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477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477B1
KR101455477B1 KR1020120152928A KR20120152928A KR101455477B1 KR 101455477 B1 KR101455477 B1 KR 101455477B1 KR 1020120152928 A KR1020120152928 A KR 1020120152928A KR 20120152928 A KR20120152928 A KR 20120152928A KR 101455477 B1 KR101455477 B1 KR 10145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hose
vacuum clea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689A (ko
Inventor
야스시 다카이
유우지 오츠카
히로미츠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07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상황에 따라 집진 호스의 신축성을 변경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전기 청소기(1)는, 전동 송풍기(8)와 손잡이 조작관(22)을 연통하여 접속하는 가요성 집진 호스(21)와, 손잡이 조작관(22)과 흡입구체(35)를 연통하여 접속하고, 또한 집진 호스(21)보다도 유연하게 휘는 제2 집진 호스(8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와, 전동 송풍기를 수용하는 청소기 본체와, 전동 송풍기에 연통하여 접속하고 청소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가요(可撓)성 집진 호스와, 집진 호스에 연통하여 접속하는 연장관과, 연장관에 연통하여 접속하는 절곡 가능한 접속관과, 접속관의 선단에 연통하여 설치되는 흡입구체를 구비한다.
이 종래의 전기 청소기는, 오로지 바닥면의 청소에 사용되는 바닥면용 흡입구체 대신에, 연장관에 접속관 및 흡입구체를 이어 통끝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 통끝이 연장된 전기 청소기는, 냉장고의 상면과 같은 높은 곳의 청소에 적합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52999호 공보
유저는, 높은 곳의 청소 개소(個所)를 청소하는 경우, 흡입구체(전기 청소기의 통끝)를 상방으로 내민다. 이때, 흡입구체와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는 집진 호스의 강성이 흡입구체의 사용 편의성을 크게 좌우한다.
구체적으로는, 높은 곳의 청소 개소에서 흡입구체를 취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 청소기는, 유연하게 휘어 만곡되는 것은 물론, 유연하게 신축(집진 호스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신축)되는 집진 호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집진 호스는, 유저가 흡입구체를 보다 멀리 내미는 동작에 유연하게 만곡되면서, 또한 연장되어 추종할 수 있음과 함께, 줄어들고자 하는 힘에 의해 이완이 없어지므로, 사용하지 않는 길이를 드러내지 않아 유저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유저는,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 바닥면용 흡입구체를 바닥면 위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시킨다. 이때, 전기 청소기는, 차례차례로 청소 개소를 이동하는 유저를 따라가도록 하여 청소기 본체를 이동시킨다.
이때도, 흡입구체와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는 집진 호스의 강성이 흡입구체의 사용 편의성을 크게 좌우한다. 집진 호스는, 청소 개소를 차례차례로 이동하는 유저에 맞추어 청소기 본체를 견인하는 연결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역할상, 집진 호스는, 유연하게 휘어 만곡되는 한편, 그다지 신축되지 않아 길이를 유지하며, 청소기 본체를 유저 근방으로 가까이 끌어 당기는 것이 요구된다.
즉, 집진 호스는, 높은 곳의 청소 개소에 전기 청소기의 통끝을 향하는 경우와, 바닥면용 흡입구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신축에 관한 상이한 성질(신축되기 쉬움, 신축되기 어려움)을 양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 상황에 따라 집진 호스의 신축성을 변경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와 중계관을 연통하여 접속하는 가요성 제1 집진 호스와, 상기 중계관과 흡입구체를 연통하여 접속하고 또한 상기 제1 집진 호스보다도 유연하게 휘는 제2 집진 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 상황에 따라 집진 호스의 신축성을 변경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종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한쪽 위치 결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다른 쪽 위치 결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규제 기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이다. 전기 청소기(1)는, 피청소면 위를 주행 가능한 청소기 본체(2)와, 청소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관부(3)를 구비한다.
청소기 본체(2)는, 본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5)의 양 측방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차륜(6)과, 본체 케이스(5)의 전반부에 위치하는 착탈 가능한 진애 분리 집진부(7)와, 본체 케이스(5)의 후반부에 위치하는 전동 송풍기(8)와, 주로 전동 송풍기(8)의 운전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9)와, 전동 송풍기(8)에 전력을 유도하는 전원 코드(11)를 구비한다.
본체 케이스(5)는, 관부(3)를 착탈 가능한 조인트로서의 본체 접속구(12)를 갖는다. 본체 접속구(12)는, 청소기 본체(2)에 진애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이며, 관부(3)와 진애 분리 집진부(7)를 연통하여 접속한다.
진애 분리 집진부(7)는, 전동 송풍기(8)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관부(3) 및 본체 접속구(12)를 거쳐 유입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함과 함께 공기를 전동 송풍기(8)에 보낸다.
