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929B1 - 관형 벨트 - Google Patents

관형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929B1
KR101456929B1 KR1020070103331A KR20070103331A KR101456929B1 KR 101456929 B1 KR101456929 B1 KR 101456929B1 KR 1020070103331 A KR1020070103331 A KR 1020070103331A KR 20070103331 A KR20070103331 A KR 20070103331A KR 101456929 B1 KR101456929 B1 KR 101456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dium
polyimide
layer
i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058A (ko
Inventor
송상민
곽기남
김지성
김정한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9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47Cleaning of transfer member
    • G03G2215/1661Cleaning of transfer member of transfe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을 포함하는 관형 벨트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대전방지특성, 전사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내굴절성 및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지니고 있는 전기전도성 관형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형 벨트{Tubular belt}
본 발명은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관형 벨트에 관한 것으로,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을 포함하는 관형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형 벨트는 복사기나 레이저빔프린터, 팩시밀리 등 전자기기에 사용되어 복사지나 전사지 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정착 및 전사시키는 용도로 정착벨트 또는 중간전사벨트로 사용된다. 이러한 정착벨트 및 중간전사벨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굴절성, 내오염성, 내열성, 방열특성, 탄성률, 제전성, 내구성, 발수성, 발유성, 및 대전방지 특성이 우수해야 한다.
특히 관형 벨트의 토너(toner)를 전사시키는 기능을 위하여 적절한 부피저항값을 구비하는 특성이 요구되는데, 요구되는 부피저항 값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이들의 대전방지특성, 전사성, 화상특성, 이형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물성이 저하되어 이로 인한 화상불량의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종래 중간전사벨트 등의 관형 벨트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은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장점들을 갖는 반면, 비교적 대전되기 쉬운 특성이 있다. 또한 부피저항값이 중간전사벨트로서 요구되는 저항값보다 높은 값을 갖고 있어 과도한 저항값으로 인하여 중간전사벨트로는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렇게 관형 벨트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필러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전도성 카본 블랙을 주로 많이 사용하였으나 잘 뭉치기 때문에 강한 기계적 분산방법을 적용하여야 하는 특징이 있으며, 전도성 카본블랙의 분산에 적절한 분산제를 적용할 수 있으나 수지와의 상용성 문제 등으로 제한될 뿐만 아니라 관형벨트의 기계적 물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경향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금속성 필러를 사용하게 되면 전기전도성은 우수하나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부식성으로 인하여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레이저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사기 등의 관형 벨트의 대전방지특성, 전사성, 기계적 물성 및 이형성 등이 우수한 관형 벨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던 중, 대전방지특성 및 종이와의 이형성 등이 우수하고 필러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인 물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관형 벨트를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전방지특성, 전사성 및 종이와의 이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최소화한 관형 벨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을 포함하는 관형 벨트를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은 산화인듐(In2O3) 50~95중량%와 산화주석(SnO2) 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을 포함하는 제1층; 제1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불소 수 지, 실리콘 수지 및 불소 분말을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중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관형 벨트를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서, 제1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100중량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은 산화인듐(In2O3) 50~95중량%와 산화주석(SnO2) 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를 포함하는 제1층; 제1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기능성 충진제를 함유하는 제2층을 포함하는 관형 벨트를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서, 제1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100중량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은 산화인듐(In2O3) 50~95중량%와 산화주석(SnO2) 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제1층의 일면에 제2층이 형성되고, 제2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층의 이면에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불소 분말을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중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제2층은 폴리이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충진제를 5~100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기능성 충진제는 불소분말, 질화붕소, 몰리브덴으로부터 선택된 윤활성 기능의 충진제 50~99.8중량%와 이산화티타늄,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 카본나노튜브, 전도성 카본블랙, 금속을 포함하는 미립자로부터 선택된 전도성 충진제 0.2~50중량% 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관형 벨트는, 탄성률이 2.2~4.5 GPa이고, 내굴절성이 2000회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관형 벨트는, 부피저항값이 107~1013Ω㎝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이용한 관형 벨트를 제공하면서도,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대전방지특성, 전사성 및 종이와의 이형성이 우수한 관형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음으로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지니고 있는 관형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형 벨트는 디안하이드라이드와 디아민이 중합된 폴리아믹산 용 액에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을 포함하여 이미드화된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제조된 것을 포함한다.
