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254B1 -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 Google Patents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254B1
KR101456254B1 KR1020130077654A KR20130077654A KR101456254B1 KR 101456254 B1 KR101456254 B1 KR 101456254B1 KR 1020130077654 A KR1020130077654 A KR 1020130077654A KR 20130077654 A KR20130077654 A KR 20130077654A KR 101456254 B1 KR101456254 B1 KR 10145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heating
wick
conductive plat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
Original Assignee
이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 filed Critical 이택
Priority to KR102013007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02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 F24C5/04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ck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8Liquid-fuel supply arrangements forming parts of 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연료(F)가 수용되는 연료수용부(11)와, 상기 연료수용부(11)의 상부를 밀폐하는 차단벽(12)과, 상기 차단벽(12)의 일면에 수직으로 천공된 심지공(13)으로 이루어진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가열본체(10)와; 상기 연료수용부(11)에 수용된 연료(F)와 접촉되며 상기 차단벽(12)의 상부로 연결된 연료심지(21)와, 상기 연료심지(21)가 관통되며 상기 심지공(13)에 안착되는 심지고정구(22)로 이루어진 가열심지부(20)와; 상기 연료심지(21)에 발생된 불이 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열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된 판형상의 가열전도판(30)으로 구성되어 내열토재질의 가열전도판이 안착된 가열본체가 구비되어 차의 보온이 장시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 Thermal insulation for heat conduction plate tee hea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기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차용기의 보온이 장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가열본체의 상부에 내화토재질의 가열전도판이 안착되고, 연소 시 심지의 형태가 장시간 유지되도록 심지부에 석면이 포함되며, 연료가 용이하게 보충되도록 가열본체의 외측면에 연료통이 안착되는 연료주입부가 형성된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茶)는 찻잎을 따뜻한 물에 우려내거나 타서 마실 수 있는 것으로 요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음용하고 있는 추세이고 다수의 사람들과 함께 담소를 나누면서 음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일상생활에 있어서 기본적인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은 기호활동 중 하나이다.
차(茶)를 즐기는 방법으로는 찻잎을 가공한 티백을 준비한 후 가열되는 물이 담겨진 주전자와 같은 가열용기에 투입하여 함께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티백에 담겨진 찻잎을 우려내어 각자의 컵에 옮겨 따른 후 음용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찻잎을 우려내도록 물을 가열하는 가열용기로는 물을 충만시킨 가열용기를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구에 올려놓은 후 물을 가열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음용하는 추세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차를 우려내도록 가열기구의 구조를 변경한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6772호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찻잎을 우려내기 위하여 가열용기를 가열한 후 각자의 컵에 옮겨 따라 음용하는 것으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컵에 담긴 차의 온도가 저하되어 우려낸 차를 전부 음용하기 전에 차가 식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란 자고로 특정온도에서 그 풍미가 느껴지는 기호식품인데 반해 상기와 같이 온도가 저하된 차는 그 풍미가 저하되어 차에 대한 본연의 맛을 지속적으로 음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컵으로 옮겨져 온도가 저하된 차의 풍미를 재차 느끼기 위하여 상기 가열용기에 다시 옮겨 재가열을 하고 장시간 차를 음용할 경우에는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사용함에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라믹재질로 형성된 가열본체의 상부에 내화토재질의 가열전도판을 안착시킨 후 가열심지부로 가열전도판의 하면을 가열하여 가열전도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차용기의 보온을 장시간 동안 유지하고, 가열심지부의 내부에 석면재질로 이루어진 석면심지부를 구비하여 연소 시 형태를 장시간 유지하는 석면의 특성으로 연료심지의 교체시기를 연장하며, 가열본체의 외측면에 연료통이 안착되는 연료주입부를 형성하여 연료를 용이하게 보충하는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는 하부에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수용부와, 상기 연료수용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차단벽과, 상기 차단벽의 일면에 수직으로 천공된 심지공으로 이루어진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가열본체와; 상기 연료수용부에 수용된 연료와 접촉되며 상기 차단벽의 상부로 연결된 연료심지와, 상기 연료심지가 관통되며 상기 심지공에 안착되는 심지고정구로 이루어진 가열심지부와; 상기 연료심지에 발생된 불이 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열본체의 상면에 안착된 판형상의 가열전도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열본체와 가열전도판은 내화토를 가열하여 형성되는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수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료수용부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연료주입연결부와, 상기 연료주입연결부의 일단부에 연료통이 안착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연료통안착부와, 