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014B1 - 조리물이 중력에 의해 배식용기로 자동 낙하가 가능한 가열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물이 중력에 의해 배식용기로 자동 낙하가 가능한 가열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014B1
KR101458014B1 KR20130074243A KR20130074243A KR101458014B1 KR 101458014 B1 KR101458014 B1 KR 101458014B1 KR 20130074243 A KR20130074243 A KR 20130074243A KR 20130074243 A KR20130074243 A KR 20130074243A KR 101458014 B1 KR101458014 B1 KR 101458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food
hot gas
cooking
individual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근
신이슬
Original Assignee
신창근
신이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근, 신이슬 filed Critical 신창근
Priority to KR2013007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바닥이 개방된 통형 측벽, 통형 측벽과 수평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바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개별 조리 용기와, 개별 조리 용기에 고온 기체를 공급하는 고온 기체 공급부가 구비되고, 바닥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미세 구멍 혹은 슬릿이 형성된 마감영역과 개방부가 구비되어, 고온 기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고온 기체가 마감영역을 통해 개별 조리 용기에 공급되고, 바닥 플레이트가 수평이동하여 마감영역과 개방부가 선택적으로 통형 측벽의 개방된 바닥과 겹칠 수 있고, 개방부를 통해 개별 조리 용기 내의 음식물이 국자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수요자에게 음식물을 가장 좋은 상태로 제공할 수 있고, 수요의 증감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수요자의 취향에 따라 제공되는 음식물의 종류를 다양화할 수 있다. 동시에 조리시 열 효율을 높여 에너지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외부 방출열 차단으로 온도와 습도를 낮출 수 있어서 쾌적한 분위기의 조리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조리물이 중력에 의해 배식용기로 자동 낙하가 가능한 가열 조리 장치{heating cooker enabling cooked food to fall to bowl}
본 발명은 가열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 조리 용기에서 고온 기체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하고 조리 완료 후 조리물을 낙하시켜 배식용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조리 장치의 대부분은 다양한 열원을 사용하지만, 조리물을 가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열기가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측면을 가열하면 가열된 바닥면과 측면이 내부의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이 음식을 가열하는 외부 혹은 간접 가열 방식을 사용한다. 외부 혹은 간접 가열 방식은 용기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식재료 조리에 사용되지 못하고 주변으로 방출되는 열이 많다.
그로 인해 조리물을 물속에서 가열해야하는 경우, 상온의 물을 100℃까지 올리는데 시간(예열시간)이 많이 걸리며, 끓는 물에 조리물을 넣을 경우 물의 온도가 떨어져 조리물이 담긴 물을 다시 100℃까지 올리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결과적으로 기존 조리장치를 사용한 가열조리는 필요 이상의 에너지와 시간이 소요되었다.
기존 가열조리방법을 이용해 일정 시간 내에 많은 인원에게 음식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 대형 조리용기를 이용해 한꺼번에 많은 음식을 조리하게 된다. 다수의 개별 조리 용기를 사용하여 조리를 하는 것이 전열면적이 넓어 빠른 조리를 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기존의 외부 혹은 간접 가열방법으로 다수의 개별용기를 사용해 가열하게 되면, 열은 주로 바닥면을 통해 내부로 일부 전달되고 나머지 열은 외부로 방출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습기와 함께 작업환경을 고온다습하게 하여 조리 종사원들이 괴로움을 겪는다.
그로 인해 대형 조리용기에서 대량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개별 조리용기 전열면적 합보다 조리용기의 전열면적이 줄어 조리 시간이 길어진다. 긴 조리시간은 식재료의 영양소를 파괴하고 식재료 고유의 식감이 저하시키며 풍미가 휘발되어 음식 맛이 저하된다. 특히 국수, 라면, 떡국 등과 같이 수분을 잘 흡수하는 음식물의 경우, 한꺼번에 대량 조리하면 후순위 배식자는 식감이 떨어지는 음식을 먹을 수밖에 없어 대량조리의 경우 현실적으로 채택될 수 없다.
