궤도 부재부에 어떠한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로 전환된다. 한편, 2층의 궤도 부재(3)에서 성능 중시하는 경우에는, 상단, 하단 모두 가동하여 캐비넷간에서 카트리지를 반송하는 시간을 단축한다.
이상, 라이브러리 장치를 2대 병렬로 설치하여 궤도 부재로 접속하는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연결하는 라이브러리 장치의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동일한 사양의 라이브러리 장치를 필요한 카트리지의 수납수에 맞춰서 배열하고, 가설 수납 선반과 덮개를 떼어내고 생긴 공간에 궤도 부재를 설치하고 그 위에 이동체를 배치하면, 라이브러리 장치는 몇대라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매체(카트리지)의 캐비넷간의 이동 제어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 10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와, 도 11 내지 도 25에 도시하는 라이브러리 장치의 각 부분의 동작 설명도를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라이브러리 장치가 복수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핸드 기구부에 의해 카트리지를 취출하는 캐비넷을 어떤 캐비넷으로 하고, 카트리지를 이동하는 곳의 캐비넷을 이동처 캐비넷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의 캐비넷간의 이동 지시는 상위 서버로부터 수취하게 되어 있지만, 특정한 라이브러리 장치에서 카트리지의 이동 지시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가 2층이 되어 있고, 핸드 기구부가 상측의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에 있는 이동체와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101에서는, 상위 서버로부터 카트리지(도 10에는 기록 매체 또는 매체라 기재하고 있음)를, 어떤 캐비넷으로부터 다른 캐비넷으로의 이동 지시를 수신한다. 스텝 102에서는, 어떤 캐비넷의 기록 매체 반송 로봇이 핸드 기구부를 X, Y, Z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위 서버로부터 지정된 매체 수납 선반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103에 있어서, 지정된 매체 수납 선반으로부터 핸드 기구부가 카트리지를 취출하여 핸드 기구부에 탑재한다.
계속되는 스텝 104에서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 기구부(6)가 수평 방향, 깊이 방향 및 상하 방향(도 10에는 X, Y, Z 방향이라 기재)으로 이동하여,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도 10에는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라 기재)(3)에 접근한다. 도 11에는 카트리지를 탑재한 핸드 기구부(6)가 로봇(2)에 의해,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3)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12에는 카트리지를 탑재한 핸드 기구부(6)가 로봇(2)에 의해,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3)에 다가오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1과 도 12에 있어서 이동하고 있지 않은 로봇(2)과 핸드 기구부(6)는 다른 캐비넷 내에 있는 로봇(2)과 핸드 기구부(6)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 105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3)에 근접한 핸드 기구부(6)가, 궤도 부재(도 10에는 궤도라 기재)(3) 위의 이동체(4)의 위치에 따라, 궤도 부재(3)에 설치된 2개의 정지 기구(5) 중 한쪽을 쓰러뜨린다. 예를 들어, 이동체(4)가 핸드 기구부(6)보다도 우측의 궤도 부재(3) 위에 있는 경우는, 2개 있는 정지 기구(5L, 5R) 중, 좌측 정지 기구(5L)를 쓰러뜨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 정지 기구(5L)와 우측 정지 기구(5R)의 간격은, 핸드 기구부(6)의 가로 폭보다도 넓다. 따라서, 핸드 기구부(6)가 좌측 정지 기구(5L)을 쓰러뜨리는 경우에는, 핸드 기구부(6)는 좌우 방향 이동 기구(21) 위를 좌측으로 이동한 후에, 깊이 방향 이동 기구(22) 위를 궤도 부재(3)측으로 이동하여 좌측 정지 기구(5L)를 쓰러뜨린다. 좌측 정지 기구(5L)에는 수압부(51)와 스토퍼(52)가 있고, 핸드 기구부(6)는 그 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 결합부(61)에 의해 수압부(51)를 누르고, 스토퍼(52)를 쓰러뜨린다.
