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873A - 물품 적재용 파렛트 - Google Patents

물품 적재용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873A
KR20220134873A KR1020210040094A KR20210040094A KR20220134873A KR 20220134873 A KR20220134873 A KR 20220134873A KR 1020210040094 A KR1020210040094 A KR 1020210040094A KR 20210040094 A KR20210040094 A KR 20210040094A KR 20220134873 A KR20220134873 A KR 20220134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pallet
adjusting
longitudinal direc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652B1 (ko
Inventor
채다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Priority to KR102021004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6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5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재(100),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되고, 베이스부재(100)와 중첩되도록 베이스부재(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와 중첩되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조절부재(200),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제1 고정수단(300), 및 베이스부재(100)의 말단 또는 조절부재(200)의 말단으로부터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재(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품 적재용 파렛트{Pallet for loading goods}
본 발명은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렛트(Pallet)는 통상 목재로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파렛트는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목, 지지목에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판 및 하판, 지지목에 상판과 하판을 고정하는 못 등의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목재로 제작된 파렛트는 원목 수입에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제작시 원목 낭비가 발생하며, 중량이 과다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목재로 제작된 파렛트는 국부적인 충격에 의해서 나무결 방향으로 갈러지거나 오래될 경우 휨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며, 작업시 부분적인 파손으로 나무 부스러기가 발생하여 작업장을 오염시킬 염려가 있다. 추가적으로, 목재로 제작된 파렛트는 지지목, 상판, 및 하판 등의 사이즈가 고정된 형태이므로, 파렛트에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파렛트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없다.
한편, 목재 파렛트를 대체하기 위해서,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형성된 파렛트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금속재질로 형성된 파렛트 역시 그 사이즈가 고정된 형태이므로, 파렛트에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파렛트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370582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중첩되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베이스부재와 조절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재,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중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와 중첩되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절부재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절부재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제1 고정수단,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철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조절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연장된 제1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함몰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1 함몰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에 상기 제1 결합부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일측이 타측보다 두께가 얇은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요철부에 체결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의 중앙에는 상기 조절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일방향으로 상기 조절부재에 힘이 인가될 때,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요철부의 체결면은 상기 일방향에 대해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고,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타방향으로 상기 조절부재에 힘이 인가될 때,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요철부의 체결면은 상기 타방향에 대해서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에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이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2 요철부,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연장된 제2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함몰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제2 함몰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에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일측이 상기 제2 수용부의 일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수용부의 타면과 접촉되도록 휘어진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말단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요철부에 체결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의 중앙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제2 가이드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조절부재와 중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에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지지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지지슬릿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제1 조절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단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단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양단이 상기 조절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벨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말단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형홀과 상기 원형홀의 마주보는 양쪽에 연장된 연장홀을 포함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원형으로 돌출된 원형돌기와 상기 원형돌기의 마주보는 양쪽에 연장된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제2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벨트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연장홀에 상기 연장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벨트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될 때, 상기 원형홀에 상기 연장돌기가 걸린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중첩되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베이스부재와 조절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a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a의 B-B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종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재(100),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되고, 베이스부재(100)와 중첩되도록 베이스부재(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와 중첩되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조절부재(200),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제1 고정수단(300), 및 조절부재(200)의 말단으로부터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재(400)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베이스부재(100), 조절부재(200, 제1,2 조절부재(200a, 200b)), 및 지지부재(400, 제1,2 지지부재(400a, 4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00)와 조절부재(200, 제1,2 조절부재(200a, 200b))는 적재된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지지부재(400, 제1,2 지지부재(400a, 400b))는 적재된 물품을 양측면에서 지지함으로써, 적재된 물품을 3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목재와 같이 길이가 긴 물품을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0, 도 1a 참조)는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100)는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00)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관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에 조절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100)의 일단에는 제1 조절부재(200a)가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부재(100)의 타단에는 제2 조절부재(200b)가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2 조절부재(200a, 200b)는 베이스부재(100)와 중첩되도록 베이스부재(10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200)는 베이스부재(100)와 함께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다. 여기서, 조절부재(200)는 베이스부재(100)와 중첩되도록 베이스부재(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와 중첩되는 길이가 조절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200)는 관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재(100)의 양단에 삽입되어 베이스부재(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 사이의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면,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감소한다. 즉,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다. 반대로,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 사이의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면,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증가한다. 즉, 물품을 하측에서는 지지하는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 사이의 중첩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절부재(200)는 제1 조절부재(200a)와 제2 조절부재(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절부재(200a)는 베이스부재(100)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에 대해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2 조절부재(200b)는 베이스부재(100)의 타단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에 대해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즉, 제1,2 조절부재(200a, 200b)는 베이스부재(100)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부재(100)에 대한 제1,2 조절부재(200a, 200b)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베이스부재(10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제1,2 조절부재(200a, 200b)에는 지지돌출부(110)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지지함몰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수단(300)은 베이스부재(100)에 대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고정수단(300)은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제1 고정수단(300)은 조절부재(200)가 베이스부재(1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제1 고정수단(300)은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한다. 즉, 제1 고정수단(300)는 조절부재(200)가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한다.