전동 송풍기(8)는, 진애 분리 집진부(7)를 통과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을 발생시킨다.
본체 제어부(9)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이나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본체 제어부(9)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를 기억 장치에 기억한다.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는, 관부(3)로부터 수취하는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운전 모드간의 차이로서 서로 다른 입력값(전동 송풍기(8)의 입력값)을 갖는다.
본체 제어부(9)는, 관부(3)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하면,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임의의 운전 모드를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기억부로부터 판독, 당해 운전 모드에 따라 전동 송풍기(8)의 운전 제어를 행한다.
전원 코드(11)는, 자유 단부에 전원 플러그(14)를 구비한다.
관부(3)는, 전동 송풍기(8)의 운전에 수반하여 청소기 본체(2)로부터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진애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청소기 본체(2)에 안내한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조인트로서의 접속관(19)과, 접속관(19)에 연통하여 접속한 집진 호스(21)와, 집진 호스(21)에 연통하여 접속한 손잡이 조작관(22)과,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된 파지부(23)와, 파지부(23)에 위치하는 조작부(24)와, 손잡이 조작관(2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25)과, 연장관(25)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바닥면용 흡입구체(26)를 구비한다.
접속관(19)은, 본체 접속구(12)를 개재하여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집진 호스(21)는, 길고 가요성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이다. 집진 호스(21)의 한쪽 단부(진애를 포함한 공기의 흐름의 하류측, 여기에서는, 후방의 단부)를 접속관(19)에 접속한다. 집진 호스(21)는, 접속관(19)을 개재하여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 접속된다.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 호스(21)와 연장관(25) 사이에 개재된다. 손잡이 조작관(22)의 한쪽 단부(하류측)는, 집진 호스(21)의 다른 쪽 단부(상류측)에 접속한다.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개재하여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 접속한다.
파지부(23)는, 전기 청소기(1)를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갖고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된다.
조작부(24)는, 각각의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4)는, 전동 송풍기(8)의 운전 정지 조작에 대응하는 정지 스위치(24a)와, 전동 송풍기(8)의 운전 개시 조작에 대응하는 기동 스위치(24b)를 구비한다.
정지 스위치(24a) 및 기동 스위치(24b)는, 본체 제어부(9)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기 청소기(1)의 사용자는, 조작부(24)를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8)의 운전 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동 송풍기(8)가 운전을 개시한 후, 기동 스위치(24b)는 운전 모드의 선택 스위치로서도 기능한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9)는, 기동 스위치(24b)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모드를 강→중→약→강→………과 같이 전환한다.
또한, 조작부(24)는, 기동 스위치(24b) 대신에, 약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강운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별개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연장관(25)은, 신축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의 관이다. 연장관(25)은, 복수의 통 형상체를 중첩하여 망원경의 통과 같이 신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구성된다. 연장관(25)의 한쪽 단부(하류측)는, 손잡이 조작관(22)의 다른 쪽 단부(상류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다. 연장관(25)은,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개재하여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 접속한다.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의 다른 쪽 단부(상류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다. 또한,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마루 바닥이나 카페트 등의 피청소면 위를 주행 가능하거나 혹은 활주 가능한 구조를 가짐과 함께, 주행 상태 또는 활주 상태에 있어서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저면에 흡입구(28)를 갖는다.
또한,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흡입구(28)에 위치하고 회전 가능한 회전 청소체(29)와, 회전 청소체(29)를 회전 구동 가능한 전동기(31)를 구비한다.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개재하여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 접속한다.
전기 청소기(1)는,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8)의 운전을 개시하여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부압(흡입 부압)을 발생시킨다. 전기 청소기(1)는,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8)가 정지한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우선 전동 송풍기(8)를 강운전 모드에서 운전하고, 계속하여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8)를 중운전 모드에서 운전한다.
또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8)를 약운전 모드에서 운전하고, 이하 반복한다.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및 약운전 모드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이며,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약운전 모드의 순으로 입력값이 작다.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발생한 부압은, 진애 분리 집진부(7), 본체 접속구(12), 접속관(19), 집진 호스(21), 손잡이 조작관(22) 및 연장관(25)을 거쳐 바닥면용 흡입구체(26)의 흡입구(28)에 작용한다.
흡입구(28)에 작용한 부압에 의해, 전기 청소기(1)는, 피청소면에 저류된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구(28)로부터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진애 분리 집진부(7)는, 흡입구(28)가 흡입한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한다.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청정해진 공기는, 진애 분리 집진부(7) 및 전동 송풍기(8)를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2) 밖으로 배기된다.
