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650B1 - 물품 적재용 파렛트 - Google Patents

물품 적재용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650B1
KR102359650B1 KR1020200146213A KR20200146213A KR102359650B1 KR 102359650 B1 KR102359650 B1 KR 102359650B1 KR 1020200146213 A KR1020200146213 A KR 1020200146213A KR 20200146213 A KR20200146213 A KR 20200146213A KR 102359650 B1 KR102359650 B1 KR 102359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pallet
longitudinal direction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730A (ko
Inventor
채다인
Original Assignee
채다인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다인,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filed Critical 채다인
Priority to KR102020014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6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4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 B65D63/16Joints using buckles, wedges, or like locking members attached to the end of th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88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 B65D71/0092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 B65D71/0096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the dimensions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load, e.g.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41Dimensional aspects of th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재(100), 베이스부재(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제1 지지부재(200), 및 베이스부재(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제2 지지부재(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품 적재용 파렛트{Pallet for loading goods}
본 발명은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렛트(Pallet)는 통상 목재로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파렛트는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목, 지지목에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판 및 하판, 지지목에 상판과 하판을 고정하는 못 등의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목재로 제작된 파렛트는 원목 수입에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제작시 원목 낭비가 발생하며, 중량이 과다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목재로 제작된 파렛트는 국부적인 충격에 의해서 나무결 방향으로 갈러지거나 오래될 경우 휨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며, 작업시 부분적인 파손으로 나무 부스러기가 발생하여 작업장을 오염시킬 염려가 있다. 추가적으로, 목재로 제작된 파렛트는 지지목, 상판, 및 하판 등의 사이즈가 고정된 형태이므로, 파렛트에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파렛트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없다.
한편, 목재 파렛트를 대체하기 위해서,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형성된 파렛트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금속재질로 형성된 파렛트 역시 그 사이즈가 고정된 형태이므로, 파렛트에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파렛트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370582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가능한 제1,2 지지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단과 접촉될 때,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면에는 함몰된 슬라이딩홈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과 상기 슬라이딩홈 사이의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면, 및 슬라이딩홈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슬라이딩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가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부와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부를 통해서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을 가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홀에 위치된 상기 고정부재의 폭이 증가할수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을 가압하는 정도가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는 스토퍼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홀에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가이드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가압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내벽과 마주보는 상기 고정부재의 적어도 한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홀에 걸리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고정체,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상기 고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이동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체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릿을 관통하며, 일방향의 폭이 타방향의 폭보다 큰 체결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의 말단에는 상기 고정체의 일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체결축의 말단에 막대형으로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고정체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과 나란할 때, 상기 연결부에는 벨트가 지나가고, 상기 벨트는 상기 돌기부에 의해서 가이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슬릿으로부터 상기 이동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연장되고, 2개의 상기 돌출부가 내벽에 접촉되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판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판형부재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에는 벨트의 말단에 결합된 갈고리부가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판형부재의 테두리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체결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판형부재의 테두리까지의 제2 거리보다 길고, 상기 갈고리부는 소정 곡률반지름을 갖는 곡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곡률 반지름의 두배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2 거리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제2 지지부제에 연결되는 벨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말단에 형성된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말단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통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제1 삽입홀과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삽입홀로부터 상기 제1 삽입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말단에 상기 벨트가 통과가능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말단에 상기 벨트가 걸리는 고정후크가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가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부를 반전시켜 상기 벨트는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가능한 제1,2 지지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제1,2 지지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고정부재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이동체가 슬라이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체결축이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길이조절수단이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갈고리부가 체결홀에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재(100), 베이스부재(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제1 지지부재(200), 및 베이스부재(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제2 지지부재(300)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베이스부재(100)와 제1,2 지지부재(200, 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00)는 적재된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제1,2 지지부재(200, 300)는 적재된 물품을 양측면에서 지지함으로써, 적재된 물품을 3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물품 적재용 파렛트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목재와 같이 길이가 긴 물품을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100)는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00)의 일단에는 제1 지지부재(200)가 결합되고, 베이스부재(100)의 타단에는 제2 지지부재(300)가 결합된다. 이때, 제1,2 지지부재(200, 300)는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베이스부재(100)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딩홈(120) 등이 형성되는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2 지지부재(200, 300)는 물품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지지부재(200, 300)는 베이스부재(100)와 유사하게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200)는 말단(하단)이 베이스부재(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지지부재(300)는 말단(하단)이 베이스부재(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다.
