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578Y1 -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578Y1
KR200331578Y1 KR20-2003-0023709U KR20030023709U KR200331578Y1 KR 200331578 Y1 KR200331578 Y1 KR 200331578Y1 KR 20030023709 U KR20030023709 U KR 20030023709U KR 200331578 Y1 KR200331578 Y1 KR 200331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charger
electric toothbrush
cas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무
Original Assignee
윤한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한무 filed Critical 윤한무
Priority to KR20-2003-0023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5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을 다수개 거치시켜 살균함은 물론 건조, 소독하는 장치의 내부 및 외부에 전동칫솔 충전기를 구비하여 전동칫솔의 위생적인 사용 및 편리한 사용이 가능토록 한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케이스내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 자외선 램프의 후면에 설치되어 빛을 전면방향으로 반사해주는 반사판, 자외선 램프의 외주에 칫솔을 걸 수 있게 설치되는 칫솔 거치대,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로 구성되며, 내부에 충전지와 충전회로를 갖는 전동칫솔을 충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충전기가 설치된 칫솔 살균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는 전동칫솔을 꽂을 수 있는 안착홈과 그 중앙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전동칫솔의 하부에는 돌출부에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되, 돌출부의 내부에는 구동회로와 연결된 1차권선을 배치하고, 홈의 둘레 안쪽에는 충전회로와 연결된 2차권선을 배치하여 각 권선간 유도작용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Apparatus to disinfect tooth brush having charger for electric tooth brush}
본 고안은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을 다수개 거치시켜 살균함은 물론 건조, 소독하는 장치의 내부 및 외부에 전동칫솔 충전기를 구비하여 전동칫솔의 위생적인 사용 및 편리한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칫솔 살균장치는 사용한 칫솔에 잔존하고 있는 세균을 살균 및 소독처리함으로써 칫솔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살균을 위해 자외선 램프를 채용하여 이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음이온 발생장치를 채용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는 어떠한 칫솔이든 전부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전동칫솔의 경우 그 충전기가 통상 세면장 또는 욕실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충전후 전동칫솔을 빼내어 칫솔 살균장치에 집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통상은 살균을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이 보통이다.
또한, 전동칫솔의 충전을 위해 외부의 충전기에 꽂아 두었다가 이를 빼내어 욕실로 들고가 칫솔질을 한 후 다시 들고 나와 충전기에 꽂아야 하는 등 사용상 불편함이 큰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 179470 호에서 칫솔 살균장치의 외부에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동칫솔 충전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상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충전겸용 칫솔살균건조기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 제 179470 호에 따른 충전겸용 칫솔살균건조기는 전동칫솔 충전기 부위가 칫솔살균건조기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어 양치질을 할 때 곧바로 전동칫솔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이를 살균건조하기 위해서는 충전동작과는 별도로 칫솔살균건조기에 넣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대기해야 하였으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동칫솔과 충전기가 서로 전극을 통해 접촉되어야만 충전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전극이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으며, 이와 같이 전극이 욕실과 같이 수분환경을 가진 공간에 노출되면 그 습기로 인해 단락되어 감전 또는 화재를 일으킬 위험성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동칫솔 충전기를 칫솔 살균장치의 외부와 내부에 각각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동칫솔을 칫솔 살균장치 외부에서 충전할 때의 사용상 편의성과, 전동칫솔을 칫솔 살균장치 내부에서 충전할 때의 칫솔살균을 통한 위생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되, 전동칫솔의 충전이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칫솔의 충전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치약수용홀더 20 : 고정대 100 : 칫솔 살균장치
