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583B1 -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583B1
KR101455583B1 KR1020140052830A KR20140052830A KR101455583B1 KR 101455583 B1 KR101455583 B1 KR 101455583B1 KR 1020140052830 A KR1020140052830 A KR 1020140052830A KR 20140052830 A KR20140052830 A KR 20140052830A KR 101455583 B1 KR101455583 B1 KR 10145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burr
polishing
work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환
이선중
표현학
Original Assignee
삼환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환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환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10)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1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1)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상,하부레일(11)(13)에 구비된 스프링(18)의 탄성 복원력과 복수개의 연마부재(15)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작업자의 상해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품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Workpiece cutting burr (burr)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작업자의 상해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품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제품 생산의 최종 단계인 마무리 가공은 생산품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제품 생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버 제거(deburring)와 모서리 다듬질(edge finishing) 공정을 마친 부품이 조립등을 통해서 최종 생산품으로 완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양한 형상, 치수, 성질을 가지 버는 그 처리법을 표준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마루리 가공의 버 제거와 모서리 다듬질을 기계화하는 것은 현장에서 가공의 고 효율화 자동화 무인화를 추구할 때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정이다. 특히 버 제거는 자동화가 가장 늦어진 분야로 현재는 대부분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버의 특성은 모두 측정이 용이하지 않고 종종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버를 측정하기 어려운 이유는 버가 일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현장에서 전체 가공 시간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절단 및 드릴 가공인데 절단 및 드릴 가공에서 생성되는 버로 인하여 전체 생산율이 저하되어 생산 원가가 올라가며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고 산업 재해가 발생하는 등 각종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다.
따라서 디버링(deburring)이란 말 그대로 가공물의 입구 출구에 생긴 가공 잔유물(예: 이바리..일본말) 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절단을 비롯한 거의 모든 가공 공정에서는 반드시 버가 생성된다. 버가 발생한 부분은 열린 부분이면 직접 게거하거나 혹은 연마의 방법으로 제거 가능하나 깊은 갇힌 공간일 경우 별도의 장치를 통하여 버를 제거해야한다.
종래 상기 디버링을 이용한 장치는 철판 두께나 폭이 바뀔 때마다 수많은 롤러 부위의 치수를 각각 조절해야 하므로 사용상 매우 불편하고 고장시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에 의해 버를 제거하곤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절단부에 발생된 버(Burr)를 강제로 압축시켜 만곡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이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프레스에 의해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02154호(2001. 06. 30)(명칭: 금속제 프레스 절단물의 버제거 방법 및 장치}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마부재와 스프링이 구비된 연마수단과, 연마부재와 중량부재가 구비된 연마수단과, 연마부재와 핸들이 구비된 연마부재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작업자의 상해위험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손쉽게 버를 제거하여 상품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조원가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쉽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상,하부레일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과 복수개의 연마부재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브라켓트와 중량부재에 구비된 복수개의 연마부재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상,하부레일에 구비된 핸들의 조작과 복수개의 연마부재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마부재와 스프링이 구비된 연마수단과, 연마부재와 중량부재가 구비된 연마수단과, 연마부재와 핸들이 구비된 연마부재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작업자의 상해위험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손쉽게 버를 제거하여 상품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조원가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쉽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 (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의 제1실시예
구성도.
도 2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의 제
2실시예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의 제3실시예
정면도.
도 4 의 (a)(b)는 상,하단 버를 제거하는 부분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마부재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연마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는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10)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1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1)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상,하부레일(11)(13)에 구비된 스프링(18)의 탄성 복원력과 복수개의 연마부재(15)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레일(11)(13)에는 가공물(1)의 두께나 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15)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홈(1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부재(15)는,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15)를 좌우로 이송시키면서 연마할 수 있도록 경사면(16)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스프링(18)은 상하로 승하강 작동되는 상,하부레일(11)(13)의 사이에 구비된 가이드봉(17)의 외주면에 끼워져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은 도 2(a)(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20)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2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1)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브라켓트(21)와 중량부재(26)에 구비된 복수개의 연마부재(27)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브라켓트(21)와 중량부재(26)에는 가공물(1)의 두께나 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27)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홈(22)(25)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연마부재(27)는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27)를 좌우로 이송시키면서 연마할 수 있도록 경사면(28)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중량부재(26)에 설치된 연마부재(27)에는 축봉(29)이 돌출 구비되고, 이 축봉(29)은 브라켓트(21)의 가이드공(23)에 끼워져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중량부재(26)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연마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30)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3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1)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상,하부레일(31)(33)에 구비된 핸들(38)(38a)의 조작과 복수개의 연마부재(35)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레일(31)(33)에는 가공물(1)의 두께나 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35)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홈(32)(34)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연마부재(35)는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35)를 좌우로 이송시키면서 연마할 수 있도록 경사면(36)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레일(31)(33)에는 핸들(38)(38a)이 연결되고, 이 핸들(38)(38a)은 몸체플랜지(37)(37a)에 끼워져 선택적으로 핸들(38)(38a)을 정역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부레일(31)(33)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게 되고 따라서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상,하부레일(31)(33)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연마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연마부재(15)(27)(35)는 전체가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연마부재(15)(27)(35)의 경사면에만 다이아몬드 코팅층(40)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마부재(15)(27)(35)에 다이아몬드블럭(50)을 교체가능하도록 고정부재(51)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마부재(15)(27)(35)의 상하부 또는 상하부 어느 일단에 구비되며, 가공물(1)의 연마로 인해 발생된 가루를 모을 수 있도록 한 자석(60)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작업자의 상해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품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제 1, 2, 3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코일러(5)에서 풀린 가공물(1)(예: 금속강판)이 슬리팅머신(6)을 통과하면서 여러 가닥으로 잘린다. 이때 가공물(1)에 양 끝단은 슬리팅 작업으로 인해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이 생성되는데, 이 버는 이후 연마수단(10)을 통과하면서 제거시키게 된다.