스토퍼(52)가 쓰러져서 궤도 부재(3) 위를 막으면, 스텝 106이 실행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궤도 부재(3) 위를 이동체(4)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해 온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4)가 스토퍼(52)에 닿으면, 이동체(4)는 그 이동을 정지한다. 이동체(4)의 이동은, 도 2b 등에 도시한 제어 장치(15)가, 도 5c에 도시한 제1 전극판(31)과 제2 전극판(32)에 통전을 행함으로써 행해진다. 제어 장치(15)는 궤도 부재(3) 위의 이동체(4)의 위치와, 궤도 부재(3) 위에 쓰러져 있는 스토퍼(52)의 위치에 따라서 제1 전극판(31)과 제2 전극판(32)에 인가하는 구동 전압의 극성을 결정한다. 제1 전극판(31)과 제2 전극판(32)에 통전이 행해지면, 집전자(41, 42)를 통하여 전원에 접속된 모터(45)가 회전하고, 이동체(4)가 쓰러져 있는 스토퍼(52)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4)의 이동 방향의 양측에는 완충 장치를 구비한 스위치(44)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44)가 오프가 되면, 집전자(41)로부터 모터(45)로의 회로가 차단된다(집전자(31)로부터 모터(45)로의 회로가 차단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동체(4)가 이동하여 스위치(44)가 스토퍼(52)에 접촉하면, 스위치(44)가 오프가 되어 모터(45)의 회전이 정지하므로, 이동체(4)의 이동이 정지한다. 이 후, 제어 장치(15)에 의해 제1과 제2 전극판(31, 32)으로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107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 기구부(6)가 이동체(4)의 핸드 기구부(6)측의 면에 표시된 플래그(43)를 판독하여, 카트리지를 이동체(4)에 주고 받는 위치까지 좌우 방향 이동 기구(21) 위를 이동한다. 플래그(43)의 판독은 핸드 기구부(6)에 장착된 판독 장치(62)에서 행해진다. 판독 장치(62)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의 핸드 기구부(6)의 이동량은 얼마 되지 않으므로, 걸림 결합부(61)에 의해 스토퍼(52)는 쓰러진 그대로이다. 핸드 기구부(6)의 이동이 종료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 기구부(6)가 탑재해 온 카트리지 C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카트리지 C를 이동체(4)에 주고 받는다. 이 후,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 기구부(6)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후퇴하고, 걸림 결합부(61)에 의해 쓰러져 있었던 스토퍼(52)를 원래 위치로 되돌려, 스토퍼(52)에 의한 이동체(4)의 걸림 멈춤을 해제한다. 또한, 이 스토퍼(52)에 의한 이동체(4)의 걸림 멈춤의 해제는, 이동체(4)의 이동처의 캐비넷 내에서 이동체(4)의 수납 태세가 정돈되고 나서 해도 된다.
스텝 108에서는, 카트리지의 이동처 캐비넷에 있어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2)에 의해 핸드 기구부(6)를 X, Y, Z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우징간 매체 반송 궤도 부재(3)에 접근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카트리지를 탑재한 이동체(4)가 아직 스토퍼에 의해 걸림 멈춤된 상태로 되어 있다.
스텝 109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궤도 부재(3) 위의 이동체(4)의 위치에 따라서 카트리지의 이동처 캐비넷의 핸드 기구부(6)가 궤도 부재(3)에 설치된 2개의 스토퍼(52) 중 한쪽을 쓰러뜨린다. 도 20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이동체(4)는 이동처 캐비넷의 우측의 궤도 부재(3) 위에 있어서, 핸드 기구부(6)는 걸림 결합부(61)에 의해 좌측 정지 기구(5L)의 수압부(51)를 누르고, 스토퍼(52)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쓰러뜨린다. 도 20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도, 카트리지를 탑재한 이동체(4)가 아직 스토퍼(52)에 의해 걸림 멈춤된 상태로 되어 있다.
스텝 110은, 도 20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카트리지를 탑재한 이동체(4)를 걸림 멈춤하는 스토퍼(52)가 해제되고 나서 실행된다. 스텝 110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를 탑재한 이동체(4)가 궤도 부재(3) 위를 이동해 온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4)가 스토퍼(52)에 닿으면, 이동체(4)의 이동이 정지한다. 이동체(4)의 정지 동작은 스텝 106 및 도 15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111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처 캐비넷의 핸드 기구부(6)에 설치된 판독 장치(62)가 이동체(4)의 플래그(43)를 판독하여, 핸드 기구부(6)가 카트리지의 이동체(4)와의 건네주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후,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를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4)로부터 핸드 기구부(6)에 취득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또 하나의 핸드 기구부(6)는 다른 캐비넷에 있는 핸드 기구부(6)이다.
이동처 캐비넷에 있어서, 카트리지가 이동체(4)로부터 핸드 기구부(6)에 취득되면 스텝 112가 실행된다. 스텝 112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처 캐비넷의 로봇(2)이 핸드 기구부(6)를 X, Y, Z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정된 매체 수납 선반에 카트리지를 삽입하거나, 또는 카트리지를 이동처 캐비넷에 있어서 드라이브에 삽입한다.