101 : 케이스 102 : 자외선 램프 103 : 반사판
104 : 칫솔 거치대 105 : 음이온 발생기 106 : 안착홈
107,301 : 돌출부 108 : 구동회로 109,303 : 1차권선
110 : 소켓 111 : 체결홈 112 : 도어
113 : 도어스위치 200 : 전동칫솔 201 : 충전지
202 : 충전회로 203 : 홈 204 : 2차권선
205 : 전원스위치 206 : 모터 300 : 충전기
302 : 전동칫솔 지지테 304 : 플러그 305 : 체결돌기
306 : 충전스위치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1)내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102), 자외선 램프(102)의 후면에 설치되어 빛을 전면방향으로 반사해주는 반사판(103), 자외선 램프(102)의 외주에 칫솔을 걸 수 있게 설치되는 칫솔 거치대(104), 케이스(101) 상부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105)로 구성되며, 내부에 충전지(201)와 충전회로(202)를 갖는 전동칫솔(200)을 충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101)의 외부 일측에 충전기(300)가 설치된 칫솔 살균장치(100)에 있어서, 케이스(101)의 내부 일측에는 전동칫솔(200)을 꽂을 수 있는 안착홈(106)과 그 중앙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07)를 형성하고, 전동칫솔(200)의 하부에는 돌출부(107)에 삽입되는 홈(203)을 형성하되, 돌출부(107)의 내부에는 구동회로(108)와 연결된 1차권선(109)을 배치하고, 홈(203)의 둘레 안쪽에는 충전회로(202)와 연결된 2차권선(204)을 배치하여 각 권선간 유도작용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101)의 외부 일측에는 케이스(101) 내부의 구동회로(108)와 연결된 소켓(110)이 설치되며, 케이스(101) 외부에 설치되는 충전기(300)는 전동칫솔(200)의 홈(203)에 끼워지는 돌출부(301)가 형성되고 그 위쪽으로 전동칫솔 지지테(302)가 형성되어 전동칫솔(200)을 거치하면서 수분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돌출부(301)의 내측으로 전동칫솔(200) 내부의 2차권선(204)과 대응되는 1차권선(303)이 설치되고, 충전기(300)의 하부 일측에는 소켓(110)에 연결되는 플러그(304)가 형성되어 1차권선(303)이 플러그(304)와 연결된 것이다.
이때, 케이스(101)의 소켓 상부 위치에는 체결홈(111)이 형성되고, 충전기(300)의 체결홈 대응위치에는 체결돌기(305)가 형성되어 플러그(304)를 소켓(110)에 삽입하면서 체결돌기(305)가 체결홈(1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0은 케이스(101)의 충전기 반대편 측벽에 걸쳐져 치약을 수용하는 치약수용홀더를 나타내고, 20은 케이스(101)의 후면에 걸쳐져 장치 전체를 벽면에 고정시켜주는 고정대를 나타내며, 112는 케이스(101)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도어를 나타내고, 113은 도어(112)가 여닫힘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를 나타내며, 205는 전동칫솔(200)의 전원스위치를 나타내며, 206은 전원스위치(205)의 온/오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모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도어(112)를 닫게 되면 도어스위치(113)가 온되고, 구동회로(108)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외선 램프(102) 및 음이온 발생기(105)가 순차 작동되어 케이스(101) 내부의 칫솔 거치대(104)에 거치되어 있는 칫솔을 살균 및 소독 처리하게 되며, 칫솔을 사용하거나 사용 후 케이스(101) 내부에 넣기 위해 도어(112)를 열게되면 도어스위치(113)가 오프되면서 모든 동작이 중지되고 전기적으로는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프로그램에 의해 도어스위치(112)가 온되면 일정시간 동안은 자외선을 발생시켜 살균하고, 이후 음이온을 발생시켜 일정시간 소독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음이온 발생기(105)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고, 세라믹 방전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반사판(103)을 통해서 열을 발생시켜 칫솔을 건조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되는데, 반사판(103)의 후면에 트랜지스터를 취부하여 트랜지스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거나, 반사판(103)의 후면에 발열필름을 피복하여 이 발열필름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는 등 별도의 팬이나 히터 없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전동칫솔(2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 그 충전지(201)를 주기적으로 충전시켜주어야 하므로 충전기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충전기가 칫솔 살균장치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제안된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 179470 호에 따른 충전겸용 칫솔 살균건조기 역시 충전기 부위가 칫솔살균건조기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어 충전동작과는 별도로 칫솔살균건조기에 넣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대기해야 하였으므로 여전히 어느 정도의 사용상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전동칫솔과 충전기가 서로 전극을 통해 접촉되어야만 