조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배식 이전에 미리 음식을 조리하게 되며, 조리 완료 후 배식시음식 운반 시간이 길어져 음식이 식고, 식감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조리 시간이 길어지면서 다수 수요자에 대해 짧은 시간 동안 음식을 공급하기 위해서 미리 재료를 조리하게 되면, 처음 음식을 먹는 사람과 나중에 음식을 먹는 사람은 식감이 저하되어 서비스의 질이 저하된다.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 조리물을 배식용기에 옮기는 과정에 있어서도 기존에는 국자를 사용하여 조리용기로부터 조리물을 수직으로 들어올린 후 평행하게 이동하여 다시 수직으로 낙하시켜 배식용기에 담았다. 이 과정은 위험하고 번거로우며, 그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했다.
또한 국을 대량으로 조리하기 위한 대형 조리장치는 너무 크고 무거우며 외부로 열방출이 일어나 배식장소에 설치할 수 없어 조리물을 별도의 보온통에 옮긴 후 배식을 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대량의 고온 조리물을 옮기는 과정은 번거롭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조리물이 식게되어 식감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조리장소와 배식장소의 분리로 보온통에 옮겨진 조리물의 이동과정에서도 음식물이 식게 된다.
그리고, 대량 용기 조리에서는 조리물의 부피 대비 전열면적이 좁아 조리 시간 단축을 위해 바닥 면적을 넓게 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런 경우, 외부로 전열되는 양도 많아져 빨리 식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리과정에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 및 시간만을 사용하며 외부 방출열 차단이 가능한 조리장치가 요청된다. 그로 인해 단체급식에서도 개별조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는 다수의 수요자에게 음식물을 가장 좋은 상태로 제공할 수 있고, 배식 수요의 증감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열 효율이 높은 가열 조리 장치가 요청된다.
또한, 조리 완료 후 조리물의 이동동선을 최단화하여 조리물 이동으로 인한 번거로움과 위험 및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가 요청된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314호에는 즉석식품 조리 스팀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런 발명은 고온스팀을 이용하여 개별 즉석 식품을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는 것으로, 공통으로 스팀을 발생시켜 파이프 라인을 통해 개별 조리 용기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런 장치에서는 스팀이 바깥에서 용기를 가열하여 열 전달 효율이 그리 높지 못하였다. 또한, 이런 장치에서는 대량 급식에서 일일이 용기를 스팀기에 결합하거나 분리하여야 하므로 배식을 하기에는 번거롭고 동작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0791317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31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가열 조리 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시 고온의 기체를 조리용기 내부의 수중에 미세기포 형태로 공급하여 외부로의 열 방출을 차단하고, 조리물의 이동동선을 최단화하기 위해 국자를 사용하지 않고 조리물을 배식용기로 낙하시키며, 단체급식에서 개별조리를 가능하게 하여 수요자 취향에 따라 다양한 음식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제공하기 어려웠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 함유율이 높아지는 음식들(국수, 떡국, 라면, 우동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국과 찌개처럼 고온에서 식감이 살아있는 음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시 외부방출열 차단과 조리용기 내부의 수중에 공급되는 고온의 기체양에 따라 열효율을 높여 예열시간을 원하는대로 단축할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방출열 차단을 통해 조리장소와 배식장소를 일치시켜 조리물 운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조리물 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 손실에 의한 음식의 질 저하를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시차를 가지고 나타나는 수요자들에게 적절한 온도의 음식을 제공하고, 수요의 증감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방출열 차단으로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위생성을 높일 수 있는 가열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열 조리 장치는,
바닥이 개방된 통형 측벽과 상기 통형 측벽과 수평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바닥 플레이트로 구성된 개별 조리 용기와, 상기 개별 조리 용기 각각에 고온 기체를 공급하는 고온 기체 공급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바닥 플레이트는 복수의 미세 구멍(hole) 혹은 슬릿(slit)이 형성된 마감영역(이하 '마감영역'으로 대체한다)과 상하가 관통된 개방부(이하 개방부로 대체한다)로 이루어진다. 마감영역과 개방부는 서로 옆에 위치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는 바닥 플레이트가 놓인 평면을 연장한 평면 내에서 수평 이동하면서 마감영역과 개방부가 번갈아가며 상기 통형 측벽의 하단의 개방된 부분과 겹쳐질 수 있다.