한편,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는 베이스부재(100)에 대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될 뿐,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주로 제1 지지부재(20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제2 지지부재(3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이 제1 지지부재(200)의 일단(하단)과 제2 지지부재(300)의 일단(하단)과 접촉될 때,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베이스부재(100)의 양측면에는 함몰된 슬라이딩홈(120)이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도 3 참조). 제1 지지부재(200)의 일단(하단)과 제2 지지부재(300)의 일단(하단)에는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과 슬라이딩홈(120) 사이의 베이스부재(100)의 양측면, 및 슬라이딩홈(1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슬라이딩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400)는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부재(100)의 상측을 둘러쌀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400)의 말단에는 슬라이딩홈(120)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4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지지부재(200, 300)의 슬라이딩부(400)는 베이스부재(100)의 상측을 둘러싸고, 슬라이딩돌기(410)가 슬라이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므로,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딩돌기(410)는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홈(120) 역시 슬라이딩돌기(410)가 접촉하는 면(상면)이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돌기(410)와 슬라이딩홈(120)이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슬라이딩돌기(410)가 슬라이딩홈(12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2 지지부재(200, 300)를 슬라이딩하여,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한 후, 제1,2 지지부재(200, 300)를 고정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400)에는 관통부(420)와 고정홀(440)이 형성되고, 고정부재(46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부(400)에는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이 노출되도록, 슬라이딩부(400)가 관통된 관통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420)의 일측(상측)에는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판형부재(450)가 구비될 수 있고, 판형부재(450)에는 관통부(420)와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고정홀(4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460)는 고정홀(440)에 삽입되고, 관통부(420)를 통해서 일측(하측)이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460)는 고정홀(440)에 삽입되고, 고정홀(440)에 삽입된 고정부재(460)의 일측(하측)이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슬라이딩부(400)를 베이스부재(100)의 특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부재(46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폭(상하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5a 참조). 따라서, 도 5b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60)가 고정홀(440)에 삽입되면서, 고정홀(440)에 위치된 고정부재(460)의 폭이 증가할수록, 고정부재(460)의 일측(하측)이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을 가압하는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460)는 상대적으로 폭이 얇은 일단 쪽이 고정홀(440)에 삽입된 후, 고정홀(440)에 더 깊이 삽입될수록 상대적으로 폭이 두꺼운 타단 쪽이 고정홀(440)에 위치되면서(도 5c 참조), 고정부재(460)의 일측(하측)이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을 더욱 강하게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재(460)의 타단에는 스토퍼(461)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460)가 고정홀(440)에 필요 이상으로 깊이 삽입되면 스토퍼(461)가 고정홀(440)에 걸릴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부재(460)가 고정홀(440)을 통과하여 고정홀(4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460)의 하측에는 가이드부(463)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63)는 관통부(420)가 형성된 슬라이딩부(40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460)는 가이드부(463)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고정홀(4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스토퍼(461)와 가이드부(463)는 고정부재(460)의 양측면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홀(440)의 내벽과 마주보는 고정부재(460)의 적어도 한면(예를 들어 양측면)에는 중심으로부터 고정부재(460)의 일단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고정홀(440)에 걸릴수 있는 후크부(46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460)의 적어도 한면(예를 들어 양측면)에는 후크부(467)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후크부(467)로부터 고정부재(460)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부(46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460)의 내부에는 빈공간이 형성되고, 탄성부(469)는 고정부재(460)의 측면이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후크부(467)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후크부(467)는 고정부재(460)가 고정홀(44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후방)으로 이동될 때(도 5b 참조), 고정홀(440)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467)에 의해서 고정부재(460)가 고정홀(4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재(460)를 고정홀(440)에 최초로 삽입할 때는 탄성부(469)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후크부(467)가 고정홀(440)을 통과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베이스부재(100)에 대한 고정부재(460)의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베이스부재(100)에는 요철(110)이 형성되고, 고정부재(460)에는 가압부(465)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구체적으로, 