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934B1 -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934B1
KR101457934B1 KR1020130035679A KR20130035679A KR101457934B1 KR 101457934 B1 KR101457934 B1 KR 101457934B1 KR 1020130035679 A KR1020130035679 A KR 1020130035679A KR 20130035679 A KR20130035679 A KR 20130035679A KR 101457934 B1 KR101457934 B1 KR 101457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extract
feed
growth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072A (ko
Inventor
김영남
이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2013003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93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 한방 생약제로서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IGF(성장인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성장촉진용 조성물로서 식물복합추출물과 스피룰리나 등 해조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로서 성장단계별로 전복 사료에 적정 비율 첨가시 면역력 증강, 질병예방, 성장촉진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어 본 발명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혼합한 사료를 어린 전복에게 급여하게 되면 적당한 비율로 배합된 한약재 및 해조류의 효능에 따라 동물성 단백질을 식물성 단백질로 상당 비율 대체하고 체성분에 영향을 주어 자연산 전복과 비슷한 체성분을 유지함으로써 어린 전복의 사육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키고 전복 치패 육성기간 내내 질병의 감염 없이 전복을 건강하게 성장시키고 증체율도 향상시킬 수 있어 사료 섭취율의 증가를 통한 사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물속에서 쉽게 용해되지 않게 하여 해양환경 오염의 저감을 통한 환경친화적 양식을 가능하게 하는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Feed additives using herb for abalone}
본 발명은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종래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 한방 생약제로서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IGF(성장인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성장촉진용 조성물로서 식물복합추출물과 스피룰리나 등 해조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로서 성장단계별로 전복 사료에 적정 비율 첨가시 면역력 증강, 질병예방, 성장촉진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어 본 발명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혼합한 사료를 어린 전복에게 급여하게 되면 적당한 비율로 배합된 한약재 및 해조류의 효능에 따라 동물성 단백질을 식물성 단백질로 상당 비율 대체하고 체성분에 영향을 주어 자연산 전복과 비슷한 체성분을 유지함으로써 어린 전복의 사육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키고 전복 치패 육성기간 내내 질병의 감염 없이 전복을 건강하게 성장시키고 증체율도 향상시킬 수 있어 사료 섭취율의 증가를 통한 사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물속에서 쉽게 용해되지 않게 하여 해양환경 오염의 저감을 통한 환경친화적 양식을 가능하게 하는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전복은 옛날부터 고가의 기호식품으로서 산업적으로 전망이 밝은 고부가가치 양식품종으로 전복의 생체는 전통적으로 고단백의 고급 수산식품이며, 무지개색의 진주광택을 갖는 내측 껍질면의 패각은 고급 자개용 공예품으로 사용되며 또한 전복 양식은 진주 양식을 위한 모패로도 활용된다.
최근 국내 전복 양식 산업은 크게 성장하고 있으나, 양식 중 발생하는 전복의 질병이 전복 양식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복의 양식은 주로 인공 종묘로 생산하여 종묘를 암초 지대에 방류하여 상품 크기의 것을 다시 수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육상수조 등에서 배합사료로 중간 육성하여 전복의 생존율 및 성장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택하게 되는데,
최근 국내 전복 양식 산업은 경제성을 고려한 한정된 공간에서 전복을 양식하는 고밀도 사육을 하고 있어, 세균성 질병에 의한 발병 빈도가 높으며,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항생제의 오·남용과 단기간 성장을 위한 사료의 과다 투입으로 인하여 병원체의 내성증강과 수질오염이 심화되고, 이에 따라 질병 발생이 늘어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데 특히 질병 감염은 면역력이 약한 어린 전복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전복의 양식에 있어 사료는 양식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요 관건이며, 전복의 성장 뿐만 아니라 수질오염 및 경제성 등을 좌우하고 있는데 종래 기술의 전복 배합사료는 전복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단백질·비타민·광물질 등의 영양소뿐만 아니라 성장촉진제와 질병예방제 등을 고루 섞어 만든 사료이기는 하나 전복의 증식에 필요한 기본적인 성분만이 포함되어 있을 뿐 성장을 촉진시키거나 특별한 면역증강물질이 함유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영양원 확충 공급에 의한 사료효율이 향상되고, 면역성도 우수하여 질병예방에 도움이 되며, 사료비의 절감효과도 있는 전복 사료첨가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료 첨가제는 일종의 보충 사료로서, 사료에 첨가하여 필수 영양소를 완전 공급하거나 특정한 효과를 냄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 사료이며, 구체적으로는 결핍물의 보충, 사료 효율의 증진 및 성장 촉진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식용 첨가제이다.
