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417A -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417A
KR20110078417A KR1020090135223A KR20090135223A KR20110078417A KR 20110078417 A KR20110078417 A KR 20110078417A KR 1020090135223 A KR1020090135223 A KR 1020090135223A KR 20090135223 A KR20090135223 A KR 20090135223A KR 20110078417 A KR20110078417 A KR 20110078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ube
locking member
outer extension
lock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기 filed Critical 김윤기
Priority to KR102009013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8417A/ko
Publication of KR2011007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개시된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을 관통형성한 걸림공을 구비한 외측연장관; 상기 외측파이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결합슬릿이 형성된 내측연장관; 및, 상기 외측연장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연장관에 삽입되는 상기 내측연장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걸림공을 통해 상기 결합슬릿에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결합슬릿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록킹부재; 상기 외측연장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결합슬릿에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록킹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결합슬릿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조작부; 상기 록킹부재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결합슬릿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록킹부재, 상기 조작부, 상기 탄성부재를 덮도록 상기 외측연장관에 스냅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진공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길이조절부, 직각이동 록킹부재

Description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telescopic pipe assembly}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연장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원이 내장된 청소기본체를 구동하면, 노즐조립체를 통해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어, 연장관 및 핸들부를 거쳐 상기 청소기본체에 내장된 집진장치에서 먼지를 분리한 후,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진공청소기 중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장관 조립체가 있으며, 이러한 구성이 대한민국공개특허 10-1999-0073719호에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의 연장관 조립체는 외측연장관의 끝단에 연장관의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과, 일정길이마다 균등한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내측연장관과, 상기 내측연장관의 걸림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수단내에 장착되는 후크의 끝단부가 삽입가능하도록 외측연장관에 형성된 홀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장관조립체는 연장관의 길이를 고정하도록 걸림턱에 걸리는 후크의 끝단과 후크를 누르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크 의 끝단부는 지렛대원리에 의해 회동하면서 걸림턱에 비스듬히 걸리기 때문에, 후크의 끝단부가 걸림턱에 견고하게 록킹되지 않아 외력에 의해 후크의 끝단부가 걸림턱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70654호에는 길이조절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고정돌기가 걸림홈에 고정되는 연장관조립체가 개시되어 있으나,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며, 이에 따라, 조립 및 작업공정도 복잡해져 제작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연장관조립체는 외측연장관과 내측연장관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로 구성되어 인발가공, 소성가공, 표면처리, 천공등의 공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연장관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연장관조립체의 길이조절이 용이하고 길이 조절 후에는 내측 및 외측 연장관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장관 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을 관통형성한 걸림공을 구비한 외측연장관; 상기 외측파이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결합슬릿이 형성된 내측연장관; 및, 상기 외측연장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연장관에 삽입되는 상기 내측연장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걸림공을 통해 상기 결합슬릿에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결합슬릿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록킹부재; 상기 외측연장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결합슬릿에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록킹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결합슬릿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조작부; 상기 록킹부재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결합슬릿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록킹부재, 상기 조작부, 상기 탄성부재를 덮도록 상기 외측연장관에 스냅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측연장관은 상기 걸림공으로부터 상기 결합슬릿에 직각방향으 로 연장형성되는 록킹가이드관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외측연장관에 돌출형성된 지지돌출부에 안착되는 회동축을 구비한 조작몸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하도록 상기 조작몸체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는 푸쉬버튼; 상기 조작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결합슬릿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리프트암;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연장관은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되는 외주면과 대향되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외측연장관에 형성된 가이드삽입공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연장관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삽입공을 통해 상기 외측연장관의 내부로 돌출되는 굴곡부 및 상기 굴곡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삽입공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리는 날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외측연장관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덮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와 상기 록킹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덮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연장관 및 상기 내측연장관은 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연장관에는 상기 외측연장관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고무재질로 구성된 실링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장관 조립체는, 조작부의 회동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록킹부재가 결합슬릿에 직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쉽게 연장관을 조작할 수 있으며, 조작 후에는 내측 및 외측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 록킹부재, 탄성부재를 외측연장관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부재를 외측연장관에 끼워 스냅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 연장관조립체의 조립이 완성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조립이 간편하고 생산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측연장관과 내측연장관이 사출성형에 의한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어 기존의 연장관에 비해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측연장관과 내측연장관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오물에 의해 막힌 위치를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재가 고무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연장관과 내측연장관 사이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공기의 누설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렉스코픽 연장관조립체(10)는, 외측연장관(100), 내측연장관(200), 길이조절유닛(300)을 포함한다.