이때 통형 측벽 부분의 하부에는 배식 용기가 위치할 수 있다. 조리중에는 통형 측벽이 바닥 플레이트의 마감 영역 위에 위치하고, 조리 후에는 통형 측벽이 바닥플레이트의 개방부 위에 위치하여 조리완료된 음식물이 배식용기 속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통형 측벽과 바닥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개별 조리 장치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통형 측벽에 대해 하나의 바닥 플레이트가 공통의 바닥을 이룰 수 있다. 복수의 통형 측벽에 대해 공통의 바닥을 이루는 하나의 바닥 플레이트는 복수의 통형 측벽 각각에 대응할 수 있는 복수의 마감영역과 개방부를 갖는다. 공통 바닥 플레이트도 바닥 플레이트가 놓이는 평면을 연장한 평면 내에서 수평 이동하여 조리 중에는 복수의 통형 측벽이 바닥 플레이트의 복수의 마감영역 위에 위치하고, 조리 후에는 복수의 통형 측벽이 바닥 플레이트의 복수의 개방부 위에 위치하여 조리완료된 음식물이 배식용기 내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 플레이트 하부에서 고온의 기체가 공급된다. 고온의 기체는 조리 중에 통형 측벽의 개방된 바닥을 마감하는 마감영역을 통과하면서 미세기포로 분할된 후, 미세기포가 통형 측벽 내의 물과 직접 열 교환하여 가열하고, 가열된 물이 조리물을 가열한다.
본 발명에서 고압의 고온 기체가 통형 측벽에 들어갈 때에는 미세 구멍 혹은 슬릿을 통과하면서 미세기포 형태로 분할된다. 같은 양의 기체일 경우 미세기포 크기가 작고 개수가 많을수록 표면적의 합이 커지므로,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세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개수는 최대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별 조리용기를 개별적 혹은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뚜껑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복수의 개별 조리 용기가 구비 될 경우, 상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모든 개별 조리 용기 특히 통형 측벽과 닿아 고정시키는 정렬판이 설치될 수 있다. 정렬판 가장자리에는 정렬판을 감싸는 벽체로 이루어진 보온용기가 구비된다. 이 보온용기는 개별 조리용기를 가열하고 나온 고온의 기체들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이 보온용기와 개별 조리용기 및 뚜겅 사이, 개별 조리용기 간의 틈에 머물며 외부로 누출되기 전에 개별 조리용기의 외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미세 구멍 혹은 슬릿은 가능한 한 작은 크기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 기체가 수증기일 경우 통형 측벽과 바닥 플레이트는 각각 연속사용가능온도가 100℃ 이상인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별 실시예에 따라 이하의 특징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온 기체 챔버(제1 챔버)는 통형 측벽 위쪽에 위치하고 분기관을 구비할 수 있다. 가령, 분기관은 통형 측벽 상단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통형 측벽 내부로 인입되어 하단부가 바닥 플레이트의 마감영역에 밀착하게 된다. 바닥 플레이트에는 분기관의 하단부와 밀착되는 고온 기체 통과구멍이 있고, 기체 통과구멍의 직경은 분기관 하단부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아야 한다. 바닥 플레이트 하부에는 배식용기가 밀착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분기 파이프의 하단부가 기체 통과구멍 위에 밀착되어 고온 기체를 바닥 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한 배식용기로 공급하면 배식용기로 공급된 고온 기체가 다시 바닥 플레이트의 미세 구멍 혹은 슬릿을 통해 바닥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한 개별 조리용기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배식용기는 제2챔버 혹은 보조챔버의 역할을 하며, 조리장치의 필수적인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고온 기체 공급부의 위치는 통형 측벽 상부로 동일하되 분기관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가령, 통형 측벽의 외측에서 하단부가 바닥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분기관이 구비되고, 바닥 플레이트에는 분기관의 하단부가 밀착되는 통과구멍이 있고, 바닥 플레이트 하부에 통형 측벽 외측의 통과구멍까지 포괄하는 배식용기가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분기 파이프의 하단부가 통과구멍 위에 밀착되어 고온 기체를 배식용기로 공급하면 배식용기로 공급된 고온 기체가 다시 바닥 플레이트의 미세 구멍 혹은 슬릿을 통해 개별 조리 용기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배식용기는 제2챔버 역할을 한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기체 공급부가 개별 조리 용기에 대한 뚜껑역할을 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온의 기체를 공급하는 고온 기체 챔버가 통형 측벽 하부에 위치하며 본 발명의 바닥 플레이트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 역할을 겸하는 고온 기체 챔버 역시 상하가 관통된 개방부와 복수의 미세 구멍(hole) 혹은 슬릿(slit)이 존재하는 마감영역을 구비한다. 