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164B1 -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164B1
KR101772164B1 KR1020150181129A KR20150181129A KR101772164B1 KR 101772164 B1 KR101772164 B1 KR 101772164B1 KR 1020150181129 A KR1020150181129 A KR 1020150181129A KR 20150181129 A KR20150181129 A KR 20150181129A KR 101772164 B1 KR101772164 B1 KR 101772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ipe
pipe
spring
guide groove
releas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114A (ko
Inventor
박영준
문성희
백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Publication of KR2017006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이너파이프와, 상기 이너파이프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와,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이너파이프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이너파이프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중앙에 상기 이너파이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외주연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이 구비된 제1회전부재와, 상기 이너파이프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중앙에 상기 이너파이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외주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이드홈이 구비된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슬라이드부가 양단에 형성되고 평상시 상향하게 탄성편향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릴리즈버튼과, 상기 스프링과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이너파이프와 아우터 파이프를 연결하며 중앙에 상기 릴리즈버튼이 통과하는 버튼공이 형성된 커넥팅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Connecting apparatus of Telescopic pipe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버튼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가정이나 업소에서 많이 사용되는 청소기의 일종으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강한 흡입력으로 주위에 떨어진 먼지나 쓰레기를 흡입한다. 구조는 흡입구, 모터, 회전날개, 필터, 먼지받이 케이스, 배기구 등으로 되어 있으며, 그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류자 전동기로 회전날개를 1만회 이상 회전시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먼지나 찌꺼기를 흡입구를 통해 빨아들인다. 빨아들인 먼지, 찌꺼기 등은 필터에서 걸러주고 공기는 배기구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때에는 바닥에 흡입구가 닿도록 하고 사용자는 선 상태로 손잡이를 잡아 청소기를 밀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흡입구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파이프 길이 조절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이프 길이 조절 장치의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5687호 '진공청소기의 길이조절식 연장관'(1999.01.25. 공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흡입브러쉬를 선단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부를 갖추고, 후단부에 고정홈을 형성한 중공의 외관과, 상기 고정홈과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내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외관의 후단이 삽입되는 중공의 고정파이프와, 상기 고정파이프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선단부에 끼움홈을 형성하며, 후단부에 상기 손잡이가 장착되는 고정부를 형성한 중공의 내관과, 상기 끼움홈과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내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내관의 선단이 끼워져 상기 외관에 삽입되는 실링관을 연속하여 조립구성하는 진공청소기의 길이조절식 연장관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은 내관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전체 조립길이를 자유롭게 늘이거나 줄이는 것으로, 동작이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간단한 가압동작만으로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청소기용 파이프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너파이프와, 상기 이너파이프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와,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이너파이프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이너파이프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중앙에 상기 이너파이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외주연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이 구비된 제1회전부재와, 상기 이너파이프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중앙에 상기 이너파이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외주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이드홈이 구비된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슬라이드부가 양단에 형성되고 평상시 상향하게 탄성편향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릴리즈버튼와, 상기 스프링과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이너파이프와 아우터 파이프를 연결하며 중앙에 상기 릴리즈버튼이 통과하는 버튼공이 형성된 커넥팅파이프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이너파이프에는 상기 스프링의 나선 방향과 대응되는 나선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이너파이프에는 길이방향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파이프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레일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커넥팅 파이프에는 상기 버튼공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형성되고 상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벽이 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버튼에는 상기 탄성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벽 상단에 씌워지는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으로부터 하향하게 연장형성되고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벽 상단에 끼워지는 측벽이 구비된 가압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는 릴리즈버튼을 누름에 따라 이너파이프를 가압하는 스프링의 직경이 늘어나면서 이너파이프가 아우터파이프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스프링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스프링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의 스프링이 고정된 상태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장치는 이너파이프(11)와, 상기 이너파이프(11)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13)와, 상기 이너파이프(11)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이너파이프(11)를 가압하는 스프링(20)과, 상기 이너파이프(11)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중앙에 상기 이너파이프(11)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20)의 일단이 결합되며 외주연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21a)이 구비된 제1회전부재(21)와, 상기 이너파이프(11)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중앙에 상기 이너파이프(11)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20)의 일단이 결합되며 외주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이드홈(23a)이 구비된 제2회전부재(23)와, 상기 제1가이드홈(21a)과 제2가이드홈(23a)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슬라이드부(31)가 양단에 형성되고 평상시 상향하게 탄성편향되는 탄성부(33)를 구비하는 릴리즈버튼(30)과, 상기 스프링(20)과 제1회전부재(21)와 제2회전부재(23)가 내장되고 상기 이너파이프(11)와 아우터 파이프(13)를 연결하며 중앙에 상기 릴리즈버튼(30)이 통과하는 버튼공(41)이 형성된 커넥팅파이프(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너파이프(11)와 아우터파이프(13)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의 지지봉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는 지지봉과 흡입파이프 역할을 함께하는 것이다. 상기 이너파이프(11)와 아우터파이프(13)는 속이 빈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파이프(11)가 상기 아우터파이프(13)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전체 길이를 늘리거나 줄인다.