그런데,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거실의 바닥면 등 비교적 넓은 피청소면의 청소에 적합한 것이지만, 예를 들어 가구의 간극이나 침대 밑 등의 협애(狹隘)한 청소 개소나, 소위 냉난방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면과 같은 높은 곳에 있는 육안으로 확인 곤란한 청소 개소에서는 사용 편의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들 협애한 청소 개소나 높은 곳에 있는 육안으로 확인 곤란한 청소 개소에 있어서의 사용 편의성이 좋은 흡입구체(35) 및 흡입구체(35)를 손잡이 조작관(22)에 접속하는 제2 집진 호스(85)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종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흡입구(36)를 갖는 길이 형상의 흡입체(37)와, 흡입체(37)에 연통 접속되는 관부(38)와, 관부(38) 도중에 있는 관절(39, 41)과, 관절(39, 41) 각각을 적당한 회전 각도φ마다 복수의 개소에서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 기구(42, 43)를 구비한다.
흡입체(37)는, 편평하고 중공인 막대 형상의 베이스(45)와, 흡입구(36)의 개구 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이스(45)의 주연부에 배열하는 브러시(46)를 구비한다.
흡입구체(35)의 베이스(45)는 저면에 흡입구(36)를 갖는다. 흡입구체(35)는 흡입체(37)의 저면을 피청소면을 향하여 사용된다. 또한, 베이스(45)는, 흡입구(36)를 통하여 피청소면에 대면 가능한 흡입실(48)을 갖는다.
흡입실(48)은, 전기 청소기(1)가 흡입하는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의 일부이다. 또한, 베이스(45)는,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 단부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있고, 또한 흡입구(36)의 개구 방향을 유지하는 회전축으로 되는 슬리브(49)를 구비한다.
슬리브(49)는, 흡입실(48)에 접속하는 중공 부분을 갖고, 베이스(45)의 상면으로부터 관부(38)의 내부로 연장되고 흡입체(37)의 회전 중심선 C를 구성한다. 슬리브(49)의 중공 부분은 흡입체(37)와 관부(38)에 연통 접속하는 개구(51)이다. 슬리브(49)는 관부(38)에 걸려 빠짐 방지가 되는 갈고리(52)를 선단부에 구비한다.
브러시(46)는, 베이스(45)의 저면의 법선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브러시(46)의 선단을 연결하는 궤적은 베이스(45)의 저면에 대략 평행한 면을 그린다.
흡입체(37)는,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관부(38)에 인접되는 수납 상태(도 2)와, 관부(38)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전개 상태(도 11)를 취할 수 있다.
관부(38)는,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 쪽 단부측에 치우치는 회전 중심선 C 주위에 흡입체(3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관부(38)는, 회전 중심선 C와 대략 동축에 위치하는 개구(51)를 통하여 흡입체(37)에 연통 접속된다. 관부(38)는, 회전 중심선 C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 중심선 C의 방향에서 보아 흡입체(37)에 배열하고, 인접한다.
또한, 관부(38)는, 흡입체(37)보다도 길어, 흡입체(37)가 관부(38)에 인접되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흡입체(37)와 배열하는 병렬 부분(55)과, 단독으로 연장되는 잉여 부분(56)이 있다. 관부(38)는, 적어도 병렬 부분(55)에 있어서 흡입체(37)와 대략 동등한 폭이 있다.
또한, 관부(38)는, 흡입체(37)로부터 돌출되는 슬리브(49)를 감입시키는 개구(57)를 갖는다. 슬리브(49) 및 개구(57)는, 관부(38)에 흡입체(37)를 지지하는 베어링부(58)이다. 관부(38)는 한쪽 단부에 베어링부(58)를 구비하고, 다른 쪽 단부에 조인트부(61)를 구비한다.
흡입구체(35)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관부(38)의 한쪽 단부는 그 선단측으로 되고, 다른 쪽 단부는 전동 송풍기(8)에 연통 접속되는 근원측으로 된다. 즉, 베어링부(58)가 구성하는 회전 중심선 C는 관부(38)의 선단부에 위치한다.
베어링부(58)는 흡입체(37)를 360°의 범위에서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어도 좋고, 슬리브(49)와 개구(57)에 적당한 각도마다 서로 꼭 맞는 복수의 요철(도시 생략)을 갖고 회전 각도를 단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관절(39, 41) 각각은, 흡입체(37)의 회전 중심선 C에 비평행한 축 주위에 요동 가능(절곡 가능)하다. 여기서, 회전 중심선 C에 비평행한 축이란, 회전 중심선 C에 대하여 교차 또는 비틀림의 위치에 있는 축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관절(39, 41) 각각은, 협애한 간극에의 진입이 용이해지도록 흡입체(37)의 폭 방향을 향하는 축 주위로 요동한다.
