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083B1 -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 Google Patents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083B1
KR102427083B1 KR1020210092046A KR20210092046A KR102427083B1 KR 102427083 B1 KR102427083 B1 KR 102427083B1 KR 1020210092046 A KR1020210092046 A KR 1020210092046A KR 20210092046 A KR20210092046 A KR 20210092046A KR 102427083 B1 KR102427083 B1 KR 10242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sterilizer
general
space
electric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김선용
Original Assignee
이태영
김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영, 김선용 filed Critical 이태영
Priority to KR102021009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083B1/ko
Priority to KR1020220092280A priority patent/KR102441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Brush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칫솔 살균기를 개시한다. 칫솔 살균기는 칫솔 및 전동칫솔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일반칫솔이 거치 가능한 거치대와, 상기 전동칫솔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는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일반칫솔 및 상기 전동칫솔을 살균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에 고정되는 살균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Toothbrush sterilizer for charging electric toothbrush}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동칫솔의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적인 치아건강과 관리를 위한 구강위생 용구의 전형으로서, 치약과 더불어 사용되는 칫솔은 치면 세균막(Dental Plaque)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음식물 찌꺼기와 이미 형성 부착된 치면 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한 일차적인 수단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칫솔은 산(酸)을 중화하여 치아우식증(충치)과 치루병을 제거하기 위한 역할과 기능도 더불어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칫솔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양치를 수행하는 전통적인 형태부터 전력을 이용하여 칫솔모가 자동으로 진동, 회전, 왕복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전자동식까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칫솔에 맞추어 칫솔의 칫솔모를 살균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하는 칫솔 살균기가 개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887호(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형태의 칫솔 살균기가 일반적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자외선을 칫솔모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조사함에 따라서 정작 사용자의 손에 직접 접촉되고 세균이 많이 증식하는 칫솔대에 대한 살균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일반칫솔만 살균이 가능하므로 전동칫솔을 소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품을 추가로 구매해야만 했다. 또한, 전동칫솔을 소독하는 칫솔 소독기와 전동칫솔 충전기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동칫솔의 본체는 충전되는 동안 외부 오염원에 노출되어 오염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887호
본 발명은 전동칫솔의 충전과 여러 살균대상의 살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칫솔 살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칫솔모와 함께 일반칫솔의 칫솔대나 전동칫솔의 본체 등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는 부분도 소독할 수 있는 칫솔 살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살균대상이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구조가 개선된 칫솔 살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용공간 및 거치대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칫솔 살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일반칫솔 및 전동칫솔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일반칫솔이 거치 가능한 거치대; 상기 전동칫솔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는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일반칫솔 및 상기 전동칫솔을 살균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에 고정되는 살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일반칫솔의 칫솔대 및 배터리가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동칫솔의 본체를 살균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칫솔의 칫솔대는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는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상기 전동칫솔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살균장치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을 상기 일반칫솔의 칫솔대와 상기 전동칫솔의 본체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과 살균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전동칫솔의 충전과 여러 살균대상들의 살균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칫솔모뿐만 아니라 일반칫솔의 칫솔대나 전동칫솔의 본체 등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는 부분도 함께 소독할 수 있다.
배수홀을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수분이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고 살균장치의 자외선이 수용공간을 전부 채울 수 있으므로, 수용공간, 거치대, 충전 스테이션 등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거치대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용이하게 거치대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치대에 살균대상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좌측",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할 때, 칫솔 살균기(1)는 수용공간(11)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살균대상(예: 일반칫솔(2))을 거치하도록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거치대(100)와, 전동칫솔(3)을 충전하도록 마련되는 충전 스테이션(200)과, 살균대상(예: 일반칫솔(2) 및/또는 전동칫솔(3))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대상은 복수의 살균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살균대상(예: 복수의 일반칫솔(2)) 각각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제1", "제2" 등 서수를 붙여 서술될 수 있다.
한편, 일반칫솔(2)(또는, "제1 칫솔")은 별도의 전기적 동력이 요구되지 않고 사용자가 단순 파지하여 이를 닦도록 마련되는 칫솔을 지칭할 수 있다. 일반칫솔(2)은, 칫솔대(2a)와 칫솔대(2a)의 일단에 고정된 칫솔모(2b)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모(2b)가 배치되는 칫솔대(2a)의 일단과 반대 측인 칫솔대(2a)의 타단 부분은 일반칫솔(2)의 손잡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전동칫솔(3)은 전기적 동력을 이용하여 칫솔모가 진동 및/또는 회동하는 칫솔을 지칭할 수 있다. 전동칫솔(3)(또는, "제2 칫솔")은, 모(毛)를 포함하고 모가 진동 및/또는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동칫솔모(3b)와, 전동칫솔모(3b)를 구동하는 모터 및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3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칫솔모(3b)는 본체(3a)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잇다. 전동칫솔(3)은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 외부의 충전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수신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코일을 통해 수신된 전력은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200)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장 공진 방식으로 수신코일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대략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측이 개구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비닛(10)은 체결부재(예: 나사, 후크 등)에 의하여 화장실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에는 일반칫솔(2) 및/또는 전동칫솔(3)이 배치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에는 면도기 등 다양한 살균대상이 배치될 수 있다.
