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111B1 - 필기구 수납도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수납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111B1
KR101468111B1 KR1020130030352A KR20130030352A KR101468111B1 KR 101468111 B1 KR101468111 B1 KR 101468111B1 KR 1020130030352 A KR1020130030352 A KR 1020130030352A KR 20130030352 A KR20130030352 A KR 20130030352A KR 101468111 B1 KR101468111 B1 KR 10146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writing
base plate
p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280A (ko
Inventor
전수희
Original Assignee
(주)닷즈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닷즈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닷즈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3003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111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43K23/002Supporting means with a fixed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43K23/04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enabling the writing implement to be set upr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를 꽂을 수 있는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핀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핀 사이에 필기구가 삽입되면, 지지핀과 필기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필기구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수납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필기구를 수용할 수 있고, 필기구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길이가 길거나 짧은 필기구도 손쉽게 수납하거나 빼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구 수납도구{COMPARTMENT TOOL FOR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필기구를 꽂을 수 있는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필기구를 꽂아서 수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단이 개구된 필통을 사용하거나 지갑 형태의 필통을 사용한다.
상단이 개구된 필통에 길이가 긴 필기구를 넣어서 사용할 때에는 문제가 없지만 길이가 짧은 필기구를 수용하면 이를 꺼내기 매우 불편하다. 즉, 길이가 긴 필기구 사이에 껴서 긴 필기구를 전부 꺼낸 후 빼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필통이 쓰러질 경우 필기구가 필통으로부터 이탈하여 바닥으로 떨어져 필기구가 파손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지갑 형태의 필통은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 커버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필기구를 바로바로 사용할 수 없다. 특히 지갑형태의 필통은 여러 부품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작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술한 필통은 외력에 의해 흔들릴 경우 필기구들이 서로 부딪쳐 필기구가 손상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필통은 반드시 바닥에 놓고 사용해야 하므로 책상 등과 같은 테이블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필기구들을 꽂아서 수용함으로써 필기구들이 서로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드 등에 부착해도 필기구들이 수납도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 및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핀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핀 사이에 필기구가 삽입되면, 지지핀과 필기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필기구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수납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한 부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편과 상기 지지핀 사이에 휴대단말기를 삽입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핀은,
일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핀 간의 거리보다 두꺼운 필기구가 삽입될 경우 상기 지지핀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지지핀과 상기 필기구 사이에 접촉면적을 넓혀서 마찰력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필기구의 끝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필기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핀은,
내부에 홀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핀 사이에 복수의 필기구를 삽입할 경우 지지핀이 눌려서 상기 지지핀과 상기 필기구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서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지지핀은,
정다각형으로 배열되고, 외곽으로 갈수록 좁아지거나 벌어져 배치되되, 좁게 배치된 지지핀 사이에는 두께가 얇은 필기구를 삽입하고 넓게 배치된 지지핀 사이에는 두께가 두꺼운 필기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흡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착부를 바닥 또는 수직인 면에 부착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바닥 또는 수직인 면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거치편은,
일 부분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단차부가 형성되되,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단차부에 걸려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첫째, 필기구를 꽂아서 손쉽게 수납할 수 있고, 필기구가 외부로 노출돼 있어서 언제든지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수납도구에 흡착판을 결합함으로써 수납도구를 수직한 보드 등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지지핀에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필기구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어서 필기구가 수납도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특히 필기구가 걸림부에 걸려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납도구를 수직이게 배치하더라도 필기구가 수납도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지지핀의 내부에 홀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필기구를 꽂을 경우 지지핀이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지지핀이 눌리면서 접촉면적이 최대화되어 마찰력이 더욱 상승하며, 이에 따라 외곽 쪽에 배치된 필기구가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기구가 지지핀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지지핀 간의 거리를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필기구를 꽂아서 수용할 수 있다.
여섯째, 지지핀이 낮게 돌출돼 있어서 필기구가 외부로 모두 드러날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 필기구를 배치할 수 있어서 길이가 짧은 필기구도 손쉽게 빼서 사용할 수 있다.
일곱째, 수납도구의 양측을 돌출시키고 거치편을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도 거치할 수 있다.