여기서, 제1 고정수단(300)은 제1 요철부(310)와 제1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요철부(310)는 조절부재(200)에 형성되고, 제1 결합부(320)는 제1 요철부(310)에 결합되도록 베이스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요철부(310)는 조절부재(200)의 일면(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연장된 제1 함몰부(315)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요철부(310)는 베이스부재(100)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제1 함몰부(315)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320)는 제1 함몰부(315) 내에 배치되도록, 베이스부재(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1 함몰부(315)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320)가 제1 함몰부(315)에 삽입되고, 제1 결합부(320)의 폭과 제1 함몰부(315)의 폭이 대응하므로, 제1 결합부(320)와 제1 함몰부(315)는 베이스부재(100)에 대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의 내측에는 제1 함몰부(315) 방향으로 돌출된 박스형의 제1 수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용부(330)에는 제1 결합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320)는 제1 탄성부(321), 및 제1 돌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부(321)는 제1 수용부(330)에 수용되고, 일측이 타측보다 두께가 얇다. 또한, 제1 돌출부(323)는 제1 탄성부(3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요철부(310)에 체결된다. 이때, 제1 탄성부(321)가 제1 돌출부(323)에 제1 요철부(31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제1 돌출부(323)는 제1 요철부(310)와 항상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탄성부(321)는 일측이 타측에 비해서 두께가 얇으므로, 제1 돌출부(323)를 상측으로 당기면, 제1 탄성부(321)의 일측이 휘어지면서 제1 돌출부(323)가 제1 요철부(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도 4 참조). 추가적으로, 제1 결합부(320)는 조작부(327), 및 후크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327)는 제1 돌출부(323)의 상부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측으로 당길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작부(327)를 상측으로 당기면, 제1 돌출부(323) 역시 상측으로 당겨져 제1 요철부(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후크부(325)는 제1 탄성부(321)의 타측(제1 돌출부(323)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수용부(330)의 말단에 체결되어, 제1 결합부(320)를 베이스부재(100)에 결합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철부(310)의 중앙에는 조절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가이드부(340)가 형성되고, 제1 돌출부(323)의 중앙에는 제1 가이드부(34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제1 가이드돌기(3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부(340)에 제1 가이드돌기(345)가 삽입되므로, 제1 돌출부(323)는 제1 요철부(310)에 대해서 슬라이딩될 때, 제1 가이드부(340)와 제1 가이드돌기(345)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수단(300)은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지만,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데, 이를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323)와 제1 요철부(310)는 전후방 체결면의 경사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일방향(A)으로 조절부재(200)에 힘이 인가될 때, 서로 접촉하는 제1 결합부(320, 제1 돌출부(323))와 제1 요철부(310)의 체결면은 상기 일방향(A)에 대해서 둔각(α)을 이루도록 경사진다. 따라서,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일방향(A)으로 조절부재(200)에 힘이 인가되면, 제1 결합부(320, 제1 돌출부(323))가 제1 요철부(310)를 타고 넘어가면서, 조절부재(200)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조절부재(200)는 베이스부재(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타방향(B, 일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조절부재(200)에 힘이 인가될 때, 서로 접촉하는 제1 결합부(320, 제1 돌출부(323))와 제1 요철부(310)의 체결면은 상기 타방향(B)에 대해서 직각(β)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진다. 따라서,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타방향(B)으로 조절부재(200)에 힘이 인가되면, 제1 결합부(320, 제1 돌출부(323))가 제1 요철부(310)에 걸려, 조절부재(200)의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조절부재(200)는 베이스부재(100)의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27)를 조작하여 제1 돌출부(323)를 상측으로 당기면, 제1 탄성부(321)의 일측이 휘어지면서 제1 돌출부(323)가 제1 요철부(31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조절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00)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제1 요철부(310)가 조절부재(200)에 형성되고, 제1 결합부(320)가 베이스부재(100)에 결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요철부(310)가 베이스부재(100)에 형성되고, 제1 결합부(320)가 조절부재(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제1 조절부재(200a)와 베이스부재(100) 사이의 관계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제2 조절부재(200b)와 베이스부재(100) 사이의 관계도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조절부재(200b)에도 제1 조절부재(200a)와 동일하게 제1 함몰부(315), 제1 요철부(31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00, 도 1a 참조)는 물품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1,2 조절부재(200a, 200b)의 말단으로부터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지지부재(400a, 400b)는 전체적으로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400a)는 말단(하단)이 제1 조절부재(200a)의 말단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400b)는 말단(하단)이 제2 조절부재(200b)의 말단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400, 제1,2 