충전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전극이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으며, 이와 같이 전극이 욕실과 같이 수분환경을 가진 공간에 노출되면 그 습기로 인해 단락되어 감전 또는 화재를 일으킬 위험성도 있었음은 전술한 바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전동칫솔(200)의 충전부위를 칫솔살균장치(100)의 내부에도 형성한 것으로, 전동칫솔(200)의 사용 후 전동칫솔(200)을 욕실 또는 세면장에 구비된 칫솔 살균장치(100)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107)에 꽂으면 돌출부(107) 내부의 1차권선(109)과 전동칫솔(200)의 홈(203) 주위의 2차권선(204) 사이에 유도기전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유도기전력이 충전지(201)로 입력되어 충전지(201)가 충전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전동칫솔(200)의 충전이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지면 수분환경을 갖는 욕실 또는 세면장에서의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러한 전동칫솔(200)의 충전이 칫솔 살균장치(10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동칫솔(200)의 충전과 함께 자외선램프(102)와 반사판(103)에 의한 살균 및 건조, 음이온에 의한 소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칫솔 살균장치(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충전기(300)는 플러그(304)와 소켓(110), 체결홈(111)과 체결돌기(30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있어 필요에 따라 칫솔 살균장치(100)의 케이스(101)에 부착하거나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전동칫솔(200)을 외부측 충전기(300)를 통해 충전할 경우에는 곧바로 전동칫솔(200)을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외부측 충전기(300) 역시 비접촉식으로 충전할 수 있어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탈거가 가능한 외부 충전기(300)는 규격과 전기적 특성이 다른 어떠한 전동칫솔 제품이든 거치하여 호환성있게 충전할 수 있도록 전동칫솔 지지테(302)가 큰 사이즈로 구비되며, 내부 구동회로와 통해있는 충전스위치(306)가 별도로 구성되어 1차권선(109, 303)에 당해 전동칫솔에 적합한 진폭과 주파수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전동칫솔(200)은 메이커별로 각각 전기적 충전 규격이 다르므로 1차권선(109,303)에 가해주는 진폭과 주파수를 다르게 하면 2차권선(204)에 유도되는 전류가 달라지게 되어 충전할 때 원하는 상태대로 충전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전동칫솔(200)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1차권선(109, 303)에 가해지는 진폭과 주파수가 달라지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어떠한 전동칫솔이든 충전기(300)에 거치시킨 후 충전스위치(306)를 온시키면 당해 전동칫솔에 적합한 진폭과 주파수로 1차권선(109, 303)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이며, 이러한 모든 전기적인 타이밍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므로 1차권선(109, 303)에 가해주는 진폭과 주파수 또한 설정된 상태에 적합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칫솔 살균장치의 내부와 외부에 전동칫솔 충전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므로 전동칫솔을 칫솔 살균장치 내부에서 충전할 경우 충전과 동시에 칫솔의 살균, 건조,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해지고, 전동칫솔을 칫솔 살균장치 외부에서 충전할 경우 전동칫솔을 별다른 동작없이 그대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전동칫솔과 충전기가 비접촉식으로 충전되므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칫솔 살균장치의 외부에 설치되는 충전기는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케이스(101)내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102), 상기 자외선 램프(102)의 후면에 설치되어 빛을 전면방향으로 반사해주는 반사판(103), 상기 자외선 램프(102)의 외주에 칫솔을 걸 수 있게 설치되는 칫솔 거치대(104), 상기 케이스(101) 상부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105)로 구성되며, 내부에 충전지(201)와 충전회로(202)를 갖는 전동칫솔(200)을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1)의 외부 일측에 충전기(300)가 설치된 칫솔 살균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전동칫솔(200)을 꽂을 수 있는 안착홈(106)과 그 중앙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07)를 형성하고, 상기 전동칫솔(200)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107)에 삽입되는 홈(203)을 형성하되, 상기 돌출부(107)의 내부에는 구동회로(108)와 연결된 1차권선(109)을 배치하고, 상기 홈(203)의 둘레 안쪽에는 상기 충전회로(202)와 연결된 2차권선(204)을 배치하여 상기 각 권선(109)(204)간 유도작용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1)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101) 내부의 구동회로(108)와 연결된 