또한, 관절(39, 41) 각각은 관부(38)의 유로의 일부이며, 곧게 연장되는 직관 상태, 절곡된 굴절관 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든 공기를 유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절(39, 41) 각각은, 거의 간극없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꼭 맞는 대소 2개의 원통을 구비한다. 이들 2개의 원통의 측벽 부분은 적절하게 절결되어 각각의 관절(39, 41) 내 유로를 그 가동 범위 내에서 유통 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관절(39, 41)은, 어느 한쪽에만, 즉 적어도 1개 있으면 되고, 어느 하나가 있으면 흡입구체(35)를 유저의 눈의 높이보다도 하방 및 상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절(39, 41) 중 1개인 관절(39)은, 관부(38)의 잉여 부분(56)에 위치하고, 흡입체(37)는 관부(38)가 이루는 열각(劣角)측에 위치하는 방향(도 2 중의 실선 화살 A 방향)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관부(38)가 이루는 열각측이란, 관절(39)을 걸쳐 관부(38)의 일방측과 타방측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이다. 관절(39)은 약 60도의 범위에서 절곡된다.
관절(39, 41) 중 다른 쪽 관절(41)은, 흡입체(37)가 관부(38)에 인접되는 수납 상태에 있고 흡입체(37)와 관부(38)의 병렬 부분(55)에 위치하고 흡입체(37)는 관부(38)가 이루는 우각(優角)측에 위치하는 방향(도 2 중의 실선 화살 B 방향)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관부(38)가 이루는 우각측이란, 관절(41)을 걸쳐 관부(38)의 일방측과 타방측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큰 쪽의 각이다.
또한, 관절(41)은, 병렬 부분(55)의 대략 중앙에 있고,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회전 중심선 C로 되는 베어링부(58)에 배열한다.
규제 기구(62)는, 흡입체(37)가 관부(38)에 인접되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회전 중심선 C에 교차하는 회전 방향으로 흡입체(37)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규제 기구(62)는, 흡입체(37)측의 제1 훅(65)과, 제1 훅(65)을 걸기 가능한 관부(38)측의 제2 훅(66)을 구비한다.
제1 훅(65)과 제2 훅(66)은, 흡입체(37)가 관부(38)에 인접되는 수납 상태에서 서로 걸린다. 한편, 제1 훅(65)과 제2 훅(66)은, 회전 중심선 C 주위에 흡입체(37)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걸기를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길이 형상의 흡입체(37)를 회전시키면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거의 동등한 회전 반경으로 청소 범위를 확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한쪽 위치 결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위치 결정 기구(42)를 덮는 커버를 제거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의 관절(39)은, 관절(39)을 적당한 회전 각도마다 복수의 개소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42)를 구비한다.
위치 결정 기구(42)는, 관절(39)의 측벽 내에 관절축 직교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핀(68)과, 이 핀(68)이 끼워 맞춤 또한 탈출 가능한 복수의 노치(69)와, 핀(68)을 노치(69)에 끼워 넣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71)을 구비한다.
핀(68) 및 코일 스프링(71)은, 관절(39)을 구성하는 실린더의 한쪽에 있고, 노치(69)는 관절을 구성하는 실린더의 다른 쪽에 있다.
위치 결정 기구(42)는, 관절(39)에 합류하는 힘이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여 코일 스프링(71)을 이기면, 핀(68)이 노치(69)를 타고 넘어 관절(39)의 각도를 적당한 굽힘 각도로 보유 지지한다.
유저는, 관절(39)을 굽히면, 적당한 각도마다 핀(68)이 노치(69)에 끼워질 때마다 클릭감을 얻어, 관부(38)를 원하는 각도로 절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다른 쪽 위치 결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의 관절(41)은, 관절(41)을 적당한 회전 각도마다 복수의 개소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43)를 구비한다.
위치 결정 기구(43)는, 관절(41)을 사이에 두고 관부(38)의 일방측에 설치되는 반구체(72)와, 다른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43b)에 있고 반구체(72)가 끼워 맞추어지고 또한 탈출 가능한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73)을 갖는 판부(75)를 구비한다.
판부(75)는,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43a)에 있고, 반구체(72)가 끼워 맞추어지고 또한 탈출 가능한 원 형상의 구멍(76)도 갖는다.
위치 결정 기구(43)는,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 구체적으로는 관절(41)의 요동 범위 내에서 관부(38)와 흡입체(37)가 최접근하는 위치 결정 개소(43a)에서는 여유가 작고, 다른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43b)에서는 적당한 회전 각도 φ보다도 작은 범위에서 여유가 크다.
또한, 가이드 구멍(73)은, 반구체(72)에 비하여 대직경의 개구이면 되고, 원형이어도 좋다. 한편, 구멍(76)은, 반구체(72)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개구이며, 반구체(72)의 덜걱거림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결정 개소(43a)는 관부(38)를 직관 형상으로 위치 결정하여 보유 지지한다. 또한, 위치 결정 개소(43b)는 관부(38)를 굴절관 형상으로 위치 결정하여 보유 지지한다.