상기 연료통안착부에 상기 연료통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료수용부에 연료를 유입시키는 연료주입송곳부로 이루어진 연료주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주입송곳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료통에 수용된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요입된 연료유출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가열전도판이 안착되도록 단턱진 전도판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판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가열전도판에 안착된 차용기가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전도판의 일면에는 수직으로 천공된 직화천공부와, 상기 직화천공부를 차단하는 직화천공덮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직화천공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직화천공덮개부가 안착되도록 단턱진 덮개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지고정구는 상기 심지공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삽입부와, 상기 고정삽입부의 상면에 상기 심지공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외측으로 직경이 확대된 고정구안착부와, 상기 고정구안착부의 상면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차단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파이프형상의 방풍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심지의 내부에는 연소할 경우 상기 연료심지의 형태가 지속되도록 석면재질로 이루어진 석면심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본체의 외주연에는 다량의 공기가 상기 연료심지에 유입되고, 상기 연료심지에 발생된 불의 연소여부가 육안으로 파악되도록 다수개가 천공된 연소확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세라믹재질로 형성된 가열본체의 상부에 내화토재질의 가열전도판을 안착시킨 후 가열심지부로 가열전도판의 하면을 가열함으로써, 가열전도판의 상부에 주전자를 안착하여 차를 가열하거나 컵을 안착하여 차의 보온을 장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으로 차의 풍미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둘째, 가열심지부의 내부에 석면재질로 이루어진 석면심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연소 시 형태를 장시간 유지하는 석면의 특성으로 연료심지의 교체시기를 연장시켜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가열본체의 외측면에 연료통이 안착되며 연료통의 하면을 관통하여 연료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송곳형상의 연료주입송곳부로 이루어진 연료주입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열심지부의 연소에 의해서 소모되는 연료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고,
넷째 가열본체의 외주연에 다수개 천공되는 연소확인공을 형성함으로써, 다량의 공기를 연료심지에 유입하여 용이하게 연소하고, 연료심지가 연소 되는지 아니면 소화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보온용 가열기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보온용 가열기구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보온용 가열기구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연료주입송곳부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도면으로서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b는 연료주입송곳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를 나타내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연료(F)가 수용되는 연료수용부(11)와, 상기 연료수용부(11)의 상부를 밀폐하는 차단벽(12)과, 상기 차단벽(12)의 일면에 수직으로 천공된 심지공(13)으로 이루어진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가열본체(10)와; 상기 연료수용부(11)에 수용된 연료(F)와 접촉되며 상기 차단벽(12)의 상부로 연결된 연료심지(21)와, 상기 연료심지(21)가 관통되며 상기 심지공(13)에 안착되는 심지고정구(22)로 이루어진 가열심지부(20)와; 상기 연료심지(21)에서 발생된 불의 열이 주전자(G) 및 컵(C)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열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열을 전도하는 판형상의 가열전도판(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열본체(10)와 가열전도판(30)은 내화토를 가열하여 형성되는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세라믹재질이란 흙을 빚은 후 유약을 첨부하여 높은 온도의 불에서 구워낸 그릇이나 장식물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크게 1,300℃이하의 온도에서 구운 도기(陶器 earthernware/pottery)와 1,300∼1,500℃에서 구운 자기(瓷器[1], porcelain)로 나눌 수 있으며, 도기와 자기를 통틀어 도자기 또는 사기(沙器/砂器)그 이라고 한다.
한편, 흙을 가열하여 형성되는 도자기재질의 가열본체(1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료수용부(11)의 상부에 형성된 차단벽(12)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료수용부(11)의 내부에 보강벽(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료수용부(11)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료수용부(11)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연료주입연결부(41)와, 상기 연료주입연결부(41)의 일단부에 연료통(FB)이 안착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연료통안착부(42)와, 상기 연료통안착부(42)에 상기 연료통(FB)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료수용부(11)에 연료(F)를 유입시키는 연료주입송곳부(43)로 이루어진 연료주입부(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주입송곳부(43)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통(FB)에 수용된 연료(F)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요입된 연료유출절개홈(43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료통(FB)은 알콜, 휘발유, 기름 등의 정해진 