디안하이드라이드 및 디아민은 폴리이미드 수지 제조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 바, 예컨대, 디아민으로는 1,4-페닐렌디아민(1,4-PDA), 1,3-페닐렌디아민(1,3-PDA), 4,4′-메틸렌디아닐린(MDA), 4,4′-옥시디아닐린(ODA), 4,4′-옥시페닐렌디아민(OPD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로는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릭 다이안하이드라이드(PMDA),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다이안하이드라이드(BTDA), 4,4′-옥시디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ODPA),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디아민과 디안하이드라이드는 동몰량으로 사용된다.
중합시 용매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메틸피롤리디온(NMP) 등의 비양자성 초극성 용매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형 벨트는 대전 방지 및 토너(toner)를 전사시키는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부피저항값이 107~1013Ω㎝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기계적인 강도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탄성률이 2.2~4.5 GPa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굴절성이 2000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관형 벨트에 포함되는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은 바람직하게는 산화인듐(In2O3) 50~95중량%와 산화주석(SnO2) 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은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사용되 는 물질 및 반응 조건에 따르는데, 평균 최소 직경이 30~70㎚, 평균 최대 직경이 60~120㎚인 것이 최종 산물의 물성 저하를 억제하면서 목적하는 기능을 발휘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을 폴리아믹산 용액에 분산시키는데,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의 함량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 1~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을 포함하는 층을 제1층으로 하여 그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코팅층을 더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즉,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불소 분말을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중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팅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습동성을 제공하여 종이와의 이형력을 더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기능성 충진제를 함유하는 제2층을 더 형성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제2층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충진제는 폴리이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충진제는 불소 분말, 질화붕소, 몰리브덴으로부터 선택된 윤활성 기능의 충진제 50~99.8중량%와 이산화티타늄,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 카본나노튜브, 전도성 카본블랙, 금속을 포함하는 미립자로부터 선택된 전도성 충진제 0.2~50중량%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충진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만족하면서 고체와의 윤활성이 향상되어 회전체에 대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고 더불어 종이와의 이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층은 제1층의 양면 또는 일면에 선택될 수 있으며 회전체측 또는 종이측에 따라 충진제의 성격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의 일면에 제2층이 형성되고, 제2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층의 이면에 코팅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코팅층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불소 분말을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중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관형 벨트는 무솔기(seamless)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제조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지면과 수평의 외통과 내통의 이중구조로 구성된 원통형 몰드로 구성된 원심성형기로부터 제조하되, 외통의 내면에 용액상의 고분자 수지를 투입시킨 후 외통을 회전시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한 후 50~150℃에서 10~120분간 단계적으로 열처리함으로써 반건조된 관형 벨트를 제조하고, 내통을 삽입하고, 150~400℃에서 10~120분간 단계적으로 열처리하고, 이 과정에서 반건조된 관형벨트가 내통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후경화시킴으로써 표면에 존재하는 용매 및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이미드화를 진행 및 완료시킴과 동시에 고상화된 관형 벨트를 제조하고, 내통으로 부터 관형벨트를 분리함으로써 완성된 관형벨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면과 수평의 실린더 외면에 디스펜서 또는 콤마 코팅 헤드를 이용한 도포 방식으로 고분자 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한 후, 상기와 같은 건조 조건 및 열처리 조건을 적용하고, 실린더로부터 관형벨트를 분리함으로써 완성된 관형벨트를 얻을 수 있다.
관형 벨트 제조시 이의 열전도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벨트의 두께를 너무 얇게 한다면 벨트의 강성이 대폭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인쇄과정 중 반복적인 회전응력에 의하여 벨트에 균열이 발생 하거나 혹은 찌그러지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적절한 관형 벨트의 두께는 30~300㎛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계적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질소유입구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용량 1L)에 질소를 유입시켜주면서 PMDA 47g과 4,4-옥시디아닐린 43g을 380g의 DMF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 분말(상해후정나노, ITO-P100, In2O3:SnO2=90:10 (중량%)) 5g(폴리아믹산 용액 중의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5.2중 량%)을 투입하였으며, 초음파 분산기를 통해 상기 용액에 분산시키면서 상온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상온에서의 점도가 330poise인 폴리이미드 전구체 혼합물-1을 얻었다.