소켓(110)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01) 외부에 설치되는 충전기(300)는 상기 전동칫솔(200)의 홈(203)에 끼워지는 돌출부(301)가 형성되고 그 위쪽으로 전동칫솔 지지테(302)가 형성되어 상기 전동칫솔(200)을 거치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01)의 내측으로 상기 전동칫솔(200) 내부의 2차권선(204)과 대응되는 1차권선(303)이 설치되고, 상기 충전기(30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소켓(110)에 연결되는 플러그(304)가 형성되어 상기 1차권선(303)이 상기 플러그(304)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1)의 소켓의 상부 위치에는 체결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기(300)의 체결홈 대응위치에는 체결돌기(305)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304)를 상기 소켓(110)에 삽입하면서 상기 체결돌기(305)가 상기 체결홈(1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300)에는 내부 구동회로와 통해있는 충전스위치(306)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구동회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전동칫솔(200)의 종류에 따라 그 전기적인 특성에 적합한 진폭과 주파수를 상기 1차권선(109, 303)에 가해줄 수 있게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KR20-2003-0023709U 2003-07-23 2003-07-23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KR200331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09U KR200331578Y1 (ko) 2003-07-23 2003-07-23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09U KR200331578Y1 (ko) 2003-07-23 2003-07-23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578Y1 true KR200331578Y1 (ko) 2003-11-01

Family

ID=4941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709U KR200331578Y1 (ko) 2003-07-23 2003-07-23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5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094B1 (ko) * 2016-02-03 2017-08-23 주식회사 디오사코스메틱 클렌저용 살균 장치
CN109645871A (zh) * 2019-01-29 2019-04-19 嘉兴市新奢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牙膏机
KR102427083B1 (ko) * 2021-07-14 2022-07-29 이태영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094B1 (ko) * 2016-02-03 2017-08-23 주식회사 디오사코스메틱 클렌저용 살균 장치
CN109645871A (zh) * 2019-01-29 2019-04-19 嘉兴市新奢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牙膏机
CN109645871B (zh) * 2019-01-29 2023-12-26 嘉兴市新奢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牙膏机
KR102427083B1 (ko) * 2021-07-14 2022-07-29 이태영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KR102441975B1 (ko) * 2021-07-14 2022-09-08 이태영 칫솔의 거치구조가 개선된 칫솔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10530U (zh) 一种多功能牙刷消毒器
KR20180135840A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KR20100041060A (ko) 화장용 도구 자외선 살균기
KR20060012144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춘 휴대폰 충전기
KR200331578Y1 (ko) 전동칫솔 충전기를 갖는 칫솔 살균장치
KR100423950B1 (ko) 유에스비 포트를 내장한 휴대용 칫솔 살균 장치
KR20180133960A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KR101773399B1 (ko) 탈착식 살균 모듈을 구비한 살균기
KR20180006567A (ko) 칫솔 살균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살균장치
KR200420333Y1 (ko) 스탠드형 전동칫솔 살균건조 장치
CN209750207U (zh) 便携式智能牙刷消毒盒
KR100822082B1 (ko) 유도기전력 전원 공급 방식의 살균탈취기가 부착된 변기커버
KR200418935Y1 (ko) 전동칫솔의 충전 및 보관대 유닛
CN216318133U (zh) 洁牙器收纳装置、洁牙器以及洁牙装置
KR200419151Y1 (ko) 전동칫솔 살균건조 기능을 갖는 전동칫솔 충전 장치
KR200296627Y1 (ko) 전동칫솔 및 전동칫솔 살균기
CN212281730U (zh) 一种带紫外灭菌保护罩的电动牙刷
CN210276982U (zh) 消毒器及镜柜
KR200301397Y1 (ko) 전동칫솔 충전기 겸용 칫솔 살균장치
KR20040017068A (ko) 전동칫솔장치
KR101064464B1 (ko) 휴대용 살균 칫솔함
KR20050087215A (ko) 살균수단을 가지는 전동헤어커터기의 충전기
KR200371154Y1 (ko) 휴대폰 살균기 겸용 칫솔 살균장치
CN213785945U (zh) 一种消毒牙刷
JPH07250882A (ja) 携帯用歯ブラシ滅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7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7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