연소성연료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PET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용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본체(1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전도판(30)이 안착되도록 단턱진 전도판안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판안착부(14)의 상면에는 상기 가열전도판(30)에 안착된 차용기(C)가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부(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전도판(30)의 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천공된 직화천공부(31)와, 상기 직화천공부(31)를 차단하는 직화천공덮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직화천공부(31)의 외주연에는 상기 직화천공덮개부(32)가 안착되도록 단턱진 덮개안착부(3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심지고정구(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지공(13)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삽입부(22a)와, 상기 고정삽입부(22a)의 상면에 상기 심지공(13)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외측으로 직경이 확대된 고정구안착부(22b)와, 상기 고정구안착부(22b)의 상면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차단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파이프형상의 방풍벽(22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료심지(21)의 내부에는 연소할 경우 상기 연료심지(21)의 형태가 지속되도록 석면재질로 이루어진 석면심지부(21a)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심지공(13)에는 상기 연료수용부(11)에 충만된 연료(F)가 외부로 증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심지공(13)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연료증발방지덮개(미도시)가 구비되어 본원발명의 차보온용 가열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가열심지부(20)를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본체(10)의 외주연에는 다량의 공기가 상기 연료심지(21)에 유입되고, 상기 연료심지(21)에 발생된 불의 연소여부가 육안으로 파악되도록 다수개가 천공된 연소확인공(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수용부(11)의 내부에는 상기 연료(F)가 소모될 경우 상기 연료수용부(11)의 내벽과 충격을 일으켜 소리가 발생되도록 구형상의 연료수위확인구(18)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가열본체(10)의 상부에 열의 전도성이 뛰어난 판형상의 가열전도판(30)을 안착시킨 후 상기 가열전도판(30)의 하부면을 상기 연료(F)에 의해 연소되는 가열심지부(20)에 의하여 가열함으로써, 상기 가열전도판(30)의 상부 일면에 주전자(G)를 안착하여 차를 끓이거나, 상기 가열전도판(30)의 상부 타면에 차용기(C)를 안착하여 상기 가열전도판(30)의 열의 전도로 인하여 상기 차용기(C)에 충만된 차를 장시간 동안 보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심지부(20)는 상기 가열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연료수용부(11)의 연료(F)와 접촉되는 연료심지(21)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연료(F)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본체(10)의 외측면에는 연료(F)가 충만된 연료통(FB)이 안착되며 상기 연료통(FB)의 하면이 관통되어 내부의 연료(F)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송곳형상의 연료주입송곳부(43)로 이루어진 연료주입부(4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열심지부(20)의 연소에 의해서 감소되는 연료(F)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료주입송곳부(43)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요입 절개된 연료유출절개홈(43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료통(FB)에 수용된 연료(F)가 하측 외부로 유출되어 상기 연료주입연결부(41)를 통하여 연료수용부(11)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전도판(30)의 일면에 상하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직화천공부(31)에 안착되는 직화천공덮개부(32)가 형성됨으로써, 차를 단시간에 우려낼 경우 상기 직화천공덮개부(32)를 제거하여 직화로 가열하고, 차를 은은하게 우려낼 경우 상기 직화천공덮개부(32)를 안착시켜 천천히 가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지고정구(22)의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파이프형상의 방풍벽(22c)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차단되어 상기 연료심지(21)에서 연소되는 불씨가 소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심지(21)의 내부에 석면재질로 이루어진 석면심지부(21a)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료심지(21)가 연소할 경우 그 형태가 지속되어 상기 연료심지(21)를 교체하는 시기를 대폭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본체(10)의 외주연에 다수개가 천공되는 연소확인공(17)이 형성됨으로써, 다량의 공기가 상기 연료심지(21)에 유입되어 용이하게 연소되고, 상기 연료심지(21)가 연소 되는지 아니면 소화되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료수용부(11)의 내부에 구형상의 연료수위확인구(18)가 구비되어 상기 연료(F)가 소모될 경우 상기 가열본체(10)를 흔들어 상기 연료수용부(11)의 내벽과 충격을 일으켜 소리를 발생시켜 연료(F)가 모두 소모되었다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열본체 11 : 연료수용부
12 : 차단벽 13 : 심지공
14 : 전도판안착부 15 : 걸림턱부
17 : 연소확인공 18 : 연료수위확인구
20 : 가열심지부 21 : 연료심지
21a : 석면심지부 22 : 심지고정구
22a : 고정삽입부 22b : 고정구안착부
22c :방풍벽 30 : 가열전도판
31 : 직화천공부 31a : 덮개안착부
32 :직화천공덮개부 40 : 연료주입부
41 : 연료주입연결부 42 : 연료통안착부
43 : 연료주입송곳부 43a : 연료유출절개홈
G : 주전자 C : 차용기
F : 연료 FB : 연료통

Claims (9)

  1. 하부에 연료(F)가 수용되는 연료수용부(11)와, 상기 연료수용부(11)의 상부를 밀폐하는 차단벽(12)과, 상기 차단벽(12)의 일면에 수직으로 천공된 심지공(13)으로 이루어진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가열본체(10)와;