상기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 분말이 포함된 폴리아믹산 용액 120g을 지면과 수평이고 동심축을 갖는 외통과(내경 122mm) 내통(외경 120mm)의 이중구조로 구성된 길이 700mm의 원통형의 테프론 몰드로 구성된 원심성형기의 외통의 내면 중앙에 투입시킨 후 외통을 60rpm으로 회전시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한 후, 외통 내부에 건조한 열풍 100ml/sec을 투과시키고, 열풍의 온도를 50℃ 120분, 75℃ 60분, 100℃ 30분, 125℃ 20분, 150℃ 10분간 단계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반건조된 관형 벨트를 제조하고, 내통을 삽입하고, 내통의 내부에서 원적외선 히터를 통해 150~400℃를 분당 2℃로 승온시키고, 180℃ 10분, 200℃ 60분, 300℃ 60분, 400℃에서 120분간 정치하여 단계적으로 열처리하고, 이 과정에서 반건조된 관형벨트가 수축하면서 내통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후경화시킴으로써 표면에 존재하는 용매 및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이미드화를 진행 및 완료시킴과 동시에 고상화된 관형 벨트를 제조하고, 내통으로부터 관형벨트를 분리함으로써 완성된 관형벨트를 얻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여러차례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관형 벨트는 평균 두께가 65㎛, 두께의 표준편차는 2㎛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산화 인듐-주석 혼합물이 나노신소재의 ITO 분말(미출시 제품, In2O3: SnO2 = 85:15)인 것이고, 투입량이 20g(폴리아믹산 용액 중의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18.2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관형벨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관형 벨트는 두께가 66㎛였다.
<실시예 3>
불소 분말(듀폰, Teflon PTFE 7B, 평균 입경 24㎛) 5g과 아크릴 수지 용액(애경화학, AL-1157, 고형분 50%) 180g과 경화제로 이소시아네이트 0.5g을 잘 혼합하여 제조된 불소 분말 포함 아크릴 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산화 인듐-주석 혼합물의 투입량이 12.3g인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관형벨트를 내통으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상기 제조된 불소 분말 포함 아크릴 수지 용액을 4kgf/cm2 압력의 Air를 통해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 도포하고, 70℃의 열풍으로 60분간 건조하여 2층 구조의 관형벨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조된 관형벨트의 최종 두께는 평균 80㎛였다. 또한 전자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하여 내층의 두께가 66㎛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기계적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질소유입구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용량 1L)에 질소를 유입시켜주면서 BPDA 38.42g과 4,4-옥시디아닐린 26.58g을 435g의 DMF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열적 및 기계적 강도와 표면의 윤활성을 높여주는 질화 붕소 분말(독일, ESK Ceramics, SCP-1) 10g과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Multi-walled carbon nanotubes(한국, 나노베스트, Stock # 1231YJ) 1.3g을 투입하였으며, 초음파 분산기를 통해 상기 용액에 분산시키면서 상온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상온에서의 점도가 180poise인 폴리이미드 전구체 혼합물-2를 얻었다.