상기 이너파이프(11)의 외주연에는 상기 이너파이프(11)와 아우터파이프(13)를 연결하고 상기 이너파이프(1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장치가 형성되는데, 이 연결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0), 제1회전부재(21), 제2회전부재(23), 릴리즈버튼(30), 커넥팅파이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20)은 이너파이프(11)의 외주연에 감긴 상태로 상기 이너파이프(11)를 가압함으로써 이너파이프(11)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직경이 내측으로 말리도록 탄성편향되어 상기 이너파이프(11)를 가압한다.
상기 스프링(20)의 양측 단부에는 제1회전부재(21)와 제2회전부재(23)가 형성되는데, 이 제1회전부재(21)와 제2회전부재(23)는 상기 스프링(20)이 꼬인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프링(20)의 직경을 넓힘에 따라 상기 이너파이프(11)의 결속을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제1회전부재(21)는 상기 이너파이프(11)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중앙에 이너파이프(11)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프링(20)의 일단이 결합된다.
도3a와 도3b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부재(21)의 외주연에는 제1가이드홈(21a)이 구비되는데, 타측 단부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21a)에 후술될 릴리즈버튼(30)의 일단이 삽입된다. 상기 릴리즈버튼(30)은 평상시 상기 제1가이드홈(21a)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고 가압되면 상기 릴리즈버튼(30)의 단부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홈(21a)을 따라 상기 제1회전부재(21)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프링(20)의 직경을 넓힌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2회전부재(23)는 상기 제1회전부재(21)와 스프링(20)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부재(23)는 상기 제1회전부재(21)처럼 상기 이너파이프(11)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20)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된다.
상기 제2회전부재(23)의 외주연에는 제2가이드홈(23a)이 구비되는데, 이 제2가이드홈(23a)은 상기 제1가이드홈(21a)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가이드홈(23a)에 후술될 릴리즈버튼(30)의 타단이 삽입된다. 상기 릴리즈버튼(30)은 평상시 상기 제2가이드홈(23a)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고 가압되면 상기 제2회전부재(23)가 제1회전부재(2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프링(20)의 직경을 넓힌다. 즉, 상기 릴리즈부재(30)가 가압되면 상기 릴리즈부재(30)의 양단이 상기 제1,2가이드홈(21a, 23a)에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1,2회전부재(21, 2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20)의 직경이 넒어지면서 이너파이프(1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 제1,2가이드홈(21a, 23a)에는 릴리즈버튼(30)의 양단이 삽입되는데, 이 릴리즈버튼(30)에는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탄성부(33)가 구비되고 이 탄성부(33)는 가압시에 양단부 사이가 벌어진다. 이 탄성부(33)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2가이드홈(21a, 23a)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드부(31)가 형성되는데, 이 슬라이드부(31)는 각각 제1,2가이드홈(21a, 23a)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단부가 경사져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33)가 가압되면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부(31)의 사이가 멀어지면서 상기 제1,2가이드홈(21a, 23a)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2회전부재(21, 2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너파이프(11)와 아우터파이프(13)는 커넥팅파이프(40)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커넥팅파이프(40)는 상기 이너파이프(11)와 아우터파이프(13)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과 제1,2회전부(21, 23)가 내장되는 원형관형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이너파이프(11)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아우터파이프(13)의 단부에 고정된다. 중앙에는 상기 릴리즈버튼(30)이 통과하는 버튼공(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회전부재(21, 23)는 상기 릴리즈버튼(30)이 가압되면서 함쌍의 슬라이드부(31)이 사이가 벌어지면 상기 제1,2회전부재(21, 23) 또한 가압에 의해 사이가 벌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2회전부재(21, 23) 사이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커넥팅파이프(40)가 제1,2회전부재(21, 23)를 고정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커넥팅파이프(40)의 양단부에는 회전부재 삽입부가 형성되는데, 이 회전부재 삽입부는 상기 제1,2회전부재(21, 23)의 외측면을 감싸며 형성되고 제1,2회전부재(21, 23)의 회전이 상기 이너파이프와 아우터파이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제1,2회전부재(21, 23)의 내주연에 면접되도록 형성되는 차단벽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파이프(11)에는 상기 스프링(20)이 꼬인 방향과 대응되는 나선홈(11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나선홈(11a)은 상기 스프링(20)이 이너파이프(11a)를 가압할 때에 이너파이프(11)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상기 나선홈(11a)에 상기 스프링(20)이 안착되므로 상기 스프링(20)이 이너파이프(11)에서 미끄러지지않고 상기 이너파이프(11)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파이프(11)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b)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슬라이딩홈(11b)은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파이프(11)가 아우터파이프(13)에 삽입될 때에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11b)에는 상기 커넥팅 파이프(40)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레일(11b')이 삽입된다.
