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852B1 - 케이블 포설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852B1
KR101454852B1 KR1020130118502A KR20130118502A KR101454852B1 KR 101454852 B1 KR101454852 B1 KR 101454852B1 KR 1020130118502 A KR1020130118502 A KR 1020130118502A KR 20130118502 A KR20130118502 A KR 20130118502A KR 101454852 B1 KR101454852 B1 KR 101454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in
dow
fix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ifts associated with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이동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권양기; 제1권양기에 연결되어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그리고, 일단은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구간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는 걸고리를 갖는 견인 와이어; 몸체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권양기; 제2권양기에 연결되어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제어 케이블; 및 제어 케이블 일단에 설치되며,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 장치{apparatus for feed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의 신축 시에는 전기 공급이 필요한 위치마다 전선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설치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금속제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구조물을 말하며, 수 개의 케이블이 다발 상태로 케이블 트레이 상에 포설된다.
선박의 경우에도, 전원 공급 및 장치간 연결을 위해 수많은 케이블이 다단의 케이블 트레이 상에 포설되는데, 그 종류 및 사이즈가 다양하며 선종에 따라 많게는 수십만 미터가 포설되게 된다.
케이블 트레이 상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포설작업의 순서는 보통 포설될 구간 내에 미리 케이블을 당기기 위한 "로프 포설"로 시작된다.
이와 같은 로프 포설은 작업자에 의해 전구간에서 수동으로 작업되며, 케이블의 자중이 무거워 한 가닥씩 케이블을 포설해야 하는 경우 여러 가닥의 케이블 포설을 위해 해당 구간에서 각 케이블에 대해 반복적으로 로프 포설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높낮이가 다른 케이블 트레이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서 포설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로프를 포설하는 시간이 전체 케이블 포설 작업 시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등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2-0063683(공개일자 2012년06월18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높낮이가 다른 케이블 트레이 및 수직하게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 포설 구간을 왕복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이동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권양기; 상기 제1권양기에 연결되어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그리고, 일단은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구간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는 걸고리를 갖는 견인 와이어;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권양기; 상기 제2권양기에 연결되어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제어 케이블; 및 상기 제어 케이블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권양기와 상기 제2권양기가 서로 권취 동작과 권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권양기와 상기 제2권양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몸체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후방 이동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몸체부가 전방으로 일정시간 이동 후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권양기와 상기 제2권양기의 후방 이동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는 오프 딜레이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한 쌍의 이탈 방지 바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포설용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요철판; 상기 요철판과 마주하는 자성체의 압박판을 갖고,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고정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포설용 케이블이 상기 압박판과 상기 요철판 사이에 압박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대에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높낮이가 다른 케이블 트레이 및 수직으로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 상에서 케이블 포설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포설하고자 하는 케이블이 많아 빈번한 왕복 포설이 필요한 경우 빠른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포설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포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케이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케이블 포설 장치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포설 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는 케이블 트레이(1)를 따라 케이블 포설 구간을 왕복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 케이블 포설 장치(10)는 몸체부(100), 제1권양기(200), 견인 와이어(300), 제2권양기(400), 제어케이블(500),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1)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된 한 쌍의 사이드 레일(2) 및 한 쌍의 사이드 레일(2)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크로스 빔(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케이블 트레이(1)는 구조물에 배치되는 전선 등의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횡방향 부재(크로스 빔)를 포함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뿐만 아니라 채널형, 바닥 밀폐형 및 이와 유사한 용도를 가지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케이블(C)은 와이어, 전선, 전선의 포설을 위해 전선을 당기기 위한 로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몸체부(100)는 제1권양기(200), 제2권양기(400), 그리고 후술한 케이블 고정부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알루미늄이나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케이블 포설 장치(10)의 자중을 줄이기 위해 몸체부(100)는 파이버 글래스가 보강된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몸체부(100)의 양측면에는 이탈 방지 바퀴(170)들이 설치된다. 이탈 방지 바퀴(170)들은 몸체부(100)가 케이블 트레이(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블 트레이(1)의 사이드 레일(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다. 즉, 몸체부(100)는 이탈 방지 바퀴(170)들에 의해 수직 상태에서도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케이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의 저면에는 포설용 케이블(C)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부(180)가 설치된다. 케이블 고정부(180)는 요철판(182), 고정대(184), 영구자석(186) 그리고 전자석(188)을 포함한다.