칫솔 살균기(1)는 수용공간(11)을 두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격벽(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11)은 구획격벽(30)에 의하여 전동칫솔(3) 및 충전 스테이션(200)이 배치될 수 있는 전동칫솔 수용공간(11b)(또는, "제1 수용공간")과, 일반칫솔(2) 및 거치대(100)가 배치될 수 있는 일반칫솔 수용공간(11a)(또는,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획격벽(30)은 캐비닛(10)의 바닥벽(10a) 및/또는 상벽(10c)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칫솔 살균기(1)는 캐비닛(10)에 결합되고 캐비닛(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닛(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복수의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수용공간(11)을 커버할 수 있다. 도어(20)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소재(예: 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불투명한 소재(예: 금속, 나무, 플라스틱 등)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20)의 상단에는 제1 마그넷(또는, "제1 자성체")(21)이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의 제1 마그넷(21)에 대응되는 제2 마그넷(또는, "제2 자성체")(22)이 캐비닛(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힐 때, 제1,2 마그넷(21,22)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제1,2 마그넷(21,22) 간의 인력에 의하여 도어(20)는 의도치 않게 열리지 않을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수용공간(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수용공간(11)의 상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상벽(10c)에 고정될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Light-Emitting Diode)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270nm 이상 28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다양한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복수의 살균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살균장치(300) 중 일부는 전동칫솔 수용공간(11b)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는 일반칫솔 수용공간(11a)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살균 대상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전동칫솔(3) 및/또는 일반칫솔(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거치대(100) 및/또는 충전 스테이션(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살균대상(예: 전동칫솔(3) 및/또는 일반칫솔(2))의 상부에서 살균대상(예: 전동칫솔(3) 및/또는 일반칫솔(2))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일반칫솔(2)의 칫솔모(2b)는 물론이고 칫솔대(2a)도 자외선을 조사하여 소독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살균장치(30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일반칫솔(2)의 칫솔모(2b) 및 칫솔대(2a)에 조사될 수 있다. 살균장치(300)는 전동칫솔(3)의 전동칫솔모(3b)는 물론이고 본체(3a)도 자외선을 조사하여 소독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살균장치(30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전동칫솔(3)의 전동칫솔모(3b) 및 본체(3a)에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칫솔 살균기(1)는 도어(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센서와, 도어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살균장치(300)를 온오프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센서는 캐비닛(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도어(20)의 제1 마그넷(21)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는 홀 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도어(20)가 열린 상태일 때 제1 마그넷(21)은 도어 센서(예: 홀 센서)에 인식되지 않고, 도어(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일 때 제1 마그넷(21)은 도어 센서(예: 홀 센서)에 인식될 수 있다. 제어부는 캐비닛(10)의 일면(예: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도어 센서 및 살균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힐 때, 도어 센서는 제1 마그넷(21)을 인식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제1 마그넷(21)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도어(20)가 닫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어(20)가 닫혔다고 판단될 때, 제어부는 살균장치(300)를 일정 시간(예: 15분) 동안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살균장치(300)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에 살균장치(30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살균장치(300)가 작동되는 중에 도어 센서를 통해 도어(20)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살균장치(30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다시 도어(20)가 닫혔다고 판단되면 살균장치(300)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킬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200)은 수용공간(11)(예: 전동칫솔 수용공간(11b))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11)(예: 전동칫솔 수용공간(11b))의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200)은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200)은 수분에 의하여 오염되지 않도록 방수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200)은 전동칫솔(3)이 놓이고 전동칫솔 수용공간(11b)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안착베이스(210)와, 안착베이스(2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전동칫솔(3)의 하면에 결합되는 삽입돌기(220)와, 수신코일과 대응되는 송신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코일은 안착베이스(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베이스(2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에 해당될 수 있고, 안착베이스(2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송신코일 및 이와 연결된 회로는 수용공간(11)의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안착베이스(210)는 캐비닛(10)의 바닥벽(10a)에 고정될 수 있다
전동칫솔(3)은 삽입돌기(220)와 결합되어 전동칫솔 수용공간(11b)의 바닥면(또는, 안착베이스(210)의 상면) 상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다.