즉, 가공물(1)이 연마부재(1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버가 제거되는데, 상기 연마부재(15)는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져 버를 연마하여 제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부재(15)는 가공물(1)의 두께나 폭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 가능하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마부재(15)는 상,하부레일(11)(13)의 레일홈(12)(14)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고, 또한 연마부재(15)는 가이드봉(17)의 외주면에 끼워진 스프링(18)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원하는 두께나 폭으로 연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2(a)(b),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코일러(5)에서 풀린 가공물(1)(예: 금속강판)이 슬리팅머신(6)을 통과하면서 여러 가닥으로 잘린다. 이때 가공물(1)에 양 끝단은 슬리팅 작업으로 인해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이 생성되는데, 이 버는 이후 연마수단(20)을 통과하면서 제거시키게 된다.
즉, 가공물(1)이 연마부재(27)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버가 제거되는데, 상기 연마부재(27)는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져 버를 연마하여 제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부재(27)는 가공물(1)의 두께나 폭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 가능하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마부재(27)는 브라켓트(21)와 중량부재(26)의 레일홈(22)(25)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고, 또한 연마부재(27)는 중량부재(26)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가공물(1)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가공물(1)의 두께만큼 상승한다. 이때 연마부재(27)의 일측으로 돌출된 축봉(29)이 브라켓트(21)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공(23)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되게 설치되므로 중량부재(26)와 연마부재(27)는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여 결과적으로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원하는 두께나 폭으로 연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3,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코일러(5)에서 풀린 가공물(1)(예: 금속강판)이 슬리팅머신(6)을 통과하면서 여러 가닥으로 잘린다. 이때 가공물(1)에 양 끝단은 슬리팅 작업으로 인해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이 생성되는데, 이 버는 이후 연마수단(30)을 통과하면서 제거시키게 된다.
즉, 가공물(1)이 연마부재(3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버가 제거되는데, 상기 연마부재(35)는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져 버를 연마하여 제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부재(35)는 가공물(1)의 두께나 폭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 가능하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마부재(35)는 상,하부레일(31)(33)의 레일홈(32)(34)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고, 또한 상,하부레일(31)(33)과 연마부재(35)는 핸들(38)(38a)을 정역 회전시키게 되면 몸체플랜지(37)(37a)를 중심으로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원하는 두께나 폭으로 연마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연마부재(15)(27)(35)는 전체가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와 비용 절감 차원에서 연마부위인 경사면(16)(28)(36)에만 다이아몬드 코팅층(40)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1)를 이용하여 다이아몬드블럭(50)을 연마부재(15)(27)(35)에서 탈착 가능하게 하여 교체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2, 3 실시예의 연마과정에서 발생된 가공물(1)의 가루는 상하단에 구비된 자석(6)이 끌어당겨 모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 개선과 재료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공물
5: 언코일러
6: 슬리팅머신
7: 리코일러
10, 20, 30: 연마수단

Claims (16)

  1. 삭제
  2.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10)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1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1)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상,하부레일(11)(13)에 구비된 스프링(18)의 탄성 복원력과 복수개의 연마부재(15)로 제거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레일(11)(13)에는 가공물(1)의 두께나 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15)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홈(12)(14)이 형성되고, 상기 연마부재(15)는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15)를 좌우로 이송시키면서 연마할 수 있도록 경사면(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20)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2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1)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브라켓트(21)와 중량부재(26)에 구비된 복수개의 연마부재(27)로 제거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21)와 중량부재(26)에는 가공물(1)의 두께나 