여덟째, 실리콘 등의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서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이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도구에 필기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태난 II-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보드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지지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도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도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도구에 휴대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제1실시 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기구 수납도구(1)는 베이스플레이트(12) 및 지지핀(11, 11')을 포함한다. 여기에 흡착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2)는 재질과는 무관하지만 제작의 편리상 실리콘 등의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12)의 둘레 주변에 후술할 흡착부(13)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1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2)를 벽면 또는 보드(B)(board) 등에 설치된 걸고리(미도시)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지지핀(11)은, 대략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2)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지지핀(11)이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지지핀(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핀(11)의 일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된 걸림부(111, 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력이 우수하면서 외력에 의해 변형가능한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핀(11)은 평면에서 바라본 배열 형태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정다각형들의 집합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기구(W)를 지지핀(11) 사이에 꽂으면 지지핀(11)이 조금씩 벌어지고 지지핀(11)들과 필기구(W)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필기구(W)가 세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꽂아진 필기구(W)를 빼내면 지지핀(11)은 원상태로 복원된다.
가령, 지지핀(11) 사이에 필기구(W)를 꽂을 때 필기구(W)의 자중에 의해서 필기구(W)가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지지핀(11)이 필기구(W)의 끝단만 잡고 있으면 필기구(W)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하지만, 지지핀(11)에 형성된 걸림부(111, 111')가 지지핀(11)의 상부에서도 필기구(W)를 잡고 있어서 필기구(W)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기구(W)를 잡고 있는 부분이 지지핀(11)의 상부 및 하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늘어나서 마찰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필기구(W)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만약 필기구(W)가 기울어 지더라도 필기구(W)의 끝단이 걸림부(111, 111')에 걸려서 필기구(W)가 더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핀(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지지핀들 사이에 복수의 필기구를 꽂으면 지지핀들이 점차 외곽으로 벌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핀(11')의 내부에 홀(112)을 형성하면 지지핀(11')이 내측으로 용이하게 찌그러질 수 있어서 지지핀(11')이 외곽으로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필기구(W)와 지지핀(11') 사이의 접촉면적이 더욱 늘어나서 마찰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필기구(W)를 지지핀(1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흡착부(13)는, 주지된 흡착판 등을 이용하고 베이스플레이트(12)의 구멍(121)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에 따라, 흡착부(13)를 통해 본 발명을 수직한 벽면 또는 보드(B)(board)에 붙여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당 업계에 속하는 당 업자에 의해서 지지핀(11, 11')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보드(B)에 붙여서 사용하는 경우에 필기구(W)가 자중에 의해서 아래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필기구(W)의 끝단이 걸림부(111')에 걸리기 때문에 필기구(W)가 본 발명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책상 또는 테이블이 반드시 있어야 하지만 흡착부(13)를 통해 본 발명을 보드(B)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책상 또는 테이블을 생략할 수 있고, 본 발명이 한 곳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기구(W)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 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기구 수납도구(1')는 구성이 상술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도구(1)와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도구(1')에서 지지핀(11)의 배열을 외곽으로 갈수록 지지핀(11)들의 간격을 넓게 배치한다. 이에 따라, 두께가 가는 필기구(W)는 필기구 수납도구(1')의 중앙부에 꽂고 두께가 두꺼운 필기구(W)는 필기구 수납도구(1')의 주변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두께의 필기구(W)를 본 발명에 고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도구(1')의 지지핀(11)들은 외곽으로 갈수록 지지핀(11)들의 간격을 넓게 배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지지핀(11)들의 간격이 중앙부가 넓고 주변으로 갈수록 좁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지지핀(11, 11')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제3실시 예>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기구 수납도구(1")는 베이스플레이트(12'), 지지핀(11) 및 거치편(14)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2')는, 상술한 베이스플레이트(12)와 유사하고 다만 양측 부분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지지핀(1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지지핀(11)에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술한 지지핀(11')이 적용될 수 있다.