외측연장관(100)은 소정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측연장관(100)의 전단부 상면에는 외주면을 관통하는 사각형상의 걸림공(102)이 형성되고, 걸림공(102)으로부터 외측연장관(100)의 외주면의 접선에 직각방향으로 소정 높이 연장형성되는 록킹가이드관(108)이 형성된다. 외측연장관(100)은 록킹가이드관(108)에 근접한 위치에 한쌍의 지지돌출부(109)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돌출부(109)의 상단에는 회동축수용홈(109a)이 형성된다. 한쌍의 지지돌출부(109)의 간격은 록킹가이드관(108)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외측연장관(100)의 전단부 하면에는 외주면을 관통하는 사각형상의 가이드삽입공(110)이 형성되고, 가이드삽입공(110)의 양측에는 단차부(113)가 형성된다(도 3 참조). 또한, 외측연장관(100)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공(102)과 가이드삽입공(110)에 근접한 위치에 커버결합홈(115)이 4개 형성된다.
외측연장관(100)의 후단부에는 통상의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핸들이 연결되도록 핸들커넥터부(120)가 마련된다. 이러한 핸들커넥터부(120)는 통상의 구조를 지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측연장관(200)은 외측연장관(10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소정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연장관(200)이 외측연장관(10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내측연장관(2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사각홈형상의 다수의 결합슬릿(205)이 형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결합슬릿(205)과 록킹가이드관(108)의 크기가 동일하고, 록킹가이드관(108)은 결합슬릿(205)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다.
내측연장관(200)의 후단부에는 고무재질로 구성된 링 형상의 실링부재(210)가 마련되며, 내측연장관(200)의 전단부에는 통상의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노즐조립체(미도시)를 결합하기 위한 노즐결합부(280)가 형성된다. 노즐결합부(280)의 구성은 통상의 연장관에 설치되어 노즐조립체를 결합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내측연장관(200)은 도 4와 같이,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21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부재(210)는 고무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연장관(100)과 내측연장관(20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내측연장관(200)의 후단부에 내측연장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2개가 설치되므로, 공기의 누설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길이조절유닛(300)은 연장관조립체(1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외측연장관(100)에 내측연장관(200)이 삽입되어 외측연장관(100)에 대해 내측연장관(2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한다. 길이조절유닛(300)은 조작부(310), 록킹부재(330), 탄성부재(350) 및 커버부재(370)를 포함한다.
조작부(310)는 록킹부재(35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조작몸체(313), 리프트암(316) 및 푸쉬버튼(319)를 포함한다.
조작몸체(313)는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연장관(10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한쌍의 지지돌출부(109) 사이에 배치되며, 조작몸체(313)의 양측면에는 회동축(314)이 연장돌출되어 회동축수용홈(109a)에 안착된다.
리프트암(316)은 조작몸체(313)의 양측단으로부터 록킹가이드관(108)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록킹가이드관(108)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한 쌍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리프트암(316)의 간격은 록킹가이드관(108) 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푸쉬버튼(319)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기 위한 것으로서, 조작몸체(313)의 후측에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푸쉬버튼(319)은 외측연장관(100)의 외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푸쉬버튼(319)을 누르면 리프트암(316)이 회동축(314)에 대해 외측연장관(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록킹부재(330)는 선택적으로 내측연장관(200)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슬릿(205)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연장관조립체(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스프링수용홈(332)이 형성된다. 록킹부재(330)는 록킹가이드관(10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부재(330)는 록킹가이드관(108)에 안내되어 결합슬릿(205)에 직각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결합슬릿(205)에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록킹부재(330)의 상부양측면에는 돌출암(335)이 형성된다. 한쌍의 돌출암(335)의 끝단과 끝단사이의 거리는 리프트암(316)의 간격보다 더 길도록 형성된다. 록킹부재(330)는 록킹가이드관(108)에 삽입되고, 돌출암(335)이 록킹가이드관(108)의 끝단에 걸리게 된다.