개방부와 마감영역이 서로 옆에 위치할 수 있다. 통형 측벽이 복수 개일 경우 하나의 고온 기체 챔버가 복수 통형 측벽의 공통의 바닥을 이룰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 역할을 겸하는 고온 기체 챔버도 고온 기체 챔버의 한 기준면 가령 상면을 수평적으로 확장한 평면 내에서 상면이 수평 이동하며 마감영역과 개방부가 번갈아가며 통형 측벽의 하단의 개방된 부분과 겹쳐질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통형 측벽 하부의 바닥 플레이트 역할을 하는 고온 기체 챔버에서 생성된 고온 기체가 바닥 플레이트 상면의 미세구멍 혹은 슬릿을 통과하여 미세기포 형태로 통형 측벽 내의 조리물 속으로 공급된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뚜껑이 구비되며, 뚜껑은 고온 기체 챔버의 역할은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시 조리용기의 내외부를 가열하고 외부 방출열을 차단해 열효율을 높여 조리속도를 높여 조리용기를 일 인분씩 개별용기화 하여 조리하는 개별조리가 가능해져 다수의 수요자에게 음식물을 가장 좋은 상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수요의 증감에도 탄력적으로 대처 할 수 있어 잔반 발생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열의 외부방출을 차단하여 조리실의 온도와 습도를 낮출 수 있어 쾌적한 분위기의 조리 환경을 만들 수 있고 미생물 번식 방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단체급식의 경우 기존 대형조리장치의 과도한 외부방출열로 인해 주방면적을 크게 설계할 수 밖에 없었는데, 본 발명을 통해 대형 조리장치를 개별 조리장치로 대체 할 수 있어 주방크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완료와 동시에 같은 장소에서 배식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자들은 근무동선을 단축시켜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빠른 조리속도와 복수메뉴 제공으로 배식창구를 복수화할 수 있어 수요자들의 대기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조리물을 국자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을 이용하여 배식용기에 낙하시킴으로써 이동거리를 최단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식감 저항 없이 최상의 상태의 음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방출열 차단과 빠른 조리속도로 단체급식과 일반식당, 일반가정 등 모든 조리서비스에 자신이 처리하는 (DIY) 조리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사용할 경우 통형측벽을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있어 기존 조리장치 제작에 사용되던 원재료의 한계(가격, 열전도도)를 넘어설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
도2는 도1의 실시예가 결합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질 때 개별 조리 용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인 단면도,
도3은 도1의 실시예의 바닥 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
도4는 도1의 실시예의에서 조리가 이루어진 후에 배식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질 때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6은 도5와 비슷한 다른 실시예의 바닥 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결합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질 때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8 및 도9는 도7과 비슷한 다른 실시예의 고온 기체 챔버 일체형 바닥 플레이트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부 분리 상태의 단면도, 도2는 각 부 결합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 단면도, 도3은 이 실시예의 바닥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4는 각 부 결합 상태이면서 바닥 플레이트가 개별 조리 용기 개방 위치인 경우의 단면도이다.