요철(110)은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에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465)는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과 마주보는 고정부재(460)의 일면(하면)에 고정부재(46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요철(110)과 가압부(465)는 말단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베이스부재(100)에 대한 고정부재(460)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베이스부재(100)의 요철(110)과 고정부재(460)의 가압부(465)에 의해서 고정부재(460)는 더욱 강하게 제1,2 지지부재(200, 300)를 베이스부재(10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2 지지부재(200, 300)는 고정체(500)와 이동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체(500)는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체(500)는 슬라이딩부(400)의 일측(상측)으로부터 제1,2 지지부재(200, 3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체결부재(47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체(500)의 공간에 체결부재(470)가 삽입되어, 고정체(500)과 체결부재(47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600)는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고정체(500)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체(500)에 대해서 고정체(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600)가 고정체(500)에 대해서 슬라이딩가능하므로, 제1,2 지지부재(200, 3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적재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600)의 일면(측면)이 노출되도록, 고정체(500)의 일면(측면)에는 고정체(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510, slit)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600)의 일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릿(510)을 관통하는 체결축(6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620)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일방향의 폭(A)이 타방향의 폭(B)보다 크다. 이때, 체결축(620)의 일방향의 폭(A)은 슬릿(510)의 폭에 대응하고, 체결축(620)의 타방향의 폭(B)은 슬릿(51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620)이 이동체(600)에 대해서 회전되면서, 상대적으로 큰 체결축(620)의 일방향의 폭(A)이 슬릿(510)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면, 체결축(620)이 슬릿(510)의 내벽에 맞물림으로써, 이동체(600)가 고정체(500)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620)이 이동체(600)에 대해서 회전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체결축(620)의 타방향의 폭(B)이 슬릿(510)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면, 체결축(620)이 슬릿(510)의 내벽과 이격되면서 이동체(600)가 고정체(500)에 대해서 자유롭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체(600)를 고정체(50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켜 제1,2 지지부재(200, 3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한 후, 체결축(620)을 회전시켜 체결축(620)과 슬릿(510)의 내벽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이동체(600)를 고정체(5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620)의 말단에는 고정체(500)의 일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손잡이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630)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체결축(6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630)는 연결부(633)와 돌기부(6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633)는 체결축(620)의 말단에 막대형으로 연장되고, 돌기부(635)는 연결부(633)의 양단으로부터 고정체(500)의 일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633)의 길이방향이 베이스부재(100)의 일면(상면)과 나란할 때(이때, 체결축(620)이 슬릿(510)의 내벽에 맞물린다), 연결부(633)에는 벨트(700)가 지나갈 수 있고, 벨트(700)의 양측이 돌기부(635)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결국, 손잡이부(630)는 체결축(6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적재된 물품을 고정하는 벨트(700)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500)에는 상술한 슬릿(510)으로부터 이동체(600) 방향(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2개의 돌출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6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연장되고, 2개의 돌출부(515)가 내벽에 접촉되는 함몰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체(500)의 2개의 돌출부(515)가 이동체(600)의 함몰부(610)에 접촉하므로, 이동체(600)는 고정체(500)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고정체(500)의 2개의 돌출부(515)에 대응하도록, 체결부재(47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함몰된 2개의 체결함몰부(4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체(500)의 2개의 돌출부(515)가 체결부재(470)의 2개의 체결함몰부(475)에 삽입됨으로써, 고정체(500)는 체결부재(47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고정하는 벨트(700)는 일단이 베이스부재(100) 또는 제1 지지부재(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부재(100) 또는 제2 지지부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700)는 일단이 제1 지지부재(200)의 슬라이딩부(4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지지부재(300)의 슬라이딩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벨트(700)는 제1 지지부재(200)의 말단(상단)에 형성된 제1 관통홀(210)과 제2 지지부재(300)의 말단(상단)에 형성된 제2 관통홀(310)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700)는 제1 지지부재(200)의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부(400)로부터 제1 지지부재(200)의 상단에 형성된 제1 관통홀(210)과 제2 지지부재(30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관통홀(310)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재(300)의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부(4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결국, 벨트(700)는 제1 지지부재(200)의 상단과 제2 지지부재(300)의 상단 사이에서 