스텝 113은 상위 서버로부터의 지령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상위 서버로부터, 카트리지의 이동 지령이 없는 경우(예)에는 이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상위 서버로부터, 카트리지의 이동 지령이 있는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101로 되돌아가서 스텝 101에서 스텝 113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는, 궤도 부재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라이브러리 장치간을 카트리지를 탑재하여 이동하는 이동체가, 기계적인 기구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라이브러리 장치의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즉,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는, 동일 사양의 라이브러리 장치를 병렬로 배열하여 연결하고, 장치 배면 부분에 카트리지의 수납 선반 대신에 카트리지 반송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대용량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기존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반송 기구는 기계적인 기구를 중심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도 서보 제어 등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저렴한 직류 모터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케이블도 카트리지 반송 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만이며, 반송 기구부는 케이블리스로 구축함으로써, 증설의 작업 공정수를 줄이는 동시에, 소비 전력도 삭감할 수 있어, 친환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본 출원을 적용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의 수납 권취수가 현행의 라이브러리 장치보다 8배 정도 큰 대용량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실현할 수 있어, 연구 및 개발 분야나 나라의 중요 분야 등의 엄청난 데이터량의 장기 보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로서는 테이프 카트리지 이외에도, 하드 디스크 장치나 IC 메모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기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 및 이점들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9)

  1.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전면에 조작부(18)를 구비하는 캐비넷(10)과,
    복수의 기록 매체(C)를 수납하기 위해서, 상기 캐비넷(10)의 배면 패널측에 제1 수납 선반(11), 좌우 사이드 패널측에 제2와 제3 수납 선반(12, 13)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 장치(14)와,
    상기 수납 선반과 상기 기록/재생 장치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는 로봇(2)과,
    상기 제1 수납 선반(11)의 1개의 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납 선반(11)으로부터 떼어냄이 가능한 가설 수납 선반(11A)과,
    상기 캐비넷의 상기 좌우 사이드 패널(10S)의, 상기 가설 수납 선반(11A)의 양측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16)와,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개재시켜 배치되는 궤도 부재(3)와, 상기 기록 매체를 탑재하여 상기 궤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4)와, 상기 이동체(4)를 상기 궤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45)와, 상기 궤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 케이블리스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부재(31, 32)와, 상기 전력 공급 부재로부터 집전하여 전력을 획득하는 전력 획득 부재(31P, 32P)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는 또한,
    상기 이동체의 정지 위치에 배치되는 정지 부재(5)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정지 부재에 접촉하면 상기 전력 획득 부재로부터 상기 구동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절단하는 스위치(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2.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전면에 조작부(18)를 구비하는 캐비넷(10)과,
    복수의 기록 매체(C)를 수납하기 위해서, 상기 캐비넷(10)의 배면 패널측에 제1 수납 선반(11), 좌우 사이드 패널측에 제2와 제3 수납 선반(12, 13)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 장치(14)와,
    상기 수납 선반과 상기 기록/재생 장치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는 로봇(2)과,
    상기 제1 수납 선반(11)의 1개의 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납 선반(11)으로부터 떼어냄이 가능한 가설 수납 선반(11A)과,
    상기 캐비넷의 상기 좌우 사이드 패널(10S)의, 상기 가설 수납 선반(11A)의 양측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16)와,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개재시켜 배치되는 궤도 부재(3)와, 상기 기록 매체를 탑재하여 상기 궤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4)와, 상기 이동체(4)를 상기 궤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45)와, 상기 궤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 케이블리스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부재(31, 32)와, 상기 전력 공급 부재로부터 집전하여 전력을 획득하는 전력 획득 부재(31P, 32P)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 부재는, 복수의 전극판(31, 32)이며,
    상기 전력 획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판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집전자(31P, 32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부재는, 복수의 전극판(31, 32)이며,