개별 조리 용기를 이루는 통형 측벽(210)들과 이들의 바닥을 형성하는 공통의 바닥 플레이트(230), 이 개별 조리 용기에 고온 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온 기체 챔버(220)와 분기관(221), 배식 용기(250) 등이 가열 조리 장치를 이루고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고온 기체 공급부는 분기관(221)을 복수 개 구비하며, 이 분기관은 통형 측벽 위쪽에서 통형 측벽 상단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부로 인입되어 하단부가 바닥 플레이트(230)의 마감영역(231)에 밀착하게 된다. 마감영역(231)에는 분기관(221)의 하단부가 밀착되는 통과구멍(235)이 있고, 바닥 플레이트(230) 하부에는 배식 용기(250)가 밀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결국, 본 발명은 분기 파이프의 하단부가 통과구멍(235) 위에 밀착되어 고온 기체를 배식 용기(250) 속으로 공급하면 배식 용기(250) 속으로 공급된 고온 기체가 다시 미세 구멍 혹은 슬릿(237)을 통해 통형 측벽 내의 조리물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고온 기체는 미세 구멍 혹은 슬릿(237)을 통과하며 미세하게 분할되어 미세기포 상태로 상승하면서 조리물과 직접 접촉하며 직접 열교환을 한다.
이때 배식용기는 제2 챔버 혹은 보조챔버 역할을 한다.
가열 조리가 완료되면 고온 기체 챔버(220)에서의 고온 기체(증기) 방출은 중단되고, 바닥 플레이트(230)는 수평이동하여 바닥 플레이트 개방부(233)가 통형 측벽(210)으로 둘러싸인 영역 아래로 이동하여 통형 측벽 내의 조리물이 바닥 플레이트 아래쪽의 배식 용기(250)로 낙하된다.
음식물의 낙하가 이루어지면 바닥 플레이트(23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마감영역(231)이 통형 측벽의 바닥을 이루고, 음식물이 담긴 배식 용기(250)는 그대로 배식되고 다른 배식 용기(250)가 마감영역(231) 아래쪽에 밀착된다. 고온 기체 챔버(220)와 개별 조리 용기 사이가 벌어지면서 개별 조리 용기에는 조리대상물이 투입되고 다시 고온 기체 챔버(220)와 개별 조리 용기 사이가 가까워지며 분기관(221)이 통과구멍(235) 주변과 밀착하고 고온 증기가 방출된다.
정렬판(260)은 바닥 플레이트(230)에서 개별 조리 용기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 홀에 통형 측벽(210)이 끼워져 개별 조리 용기 사이의 간격과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정렬판(260) 가장자리에는 정렬판을 둘러싸는 보온용기(240)가 구비되어 개별 조리 용기의 측벽을 포괄적으로 감싸 외부 방출열을 차단하는 동시에 개별 조리 용기의 외측면을 가열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6은 도5와 비슷하지만 개방부, 마감영역 및 통과구멍 위치가 다소 다른 실시예의 바닥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의 실시예는 도1 내지 도4의 실시예와 달리 분기관(321)이 개별 조리용기의 통형 측벽(310)의 외측 주변부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고온 기체의 통과구멍(335)도 마감영역 외측에 형성된다.
보조용기(350)는 미세 구멍 혹은 슬릿(337)이 형성된 마감영역과 고온 기체 통과구멍(335)을 포괄하기 위해 마감영역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개방부(333)도 보조용기(350)에 맞게 앞선 실시예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통과구멍을 통해 배식용기 속으로 공급된 고온 기체의 손실을 막기 위해 마감영역과 개방부는 알맞은 거리를 유지해야한다.
이 경우에도 배식용기는 제2 챔버 혹은 보조챔버 역할을 한다.
도7의 실시예에서는 고온 기체 챔버(420)가 통형 측벽 위쪽에 위치하는 대신에 통형 측벽 아래쪽에 위치하며, 고온 기체 챔버(420)는 복수의 미세 구멍 혹은 슬릿을 갖는 마감영역과 개방부를 가져 앞선 실시예의 바닥 플레이트 역할을 겸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바닥 플레이트(430)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의 조리 상태를 나타낸다.)
고온 기체 챔버(420)에서 개방부는 조리된 음식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수직 개방부(433)를 형성하고, 복수의 미세 슬릿 혹은 구멍이 형성된 마감영역은 통형 측벽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만 형성된다.