요철판은 몸체부(100)의 저면에 설치된다. 요철판(182)은 포설용 케이블(C)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요철들을 포함한다. 고정대(184)는 포설용 케이블(C)을 요철판(182)에 압박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저면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대(184)는 요철판(182)과 마주하는 압박판(184a)과, 압박판(184a)과 연결되어 몸체부(100)의 저면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2개의 지지로드(184b)를 포함한다. 압박판(184a)는 전자석(188)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시킨 자력에 의해 반응할 수 있는 금속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정대(184)는 전자석(188)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도 영구자석(186)에 의해 몸체부(100)에 달라 붙기 때문에 덜렁거리지 않는다.
전자석(188)은 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전자석(188)은 포설용 케이블(C)이 압박판(184a)과 요철판(182) 사이에 압박 고정되도록 압박판(184a)에 자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전자석(188)은 케이블 포설 장치(1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에만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180)는 케이블 포설 장치(10)가 전방 이동할 경우 포설용 케이블(C)을 잡고 있다가 역방향 스위치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석(188) 전원은 차단되지만 오프 딜레이 타이머의 설정된 시간 동안 케이블 포설 장치(10)는 일정 거리 전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포설용 케이블(C)이 자동으로 케이블 고정부(180)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다.
제1권양기(200)는 몸체부(100)의 전방에 설치된다. 제1권양기(200)는 견인 와이어(300)를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것으로, 릴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 와이어(300)는 끝단에 트레이의 포설 구간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는 카라비너 또는 걸고리(310)를 구비한다.
제2권양기(400)는 몸체부(100)의 후방에 설치된다. 제2권양기(400)는 제어 케이블(500)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것으로, 릴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 제어 케이블(500) 끝단에 연결된다. 제어부(600)는 내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6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내장된 정방향 스위치, 역방향 스위치 그리고 정지 스위치로 포설 장치(1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600)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1권양기(200), 제2권양기(400) 그리고 전자석(188)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600)는 제어 케이블(500)을 통해 유선으로 케이블 포설 장치(10)를 조종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1) 내에서 케이블 포설을 위해 전방(위) 및 후방(아래)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케이블(500)를 통해 몸체부(100)와 연결되어 유선으로 제어되는 제어부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격조종(remote control, 미도시)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되는 제어부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원(610)은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파워 케이블 없이도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 공급원(610)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의 정방향 스위치를 누르면 전자 릴레이(620)가 동작하여 제1권양기(200)는 감김 동작, 제2권양기(400)는 풀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각각의 모터가 제어된다. 몸체부(100)는 제1권양기(200)의 감김 동작, 제2권양기(400)의 풀림 동작에 의해 전방(상부)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역방향 스위치를 누르면, 먼저 오프 딜레이 타이머(630)가 작동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몸체부(100)가 잠시 전면으로 나아가다가 설정시간이 끝나면 멈추고 바로 전자 릴레이(640)가 동작하여 제1권양기(200)는 풀림 동작, 제2권양기(400)는 감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각각의 모터가 제어된다. 이에, 몸체부(100)는 제1권양기(200)의 풀림 동작, 제2권양기(400)의 감김 동작에 의해 후방(하부)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는 제1권양기 및 제2권양기의 회전력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와인딩 작용으로 케이블 포설 구간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도 5는 케이블 포설 장치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포설을 위해서는 우선 견인 와이어(300)의 걸고리(310)를 케이블 트레이(1)의 포설 구간의 상단에 고정하고, 케이블 포설 장치(10)는 케이블 트레이(1)의 포설 구간 하단에 위치시킨다. 포설 구간 하단에 위치된 케이블 포설 장치(10)의 케이블 고정부에 포설용 케이블(C)을 견고하게 고정한 후, 작업자가 제어부(600)의 정방향 스위치를 누르면 제1권양기(200)의 감김 동작, 제2권양기(400)의 풀림 동작에 의해 케이블 포설 장치(1)는 포설용 케이블(C)을 끌고 케이블 트레이(10)를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10)는 높낮이가 다른 케이블 트레이에서도 케이블 포설이 가능하며, 특히 특수선박에 반드시 설치되는 붐 크레인 같은 곳은 크레인 상부에 설치된 구동 장치까지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기둥을 따라 거의 수직으로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장소에서도 케이블 포설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전반과 구동장치 간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많아 포설 작업시 빈번한 왕복 작업을 가장 빠른 시간 내에 혼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몸체부 200 : 제1권양기