유저는, 관절(41)을 굽히면, 적당한 각도마다 반구체(72)가 구멍(76) 또는 가이드 구멍(73)에 끼워질 때마다, 클릭감을 얻어, 관부(38)를 원하는 각도로 절곡할 수 있다.
그런데, 흡입구체(35)의 관절(39, 41)은 복수이며, 한쪽 관절(39)은, 흡입체(37)는 관부(38)가 이루는 각의 열각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른 쪽 관절(41)은, 흡입체(37)는 관부(38)가 이루는 각의 우각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그리고, 한쪽 관절(39)측에 있는 한쪽의 위치 결정 기구(42)는, 다른 쪽 관절(41)측에 있는 다른 쪽 위치 결정 기구(43)보다도 위치 결정 상태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력이 크다.
이 위치 결정 기구(42, 43)의 보유 지지력의 차는, 위치 결정 기구(42)의 코일 스프링(71)의 스프링 상수나 위치 결정 기구(43)의 판부(75)의 강성을 적절하게 조합하거나, 위치 결정 기구(42)의 핀(68)의 돌출 길이나 위치 결정 기구(42)의 반구체(72)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합하거나 하여 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규제 기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의 규제 기구(62)(도 3 참조), 즉 제1 훅(65) 및 제2 훅(66)은, 서로 꼭 맞는 요철(67)을 구비한다. 요철(67)은 회전 중심선 C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요철(67)이 서로 꼭 맞음으로써 회전 중심선 C 주위에 있어서의 흡입체(37)의 회전을 규제하여, 흡입체(37)가 갑자기 전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전동 송풍기(8)와 손잡이 조작관(22)(중계관)을 연통 접속하는 가요성 집진 호스(21)(제1 집진 호스)와, 손잡이 조작관(22)과 흡입구체(35)를 연통 접속하고, 또한 집진 호스(21)보다도 유연하게 휘는 제2 집진 호스(85)를 구비한다.
또한, 전기 청소기(1)는, 제2 집진 호스(85)와 흡입구체(35)를 연통 접속하는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의 신축관(86)을 구비한다.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에 비하여 자연 길이로부터 신장하기 쉽고, 또한 신장한 상태로부터 수축하기 쉽다. 환언하면,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에 비하여 스프링 상수가 낮고, 또한 수축력으로 끝까지 줄어든 상태를 자연 길이로 하는 인장 스프링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또한, 제2 집진 호스(85)는, 손잡이 조작관(22)에 끼워 맞춤 가능한 조인트관(87)을 한쪽 단부(하류측)에 구비하고, 다른 쪽 단부(상류측)에 신축관(86)을 끼워 맞춤 가능한 조인트관(88)을 구비한다.
조인트관(88)은 끼워 넣어진 신축관(86)의 고정과 그 해제를 행하는 로크 기구(89)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에 비하여 전동 송풍기(8)가 흡입하는 공기류의 상류측에 있다.
전기 청소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손잡이 조작관(22)의 상류측에 연장관(25) 및 바닥면용 흡입구체(26)를 접속하는 형태에서는, 바닥면 위를 광범위하게 청소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이 형태의 전기 청소기(1)는, 유저가 손잡이 조작관(22), 연장관(25) 및 바닥면용 흡입구체(26)를 일체로 전후로 왕복시키는 동작을, 집진 호스(21) 전체적인 휨에 의해 흡수한다.
그리고, 전기 청소기(1)는, 유저가 청소 개소를 바꾸기 위하여 손잡이 조작관(22)을 인장하면, 휨이 없어져 직선적이 되면서도 길이를 거의 유지한 집진 호스(21)로 청소기 본체(2)를 견인하여, 새로운 청소 개소로 이동한다. 즉, 바닥면용 흡입구체(26)를 사용하는 경우, 집진 호스(21)는, 용이하게 휘어 만곡되는(굽힘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한 한편, 청소기 본체(2)의 추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견인하기 위하여 용이하게는 신축하지 않는(세로 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진 호스(21)는, 제2 집진 호스(85)에 비하여 신축하기 어려워 청소기 본체(2)의 추종성을 유지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전기 청소기(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조작관(22)의 상류측에 제2 집진 호스(85), 신축관(86) 및 흡입구체(35)를 접속하는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가구의 간극이나 침대 밑 등의 협애한 청소 개소나, 소위 냉난방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면과 같은 높은 곳에 있는 육안으로 확인 곤란한 청소 개소를 중점적으로 청소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이 형태에서 사용되는 전기 청소기(1)는, 유저가 신축관(86) 및 흡입구체(35)를 일체로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는 동작을, 집진 호스(21)보다도 유연한 제2 집진 호스(85)의 휨에 의해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 청소기(1)는, 유저가 통끝(흡입구체(35))의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신축관(86)을 인장해도, 직선적으로 되면서도 용이하게 신장하는 제2 집진 호스(85)에 의해 변위를 흡수하여, 청소기 본체(2)의 정위를 유지한다.