칫솔 살균기(1)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공급된 전력은 송신코일을 통해 전동칫솔(3)의 수신코일로 전달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200)은 전동칫솔(3)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200)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장 공진 방식으로 수신코일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거치대(100)는 수용공간(11)(예: 일반칫솔 수용공간(11a))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대상(예: 일반칫솔(2))은 거치대(100)에 쓰러지지 않게 세워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100)는 칫솔모(2b)가 손잡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세워진 상태로 일반칫솔(2)을 지지할 수 있다. 거치대(100)는 칫솔대(2a)(예: 손잡이)에 접촉되어 일반칫솔(2)을 지지할 수 있다. 거치대(100)에 거치 가능한 살균대상은 일반칫솔(2), 전동칫솔모(3b), 면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00)는 캐비닛(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은 수용공간(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측면(또는, 캐비닛의 바닥벽(10a))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결합홈(10b)을 포함할 수 있고, 거치대(100)는 결합홈(10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대(100)는 수용공간(11)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거치대(10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고, 거치대(100)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거치대(100)는 결합홈(10b)에 삽입 및 안착되는 플레이트(120)와, 플레이트(120)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돌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와 복수의 지지돌기(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100)는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금속(예: 스테인리스)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대략 사각 평판 형상을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20)는 원형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의 상면은 수용공간(11)(예: 일반칫솔 수용공간(11a))에 노출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돌기(110)는 플레이트(12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돌기(110)의 상하 방향 길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지지돌기(11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돌기(110)는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인접한 지지돌기들(110) 간의 이격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접한 지지돌기들(110) 간의 이격거리는 모두 상이할 수도 있고, 일부 동일할 수도 있다.
살균대상은 복수의 지지돌기(11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칫솔(2)의 칫솔대(2a)(예: 손잡이)는 복수의 지지돌기(11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대상들은 정해진 위치 없이 지지돌기들(110) 사이에 형성되는 임의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살균대상들의 배치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고, 살균대상의 일단부가 이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의 살균대상도 거치대(100)에 거치 가능하므로 거치대(100)의 호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거치대(100)(또는, 복수의 지지돌기(1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살균대상(예: 일반칫솔(2)의 칫솔대(2a))은 수용공간(11)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돌기(110)는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열(C1,C2)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열(C1,C2)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인접한 두 열(C1,C2)을 각각 제1 열(C1)과 제2 열(C2)로 지칭할 때, 살균대상의 하단(예: 칫솔모(2b)와 반대되는 측의 칫솔대(2a)의 일단(또는, 하단))은 제1 열(C1)의 지지돌기(110)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고, 살균대상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살균대상의 일 지점(예: 칫솔대(2a)의 일단(또는,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칫솔대(2a)의 일 지점)은 제2 열(C2)의 지지돌기(110)의 상단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살균대상(예: 일반칫솔(2)의 칫솔대(2a))는 제1 열(C1)과 제2 열(C2) 사이에서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지지돌기(1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대(100)에 거치된 일반칫솔(2)과 같은 살균대상은 수용공간(11)의 상면 및/또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지 않고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므로, 수용공간(11)의 상면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조사되는 살균장치(300)의 자외선에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칫솔 살균기(1)는 수용공간(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수홀(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홀(400)은 수용공간(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바닥벽(10a)을 관통할 수 있다. 배수홀(400)은 수용공간(11)과 캐비닛(10)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수용공간(11)의 수분은 배수홀(400)을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홀(400)은 복수의 배수홀(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수홀(400)은 전동칫솔 수용공간(11b)의 바닥면과 일반칫솔 수용공간(11a)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칫솔 살균기(1)는 캐비닛(10)의 일 내측면 상에 배치(또는, 부착)되는 반사경(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경(500)은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경(500)은 살균장치(30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을 반사하는 소재로 형성되면 족하다.
반사경(500)은 복수의 반사경(500)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경(500)은 전동칫솔 수용공간(11b) 및 일반칫솔 수용공간(11a)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복수의 내측면 상에 배치(또는, 부착)될 수 있다. 반사경(500)은 수용공간(11)의 바닥면 상에 배치(또는, 부착)될 수 있다. 반사경(500)은 구획격벽(30)에 배치(또는, 부착)될 수 있다.