록킹부재(330)는 록킹가이드관(108)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다소 작은 크기 를 가지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푸쉬버튼(319)를 누르면 회동축(314)을 중심으로 리프트암(316)이 회동되고, 리프트암(316)이 돌출암(335)을 외측연장관(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올리면, 록킹부재(330)가 록킹가이드관(108)에 안내되어 외측연장관(100)의 외주면의 접선에 직각방향 즉, 결합슬릿(205)에 직각으로 이동된다.
탄성부재(350)는 푸쉬버튼(319)에 누름동작이 제거되면, 록킹부재(33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탄성부재(350)는 록킹부재(330)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332)에 삽입되어 록킹부재(350)를 결합슬릿(205)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한다.
탄성부재(350)의 하단은 록킹부재(330)의 스프링수용홈(332)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단은 후술될 커버부재(370)의 상부덮개(376)의 내면에 지지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370)는 조작부(310), 록킹부재(330), 탄성부재(350)을 덮도록 외측연장관(100)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하부덮개(372)와 상부덮개(376)를 포함한다.
하부덮개(372)는 외측연장관(100)의 전단부가 끼워지도록 제 1 수용홈(378)이 형성되며, 하부덮개 상부에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홈(373)이 형성된다. 하부덮개(372)의 내면에는 외측연장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커버결합홈(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결합돌기(377)가 4개 형성된다. 한편, 6과 같이, 하부덮개(372)는 후술될 가이드부재(390)를 가이드삽입공(110)에 삽입한 후, 외측연장관(100)의 전 단부와 결합되어 가이드부재(390)를 덮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가이드부재(390)가 가이드삽입공(1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덮개(376)는 조작부(310), 록킹부재(350), 탄성부재(350)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덮개(372)에 형성된 절개홈(37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개방되고, 제 1 수용홈(378)과 연결되는 제 2 수용홈(389)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부덮개(376)는 조작부(310)의 일부만을 덮어 조작부(310)의 나머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름동작을 행할 수 있다. 상부덮개(376)는 탄성부재(350)의 상단을 접촉하여 지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유닛(300)은 외측연장관(100)과 내측연장관(200)이 상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390)가 마련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390)는 단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굴곡부(393)와, 굴곡부(393)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날개부(396)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390)는 내측연장관(200)이 외측연장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390)가 가이드삽입공(110)에 삽입되면, 이때, 굴곡부(393)는 가이드삽입공(110)을 통해 외측연장관(100)의 내부로 돌출되어 내측연장관(200)의 레일홈(218)에 안착되어, 내측연장관(200)을 외측연장관(100)으로부터 늘리거나 축소시킬 때, 가이드부재(390)가 레일홈(218)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된다.