따라서 전복 사료 산업계에서는 사료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전복의 소화기능 및 흡수율을 증진시키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수 있는 다양한 사료 첨가제의 개발이 사료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종래의 전복 사료첨가제는 살균 효과 등의 사육환경 개선, 면역력 강화에 의한 성장 촉진 효과 등 특정 용도에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복잡하게 관련된 질병원인 등 복합 요인에 의한 종합적인 효과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생약성분의 한약재는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되어 왔는데, 한약재를 이용할 경우 어류 특히 전복의 질병을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학적인 부분에서 특히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한방에서 사용되는 천연 생약재는 독성이 적거나 무독하며, 번복 등의 어체 체내에 잔류하지 않으며, 약물의 내약성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자는 사료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한 결과 천연 생약재를 이용하여 성장촉진용 조성물로서 식물복합추출물과 스피룰리나 등 해조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개발함으로써,
과거 사료질의 개선을 위한 단순 첨가 수준에서 더욱 발전하여 어린 전복의 사육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키고 전복 치패 육성 기간 내내 질병의 감염 없이 전복을 건강하게 성장시키고 증체율도 향상시킬 수 있어 사료 섭취율의 증가를 통한 사료 효율을 극대화로 전복 치폐 폐사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해양환경 오염의 저감을 통한 환경친화적 양식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피톤치드 전복 치패용 사료첨가제는 제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바,
어린 전복의 증식에 필요한 기본적인 성분만이 포함되어 있을 뿐 질병에 취약한 전복 치패 성장을 촉진시키거나 특별한 면역증강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생존률과 증체율에 문제점이 많은 종래 전복 치패 양성용 배합 사료에서 부족한 영양소나 비타민 무기물질을 보충함은 물론 사료 효율개선, 증체량 증가, 소화효소 분비의 활성화, 면역력 증가, 번식생산성 개선, 항균화, 항산화 등의 효과가 있는 성장촉진용 조성물로서 식물복합추출물과 스피룰리나 등 해조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공함으로써 배합 사료에 첨가시 전복 치패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증체율도 개선시킬 수 있게 하는 전복 치패용 복합 기능 사료첨가제를 개발하여야 하는 기술적 과제를 본 발명에서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 한방 생약제로서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IGF(성장인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성장촉진용 조성물로서 식물복합추출물과 스피룰리나 등 해조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로서 성장단계별로 전복 사료에 적정 비율 첨가시 면역력 증강, 질병예방, 성장촉진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어 본 발명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혼합한 사료를 어린 전복에게 급여하게 되면 적당한 비율로 배합된 한약재 및 해조류의 효능에 따라 동물성 단백질을 식물성 단백질로 대체하고 체성분에 영향을 주어 자연산 전복과 비슷한 체성분을 유지함으로써 어린 전복의 사육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키고 전복 치패 육성 기간 내내 질병의 감염 없이 전복을 건강하게 성장시키고 증체율도 향상시킬 수 있어 사료 섭취율의 증가를 통한 사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물속에서 쉽게 용해되지 않게 하여 해양환경 오염의 저감을 통한 환경친화적 양식을 가능하게 하는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전복 치패용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배합사료에 적당한 비율로 배합된 생약재로서 IGF(성장인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성장촉진용 조성물로서 기능하는 식물복합추출물과 스피룰리나 등 해조류 추출물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전복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소화를 촉진시켜 생존율과 증체율이 향상되는 복합 상승 효과로 어린 전복 즉 치패의 성장이 촉진되어 건강한 전복을 양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료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성장촉진용 조성물로서 기능하는 식물복합추출물은 IGF(성장인자)의 분비를 자극 또는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성장 부진의 치료, 길이 성장의 촉진 작용을 할 수 있어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증대 효과로 질병의 감염 없이 어린 전복을 건강하게 성장시키고 증체율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식물복합추출물에다 미세조류로서 스피룰리나 및 클로렐라와 김, 톳 등의 해조류 추출물을 첨가하고 동물성단백질을 식물성 단백질로 대체함으로써 빠른 성장을 위하여 요구되는 전복의 영양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어 성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체성분에 영향을 미쳐서 자연산 전복과 비슷한 체성분을 유지시켜 전복 치패의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키거나 전복에 대한 유효성분의 생리활성의 증대를 통환 활력 증대효과로 사료이용효율을 종합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천연 추출 물질이므로 독성이 전혀 없어 지속적으로 다량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사료에 첨가 사용하게 되면 항생제를 대체하여 안전한 전복을 생산할 수 있으며 전복 치패 사육시 사육 전기에 사료첨가제로 활용되어 사료 섭취율의 증가와 이를 통한 성장 및 사료 이용 효율의 촉진효과와 해양환경 오염의 저감을 통한 환경친화적 양식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IGF(성장인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전복 성장 촉진용 조성물로서 천연 한방 생약제인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삼백초 추출물을 하나 이상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복합추출물을 전체 중량비로 10 중량%, 해조류인 스피룰리나 10중량%와 클로렐라 20중량%, 김 20중량%, 톳 30중량%에다 마늘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이다.