개별 조리 용기들 위쪽에는 이들을 포괄하는 뚜껑(4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고온 기체 챔버(420) 내의 고온 기체 압력에 의해 고온 기체가 바닥 플레이트(430)의 마감 영역에 있는 미세 구멍 혹은 슬릿(437)을 통해 개별 조리 용기에 분할 공급되어 열 전달을 하고, 조리물을 가열하고 나온 기체는 개별 조리 용기의 외부를 가열한다.
조리가 다 이루어지면 고온 기체(증기) 방출은 중단되고, 바닥 플레이트(430)를 포함한 고온 기체 챔버 전체가 움직이면서 수직 개방부(433)를 통해 조리된 음식물이 배식 용기(450)로 낙하하게 된다. 바닥 플레이트(430)는 다시 마감 영역이 개별 조리 용기의 바닥을 이루기 위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조리 대상물이 다시 개별 조리 용기로 투입되고, 고온 기체 챔버에서 압력이 높아지면서 고온 기체가 마감 영역의 미세 구멍 혹은 슬릿(437)을 통해 개별 조리 용기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배식 용기도 새로운 배식을 위해 준비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대개 요소들 사이의 접촉부에 패킹이 없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바닥 플레이트와 닿아 밀착을 이룰 필요가 있는 통형 측벽이나 배식 용기, 통과구멍에 결합되는 분기관의 하단에는 오링이나 기타 패킹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패킹은 열에 강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가 움직일 때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크고 마찰시에도 잘 견디도록 기계적 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개별 조리 용기는 일 방향으로 연속으로 혹은 평면상으로 행렬을 이루면서 다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일 방향으로 혹은 평면상으로 동일한 형태가 반복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개별 조리 용기에 해당하는 구성은 표준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위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공통의 바닥 플레이트 내에 개방부가 있어서 바닥 플레이트의 부분적인 이동만으로도 조리된 음식물을 개방부를 통해 낙하시킬 수 있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별도의 개방부 없이 바닥 플레이트 전체가 복수의 개별 조리 용기 아래에서 수평 이동하여 아래에 준비된 배식 용기로 낙하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배식 용기를 놓는 바닥면은 컨베이어 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면 작업자가 배식용 그릇을 일일이 옮기는 동작을 없애면서 배식의 편의를 높일 수 있고, 뚜껑(커버)을 열고 닫거나, 개별 조리 용기 상단 개구부로 음식재료를 투입하는 동작도 자동화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동작을 줄일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의 재이동에 의한 개별 조리 용기의 하단의 개방된 부분 폐쇄, 식재료의 개별 조리 용기로의 재투입과 고온 기체 공급 설비의 하강 및 증기 공급도 역시 주변 설비와의 결합을 통해 자동화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 고온 기체 공급용 파이프 라인이나 고온 기체 챔버에서 나누어진 분기관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수동 혹은 자동 밸브가 형성되어 개별 조리 용기로의 증기 투입을 단속, 조절할 수 있고, 어느 한 실시예의 구성은 그것이 적용가능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210, 310, 410: 통형 측벽
220, 320, 420: 고온 기체 챔버
237,337,437: 미세 구멍 혹은 슬릿 230, 330, 430: 바닥 플레이트
231, 331': 마감영역 233, 333': 개방부
250, 350, 450: 배식 용기 433: 수직 개방부

Claims (8)

  1. 바닥이 개방된 통형 측벽, 상기 통형 측벽과 수평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바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개별 조리 용기와
    상기 개별 조리 용기에 고온 기체를 공급하는 고온 기체 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미세 구멍 혹은 슬릿이 형성된 마감영역과 개방부가 구비되어,
    상기 고온 기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고온 기체가 상기 마감영역을 통해 상기 개별 조리 용기에 공급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가 수평이동하여 상기 마감영역과 상기 개방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통형 측벽의 개방된 바닥과 겹칠 수 있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개별 조리 용기 내의 음식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조리 용기가 복수 개 구비되고, 복수 개의 개별 조리 용기에 대해 공통의 바닥을 이루는 공통 바닥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조리 용기의 측벽과 닿아 상기 복수 개의 개별 조리 용기 사이의 상호 위치를 유지시키는 정렬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정렬판을 감싸는 보온용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기체 공급부는 상기 통형 측벽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온 기체 공급부에는 하단부가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분기관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분기관의 하단부가 밀착되어 고온 기체를 상기 바닥 플레이트 하부로 공급하는 통과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통형 측벽 반대편인 아래쪽에는 배식 용기를 겸하는 보조용기가 밀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기 파이프의 하단부가 고온 기체를 상기 통과구멍을 통해 상기 보조용기로 공급하면, 상기 배식용기를 겸하는 보조용기가 공급된 고온 기체가 다시 상기 미세 구멍 혹은 슬릿을 통해 상기 개별 조리 용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상기 통형 측벽 위쪽에서 상기 통형 측벽의 상단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부로 인입되어 하단부가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상기 통형 측벽 외측에서 하단부가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기체 공급부로서 고온 기체 챔버(420)가 상기 통형 측벽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 플레이트 역할을 겸하고 수평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부와 상기 마감영역이 상기 고온 기체 챔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 장치.