즉, 흡입구체(35)를 사용하는 경우, 제2 집진 호스(85)는, 용이하게 휘어 만곡되는(굽힘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한 것 외에, 용이하게 신축하여(세로 강성이 낮은) 청소기 본체(2)의 정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집진 호스(85)는, 손잡이 조작관(22)과 흡입구체(35) 사이에서 용이하게 구부러지거나, 또한 용이하게 신장됨으로써 양 부위 사이의 큰 변위를 허가하면서 청소기 본체(2)의 정위를 유지하기 쉽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보다도 통끝(흡입구체(35))에 가까운 상류측에 있기 때문에, 유저가 신축관(86)을 인장하는 동작을, 제2 집진 호스(85)측을 주체적으로 사용하여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에 비하여, 유저가 흡입구체(35)를 보다 멀리 내미는 동작으로 유연하게 만곡되면서, 또한 연장되어 추종할 수 있음과 함께, 줄어들고자 하는 힘에 의해 이완을 없애어, 사용하지 않는 길이를 드러내지 않아, 유저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신축관(86)은 다단계, 예를 들어 3단계로 신축할 수 있다. 신축관(86)은 제2 집진 호스(85)의 조인트관(88)에 끼워 맞춤 접속 가능한 조인트부(91)를 한쪽 단부(하류측)에 구비하고, 다른 쪽 단부(상류측)에 흡입구체(35)를 끼워 맞춤 접속 가능한 조인트부(92)를 구비한다.
또한, 신축관(86)은 각 단에 신장 상태 또는 단축 상태의 고정과 그 해제를 행하는 로크 기구(93)를 구비한다.
또한, 전기 청소기(1)는, 흡입구체(35)뿐만 아니라, 신축관(86)이나, 제2 집진 호스(85)의 상류측의 개구단부를 통끝으로서 청소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손잡이 조작관(22)에 제2 집진 호스(85), 신축관(86) 및 흡입구체(35)를 순차 접속함으로써, 바닥면용 흡입구체(26)에서는 청소하기 어려운 개소, 예를 들어 높은 곳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전기 청소기(1)의 유저는, 신축관(86)의 근원이 되는 하류측(제2 집진 호스(85)에 가까운 단부)을 파지하고, 흡입구체(35)를 상방으로 들어 높은 곳의 청소를 행한다. 높은 곳에 있는 청소 개소의 구체예로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e의 상면을 생각하는 경우, 신축관(86)의 최연장 길이를 약 1m로 설정함으로써, 여성의 평균 신장(약 158㎝를 상정)보다도 수 센티미터 내지 십수 센티미터 정도 신장이 작은 유저라도 당해 개소에 흡입구체(35)를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e의 천장면의 높이는, 높이 약 2m의 쓸어내기창의 상방에 약간의 거리(약 10㎝)를 이격하여 높이 약 25㎝ 내지 약 30㎝의 실내기를 배치한 경우, 약 2m 35㎝ 내지 약 2m 40㎝로 상정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절(39)을 절곡함으로써 흡입체(37)는 관부(38)가 이루는 열각측에 위치하는 형태(머리 숙여 인사함과 같은 형태)로 된다. 이 열각측에 위치하는 형태의 흡입구체(35)는,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면과 같이, 전기 청소기(1)의 유저의 시점보다도 높은 곳에 있어 직접 육안 확인이 곤란한 개소의 청소에 적합하다.
전기 청소기(1)의 유저는, 청소 개소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적절한 위치로부터 신축관(86)을 연장시킴으로써 당해 청소 개소에 흡입구체(35)를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열각측에 위치하는 형태 외에 흡입체(37)를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회전하여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관절(39)로부터 늘어나는 아암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이 열각측에 위치하는 형태+전개 형태의 흡입구체(35)는, 직접 육안 확인이 곤란한 청소 개소의 보다 안측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17㎝ 정도로 설정해 두면, 관절(39)을 기준으로 하는 전개 상태의 아암 길이를 30㎝ 이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면을 벽옆까지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9에 있어서의 이점쇄선의 흡입체(37)).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부(38)를 절곡하는 관절(39)에 의해 높은 곳에 있는 청소 개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선적(일차원적)으로 이동하여, 가장자리부 근방을 청소 가능할 뿐만 아니라, 흡입체(37)를 전개함으로써 가장자리부로부터 보다 안측에 도달하여 평면적(이차원적)으로 청소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절(41)을 절곡함으로써 흡입체(37)는 관부(38)가 이루는 우각측에 위치하여 뒤로 젖히는 듯한 형태로 된다.