지지부재(400a, 400b))는 고정부재(410)와 이동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410)는 조절부재(200)의 말단으로부터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420)는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고정부재(410)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부재(410)에 대해서 고정부재(410)의 길이방향에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420)가 고정부재(410)에 대해서 슬라이딩가능하므로, 지지부재(4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00)는 고정부재(410)에 대한 이동부재(42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제2 고정수단(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수단(500)은 제2 요철부(510)와 제2 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요철부(510)는 이동부재(420)에 형성되고, 제2 결합부(520)는 제2 요철부(510)에 결합되도록 고정부재(4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철부(510)는 이동부재(420)의 일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연장된 제2 함몰부(515)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요철부(510)는 제2 함몰부(515)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520)는 제2 함몰부(515) 내에 배치되도록, 고정부재(4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2 함몰부(515)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520)는 제2 함몰부(515)에 삽입되고, 제2 결합부(520)의 폭과 제2 함몰부(515)의 폭이 대응하므로, 제2 결합부(520)와 제2 함몰부(515)는 고정부재(410)에 대한 이동부재(4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부재(410)에는 제2 함몰부(515)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수용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용부(530)에는 제2 결합부(5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520)는 제2 탄성부(521), 및 제2 돌출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탄성부(521)는 일측이 제2 수용부(530)의 일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제2 수용부(530)의 타면과 접촉되도록 휘어진다. 또한, 제2 돌출부(523)는 제2 탄성부(521)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요철부(510)에 체결된다. 이때, 제2 탄성부(521)가 제2 돌출부(523)에 제2 요철부(51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제2 돌출부(523)는 제2 요철부(510)와 항상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결합부(520)는 상대적으로 돌출된 제1 단차(525)와 제2 단차(527)가 형성되고, 제1 단차(525)가 제2 수용부(530)의 일단(상단)에 걸리고, 제2 단차(527)가 제2 수용부(530)의 타단(하단)에 걸려 제2 결합부(520)가 고정부재(410)에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철부(510)의 중앙에는 이동부재(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2 가이드부(540)가 형성되고, 제2 돌출부(523)의 중앙에는 제2 가이드부(54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제2 가이드돌기(5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부(540)에 제2 가이드돌기(545)가 삽입되므로, 제2 돌출부(523)는 제2 요철부(510)에 대해서 슬라이딩될 때, 제2 가이드부(540)와 제2 가이드돌기(545)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20)가 고정부재(410)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이동부재(420)에 힘이 인가되면, 제2 탄성부(521)가 휘어지면서 제2 돌출부(523)가 제2 요철부(510)를 타고 넘어감으로써, 이동부재(420)가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된 제2 탄성부(521)를 가압하여 제2 탄성부(521)를 펴지게 함으로써, 제2 돌출부(523)와 제2 요철부(510)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이동부재(420)를 쉽게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제2 요철부(510)가 이동부재(420)에 형성되고, 제2 결합부(520)가 고정부재(410)에 결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요철부(510)가 고정부재(410)에 형성되고, 제2 결합부(520)가 이동부재(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0, 제1,2 지지부재(400a, 400b))는 조절부재(200, 제1,2 조절부재(200a, 200b))와 중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400)의 말단(하단)은 조절부재(200)의 말단에 회동축(437)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400)가 조절부재(200)와 중첩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므로, 물품 적재용 파렛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지지부재(400)를 회동시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부재(400)의 말단(하단)에는 조절부재(200)의 말단 방향(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플레이트(4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200)의 말단에는 지지플레이트(430)가 삽입되도록 지지슬릿(435)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가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지지부재(400)가 조절부재(20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될 때, 도 3 참조), 지지플레이트(430)가 조절부재(200)의 지지슬릿(435)에 삽입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430)와 지지슬릿(435)에 결합에 의해서, 지지부재(400)의 임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는 확실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600)는 개방된 제1 지지부재(400a)의 상단과 제2 지지부재(400b)의 상단을 둘러싸 커버함으로써, 물품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600)는 일단이 제1 조절부재(200a)의 말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조절부재(200b)의 말단에 결합될 있다. 