반사경(500)은 살균장치(300)로부터 방출되어 캐비닛(10)의 내측면을 향해 입사하는 자외선을 다시 살균대상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된 자외선은 일반칫솔(2)의 칫솔모(2b) 및 칫솔대(2a)에 입사될 수 있고, 전동칫솔(3)의 전동칫솔모(3b) 및 본체(3a)에 입사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치대에 살균대상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되지 않는 한 도 4 내지 5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할 때, 거치대(100)의 복수의 지지돌기(110)는 좌우 방향으로의 지지돌기(110) 간 이격거리(x1,x2,x3,x4)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거나 작아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돌기(110)가 좌우 방향으로 순서대로 제1 열(C1), 제2 열(C2), 제3 열(C3)을 형성할 때, 제2 열(C2)과 제3 열(C3) 사이의 좌우 방향 이격 거리(x2)는 제1 열(C1)과 제2 열(C2) 사이의 좌우 방향 이격 거리(x1)보다 클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3 열(C1,C2,C3) 사이의 관계와 유사하게, 순서대로 제1,2,3,4 열(C1,C2,C3,C4)이 형성될 때 제3 열(C3)과 제4 열(C4) 사이의 좌우 방향 이격 거리(x3)는 제2 열(C2)과 제3 열(C3) 사이의 좌우 방향 이격 거리(x2)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지지돌기(110)의 상하 방향 길이가 같으므로, 수용공간(11) 바닥면에 수직한 직선(또는, 제2 열(C2)의 지지돌기)과 제2 열(C2) 및 제3 열(C3) 사이에 거치되는 제1 살균대상(예: 일반칫솔(2))이 이루는 각도는, 수용공간(11) 바닥면에 수직한 직선(또는, 제1 열(C1)의 지지돌기)과 제1 열(C1) 및 제2 열(C2) 사이에 거치되는 제2 살균대상(예: 일반칫솔(2))이 이루는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수용공간(11) 바닥면에 대하여 제2 열(C2) 및 제3 열(C3) 사이에 거치되는 제1 살균대상(예: 일반칫솔(2))이 이루는 각도는, 수용공간(11) 바닥면에 대하여 제1 열(C1) 및 제2 열(C2) 사이에 거치되는 제2 살균대상(예: 일반칫솔(2))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열(C2)과 제3 열(C3) 사이에 거치되는 제1 살균대상이 제1 열(C1)과 제2 열(C2) 사이에 거치되는 제2 살균대상보다 더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제2 열(C2)과 제3 열(C3) 사이에 거치되는 살균대상에 제1 열(C1)과 제2 열(C2) 사이에 거치되는 살균대상에 의하여 가려져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 및/또는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되지 않는 한 도 6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할 때, 거치대(100-1)는 거치된 살균대상에서 흘러나오는 수분을 배수홀(400)로 안내하는 배수가이드면(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00-1)는 결합홈(10b)에 삽입 및 안착되는 플레이트(120)와, 플레이트(120)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돌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와 복수의 지지돌기(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100-1)는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금속(예: 스테인리스)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가이드면(130)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배수가이드면(130)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해당될 수 있다. 지지돌기(110)는 배수가이드면(130)에 연결될 수 있고, 배수가이드면(130)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수가이드면(130)은 수용공간(11)(예: 일반칫솔 수용공간(11a))의 바닥면(또는,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가이드면(130)은 배수홀(400)을 향하여 연장되며, 배수홀(400)에 가까워질수록 수용공간(11)(예: 일반칫솔 수용공간(11a))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대(100-1)에 경사진 배수가이드면(130)이 마련됨으로써 살균대상에서 흘러나오는 수분은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고 거치대(100-1)는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 및/또는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 및/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되지 않는 한 도 7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할 때, 반사경(500-1)은 편평하게 마련되는 평판부(510)와, 평판부(510)로부터 돌출되고 반사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볼록거울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경(500-1)은 복수의 볼록거울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경(500-1)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경(500-1)은 복수의 반사경(500-1)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경(500-1)은 수용공간(11)의 측면 및/또는 후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내측면 상에 배치(또는, 부착)될 수 있다. 반사경(500-1)은 수용공간(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내측면(또는, 캐비닛(10)의 바닥벽(10a)) 상에 배치(또는, 부착)될 수 있다. 반사경(500-1)은 수용공간(11)의 상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내측면(또는, 캐비닛(10)의 상벽(10c)) 상에 배치(또는, 부착)될 수 있다.