상기와 같이 혼합 조성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전복의 생리를 고려한 전복 치패 전용 사료 첨가제로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필수 조성 성분으로서 전복 치패 양성용 배합사료 내에 전체 중량비로 5-25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형성된 기능성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및 지방산, 영양성분으로서 미네랄 및 각종 비타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합사료 내에 전복 성장 단계에 따라 적정량 첨가함으로써 전복 치패 육성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를 모두 구비하여 어린 전복(전복 치패)의 소화력과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최적의 맛과 영양소를 갖춘 가장 자연적인 먹이와 가까운 친환경 배합사료를 형성함으로써 고 수온에서 수중 부패가 덜 되어 사료 허실이 방지되고 수질오염도 감소시켜 건강한 전복의 친환경 양식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기능성 사료첨가제 조성물이 적용되는 배합사료로는, 어분, 카세인, 오징어 분말 등의 동물성 원료, 대두박 (大豆粕), 소맥분, 전분 등의 식물성 원료, 사료용 효모 등의 미생물 원료, 대구 간유, 오징어 간유 등의 동물성 유지, 대두유, 유채꽃유 등의 식물성 유지, 비타민류, 미네랄류, 아미노산, 항산화제 등을 하나 이상 원료로 포함하는 통상의 배합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전복 치패 양성용 배합사료 내에 첨가할 때 상기 사료첨가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첨가의 효과가 적고 첨가량이 너무 많아도 비경제적이어서 좋지않게 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전복 치패 양성용 배합사료 전체 중량 대비 25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에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며 항생제를 대체하여 안전한 전복을 생산하게 하는 천연 한방 생약제로서 상기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삼백초 추출물의 5 가지 복합 천연 한방 생약제 추출물로 혼합 조성되는 상기 식물복합추출물의 함량은 제한되지 않는데 식물복합추출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동량비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가지게 되며 본 발명 사료첨가제 제조시 각 원료의 조성 비율은 통상의 범위 내에서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복합추출물은 천연 한방 생약제인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삼백초 추출물을 하나 이상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IGF(성장인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전복 성장 촉진용 조성물로서 전복의 성장 인자를 촉진시켜 전복의 성장은 물론 면력력 향상으로 항병력을 증진시켜 전복의 생존률과 증체율을 향상시켜 건강한 전복을 육성시키게 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한방에서 안전성과 효능이 검증된 다수의 식물 유래 생약제 중에서 효과적으로 IGF(성장인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생약제로 구성되고 최적의 배합 비율로 조성한 것으로 IGF(성장인자) 촉진 효과로 생체 단백질 합성과 세포분화를 활성화시켜 전복의 성장 촉진 및 면역 기능 촉진 작용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IGF(성장인자)는 IGF(성장인자)가 결핍된 환자에게 IGF를 투여한 경우에는 체조성, 인슐린 민감성, 골 무기질 밀도 및 길이 성장이 개선된다는 보고가 있는 바 본 발명의 식물복합추출물 조성물은 IGF의 분비를 자극 또는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성장 부진의 치료, 길이 성장의 촉진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배합사료는 좁은 영역에서 사육되고 있는 전복의 스트레스를 대폭으로 감소시키고, 식욕이 왕성해져, 성장율, 질병예방율 등이 현저하게 향상됨으로써 전복 부화에서 치패 생산, 중간 육성, 성패까지의 전복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을 고루 갖추게 되며, 또한 천연사료보다 전복의 성장을 증대시키고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삼백초 추출물은 통상의 다양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추출 용매나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유효 활성 성분으로서 해조류인 상기 스피룰리나, 클로렐라, 김, 톳 등의 혼합 해조분과 마늘은 통상의 방법으로 동결건조시켜 얻을 수 있으며 입도 분포 0.01 mm 이하로 미분쇄하되 2번 이상의 미분쇄 공정을 통하여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식물복합추출물이 포함되는 전복 배하 사료를 복용하게 되는 전복 치패의 소화력을 높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성장인자 생산 유도작용을 가지는 상기 식물복합추출물은 상기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삼백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조성되며 상기한 식물 들의 뿌리, 잎, 꽃, 줄기, 과실 및 종자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생약 조성물로서 상기 식물복합추출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 원지(遠志)의 주요 성분은 글루코시드(glucoside), 사포닌 등이며, 거담제로서 기관지염에 사용하고, 빈혈, 불면, 병후회복에 효능이 있다