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27)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홈(22)(25)이 형성되고, 상기 연마부재(27)는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27)를 좌우로 이송시키면서 연마할 수 있도록 경사면(28)이 형성되며, 상기 중량부재(26)에 설치된 연마부재(27)에는 축봉(29)이 돌출 구비되고, 이 축봉(29)은 브라켓트(21)의 가이드공(23)에 끼워져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중량부재(26)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연마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금속 절단 가공물의 버(burr)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이물(칩)을 제거하는 연마수단(30)이 구비되되, 상기 연마수단(3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공물(1)이 통과될 때 절단 가공물의 버(burr)를 상,하부레일(31)(33)에 구비된 핸들(38)(38a)의 조작과 복수개의 연마부재(35)로 제거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레일(31)(33)에는 가공물(1)의 두께나 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35)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홈(32)(34)이 형성되고, 상기 연마부재(35)는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부재(35)를 좌우로 이송시키면서 연마할 수 있도록 경사면(36)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레일(31)(33)에는 핸들(38)(38a)이 연결되고, 이 핸들(38)(38a)은 몸체플랜지(37)(37a)에 끼워져 선택적으로 핸들(38)(38a)을 정역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부레일(31)(33)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게 되고 따라서 가공물(1)의 크기에 따라 상,하부레일(31)(33)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연마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2 또는 6 또는 10 항중 어는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에 다이아몬드블럭(50)을 교체가능하도록 고정부재(51)로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16. 청구항 2 또는 6 또는 10 항중 어는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의 상하부 또는 상하부 어느 일단에 구비되며, 가공물(1)의 연마로 인해 발생된 가루를 모을 수 있도록 한 자석(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KR1020140052830A 2014-04-30 2014-04-30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KR101455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30A KR101455583B1 (ko) 2014-04-30 2014-04-30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30A KR101455583B1 (ko) 2014-04-30 2014-04-30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583B1 true KR101455583B1 (ko) 2014-10-31

Family

ID=5199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830A KR101455583B1 (ko) 2014-04-30 2014-04-30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660A (ko) 2017-12-08 2019-06-19 이종민 버 제거장치
KR102085922B1 (ko) 2019-06-19 2020-03-06 박철수 사출물의 이바리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308A (ja) * 1992-09-22 1994-04-12 Heiji Sakurai バリ取り装置
KR20020031211A (ko) * 2000-10-23 2002-05-01 이구택 롤각도 조정이 용이한 강판의 버 제거장치
KR100653129B1 (ko) * 2006-09-18 2006-12-04 이구산업 주식회사 버 제거장치
KR100779463B1 (ko) * 2007-03-30 2007-11-26 서훈산업유한회사 선박용 보강재 모서리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308A (ja) * 1992-09-22 1994-04-12 Heiji Sakurai バリ取り装置
KR20020031211A (ko) * 2000-10-23 2002-05-01 이구택 롤각도 조정이 용이한 강판의 버 제거장치
KR100653129B1 (ko) * 2006-09-18 2006-12-04 이구산업 주식회사 버 제거장치
KR100779463B1 (ko) * 2007-03-30 2007-11-26 서훈산업유한회사 선박용 보강재 모서리 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660A (ko) 2017-12-08 2019-06-19 이종민 버 제거장치
KR102085922B1 (ko) 2019-06-19 2020-03-06 박철수 사출물의 이바리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968241U (zh) 一种线体打磨用碎屑收集装置
KR100829037B1 (ko)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KR101455583B1 (ko) 절단 가공물의 버(burr) 제거 장치
CN204450121U (zh) 改进后的操作台式打磨机
CN203901023U (zh) 一种剑锋研磨装置
CN207448831U (zh) 一种石材切割机械设备
CN206335438U (zh) 实验室用抛光、剪切、清洗一体机
CN104493432A (zh) 一种不锈钢餐具加工工艺
KR101776031B1 (ko) 스틸밴드의 디버링 장치
CN201856133U (zh) 一种用于打磨内孔的拉刀
CN204397538U (zh) 改进后的台式打磨机
CN207127608U (zh) 数控加工中心自动除屑装置
CN102240701A (zh) 倒立式拉丝机上的剥壳轮组件
US7549362B2 (en) Precision shearing to finish machined metallic components
JP2004291073A (ja) 帯鋼の溶接ばり除去装置
CN102950513B (zh) 一种修磨机
KR102559822B1 (ko) 타공에 의한 절삭공구의 제조방법 및 시스템
JP6595231B2 (ja) 加工設備
CN211916426U (zh) 一种新型可调节砂轮机
CN220161975U (zh) 一种钨棒的打磨修整装置
CN215147407U (zh) 一种新型刀头打磨装置
CN204471171U (zh) 轴向工件加工抛光设备
CN220240975U (zh) 一种钢管焊疤打磨装置
CN209831131U (zh) 一种防飞溅外圆磨床
CN215147724U (zh) 汽车阀片加工专用磨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