상기 릴리즈버튼(30)은 사용자가 가압할 때 편안하도록 상기 탄성부(33)의 상단에 면으로 형성된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으로부터 하향하게 연장 형성되고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벽이 구비된 버튼부(35)가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면을 엄지손가락으로 용이하가 가압할 수 있으며 다수번 또는 장시간 가압하더라도 손가락에 통증을 덜 수 있다. 상기 버튼부(35)의 측벽은 상기 커넥팅파이프(40)의 버튼공(4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걸림벽(37)에 삽입되는데, 상기 걸림벽(37)은 상기 측벽의 하단부가 걸리도록 상단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35)의 측벽은 상기 걸림벽(37)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운동하고 상기 측벽의 하단부와 걸림벽(37)의 하단부가 서로 걸리면서 상기 버튼부(35)가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1)는 스프링(20)을 회전시켜 스프링(20)의 직경을 조정함에따라 이너파이프를 (11)결속하거나 결속해제하여 청소기용 파이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11 : 이너파이프
11a : 나선홈
11b : 슬라이딩홈
13 : 아우터파이프
20 : 스프링
21 : 제1회전부재
21a : 제1가이드홈
23 : 제2회전부재
23a : 제2가이드홈
30 : 릴리즈버튼
31 : 슬라이드부
33 : 탄성부

Claims (4)

  1. 이너파이프;
    상기 이너파이프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이너파이프를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이너파이프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중앙에 상기 이너파이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외주연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이 구비된 제1회전부재;
    상기 이너파이프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중앙에 상기 이너파이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외주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이드홈이 구비된 제2회전부재;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슬라이드부가 양단에 형성되고 평상시 상향하게 탄성편향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릴리즈버튼; 및
    상기 스프링과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이너파이프와 아우터 파이프를 연결하며 중앙에 상기 릴리즈버튼이 통과하는 버튼공이 형성된 커넥팅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릴리즈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의 직경을 넓혀 상기 이너파이프에서 가압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파이프에는
    상기 스프링의 나선 방향과 대응되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파이프에는 길이방향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파이프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파이프에는 상기 버튼공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형성되고 상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벽이 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버튼에는 상기 탄성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벽 상단에 씌워지는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으로부터 하향하게 연장되며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 되어 상기 걸림벽 상단에 끼워지는 측벽이 구비된 가압부가 구비된 버튼부가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0150181129A 2015-12-10 2015-12-17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KR101772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75916 2015-12-10
KR1020150175916 2015-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114A KR20170069114A (ko) 2017-06-20
KR101772164B1 true KR101772164B1 (ko) 2017-08-28

Family

ID=5928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129A KR101772164B1 (ko) 2015-12-10 2015-12-17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384B1 (ko) * 2021-08-21 2022-02-23 (주) 동일레저 낚시보트 고정용 폴대 연결구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266A2 (en) 2008-01-17 2009-07-23 Puku Limited Connection device
KR101435009B1 (ko) 2012-09-26 2014-10-20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회전식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266A2 (en) 2008-01-17 2009-07-23 Puku Limited Connection device
KR101435009B1 (ko) 2012-09-26 2014-10-20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회전식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384B1 (ko) * 2021-08-21 2022-02-23 (주) 동일레저 낚시보트 고정용 폴대 연결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114A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609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multi joint portion
US9649001B2 (en) Vacuum cleaner
EP1768537B1 (en)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JP6533947B2 (ja) 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A2707626A1 (en) Duct cleaning attachment for a vacuum
KR101291202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US6237962B1 (en) Telescopable wand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KR101772164B1 (ko)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KR100730948B1 (ko) 진공 청소기의 굴절 연장관
US20100117357A1 (en) Flexible vacuum cleaner hose coupling
KR101820832B1 (ko)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JP4815474B2 (ja) 電気掃除機
JP6518933B2 (ja) 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4480595B2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CN105361805B (zh) 抽吸件及使用该抽吸件的电动吸尘器
CN109077665B (zh) 电动吸尘器
KR200489333Y1 (ko) 접이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KR20190123603A (ko) 청소기용 핸들 틸팅장치
JP2005137684A (ja) 電気掃除機用管継手及び電気掃除機
KR20060128415A (ko) 진공 청소기용 연장관의 굴절장치
JP2005152038A (ja) 電気掃除機用管継手及び電気掃除機
JP200516110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KR20230073870A (ko)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101629303B1 (ko) 진공청소기
KR200479158Y1 (ko)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