볼록거울부(520)는 반사경(500-1)으로 입사되는 자외선을 여러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그늘진 영역 없이 살균대상의 전체 표면에 고르게 자외선을 입사시킬 수 있고, 자외선의 에너지 밀도는 수용공간(11) 모든 영역에서 고르게 유지될 수 있다. 자외선의 집중에 의하여 살균대상이 변색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칫솔 살균기
10; 캐비닛
100; 거치대
200; 충전 스테이션
300; 살균장치

Claims (5)

  1. 일반칫솔 및 전동칫솔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일반칫솔이 거치 가능한 거치대;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수분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홀;
    상기 전동칫솔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는 충전 스테이션; 및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일반칫솔 및 상기 전동칫솔을 살균하도록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일반칫솔의 칫솔대 및 배터리가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동칫솔의 본체를 살균 가능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돌기; 및
    수분을 상기 배수홀로 안내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수가이드면으로서, 상기 배수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배수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반칫솔의 칫솔대는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배수가이드면은 상기 일반칫솔에서 흘러나오는 수분을 상기 배수홀로 안내하는 칫솔 살균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상기 전동칫솔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인, 칫솔 살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살균장치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을 상기 일반칫솔의 칫솔대와 상기 전동칫솔의 본체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KR1020210092046A 2021-07-14 2021-07-14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KR10242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46A KR102427083B1 (ko) 2021-07-14 2021-07-14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KR1020220092280A KR102441975B1 (ko) 2021-07-14 2022-07-26 칫솔의 거치구조가 개선된 칫솔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46A KR102427083B1 (ko) 2021-07-14 2021-07-14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280A Division KR102441975B1 (ko) 2021-07-14 2022-07-26 칫솔의 거치구조가 개선된 칫솔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083B1 true KR102427083B1 (ko) 2022-07-29

Family

ID=826063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046A KR102427083B1 (ko) 2021-07-14 2021-07-14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KR1020220092280A KR102441975B1 (ko) 2021-07-14 2022-07-26 칫솔의 거치구조가 개선된 칫솔 살균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280A KR102441975B1 (ko) 2021-07-14 2022-07-26 칫솔의 거치구조가 개선된 칫솔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70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6264A (en) * 1998-07-07 2000-08-01 Peifer; Melvin W. Toothbrush sterilization cabinet
KR200331578Y1 (ko) * 2003-07-23 2003-11-01 윤한무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KR200413887Y1 (ko) 2006-02-01 2006-04-11 에센시아주식회사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100010005A (ko) * 2008-07-21 2010-01-29 실버레이 주식회사 미백 및 살균기능을 갖는 음파 전동칫솔
KR20140116280A (ko) * 2013-03-21 2014-10-02 (주)닷즈커뮤니케이션 필기구 수납도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6264A (en) * 1998-07-07 2000-08-01 Peifer; Melvin W. Toothbrush sterilization cabinet
KR200331578Y1 (ko) * 2003-07-23 2003-11-01 윤한무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KR200413887Y1 (ko) 2006-02-01 2006-04-11 에센시아주식회사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100010005A (ko) * 2008-07-21 2010-01-29 실버레이 주식회사 미백 및 살균기능을 갖는 음파 전동칫솔
KR20140116280A (ko) * 2013-03-21 2014-10-02 (주)닷즈커뮤니케이션 필기구 수납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975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0398B2 (en) Sanitization device for dental accessories
KR20170010357A (ko) 살균 충전식 얼굴용 브러시
US20040155201A1 (en) Toothbrush sanitizer
KR20170106845A (ko) 휴대용 살균세척기
KR20160066932A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110067206A (ko) 좌변기의 자외선 살균 장치
KR102427083B1 (ko)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KR102095253B1 (ko) 전동 칫솔의 포장 케이스
KR20130021158A (ko) 자외선 살균 칫솔 뚜껑
JP2005111034A (ja) 歯ブラシの滅菌装置
JP2010213831A (ja) 歯ブラシ
KR20110063702A (ko) 칫솔 살균기
KR101951643B1 (ko) 노리개 젖꼭지 살균기
KR101166064B1 (ko) 광출사 장치, 브러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칫솔
KR20150062368A (ko) Uv led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KR200437195Y1 (ko) 칫솔겸용 혀 클리너 살균기
KR102643668B1 (ko) 칫솔 살균 장치
KR102390915B1 (ko) 칫솔과 컵이 포함된 자외선 살균기
KR200418935Y1 (ko) 전동칫솔의 충전 및 보관대 유닛
KR20190033817A (ko) Uvc 광을 이용한 컵 소독 장치
KR102285930B1 (ko) 칫솔 소독기
KR200277091Y1 (ko)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KR200457189Y1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101166065B1 (ko) 광출사 장치, 브러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칫솔
KR200416384Y1 (ko) 칫솔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