지면과 수평이고 외경이 120mm인 길이 700mm의 실린더 외면에 디스펜서를 통해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혼합물-2를 균일하게 도포(제2층)하고, 실린더 외부에 건조한 열풍을 폭 5mm의 노즐을 통해 분사하고, 열풍의 온도를 50℃ 60분, 75℃ 30분, 100℃ 20분, 125℃ 20분, 150℃ 10분간 단계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반건조된 관형 벨트를 제조하고, 반건조된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혼합물-2 표면상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이미드 전구체 혼합물-1을 디스펜서를 통해 균일하게 도포(제1층)하고, 실린더 외부에 건조한 열풍을 폭 5mm의 노즐을 통해 분사하고, 열풍의 온도를 50℃ 120분, 75℃ 60분, 100℃ 40분, 125℃ 20분, 150℃ 10분간 단계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반건조된 관형 벨트의 제1층을 제조하고, 원적외선 히터를 통해 150~400℃를 분당 2℃로 승온시키고, 180℃ 10분, 200℃ 60분, 300℃ 60분, 400℃에서 120분간 정치하여 단계적으로 열처리하여 최종적으로 후경화시킴으로써 표면에 존재하는 용매 및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이미드화를 진행 및 완료시킴과 동시에 고상화된 관형 벨트를 제조하고, 실린더로부터 관형벨트를 분리함으로써 완성된 2층 구조의 관형벨트를 얻었다.
이 때 제조된 관형벨트의 최종 두께는 평균 70㎛였으며 전자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한 결과 제1층의 두께는 평균 25㎛이고 제2층의 두께는 평균 45㎛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관형벨트를 실린더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상기 제조된 불소 분말 포함 아크릴 수지 용액을 4kgf/cm2 압력의 Air를 통해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 도포하고, 70℃의 열풍으로 60분간 건조하여 3층 구조의 관형벨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조된 관형벨트의 최종 두께는 평균 83㎛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산화 인듐-주석 혼합물 대신에 전도성 카본블랙(일본, 케첸블랙, EC 600 JD)를 5g(폴리아믹산 용액 중의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5.2중량%)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관형벨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조된 관형벨트는 두께가 평균 67㎛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산화 인듐-주석 혼합물 대신에 전도성 카본블랙(CABOT, VULCAN X-72)를 5g(폴리아믹산 용액 중의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5.2중량%)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관형벨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조된 관형벨트는 두께가 평균 67㎛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산화 인듐-주석 혼합물 대신에 전도성 카본블랙(CABOT, VULCAN X-72)를 20g(폴리아믹산 용액 중의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18.2중량%)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관형벨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조된 관형벨트는 두께가 평균 67㎛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산화 인듐-주석 혼합물을 30g(폴리아믹산 용액 중의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25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관형벨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조된 관형벨트는 두께가 평균 67㎛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조된 관형 벨트를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1) 부피저항
Mitsubishi Chemical사제 저항측정기(Hiresta)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압을 시료에 가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에 가해진 전압은 100V, 250V로 전압에 변화를 주면서 측정하였다. 또한 부피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금속소재의 기판(substrate)위에 시료를 설치하고, 매 시료당 10~30초의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때 고리(ring) 형태의 프로오브(탐침,probe)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저항값이 104Ω㎝ 이하이면 under, 1014Ω㎝ 이상이면 over로 표시했다.
(2) 탄성률
Instron사의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1000을 사용하여 JIS K 630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내굴절성
Massacheussets Institute of Technology / Tinius Olsen Testing Machine Co.의 Folding Endurance Tester(MIT-D)를 사용하여 JIS C6471, 8.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07073487482-pat00001
* 각 평가 물성은 5회 평균, 반올림 적용.
상기 물성 평가 결과,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을 포함하는 관형 벨트로써,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며 대전방지특성, 전사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내굴절성 및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지니고 있는 전기전도성 관형 벨트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관형벨트는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복합기 등의 사무용 기기에 적용하였을 때 인쇄 화상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4)

  1.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을 포함하고, 탄성률이 2.2~4.5 GPa이고, 내굴절성이 2000회 이상이고,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점도가 180 내지 330poise인 폴리이미드 전구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인 관형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은 산화인듐(In2O3) 50~95중량%와 산화주석(SnO2) 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4.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을 포함하는 제1층;
    제1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불소 분말을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중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점도가 180 내지 330poise인 폴리이미드 전구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인 관형 벨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제1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100중량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은 산화인듐(In2O3) 50~95중량%와 산화주석(SnO2) 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7.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를 포함하는 제1층;
    제1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기능성 충진제를 함유하는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점도가 180 내지 330poise인 폴리이미드 전구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인 관형 벨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제1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100중량부 및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ITO)은 산화인듐(In2O3) 50~95중량%와 산화주석(SnO2) 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10. 제 7 항에 있어서,
    제1층의 일면에 제2층이 형성되고, 제2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층의 이면에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불소 분말을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중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11. 제 7 항에 있어서,
    제2층은 폴리이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충진제를 5~100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12. 제 7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기능성 충진제는 불소분말, 질화붕소, 몰리브덴으로부터 선택된 윤활성 기능의 충진제 50~99.8중량%와 이산화티타늄,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 카본나노튜브, 전도성 카본블랙 및 금속을 포함하는 미립자로부터 선택된 전도성 충진제 0.2~50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13.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탄성률이 2.2~4.5 GPa이고, 내굴절성이 2000회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14. 제 1 항, 제 4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피저항값이 107~1013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벨트.