또한, 벨트(600)는 제1 지지부재(400a)의 상단에 형성된 제1 관통홀(610)과 제2 지지부재(400b)의 상단에 형성된 제2 관통홀(620)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600) 제1 조절부재(200a)의 말단으로부터 제1 지지부재(400a)의 상단에 형성된 제1 관통홀(610)과 제2 지지부재(400b)의 상단에 형성된 제2 관통홀(620)을 통과하여 제2 조절부재(200b)의 말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600)의 양단을 제1,2 조절부재(200a, 200b)의 말단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벨트(600)의 양단에는 제1 체결부(630)가 구비되고, 제1,2 조절부재(200a, 200b)의 말단에는 제2 체결부(6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630)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원형홀(641)과 원형홀(641)의 마주보는 양쪽에 연장된 연장홀(643)을 포함하는 체결홀(640)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체결부(650)에는 원형으로 돌출된 원형돌기(661)와 원형돌기(661)의 마주보는 양쪽에 연장된 연장돌기(663)를 포함하는 체결돌기(660)가 형성된다. 벨트(600)가 지지부재(4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도 8b 참조), 연장홀(643)과 연장돌기(663)가 삽입되고, 벨트(600)가 지지부재(40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될 때(도 8c 참조), 원형홀(641)에 연장돌기(663)가 걸린다. 따라서, 벨트(600)가 지지부재(4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체결부(630)를 제2 체결부(650)에 결합시킨후(도 8b 참조), 벨트(600)를 지지부재(40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회전시키면(도 8c 참조), 원형홀(641)에 연장돌기(663)가 걸리면서 제1 체결부(630)를 제2 체결부(650)에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사시도이다. 본 실싱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이전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와 대부분의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이전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제1,2 조절부재(200a, 200b)를 포함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하나의 조절부재(200)만을 포함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조절부재(200) 등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조절부재(200)가 베이스부재(100)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1 지지부재(400a)는 베이스부재(100)의 말단으로부터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2 지지부재(400b)는 조절부재(200)의 말단으로부터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400a)는 베이스부재(100)의 말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 지지부재(400b)는 조절부재(200)의 말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지지부재(400a)의 말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430)가 삽입되는 지지슬릿(435)은 베이스부재(100)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600)는 베이스부재(100)의 말단으로부터 제1 지지부재(400a)의 상단에 형성된 제1 관통홀(610)과 제2 지지부재(400b)의 상단에 형성된 제2 관통홀(620)을 통과하여 조절부재(200)의 말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벨트(600)의 양단에 구비된 제1 체결부(630)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650)는 베이스부재(100)의 말단과 조절부재(200)의 말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베이스부재 110: 지지돌출부
200: 조절부재 200a: 제1 조절부재
200b: 제2 조절부재 210: 지지함몰부
300: 제1 고정수단 310: 제1 요철부
315: 제1 함몰부 320: 제1 결합부
321: 제1 탄성부 323: 제1 돌출부
325: 후크부 327: 조작부
330: 제1 수용부 340: 제1 가이드부
345: 제1 가이드돌기 400: 지지부재
400a: 제1 지지부재 400b: 제2 지지부재
410: 고정부재 420: 이동부재
430: 지지플레이트 435: 지지슬릿
437: 회동축 500: 제2 고정수단
510: 제2 요철부 515: 제2 함몰부
520: 제2 결합부 521: 제2 탄성부
523: 제2 돌출부 525: 제1 단차
527: 제2 단차 530: 제2 수용부
540: 제2 가이드부 545: 제2 가이드돌기
600: 벨트 610: 제1 관통홀
620: 제2 관통홀 630: 제1 체결부
640: 체결홀 641: 원형홀
643: 연장홀 650: 제2 체결부
660: 체결돌기 661: 원형돌기
663: 연장돌기 A: 일방향
B: 타방향

Claims (18)

  1.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재;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중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와 중첩되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절부재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절부재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제1 고정수단;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철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를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조절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연장된 제1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함몰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1 함몰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에 상기 제1 결합부가 결합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일측이 타측보다 두께가 얇은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요철부에 체결되는 제1 돌출부;
    를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의 중앙에는 상기 조절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중첩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일방향으로 상기 조절부재에 힘이 인가될 때,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요철부의 체결면은 상기 일방향에 대해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고,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중첩되는 길이가 감소하는 타방향으로 상기 조절부재에 힘이 인가될 때,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요철부의 체결면은 상기 타방향에 대해서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에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이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제2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2 요철부;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철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연장된 제2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함몰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제2 함몰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에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일측이 상기 제2 수용부의 일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수용부의 타면과 접촉되도록 휘어진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말단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요철부에 체결되는 제2 돌출부;