한편, 외측연장관(100)과 내측연장관(200)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간단한 사출성형에 의해 부품의 제작을 할 수 있어, 인발가공, 소성가공, 표 면처리등 복잡한 다단의 공정이 필요한 종래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로 구성된 연장관에 비해 생산성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외측연장관(100)과 내측연장관(200)은 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외측연장관(100)과 내측연장관(200) 중 어느 일부가 오물로 막혔을 때, 막힌 위치를 신속히 찾아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유닛(3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내측연장관(200)을 외측연장관(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조작몸체(313)의 회동축(314)을 지지돌출부(109)의 회동축수용홈(109a)에 안착시켜 조작부(310)를 장착하고, 록킹부재(330)를 록킹가이드관(108)에 삽입한다. 이 경우, 록킹부재(330)는 걸림공(102)을 통해 외측연장관(100)의 내부로 돌출되어 결합슬릿(205)에 안착되어 록킹부재(330)가 결합된다. 또한, 돌출암(335)이 리프트암(316)의 상부에 배치되며, 리프트암(316)의 회동에 따라 돌출암(335)이 직선운동하도록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다음으로, 록킹부재(330)의 스프링수용홈(332)에 탄성부재(350)를 삽입하고, 가이드부재(390)를 가이드삽입공(110)에 삽입한 후, 커버부재(370)를 외측연장관(100)의 전단부로 밀어 넣으면 커버부재(370)의 커버결합돌기(377)가 외측연장관(100)의 커버결합홈(115)에 스냅결합되어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본 실시예의 연장관조립체(100)는 조작부(310), 록킹부재(330), 탄성부재(350)를 외측연장관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부재(370)를 외측 연장관(100)에 끼워 스냅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 연장관조립체(10)의 조립이 완성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조립이 간편하다.
또한, 가이드부재(390)가 내측연장관(200)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내측연장관(200)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 지며, 이에 따라, 내측연장관(200)의 성형도 간편해진다. 또한, 가이드부재(390)를 가이드삽입공(110)에 삽입하고 커버부재(370)를 끼우는 동작만으로 가이드부재(390)의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렉스코픽 연장관조립체(10)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참고로, 도 7은 내측연장관(200)이 외측연장관(10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도록 록킹부재(330)가 결합슬릿(205)에 안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내측연장관(200)이 외측연장관(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록킹부재(330)가 결합슬릿(20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록킹부재(330)가 결합슬릿(205)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측연장관(200)이 외측연장관(100)에 대해 슬라이딩 되지 않기 때문에, 연장관조립체(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다.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청소동작을 위해 자신이 원하는 길이로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10)를 늘이거나 줄일 경우, 손가락으로 푸쉬버튼(319)을 누르면 회동축(314)을 중심으로 리프트암(316)이 외측연장관(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돌출암(335)을 외측연장관(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된 다.
이때, 돌출암(355)은 리프트암(316)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외측연장관(100)의 외주면의 접선에 직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록킹부재(330)가 록킹가이드관(108)에 안내되면서 결합슬릿(205)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멀어져 분리됨으로써 록킹이 해제된다.
이렇게 록킹부재(330)가 결합슬릿(205)으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는 다른 한손으로 내측연장관(200)을 파지하여 외측연장관(100)로부터 빼내거나 삽입하여 연장관조립체(10)을 원하는 길이로 만든다. 이 경우, 도 6과 같이, 외측연장관(100)의 가이드삽입공(110)에 삽입된 가이드부재(390)가 내측연장관(200)에 형성된 레일홈(218)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외측연장관(100)과 내측연장관(200)은 상호 회전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연장관조립체(10)의 길이가 되면, 손가락으로 누르고 있던 푸쉬버튼(319)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부재(330)가 결합슬릿(205)쪽으로 가까워지도록 록킹가이드관(108)을 따라 이동되어 록킹부재(330)가 결합슬릿(205)에 직각으로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록킹부재(330)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암(335)이 리프트암(316)을 눌러 리프트암(316)이 회동축(31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푸쉬버튼(319)이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연장관조립체(10)의 길이조절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길이조절유닛(300)은 조작부(310)과 록킹부재(330)가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조작부(310)의 회동운동에 연동하여 록킹부 재(330)가 록킹가이드관(108)을 따라 결합슬릿(205)에 직각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록킹부재(330)가 결합슬릿(205)에 직각으로 결합되어 기존에 비해 더 견고한 록킹이 이루어진다.