복분자(覆盆子)는 장미과에 속하는 야생 나무딸기의 생약명으로 항산화, 항콜 레스테롤 및 간, 위장 기능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데 동의보감, 당본 본초, 본초종 신록 등 여러 고문헌에 그 효능이 언급돼 있으며, 현대의학의 약리작용 분석에서도 열매 안에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 항암효과, 노화억제, 동맥경화예방, 혈전예방, 살균 효과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백하수오( Cynanchum wilfordii )는 마디풀과 (Polygon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그 높이는 1-3 m에 달하며 뿌리는 덩이뿌리로서 비후하다. 백하수오의 주성분은 시난코톡신, 피토 토코톡신 등이며, 강장 및 강정제로 사용된다
상기 백하수오에는 옥시메탈안트라키온 유도체 1.8%, 탄수화물 45%, 시낸콜(cynanchol)이라는 정유성분이 3%, 레시틴3.7%, 라폰틴(rhapontin),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이라는 친수기와 친유기를 동시에 가진 단백질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속단( Phlomis umbrosa )은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1 m 높이의 다년생 초본으로, 그 높이는 70-150 ㎝이며 비대한 덩이뿌리가 5개 정도 달린다.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고 뿌리 및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이용하는데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는 약리학적 효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알칼로이드, 정유(essential oil), 비타민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삼백초(Bluet)는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학명은 Saururus chinensis인데 잎·꽃·뿌리가 희다 하여 삼백초라 불리며, 한방에서 중약(重藥)이라 하여 이뇨제 등으로 이용된다.
상기 삼백초에는 항균성분인 디카노일 아세트알데하이드(decanoyl acetaldehyde), 메틸-엔-노닐-케톤(methyl-nnonyl-ketone), 미르센(myrcene), 라우릭 알데하이드(lauric aldehyde), 캡릭 알데하이드(capric aldehyd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은 체내에서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유효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식물복합추출물 이외에 본 발명은 사로 첨가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해조류인 스피룰리나 10중량%와 클로렐라 20중량%, 김 20중량%, 톳 30중량%, 마늘 10 중량%를 더 포함하게 되는데 자연 수계와 같은 혼합 해조분을 포함함으로써 기호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해조분은 1, 2차 미분쇄 과정중 고열에 의하여 탄화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쇄와 동시에 공냉을 실시하여 원료가 가지는 고유의 성분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조류(분)는 녹조류, 홍조류 및 갈조류와 같이 해양에 서식하는 조류 식물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남조류로서 스피룰리나(spirulina)녹조류는 클로렐라, 홍조류는 김, 갈조류로는 톳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해조류로서 미역, 다시마, 대황, 모자반일 수도 있다.
상기 스피룰리나(spirulina)는 해수와 염 농도가 높고 알칼리성이 높은 열대지역의 더운 물에서 잘 번식하는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의 일종으로 이 박테리아는 식물성·동물성의 혼합형태를 하고 있으며 요즘 부상하고 있는 주요영양소인 카로티노이드, 셀레늄을 비롯, 희귀 미네랄과 5대 필수영양소, 49가지 각종 영양소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폐쇄상태에서 생명유지시스템(CELSS)과 면역기능이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스피룰리나에는 인체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49종의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영양소가 모두 들어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는데. 18종의 단백질, 13종의 비타민, 14종의 미네랄 엽록소, 감마리놀레닉산 GLA, 항산화제, 다당류, 섬유질 등의 영양원소가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영양소가 체내의 비율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어 높은 소화흡수율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남조류로서 상기 스피룰리나에 고농도로 함유된 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 조성이 인체가 요구하는 필수아미노산 조성에 잘 균형된 우수한 단백질이며 소화흡수율 및 생체 이용률이 아주 높은 우수한 단백질이어서 장기간의 편식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어떤 식품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는 각종 카로티노이드 성분과 피코시아닌 성분은 체내 유해한 산소화합물인 활성산소를 중화·제거시키는 역할을 통하여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게 된다.