    상기 연료수용부(11)에 수용된 연료(F)와 접촉되며 상기 차단벽(12)의 상부로 연결된 연료심지(21)와, 상기 연료심지(21)가 관통되며 상기 심지공(13)에 안착되는 심지고정구(22)로 이루어진 가열심지부(20)와;
    상기 연료심지(21)에서 발생된 불의 열이 주전자(G) 및 컵(C)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열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열을 전도하는 판형상의 가열전도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열본체(10)와 가열전도판(30)은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료수용부(11)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료수용부(11)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연료주입연결부(41)와, 상기 연료주입연결부(41)의 일단부에 연료통(FB)이 안착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연료통안착부(42)와, 상기 연료통안착부(42)에 상기 연료통(FB)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료수용부(11)에 연료(F)를 유입시키는 연료주입송곳부(43)로 이루어진 연료주입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주입송곳부(43)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료통(FB)에 수용된 연료(F)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요입된 연료유출절개홈(4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가열전도판(30)이 안착되도록 단턱진 전도판안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판안착부(14)의 상면에는 상기 가열전도판(30)에 안착된 차용기(C)가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전도판(30)의 일면에는 수직으로 천공된 직화천공부(31)와, 상기 직화천공부(31)를 차단하는 직화천공덮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직화천공부(31)의 외주연에는 상기 직화천공덮개부(32)가 안착되도록 단턱진 덮개안착부(3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고정구(22)는 상기 심지공(13)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삽입부(22a)와, 상기 고정삽입부(22a)의 상면에 상기 심지공(13)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외측으로 직경이 확대된 고정구안착부(22b)와, 상기 고정구안착부(22b)의 상면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차단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파이프형상의 방풍벽(22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심지(21)의 내부에는 연소할 경우 상기 연료심지(21)의 형태가 지속되도록 석면재질로 이루어진 석면심지부(21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본체(10)의 외주연에는 다량의 공기가 상기 연료심지(21)에 유입되고, 상기 연료심지(21)에 발생된 불의 연소여부가 육안으로 파악되도록 다수개가 천공된 연소확인공(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수용부(11)의 내부에는 상기 연료(F)가 소모될 경우 상기 연료수용부(11)의 내벽과 충격을 일으켜 소리가 발생되도록 구형상의 연료수위확인구(1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KR1020130077654A 2013-07-03 2013-07-03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KR10145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654A KR101456254B1 (ko) 2013-07-03 2013-07-03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654A KR101456254B1 (ko) 2013-07-03 2013-07-03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254B1 true KR101456254B1 (ko) 2014-11-03

Family

ID=5228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654A KR101456254B1 (ko) 2013-07-03 2013-07-03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2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08U (ja) * 1992-06-30 1994-03-25 和嘉治 近藤 茶道用風炉
JP2516184Y2 (ja) * 1990-02-28 1996-11-06 株式会社トヨトミ 温風吹出口付レンジ
JP3055997U (ja) * 1998-03-26 1999-02-02 有限会社ナガオ 飲み物用持続保温装置
JP2001054469A (ja) * 1999-08-17 2001-02-27 Izumi Products Co 加熱用プレ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184Y2 (ja) * 1990-02-28 1996-11-06 株式会社トヨトミ 温風吹出口付レンジ
JPH0622808U (ja) * 1992-06-30 1994-03-25 和嘉治 近藤 茶道用風炉
JP3055997U (ja) * 1998-03-26 1999-02-02 有限会社ナガオ 飲み物用持続保温装置
JP2001054469A (ja) * 1999-08-17 2001-02-27 Izumi Products Co 加熱用プレ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31724B (zh) 带雾化器的功夫茶盘
DE602006013658D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wasserkocher
US20130288189A1 (en) Heat isolating torch
CN106690424A (zh) 一种新型电子烟雾化器
KR101456254B1 (ko) 가열전도판이 구비된 차보온용 가열기구
WO2008128609A1 (en) Highly flexible coffeepot for the production of a coffee based beverage
CN102125401A (zh) 新型直接烧烤炉具的本体
KR101337175B1 (ko) 캠핑용 화로
KR101563168B1 (ko) 요구르트제조기
US20030173803A1 (en) Bio health chair
CN203447025U (zh) 带雾化器的功夫茶盘
KR101950966B1 (ko) 에그바 조리장치
CN204617926U (zh) 组合式雷响茶具
CN209750661U (zh) 一种多功能水杯
JP3903242B2 (ja) 油揚げ器の水分供給装置
JP3193755U (ja) 急須
CN211024306U (zh) 一种盛放香料的陶瓷罐
CN218978616U (zh) 一种反扣颠倒壶
KR102492851B1 (ko) 구이기구
RU22773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рки кофе &#34;хот сэнд&#34;
KR100981131B1 (ko) 식기 보온용 열판 가열기
WO2010138135A1 (en) Indoor grill grid apparatus
CN105066427A (zh) 一种便携式加热盒
KR101565241B1 (ko) 직화 황토 오븐기
CN206414095U (zh) 一种边泡边喝的多功能茶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