KR1020070103331A 2007-10-15 2007-10-15 관형 벨트 KR101456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31A KR101456929B1 (ko) 2007-10-15 2007-10-15 관형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31A KR101456929B1 (ko) 2007-10-15 2007-10-15 관형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058A KR20090038058A (ko) 2009-04-20
KR101456929B1 true KR101456929B1 (ko) 2014-10-31

Family

ID=4076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331A KR101456929B1 (ko) 2007-10-15 2007-10-15 관형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9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2231A (ja) * 2001-09-17 2003-03-1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ポリイミド管状物
KR100415384B1 (ko) * 1995-04-18 2004-07-09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고밀도산화인듐-산화주석소결체및그제조방법
JP2006307157A (ja) * 2005-03-31 2006-11-09 Nidec Sankyo Corp 電着塗装材料、電着塗膜、摺動部材、及びカードリーダ
JP2007093884A (ja) * 2005-09-28 2007-04-12 Nitto Denko Corp 半導電性ポリイミド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384B1 (ko) * 1995-04-18 2004-07-09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고밀도산화인듐-산화주석소결체및그제조방법
JP2003082231A (ja) * 2001-09-17 2003-03-1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ポリイミド管状物
JP2006307157A (ja) * 2005-03-31 2006-11-09 Nidec Sankyo Corp 電着塗装材料、電着塗膜、摺動部材、及びカードリーダ
JP2007093884A (ja) * 2005-09-28 2007-04-12 Nitto Denko Corp 半導電性ポリイミド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058A (ko) 200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1031B2 (ja) ポリイミドチューブ、その製造方法、ポリイミドワニスの製造方法、及び定着ベルト
JP4680979B2 (ja) ポリイミドチューブ、その製造方法、及び定着ベルト
JP5200278B2 (ja) 発熱定着ベルト及び画像定着装置
US9335689B2 (en) Polyimide tub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fixing belt
JP2009092785A5 (ko)
JP5533818B2 (ja) 定着装置用発熱ベルトと画像形成装置
JP5784104B2 (ja) 半導電性ポリイミド樹脂ベルト及び半導電性ポリイミド樹脂ベルトの製造方法
JP5709769B2 (ja) ポリアミドイミドポリベンズイミダゾールを含む中間転写体
JP5916433B2 (ja) 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
JP2010106137A (ja) チューブ状ポリイミドベルトの製造法
KR101456929B1 (ko) 관형 벨트
KR20030026352A (ko)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폴리이미드 필름상 성형체 및 중간 전사 벨트
JP3069041B2 (ja) 定着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定着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2162836A (ja) 半導電性シームレスベルト
JP5209685B2 (ja) シームレス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721642B2 (ja) 画像形成デバイスのためのエンドレス可撓性中間転写部材および画像形成デバイス
KR20130035692A (ko) 무단 벨트
KR20130141928A (ko) 무단 벨트
JP2001215821A (ja) 定着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936732B2 (ja) 画像形成装置用転写部材
JP2001131410A (ja) 半導電性ポリアミド酸組成物及びその使用
US9120903B2 (en) Mechanical mixing processes
JP4132419B2 (ja) 半導電性ベルト
JPH09227692A (ja) 管状体およびその製法
KR101592980B1 (ko) 발열 정착벨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