이 우각측에 위치하는 형태(뒤로 젖힘 형태)의 흡입구체(35)는, 예를 들어 가구의 간극과 같이 바닥면용 흡입구체(26)가 진입 곤란하고 협애한 청소 개소의 청소에 적합하다. 전기 청소기(1)의 유저는, 청소 개소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적절한 위치로부터 신축관(86)을 연장시킴으로써 당해 청소 개소에 흡입구체(35)를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이 우각측에 위치(뒤로 젖히는)하는 형태의 흡입구체(35)는, 흡입체(37)와 관부(38)의 병렬 부분(55)에 관절(41)이 있고, 흡입구체(35)를 피청소면에 가압하는 힘을 흡입체(37) 전체에 전달하기 쉬워, 피청소면을 확실히 쓸어낼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흡입구체는, 접속관의 절곡의 위치 결정이 고정적이었기 때문에, 유저의 팔 흔들림에 따라 파지 위치의 높이가 변화하면 흡입체(혹은 브러시의 털끝)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접지 상태가 불안정해지거나 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절(41)의 위치 결정 기구(43)에 있어서, 다른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43b)의 여유가 크기 때문에, 유저의 팔모습에 수반하는 파지 위치의 높이 변화가 발생해도, 신축관(86)이나 관부(38)에 대하여 흡입체(37)를 머리 흔들기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지를 유지하기 쉬워, 피청소면 위의 진애를 보다 확실하게 쓸어낼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뒤로 젖힘 형태 외에 흡입체(37)를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회전하여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관절(39)로부터 늘어나는 아암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이렇게 뒤로 젖힘 형태+전개 형태로 한 흡입구체(35)는, 협애한 청소 개소의 보다 안측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뒤로 젖힘 형태+전개 형태로 한 흡입구체(35)는 텔레비전 다이의 하방과 같이 상하로 좁은 공간에 흡입체(37)를 들어가게 하도록 하여 청소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절(39, 41) 양쪽을 적절하게 절곡시킴으로써, 높이 방향에 제약이 있어 폭이 좁은 간극에 흡입구체(35)를 용이하게 도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B 밑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 상자간의 간극과 같이 천장면이 낮고 협애한 개소의 청소에 적합하다. 전기 청소기(1)의 유저는, 청소 개소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적절한 위치로부터 신축관(86)을 연장시킴으로써 당해 청소 개소에 흡입구체(35)를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집진 호스(21)보다도 유연하게 휘어 만곡되는 제2 집진 호스(85)를 구비함으로써, 흡입구체(35)나, 신축관(86) 및 제2 집진 호스(85)의 상류측의 개방 단부에서 청소를 할 때에 이들 통끝의 처리를 쉽게 하여,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전기 청소기(1)는, 제2 집진 호스(85)를 제거하고, 집진 호스(21)에 연장관(25)이나 바닥면용 흡입구체(26)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제2 집진 호스(85)의 성질에 상관없이 집진 호스(21)의 성질에 따라 청소기 본체(2)의 추종성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집진 호스(21)에 비하여 자연 길이로부터 신장하기 쉬운 제2 집진 호스(85)를 구비함으로써, 청소기 본체(2)의 추종성을 저하시켜, 정위를 유지하기 쉬워, 청소기 본체(2)의 추종을 신경쓰지 않고 통끝을 적당한 방향으로 향하기 쉽다.
이에 의해, 전기 청소기(1)는, 유저가 협애한 청소 개소나 높은 곳의 청소 개소에 신경을 빼앗긴 나머지, 청소기 본체(2)를 견인하여 가구 등에 충돌시키는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신축관(86)을 구비함으로써, 유저가 파지하는 부분인 신축관(86)의 근원 부분의 방향을 바꾸기 쉬우므로, 유저가 파지하는 부분으로부터 보다 먼 청소 개소에 흡입구체(35)나 신축관(86)의 선단부를 도달시키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에 의하면, 사용 상황에 따라 집진 호스(21, 85)의 신축성을 변경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에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 범위에 포함된다.