    를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의 중앙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제2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조절부재와 중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에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 또는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지지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지지슬릿에 삽입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제1 조절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단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제2 조절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단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양단이 상기 조절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벨트;
    를 더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말단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형홀과 상기 원형홀의 마주보는 양쪽에 연장된 연장홀을 포함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원형으로 돌출된 원형돌기와 상기 원형돌기의 마주보는 양쪽에 연장된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제2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벨트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연장홀에 상기 연장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벨트가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될 때, 상기 원형홀에 상기 연장돌기가 걸리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0210040094A 2021-03-29 2021-03-29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56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94A KR102563652B1 (ko) 2021-03-29 2021-03-29 물품 적재용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94A KR102563652B1 (ko) 2021-03-29 2021-03-29 물품 적재용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73A true KR20220134873A (ko) 2022-10-06
KR102563652B1 KR102563652B1 (ko) 2023-08-07

Family

ID=8359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94A KR102563652B1 (ko) 2021-03-29 2021-03-29 물품 적재용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6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769U (ko) * 1996-11-19 1998-08-05 박병재 패널운반용 파렛트
KR20110078417A (ko) * 2009-12-31 2011-07-07 김윤기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KR20130011216A (ko) * 2011-07-21 2013-01-30 은성전자 주식회사 텔레스코픽용 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KR101370582B1 (ko) 2013-09-13 2014-03-06 주식회사 경원파트너스 저탄소형 물품 적재용 금속 파렛트
JP2018020805A (ja) * 2016-08-03 2018-02-08 親和パッケージ株式会社 輸送パレット
KR102186253B1 (ko) * 2020-06-16 2020-12-07 채다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769U (ko) * 1996-11-19 1998-08-05 박병재 패널운반용 파렛트
KR20110078417A (ko) * 2009-12-31 2011-07-07 김윤기 텔레스코픽 연장관 조립체
KR20130011216A (ko) * 2011-07-21 2013-01-30 은성전자 주식회사 텔레스코픽용 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KR101370582B1 (ko) 2013-09-13 2014-03-06 주식회사 경원파트너스 저탄소형 물품 적재용 금속 파렛트
JP2018020805A (ja) * 2016-08-03 2018-02-08 親和パッケージ株式会社 輸送パレット
KR102186253B1 (ko) * 2020-06-16 2020-12-07 채다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652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650B1 (ko) 물품 적재용 파렛트
US6854402B2 (en) Adjustable shelf
KR100705107B1 (ko) 피펫팁 컨테이너
US5857649A (en) Stabilizing and memory musical instrument stand
US20060073858A1 (en) Slide mechanism of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US20090314913A1 (en) Keyboard tray
US11510486B2 (en) Actuating work surface for storage device
US6722617B2 (en) Musical-instrument stand
KR20220134873A (ko)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596679B1 (ko) 물품 적재용 파렛트
JP6778983B2 (ja) 搬送用什器
US20040065574A1 (en) Tool case with a hinged cover that slides
KR20070113938A (ko) 수납 용기
US20090320238A1 (en) Cam interference assembly of hinge and foldable device
US4852909A (en) Storage receptacle adapted for facile content reference
AU2013246361A1 (en) Tray handling systems
JP7265366B2 (ja) バスケット
KR101468111B1 (ko) 필기구 수납도구
US20240208034A1 (en) Collapsible sawhorse rack
US8499768B1 (en) Nail tool holder and kit
JPH08276977A (ja) 扁平状の物体、特に情報キャリアを収納するカセット
US5651457A (en) Holder and selector apparatus for data disks
RU2812702C1 (ru) Лоток гравитационный
KR20200000376U (ko) 기립구조로 파지 및 휴대가 용이한 피자포장박스
JPH0637510Y2 (ja) キャッシュレジスタのドロワ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