녹조류의 하나인 클로렐라도 예로부터 건강식품으로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애용되고 있는데 그 영양소 성분조성을 스피룰리나와 비교할 때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및 카로티노이드 성분의 조성에 있어서는 상당히 유사하지만 함유량은 다소 적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은 월등히 많은 양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지니고 있는 건강식품으로 단백질 속의 아미노산에는 알라닌(Alan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발린(Valine), 아스팔틱산(Aspartic acid), 류신(Leucine), 글리신(Glysine), 알기닌(Arginine) 등이 많이 들어 있어, 쇠고기만큼이나 많은 양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김에는 비타민 A가 뱀장어의 10배 이상이 함유되어 있어 비타민 A 결핍증을 해소하는 좋은 식품이며, 식물에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 B2 및 각종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톳은 무기질 중에서도 특히 철분의 함량이 매우 높은 무기질원으로서 철분은 혈중 헤모글로빈과 호흡관계 효소의 한 성분으로 작용하며 조혈작용으로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발히 한다.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마늘의 많은 특성들이 입증된 마늘은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제거하고, 지질과 산화물 형성과 LDL(lowdensity lipid)산화를 억제하며 항산화 체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상기 마늘은 정유(精油)가 약 0.1% 들어 있으며, 이 정유의 주성분은 이황화디알릴·삼황화디알릴·이황화알릴프로필이며, 마늘의 비늘줄기에는 항생물질인 알리움이 들어 있어 방부제,거담제, 장의 경련을 가라앉히는 진경제 효과를 나타낸다.
즉 상기 마늘의 성분으로는 스코르디닌(scordinin),크레아틴(creatine), 게르마늄(germanium), 시스테인과 메티오닌, 알리티아민(allitiamin), 셀레늄, 아로나민, 리진 등이 알려져 있는데 스코르디닌은 강장, 근육신장의 효과를 나타내며, 크레아틴은 스코르디닌류에 속하는 성분으로 근육수축, 근육증강, 발육성장에 도움을 주고, 게르마늄은 피로회복, 스테미너 증강 효과를 나타내며,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은 인체 해독작용, 노화방지 효과가 있고, 알리티아민은 다른 비타민 B1에 비해 인체 흡수율이 높고 신체활력증진과 피로회복작용을 하며, 셀레늄은 암, 심장병에 효과가 있고, 독성물질이 정상세포를 파괴하는 것을 막아주어 면역제로서의 기능을 도우며, 아로나민은 강정, 소화촉진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일반 배합사료와 적정비로 혼합하여 전복에 급여하게 되면 친환경적인 전복 사육의 실현으로 면역력을 강화시켜 각종 질병을 예방 치료하여 질병의 감염 없이 건강하게 성장시키고 증체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폐사율이 줄고 사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1.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제조
1-1. 식물복합추출물 제조
천연 한방 생약제인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삼백초 추출물을 1:1:1:1:1의 조성비율(중량비, 동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IGF(성장인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전복 성장 촉진용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식물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2. 식물복합추출물을 포함한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제조
1-1.공정에서 수득한 식물복합추출물을 전체 중량비로 10 중량%, 해조류인 스피룰리나 10중량%와 클로렐라 20중량%, 김 20중량%, 톳 30중량%에다 마늘 10중량 % 혼합 조성하여 본 발명의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포함한 전복 배합 사료 제조
상기 1. 공정에서 수득한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기 제조된 배합사료에 전체 중량비로 25중량%: 75중량% 비율로 첨가한 다음 교반 혼합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전복 배합 사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2.에서 생산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전복 배합 사료를 시험구로 본 발명의 기능성 첨가제가 전혀 첨가되지 않은 국내 시판 배합사료를 대조구로 준비하여 4주간 급이하고 사료섭취율, 성장 및 사료효율의 촉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구분 평균개시체중(g) 평균종료체중(g) 생존율(%) 증체량(g) 증체율 개선
대조구 681 732.7 97% 51.7 대조구 대비 51% 개선
시험구 681 759.1 98.%5 78.1
구분 개시총어체중
(g)
종료총어체중
(g)
증체량
(g)
사료급여량
(g)
FCR(사료전환효율)
대조구 208.0 223.8 15.8 20.87 1.32
시험구 208.0 231.2 23.2 22.57 0.97
*사료전환효율(Feed Conversion Ration, FCR)은 값이 낮을수록 좋다.