KR20130074243A 2013-06-27 2013-06-27 조리물이 중력에 의해 배식용기로 자동 낙하가 가능한 가열 조리 장치 KR101458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243A KR101458014B1 (ko) 2013-06-27 2013-06-27 조리물이 중력에 의해 배식용기로 자동 낙하가 가능한 가열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243A KR101458014B1 (ko) 2013-06-27 2013-06-27 조리물이 중력에 의해 배식용기로 자동 낙하가 가능한 가열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014B1 true KR101458014B1 (ko) 2014-11-04

Family

ID=5228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243A KR101458014B1 (ko) 2013-06-27 2013-06-27 조리물이 중력에 의해 배식용기로 자동 낙하가 가능한 가열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0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6942A (ja) * 1994-10-25 1996-05-14 Samuson:Kk 冷凍食品解凍装置
KR20000031813A (ko) * 1998-11-10 2000-06-05 신창근 증기분사식 취사장치
JP3796739B2 (ja) * 2003-01-21 2006-07-12 株式会社日本イトミック 給茶装置
KR101222567B1 (ko) 2010-03-23 2013-01-16 신이슬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6942A (ja) * 1994-10-25 1996-05-14 Samuson:Kk 冷凍食品解凍装置
KR20000031813A (ko) * 1998-11-10 2000-06-05 신창근 증기분사식 취사장치
JP3796739B2 (ja) * 2003-01-21 2006-07-12 株式会社日本イトミック 給茶装置
KR101222567B1 (ko) 2010-03-23 2013-01-16 신이슬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4609A (en) Cooking, serving and warm-keeping arrangement
RU2757788C1 (ru) Система для варки
US9655468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apidly cooking food
JP2017189628A (ja) 調理鍋用蒸し具、及び、蒸し具を用いる炊飯器
CN102438491A (zh) 用于烹制食品所用容器的经改进的有孔盖
KR101458014B1 (ko) 조리물이 중력에 의해 배식용기로 자동 낙하가 가능한 가열 조리 장치
JP5064925B2 (ja) 誘導加熱調理容器、及び調理セット
JP4263130B2 (ja) 蒸気発生器
KR101609511B1 (ko) 스팀 조리 용기
JP2005065847A (ja) 蒸気加熱調理器用蒸気供給装置
US8006688B1 (en) Food steaming apparatus
CN206324638U (zh) 组合式多口烹饪餐台
KR20100020499A (ko) 즉석 떡 제조장치
KR102506252B1 (ko) 가열 장치 및 기구
CN110051212B (zh) 一种烹饪器具用蒸汽进出装置及蒸汽饭煲
US20190306930A1 (en) Induction heating and cooking
KR20160000642U (ko) 복합조리용 로스터
CN203215984U (zh) 液体加热器具、用于液体加热器具的加热器、热传递板
JP7190728B2 (ja) 電磁調理器用食器
WO2008091212A1 (en) A kitchen utensil
KR200403810Y1 (ko) 이송 열탕조리 장치
US20170208983A1 (en) Energy Efficient Cooking Device
CN112956897A (zh) 多用途功能转换套餐煲
KR20130015375A (ko) 포장 겸용 즉석 떡 제조장치
JP2003250505A (ja) 冷凍食品の調理方法及び冷凍食品用解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