거치편(14)은, 베이스플레이트(12')의 연장된 부분에 돌출형성되고, 상부가 볼록하거나 하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단차부(141)가 마련된다. 즉, 거치편(14)과 지지핀(11) 사이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S)를 삽입하면 휴대단말기(S)의 전방의 하단 모서리 부분이 단차부(141)에 걸리고 지지핀(11)이 휴대단말기(S)의 후면을 지지하는 형태가 되어 휴대단말기(S)를 소정의 경사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다. 이때, 거치편(14)은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력이 우수한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필기구(W) 뿐만아니라 휴대단말기(S)도 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필기구를 꽂아서 손쉽게 수납할 수 있고, 필기구가 외부로 노출돼 있어서 언제든지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기구들이 서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필기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또는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지지핀에 걸림부 및 홀을 형성함으로써 지지핀이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기구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어서 필기구가 수납도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두께의 필기구를 꽂아서 수용할 수 있고,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서 제작 시간을 단축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져도 손상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 1"; 필기구 수납도구
11, 11'; 지지핀
111, 111'; 걸림부
112; 홀
12, 12'; 베이스플레이트
121; 구멍
13; 흡착부
14; 거치편
141; 단차부
B; 보드
S; 휴대단말기
W; 필기구

Claims (7)

  1. 베이스플레이트; 및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핀;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핀 사이에 필기구가 삽입되면, 상기 지지핀이 상기 홀 안쪽으로 눌려짐으로써 상기 지지핀과 상기 필기구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고, 지지핀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곽으로 갈수록 필기구가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핀과 필기구 사이의 마찰력과 상기 지지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필기구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수납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한 부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편과 상기 지지핀 사이에 휴대단말기를 삽입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수납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일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핀 간의 거리보다 두꺼운 필기구가 삽입될 경우 상기 지지핀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지지핀과 상기 필기구 사이에 접촉면적을 넓혀서 마찰력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필기구의 끝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필기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수납도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정다각형으로 배열되고, 외곽으로 갈수록 좁아지거나 벌어져 배치되되, 좁게 배치된 지지핀 사이에는 두께가 얇은 필기구를 삽입하고 넓게 배치된 지지핀 사이에는 두께가 두꺼운 필기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수납도구.
  6.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흡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착부를 바닥 또는 수직인 면에 부착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바닥 또는 수직인 면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수납도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은,
    일 부분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단차부가 형성되되,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단차부에 걸려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수납도구.
KR1020130030352A 2013-03-21 2013-03-21 필기구 수납도구 KR10146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352A KR101468111B1 (ko) 2013-03-21 2013-03-21 필기구 수납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352A KR101468111B1 (ko) 2013-03-21 2013-03-21 필기구 수납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280A KR20140116280A (ko) 2014-10-02
KR101468111B1 true KR101468111B1 (ko) 2014-12-15

Family

ID=5199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352A KR101468111B1 (ko) 2013-03-21 2013-03-21 필기구 수납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57B1 (ko) * 2018-12-19 2020-03-26 김진환 배터리 불량검사장치용 거치대
KR102427083B1 (ko) * 2021-07-14 2022-07-29 이태영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212U (ko) * 1989-07-19 1991-03-11
JP3023212U (ja) * 1994-08-25 1996-04-16 高橋良之 ペンホルダー
JPH10129185A (ja) * 1996-10-28 1998-05-19 Jun Takagi 装飾用文具立て
JP2012143950A (ja) * 2011-01-12 2012-08-02 Seiji Migikawa 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212U (ko) * 1989-07-19 1991-03-11
JP3023212U (ja) * 1994-08-25 1996-04-16 高橋良之 ペンホルダー
JPH10129185A (ja) * 1996-10-28 1998-05-19 Jun Takagi 装飾用文具立て
JP2012143950A (ja) * 2011-01-12 2012-08-02 Seiji Migikawa 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280A (ko)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1435B1 (en) Support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878324A (en) Telephone bracket elements
US20210324994A1 (en) Multipurpose holder
US20060124804A1 (en) Display and cable clip structure thereof
US20190313788A1 (en) Modular desk top organizer
KR101468111B1 (ko) 필기구 수납도구
JP5806720B2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
KR10150089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TW201735764A (zh) 晶片卡固持元件及電子裝置
JP4400930B2 (ja) カウンター構造
KR101884185B1 (ko) 소형물 보관통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59677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890809B1 (ko) 전자제품 거치대
US20160058176A1 (en) Portable Table Assembly
JP3166290U (ja) 携帯端末用クリップ型スタンド
JP2020021993A (ja) 携帯機器保持具
KR200445237Y1 (ko) 다기능 엘씨디 모니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 선반
KR20130106779A (ko) 스탠드형 수납장치
CN219285677U (zh) 一种具有多功能洞洞板的电脑机箱
KR101903590B1 (ko) 거치 장치
TWI539885B (zh) 保護殼
KR101525194B1 (ko) 거치대가 구비된 다기능 독서대
CN213817872U (zh) 手机保护套
JP7185203B2 (ja) 線材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