물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벨트(700)는 두개가 구비되어, 버클(720) 등을 통해서 두개의 벨트(700)가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벨트(700)의 길이를 최대한 감소시켜 물품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벨트(700)에는 길이조절수단(8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수단(800)은 제1 체결부(810)와 제2 체결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810)는 벨트(700)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제1 삽입홀(810a)과 제2 삽입홀(810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820)는 제2 삽입홀(810b)로부터 제1 삽입홀(810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삽입공간(823)이 형성되며, 말단에 벨트(700)가 통과가능한 삽입부(821)가 형성되고, 삽입부(821)의 말단에 벨트(700)가 걸리는 고정후크(82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700)가 제1 삽입홀(810a)과 제2 삽입홀(810b)을 통과한 상태에서(도 8a 참조), 제2 체결부(820)를 반전시켜(뒤집어), 벨트(700)가 삽입공간(823)으로 삽입되고, 고정후크(825)가 벨트(700)에 걸려 벨트(700)는 삽입공간(823) 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8b 참조). 이때, 벨트(700)는 길이조절수단(800)에 의해서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꼬이게 되므로, 벨트(7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감소하면서 물품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700)의 말단에는 갈고리부(710)가 결합되고, 베이스부재(100)나 제1,2 지지부재(200, 300)에는 갈고리부(710)가 체결되는 체결홀(455)이 형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100) 또는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판형부재(45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형부재(450)는 관통부(420)의 일측(상측)에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판형부재(450)에는 고정홀(440)의 상측에 체결홀(455)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455)에는 벨트(700)의 말단에 결합된 갈고리부(710)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455)로부터 제1,2 지지부재(200, 30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판형부재(450)의 테두리까지의 제1 거리(X)는 체결홀(455)로부터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방향(전후방향)으로 판형부재(450)의 테두리까지의 제2 거리(Y)보다 길 수 있다. 또한, 갈고리부(710)는 직선으로 연장된 직선부(711), 및 직선부(711)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 곡률반지름을 갖는 곡선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곡선부(713)의 소정 곡률반지름의 두배는 제1 거리(X)보다 작고, 제2 거리(Y)보다 크다. 따라서, 갈고리부(710)를 체결홀(455)에 체결할 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길이 짧은 제2 거리 방향으로 갈고리부(710)를 정렬시켜 갈고리부(710)의 곡선부(713)를 체결홀(455)에 삽입한다. 이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부(710)를 90도 회전시킨다. 이때, 곡선부(713)의 소정 곡률반지름의 두배가 제2 거리보다 크므로, 갈고리부(710)는 회전될 수 있다. 이후,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부(71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1 거리 방향으로 갈고리부(710)를 정렬시킨다. 이때, 곡선부(713)의 소정 곡률반지름의 두배가 제1 거리보다 작으므로, 갈고리부(710)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갈고리부(710)가 임의로 회전되어 체결홀(45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베이스부재 110: 요철
120: 슬라이딩홈 200: 제1 지지부재
210: 제1 관통홀 300: 제2 지지부재
310: 제2 관통홀 400: 슬라이딩부
410: 슬라이딩돌기 420: 관통부
440: 고정홀 450: 판형부재
455: 체결홀 460: 고정부재
461: 스토퍼 463: 가이드부
465: 가압부 467: 후크부
469: 탄성부 470: 체결부재
475: 체결함몰부 500: 고정체
510: 슬릿 515: 돌출부
600: 이동체 610: 함몰부
620: 체결축 630: 손잡이부
633: 연결부 635: 돌기부
700: 벨트 710: 갈고리부
711: 직선부 713: 곡선부
720: 버클 800: 길이조절수단
810: 제1 체결부 810a: 제1 삽입홀
810b: 제2 삽입홀 820: 제2 체결부
821: 삽입부 823: 삽입공간
825: 고정후크

Claims (18)

  1. 소정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고정체;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상기 고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이동체;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체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릿을 관통하며, 일방향의 폭이 타방향의 폭보다 큰 체결축;
    을 더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단과 접촉될 때,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면에는 함몰된 슬라이딩홈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과 상기 슬라이딩홈 사이의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면, 및 슬라이딩홈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가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부와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부를 통해서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을 가압하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홀에 위치된 상기 고정부재의 폭이 증가할수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을 가압하는 정도가 증가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물품 적재용 파렛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는 스토퍼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홀에 걸리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가이드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물품 적재용 파렛트.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가압부가 형성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내벽과 마주보는 상기 고정부재의 적어도 한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홀에 걸리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형성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의 말단에는 상기 고정체의 일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체결축의 말단에 막대형으로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고정체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과 나란할 때, 상기 연결부에는 벨트가 지나가고, 상기 벨트는 상기 돌기부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슬릿으로부터 상기 이동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연장되고, 2개의 상기 돌출부가 내벽에 접촉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판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판형부재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에는 벨트의 말단에 결합된 갈고리부가 체결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판형부재의 테두리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체결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판형부재의 테두리까지의 제2 거리보다 길고,