1: 전기 청소기
2: 청소기 본체
3: 관부
5: 본체 케이스
6: 차륜
7: 진애 분리 집진부
8: 전동 송풍기
9: 본체 제어부
11: 전원 코드
12: 본체 접속구
14: 전원 플러그
19: 접속관
21: 집진 호스
22: 손잡이 조작관
23: 파지부
24: 조작부
24a: 정지 스위치
24b: 기동 스위치
25: 연장관
26: 바닥면용 흡입구체
28: 흡입구
29: 회전 청소체
31: 전동기
35: 흡입구체
36: 흡입구
37: 흡입체
38: 관부
39, 41: 관절
42, 43: 위치 결정 기구
43a, 43b: 위치 결정 개소
45: 베이스
46: 브러시
48: 흡입실
49: 슬리브
51: 개구
52: 갈고리
55: 병렬 부분
56: 잉여 부분
57: 개구
58: 베어링부
61: 조인트부
62: 규제 기구
65: 제1 훅
66: 제2 훅
67: 요철
68: 핀
69: 노치
71: 코일 스프링
72: 반구체
73: 가이드 구멍
75: 판부
76: 구멍
77: 센터 브러시
78: 사이드 브러시
78a: 모
79: 센터 브러시
79a: 모
85: 제2 집진 호스
86: 신축관
87, 88: 조인트관
89, 93: 로크 기구
91, 92: 조인트부

Claims (3)

  1.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와 중계관을 연통하여 접속하는 가요(可撓)성 제1 집진 호스와,
    상기 중계관과 흡입구체를 연통하여 접속하고 또한 상기 제1 집진 호스보다도 유연하게 휘는 제2 집진 호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집진 호스는 청소기 본체의 추종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진 호스는, 상기 제1 집진 호스에 비하여 자연 길이로부터 신장하기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진 호스와 상기 흡입구체를 연통하여 접속하는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의 신축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20152928A 2011-12-27 2012-12-26 전기 청소기 KR101455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5936A JP5804935B2 (ja) 2011-12-27 2011-12-27 電気掃除機
JPJP-P-2011-285936 2011-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689A KR20130075689A (ko) 2013-07-05
KR101455477B1 true KR101455477B1 (ko) 2014-10-27

Family

ID=4867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928A KR101455477B1 (ko) 2011-12-27 2012-12-26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04935B2 (ko)
KR (1) KR101455477B1 (ko)
CN (1) CN1031817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7538B2 (ja) * 2014-09-02 2018-1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2377296B1 (ko) * 2017-06-14 202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N108888174B (zh) * 2018-08-13 2024-01-12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立式手持的二合一吸尘器
WO2020264205A1 (en) 2019-06-26 2020-12-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Vacuum too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546U (ko) * 1997-04-29 1998-11-25 최진호 진공청소기의 연통수단
KR20050003490A (ko) * 2003-06-27 2005-01-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핸들
KR20110078417A (ko) * 2009-12-31 2011-07-07 김윤기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KR20110107004A (ko) * 2010-03-24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2553U (ko) * 1975-06-19 1976-12-24
JPS5794447U (ko) * 1980-11-26 1982-06-10
JPS5880958U (ja) * 1981-11-25 1983-06-0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ホ−ス接続装置
JPS61140754U (ko) * 1985-02-20 1986-08-30
JPH08117159A (ja) * 1994-10-26 1996-05-14 Yuko Hosaka 掃除機および掃除機用吸引ノズル
DE10162455A1 (de) * 2001-12-19 2003-07-17 Werner Jablonski Staubsaugerteil
KR200408281Y1 (ko) * 2005-09-23 2006-02-08 김재균 침구류 털이용 진공청소기 청소봉
JP4435775B2 (ja) * 2006-12-07 2010-03-24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掃除機
JP5055190B2 (ja) * 2008-04-22 2012-10-2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546U (ko) * 1997-04-29 1998-11-25 최진호 진공청소기의 연통수단
KR20050003490A (ko) * 2003-06-27 2005-01-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핸들
KR20110078417A (ko) * 2009-12-31 2011-07-07 김윤기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KR20110107004A (ko) * 2010-03-24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32478A (ja) 2013-07-08
KR20130075689A (ko) 2013-07-05
JP5804935B2 (ja) 2015-11-04
CN103181742A (zh)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97509B (zh) 具有可折叠杆以提供存储构造的真空清洁装置
KR101455476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EP2515732B1 (en) Vacuum cleaner with retractable auxiliary suction hose
KR101455477B1 (ko) 전기 청소기
KR102321633B1 (ko)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102072381B1 (ko) 청소기
JP6579814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5042320A (ja) 電気掃除機
KR101464836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US20220022710A1 (en) Vacuum cleaner
TWI623294B (zh) 打掃工具及真空吸塵器
JP201319870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アタッチメント
JP2013132477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6202120B2 (ja) 掃除具及び電気掃除機
KR20220012730A (ko) 진공청소기
US10856713B2 (en) Cleaner head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2011245029A (ja) 電気掃除機
JP2003219995A (ja) 電気掃除機
CN109199233B (zh) 用于真空吸尘器的吸管组件以及多用途真空吸尘装置
KR20230086156A (ko) 청소기
JP6306303B2 (ja) 電気掃除機
JP2010273873A (ja) 掃除装置
JP2004321698A (ja) 電気掃除機用管継手及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