    상기 전력 획득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판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집전자(31P, 32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내에, 상기 기록 매체를 파지하는 핸드 기구부(6)를 갖는 로봇(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드 기구부는, 상기 궤도 부재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정지 부재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6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가 수압부(51)와 걸림 멈춤부(52)를 갖는 레버이며, 상기 핸드 기구부의 상기 걸림 결합부에 의해 상기 수압부가 눌렸을 때에, 상기 걸림 멈춤부가 상기 궤도 부재 위로 돌출하여 상기 이동체의 진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는 좌측 정지 부재(5L)와 우측 정지 부재(5R)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정지 부재와 우측 정지 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핸드 기구부의 가로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가 정지해야 할 캐비넷보다도 좌측에 있는 캐비넷 내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드 기구부의 우측에 설치된 상기 걸림 결합부(61)에 의해 상기 우측 정지 부재가 동작하고,
    상기 이동체가 정지해야 할 캐비넷보다도 우측에 있는 캐비넷 내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드 기구부의 좌측에 설치된 상기 걸림 결합부(61)에 의해 상기 좌측 정지 부재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기록 매체의 취출/수납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4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드 기구부는,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수납/취출 위치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판은, 상기 궤도 부재 위로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판은, 상기 궤도 부재 위로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기록 매체의 취출/수납이 필요한 캐비넷 내에서, 상기 핸드 기구부의 위치에 맞춰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수납 선반(11A)은, 그 높이가 상기 반송 장치의 점유 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넷 내의 높이가 다른 위치에 적어도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수납 선반(11A)은, 그 높이가 상기 반송 장치의 점유 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넷 내의 높이가 다른 위치에 적어도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13. 라이브러리 장치로서,
    전면에 조작부(18)를 구비하는 캐비넷(10)과,
    복수의 기록 매체(C)를 수납하기 위해서, 상기 캐비넷(10)의 배면 패널측에 제1 수납 선반(11), 좌우 사이드 패널측에 제2와 제3 수납 선반(12, 13)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 장치(14)와,
    상기 수납 선반과 상기 기록/재생 장치간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는 로봇(2)과,
    상기 제1 수납 선반(11)의 1개의 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납 선반(11)으로부터 떼어냄이 가능한 가설 수납 선반(11A)과,
    상기 캐비넷의 상기 좌우 사이드 패널(10S)의, 상기 가설 수납 선반(11A)의 양측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16)와,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개재시켜 배치되는 궤도 부재(3)와, 상기 기록 매체를 탑재하여 상기 궤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4)와, 상기 이동체(4)를 상기 궤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45)와, 상기 궤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장치에 케이블리스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부재(31, 32)와, 상기 전력 공급 부재로부터 집전하여 전력을 획득하는 전력 획득 부재(31P, 32P)를 구비하고,
    상기 궤도 부재 위에는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3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 장치(15)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상기 궤도 부재 위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부재 위에는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3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 장치(15)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상기 궤도 부재 위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30046970A 2012-05-30 2013-04-26 라이브러리 장치 KR101458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3231 2012-05-30
JP2012123231A JP5983045B2 (ja) 2012-05-30 2012-05-30 ライブラリ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057A KR20130135057A (ko) 2013-12-10
KR101458698B1 true KR101458698B1 (ko) 2014-11-05

Family

ID=4801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970A KR101458698B1 (ko) 2012-05-30 2013-04-26 라이브러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73360B2 (ko)
EP (1) EP2669891A1 (ko)
JP (1) JP5983045B2 (ko)
KR (1) KR101458698B1 (ko)
CN (1) CN1034490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6215B2 (ja) * 2011-03-31 2015-04-22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ライブラリ装置、及び、アクセッサ装置
US8923880B2 (en)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JP2016027513A (ja) 2014-06-25 2016-02-18 富士通株式会社 ライブラリ装置
US9679600B2 (en) * 2015-07-13 2017-06-13 Facebook, Inc. Mechanical pre-fetching of cold storage media
CN105752569B (zh) * 2016-04-10 2018-10-23 刘向明 一种警用综合物证自动化存取管理系统
US20190068466A1 (en) * 2017-08-30 2019-02-28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auto-discovery of fault domains
US10188013B1 (en) * 2017-10-09 2019-01-22 Facebook,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data center modules
US11342004B2 (en) * 2019-11-07 2022-05-24 Quantu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replacement of robotic media mover in automated media library