    상기 갈고리부는 소정 곡률반지름을 갖는 곡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곡률 반지름의 두배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2 거리보다 큰 물품 적재용 파렛트.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제2 지지부제에 연결되는 벨트;
    를 더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말단에 형성된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말단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통과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제1 삽입홀과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삽입홀로부터 상기 제1 삽입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말단에 상기 벨트가 통과가능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말단에 상기 벨트가 걸리는 고정후크가 형성된 제2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가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부를 반전시켜 상기 벨트는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길이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0200146213A 2020-06-16 2020-11-04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359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213A KR102359650B1 (ko) 2020-06-16 2020-11-04 물품 적재용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31A KR102186253B1 (ko) 2020-06-16 2020-06-16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0200146213A KR102359650B1 (ko) 2020-06-16 2020-11-04 물품 적재용 파렛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31A Division KR102186253B1 (ko) 2020-06-16 2020-06-16 물품 적재용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730A KR20210155730A (ko) 2021-12-23
KR102359650B1 true KR102359650B1 (ko) 2022-02-09

Family

ID=737910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31A KR102186253B1 (ko) 2020-06-16 2020-06-16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0200146213A KR102359650B1 (ko) 2020-06-16 2020-11-04 물품 적재용 파렛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31A KR102186253B1 (ko) 2020-06-16 2020-06-16 물품 적재용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86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53B1 (ko) * 2020-06-16 2020-12-07 채다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563652B1 (ko) * 2021-03-29 2023-08-07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596679B1 (ko) * 2021-06-28 2023-11-02 주식회사 액세스나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890A (ja) 2004-03-15 2005-09-22 Samii Kk 遊技機治具
JP2016179826A (ja) * 2015-03-23 2016-10-13 日本特殊塗料株式会社 輸送用パレット
KR102186253B1 (ko) * 2020-06-16 2020-12-07 채다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3A (ja) * 1992-06-22 1994-01-11 Toshiba Corp 台車式パレット
KR101151455B1 (ko) * 2010-09-07 2012-06-08 이희삼 다목적 슬라이딩 도어 컨테이너
KR101370582B1 (ko) 2013-09-13 2014-03-06 주식회사 경원파트너스 저탄소형 물품 적재용 금속 파렛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890A (ja) 2004-03-15 2005-09-22 Samii Kk 遊技機治具
JP2016179826A (ja) * 2015-03-23 2016-10-13 日本特殊塗料株式会社 輸送用パレット
KR102186253B1 (ko) * 2020-06-16 2020-12-07 채다인 물품 적재용 파렛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730A (ko) 2021-12-23
KR102186253B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650B1 (ko) 물품 적재용 파렛트
EA036573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язычка
US4379541A (en) Holder for a container
US6467622B1 (en) Adjustable organizer
US8727142B2 (en) Drawer organizer for disparate handled items
KR102157408B1 (ko) 조립식 구조체용 탈착식 클립
US20170275051A1 (en) Transport rack and/or storage rack, and arrangement of a transport rack and/or storage rack on a floor plate
US3487945A (en) Book trucks
US7766125B2 (en) Collapsible work horse
US11554513B1 (en) Portable saw fence
US20050056193A1 (en) Pallet
US6209772B1 (en) Structure of the stapler
US20030234494A1 (en) Slotted game board and gaming table
US5680803A (en) Collapsible slicing guide
US20130015617A1 (en) Quick release structure of woodworking clamp
KR102563652B1 (ko)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102596679B1 (ko) 물품 적재용 파렛트
US6393958B1 (en) Mitre box
US5121681A (en) Extendible book shelf
US7416000B2 (en) Apparatus for straight-lining construction material
JPH11198982A (ja) ガラス板等の板状物収納ラック
JP4305666B2 (ja) 隙間調整具
US5895049A (en) Puzzle buddy
US4840273A (en) Tool retention device
AU2008201692A1 (en) Pallet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