또한, 외측연장관(100)과 내측연장관(200)이 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어 사출성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좋고 투명하기 때문에, 연장관조립체(10)의 일부를 막고 있는 오물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텔레스코픽 연장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외측연장관 전단부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내측연장관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VII-V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길이조절유닛이 록킹부재가 결합슬릿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외측연장관 108... 록킹가이드관
109... 지지돌출부 200... 내측연장관
300... 길이조절유닛 310... 조작부
313... 조작몸체 316... 리프트암
319... 푸쉬버튼 330... 록킹부재
350... 탄성부재 370... 커버부재
390... 가이드부재 393... 굴곡부
396... 날개부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을 관통형성한 걸림공을 구비한 외측연장관;
    상기 외측파이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결합슬릿이 형성된 내측연장관; 및,
    상기 외측연장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연장관에 삽입되는 상기 내측연장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걸림공을 통해 상기 결합슬릿에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결합슬릿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록킹부재;
    상기 외측연장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결합슬릿에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록킹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결합슬릿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조작부;
    상기 록킹부재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결합슬릿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록킹부재, 상기 조작부, 상기 탄성부재를 덮도록 상기 외측연장관에 스냅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장관은 상기 걸림공으로부터 상기 결합슬릿에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록킹가이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외측연장관에 돌출형성된 지지돌출부에 안착되는 회동축을 구비한 조작몸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하도록 상기 조작몸체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는 푸쉬버튼;
    상기 조작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결합슬릿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리프트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장관은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되는 외주면과 대향되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외측연장관에 형성된 가이드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삽입공을 통해 상기 외측연장관의 내부로 돌출되는 굴곡부 및
    상기 굴곡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삽입공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리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관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외측연장관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덮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와 상기 록킹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덮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장관 및 상기 내측연장관은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장관 및 상기 내측연장관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장관에는 상기 외측연장관과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고무재질로 구성된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연장관조립체.
KR1020090135223A 2009-12-31 2009-12-31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KR20110078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223A KR20110078417A (ko) 2009-12-31 2009-12-31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223A KR20110078417A (ko) 2009-12-31 2009-12-31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417A true KR20110078417A (ko) 2011-07-07

Family

ID=4491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223A KR20110078417A (ko) 2009-12-31 2009-12-31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84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294A1 (ko) * 2012-09-13 2014-03-20 은성전자 주식회사 텔레스코픽용 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KR101455477B1 (ko) * 2011-12-27 2014-10-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청소기
WO2021182771A1 (ko) * 2020-03-10 2021-09-16 삼성전자(주) 진공청소기
KR20220134873A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20230001264A (ko) * 2021-06-28 2023-01-04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477B1 (ko) * 2011-12-27 2014-10-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청소기
WO2014042294A1 (ko) * 2012-09-13 2014-03-20 은성전자 주식회사 텔레스코픽용 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WO2021182771A1 (ko) * 2020-03-10 2021-09-16 삼성전자(주) 진공청소기
KR20220134873A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20230001264A (ko) * 2021-06-28 2023-01-04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8417A (ko)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EP2432360B1 (en) Attachment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US9924843B2 (en) Ground brush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EP2468163B1 (en) Vacuum cleaner for bedding
CN108063065B (zh) 开关装置的锁扣结构
KR200164119Y1 (ko) 진공청소기용 금속재 연장관
CN105455697A (zh) 一种可拆卸手柄
JP2005312589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200342668Y1 (ko) 중앙집중 진공청소 시스템의 집진호스 연결구조물
KR101820832B1 (ko)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US9778675B2 (en) Foot pedal for a medical device having a self-leveling mechanism
CN105361805B (zh) 抽吸件及使用该抽吸件的电动吸尘器
EP3107437B1 (en) Dual purpose suction head
CN107550397B (zh) 电动吸尘器
KR20140044222A (ko) 청소기
CA2494881A1 (en) Fixing device for a movable wall
KR101772164B1 (ko)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CN216602708U (zh) 吸尘器及其伸缩管
EP3298941B1 (en) Dirt suction guide device and cleaner comprising same
JP2007282833A (ja) 電気掃除機
CN210011707U (zh) 拉线装置以及车辆
JP7380967B2 (ja) 真空掃除機ノズル
EP3248526A1 (en) Vacuum cleaner ground brush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CN216147935U (zh) 一种刷头可更换的马桶刷及其刷头
KR100985371B1 (ko) 청소기의 연장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