US11862203B2 (en) * 2022-01-22 2024-01-0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cartridge data storage libra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850A (ja) * 1992-01-09 1993-07-30 Hitachi Ltd カートリッジライブラリ装置
JPH10162472A (ja) * 1996-11-29 1998-06-19 Nec Yonezawa Ltd 複合型ライブラリシステム
US6438623B1 (en) * 1999-04-16 2002-08-20 Ampex Corporation Transfer unit extending between two or more cabinets for expansion of tape library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210A (ja) 1985-08-20 1987-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タによる可動部位置設定方法
US4817071A (en) * 1988-04-22 1989-03-28 Eastman Kodak Company Disk-loading station for automated disk library
US5277534A (en) * 1992-01-23 1994-01-11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Expandable magnetic tape cartridge storage system
JP3316898B2 (ja) 1993-01-06 2002-08-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セット交換システム
JP3414484B2 (ja) * 1994-04-14 2003-06-09 株式会社ダイフク 電車利用の搬送装置
JPH08273268A (ja) * 1995-03-29 1996-10-18 Hitachi Ltd 記録媒体のオートチェンジャーシステム
JP3437897B2 (ja) * 1996-08-21 2003-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ライブラリ装置
US6011669A (en) * 1998-04-27 2000-01-04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Pass thru mechanism for transferring magnetic tape cartridges between automated cartridge library systems
US6490122B1 (en) * 1998-08-28 2002-12-03 Hewlett-Packard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a cartridge access device in a cartridge storage system
US6494663B2 (en) * 1999-07-16 2002-12-17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robotic mechanisms between automated storage libraries
US6457928B1 (en) * 1999-08-04 2002-10-01 Ampex Corporation Inter-row transfer unit for moving tape cartridges between rows of library systems
US6488462B1 (en) * 2000-01-12 2002-12-03 Quantum Corporation Transport mechanism for a storage system
GB2377542B (en) * 2001-05-12 2005-06-15 M4 Data Ltd Data storage
US6661602B2 (en) * 2001-09-10 2003-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data cartridges between adjacent cartridge libraries
US7021883B1 (en) * 2003-03-18 2006-04-04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media cartridges
US7486472B2 (en) * 2004-04-02 2009-02-03 Spectra Logic Corporation Storage media transferring method and apparatus within a multi-unit storage apparatus
JP4086834B2 (ja) 2004-10-28 2008-05-14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搬送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ライブラリシステム
WO2009050792A1 (ja) * 2007-10-16 2009-04-23 Fujitsu Limited アライメント調整装置、ライブラリ装置及びアライメント調整方法
DE102007056794B4 (de) * 2007-11-23 2010-07-08 Bdt Ag Aufzugsystem für einen Speicherroboter
JP4771008B2 (ja) * 2008-06-23 2011-09-14 富士通株式会社 ライブラリ装置、ライブラリシステムおよびライブラリ装置の媒体搬送方法
JP5402937B2 (ja) * 2008-09-30 2014-01-29 富士通株式会社 ライブラリ装置とライブラリ装置の棚移動方法
WO2010092614A1 (ja) * 2009-02-10 2010-08-19 富士通株式会社 ライブラリ装置及びライブラリ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850A (ja) * 1992-01-09 1993-07-30 Hitachi Ltd カートリッジライブラリ装置
JPH10162472A (ja) * 1996-11-29 1998-06-19 Nec Yonezawa Ltd 複合型ライブラリシステム
US6438623B1 (en) * 1999-04-16 2002-08-20 Ampex Corporation Transfer unit extending between two or more cabinets for expansion of tape library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057A (ko) 2013-12-10
EP2669891A1 (en) 2013-12-04
JP2013251020A (ja) 2013-12-12
US8873360B2 (en) 2014-10-28
JP5983045B2 (ja) 2016-08-31
CN103449087A (zh) 2013-12-18
CN103449087B (zh) 2016-06-29
US20130322223A1 (en)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698B1 (ko) 라이브러리 장치
US7782565B2 (en) Magazine insertion and ejection system
US7180701B2 (en) Magazine-based data cartridge library
JP5495308B2 (ja) ライブラリ装置、データカートリッジの取り出し方法及び収納方法
US10885940B2 (en) Disc storage device rack and disc archive device
US11862203B2 (en) Disk cartridge data storage library
JP5402937B2 (ja) ライブラリ装置とライブラリ装置の棚移動方法
CN110024031B (zh) 盘片存放装置和盘片存档装置
CN107993678B (zh) 一种盘匣抽拉可插拔式光存储数据中心控制系统
JP2011150761A (ja) ライブラリ装置
JP2008004207A (ja) ライブラリ装置
WO2018159107A1 (ja) ディスク収納装置及びディスクアーカイブ装置
JP2013065367A (ja) ライブラリ装置
CN113160856B (zh) 一种设有横向自动装卸载光驱的光盘库及光盘运载方法
JP5710871B2 (ja) カートリッジ搬送装置、ライブラリ装置、およびライブラリシステム
JP5938694B2 (ja) 挿抜装置
JP2014026691A (ja) マガジンチャック
US20120274187A1 (en) Library apparatus
JP2005149708A (ja) 媒体選択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30011639A (ko) 양면 광디스크 기록을 위한 아카이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