상기와 같이 사료섭취율 촉진효과를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을 첨가한 배합사료가 본 발명 기능성 첨가제가 전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생존율 향상 및 높은 증체율 향상 효과(표1)(51%)를 나타냈으며,
또한 대조군에 비해 사료효율도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표 2).
따라서 본 발명이 첨가된 전복 배합 사료가 놀라운 섭취량과 소화율을 실현하고 생존율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결국 본 발명의 사용은 고품질의 전복용 배합사료를 제공하여 전복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사료섭취율의 증대로 유실되는 사료의 감소로 사료비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수질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 해양오염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건강한 전복의 환경친화적 양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

  1. 식물추출물과 해조류를 포함하는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에 있어서,
    IGF(성장인자)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전복 성장 촉진용 조성물로서 천연 한방 생약제인 원지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추출물, 삼백초 추출물을 하나 이상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복합추출물을 전체 중량비로 10 중량%, 해조류인 스피룰리나 10 중량%와 클로렐라 20중량%, 김 20중량%, 톳 30중량%에다 마늘 10 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2. 삭제
KR1020130035679A 2013-04-02 2013-04-02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KR101457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679A KR101457934B1 (ko) 2013-04-02 2013-04-02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679A KR101457934B1 (ko) 2013-04-02 2013-04-02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072A KR20140120072A (ko) 2014-10-13
KR101457934B1 true KR101457934B1 (ko) 2014-11-07

Family

ID=5199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679A KR101457934B1 (ko) 2013-04-02 2013-04-02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273B1 (ko) 2015-02-25 2017-06-12 양정자 홍조색소(β-carotene)를 포함하는 전복 종묘용 사료조성물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051A (ko) * 2000-12-07 2002-06-19 손형우 전복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6892A (ko) * 2001-02-14 2002-08-21 엄기승 전복양식용 배합사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051A (ko) * 2000-12-07 2002-06-19 손형우 전복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6892A (ko) * 2001-02-14 2002-08-21 엄기승 전복양식용 배합사료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273B1 (ko) 2015-02-25 2017-06-12 양정자 홍조색소(β-carotene)를 포함하는 전복 종묘용 사료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072A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2876A (zh) 一种环保型低抗营养因子南美白对虾饲料
CN103141702B (zh) 一种可有效防治猪流行性腹泻的中草药提取物饲料添加剂
CN106260789A (zh) 一种环保型无鱼粉南美白对虾饲料
CN103519009B (zh) 一种鸽用保健沙
CN107821844A (zh) 提高鸭蛋品质的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730291B1 (ko) 양파와 생약제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532208B1 (ko) 바이오가스 부산물을 함유한 닭 혼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7343569A (zh) 一种绿色健康蛋禽饲料加工及绿色健康蛋禽的饲养方法
KR101039620B1 (ko)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KR101481484B1 (ko) 전복 치패용 복합 기능 배합 사료
CN104351545A (zh) 一种亲鲵培育中草药营养饲料
CN106561982A (zh) 一种以构树茎叶粉和微藻粉调制的畜禽免疫强化饲料添加剂及制备方法
Chelladurai et al. Dietary supplementation of mushroom extract enhances growth and antioxidant levels of Babylonia spirata (Mollusca: Gastropoda)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101214935B1 (ko) 오메가-3 함유 팽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20120123975A (ko) 선옥균과 산야초의 발효 조성물과 꿀벌 사양액 제조방법
KR20170079910A (ko) 발효 모자반 추출물과 발효식물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 사료첨가제
KR101457934B1 (ko) 전복 치패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KR102161025B1 (ko) 꾸지뽕나무잎과 줄기를 이용한 발효추출물과 분말을 포함하는 새우 사료용 조성물
KR102182126B1 (ko) 굼벵이 먹이용 발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방법
CN107712415A (zh) 一种蛋鸡增蛋中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3609909A (zh) 一种以银杏叶为基料的无公害水产饲料添加剂
KR20170079911A (ko) 발효 다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 사료첨가제
KR20170083748A (ko) 황칠나무와 해조류의 복합 발효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전복 사료용 기능성 복합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