300 : 견인 와이어 400 : 제2권양기
500 : 제어케이블 600 : 제어부

Claims (7)

  1.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따라 케이블을 포설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이동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권양기;
    상기 제1권양기에 연결되어 감겨지거나 풀어지며, 일단에 걸고리를 갖는 견인 와이어;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권양기;
    상기 제2권양기에 연결되어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제어 케이블; 및
    상기 제어 케이블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권양기와 상기 제2권양기가 서로 권취 동작과 권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권양기와 상기 제2권양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몸체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후방 이동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몸체부가 전방으로 일정시간 이동 후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권양기와 상기 제2권양기의 후방 이동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는 오프 딜레이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한 쌍의 이탈 방지 바퀴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포설용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요철판;
    상기 요철판과 마주하는 자성체의 압박판을 갖고,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고정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포설용 케이블이 상기 압박판과 상기 요철판 사이에 압박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대에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KR1020130118502A 2013-10-04 2013-10-04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454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502A KR101454852B1 (ko) 2013-10-04 2013-10-04 케이블 포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502A KR101454852B1 (ko) 2013-10-04 2013-10-04 케이블 포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852B1 true KR101454852B1 (ko) 2014-10-28

Family

ID=5199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502A KR101454852B1 (ko) 2013-10-04 2013-10-04 케이블 포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072B1 (ko) * 2017-02-14 2017-06-23 주식회사 인덕 케이블 포설장치
CN112864955A (zh) * 2021-04-13 2021-05-28 合肥工业大学 一种空间桁架通信线缆的穿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04B1 (ko) 1999-03-19 2001-11-03 변정환 케이블 당김구
KR20080105596A (ko) * 2007-05-31 2008-12-04 (주)동양인더스트리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이송구
KR101036255B1 (ko) 2011-01-04 2011-06-23 주식회사 키미 엘리베이터의 하강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04B1 (ko) 1999-03-19 2001-11-03 변정환 케이블 당김구
KR20080105596A (ko) * 2007-05-31 2008-12-04 (주)동양인더스트리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이송구
KR101036255B1 (ko) 2011-01-04 2011-06-23 주식회사 키미 엘리베이터의 하강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072B1 (ko) * 2017-02-14 2017-06-23 주식회사 인덕 케이블 포설장치
CN112864955A (zh) * 2021-04-13 2021-05-28 合肥工业大学 一种空间桁架通信线缆的穿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0368B2 (en) Hoist system for retrofitting small scissor lift to access enclosed areas in building structure
US11603302B2 (en) Work gondola apparatus and work vehicle provided with same
KR101454852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JP5752184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KR101356369B1 (ko)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JP5850218B2 (ja) クレーンフック部における充電システム
US20150041739A1 (en) Truck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ires
MX2014005629A (es) Equipo para mover personas en altura en superficies no horizontales con translacion vertical y horizontal.
EP3442894A2 (en) Self-contained hoist device, rail device and hoist system
KR101767344B1 (ko) 고소작업차용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견인고정장치
KR101733124B1 (ko)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KR101467108B1 (ko) 다기능 곤돌라
CN110535068B (zh) 一种用于建筑工程使用的墙壁电路穿线装置
CN210236964U (zh) 一种装配式内隔墙板快捷安装工具
CN111422742A (zh) 一种电动葫芦拖缆装置及方法
KR20110130278A (ko) 삭도용 캐리지
KR101361065B1 (ko) 신설 철도노반용 3열 전력 케이블 동시 포설방법
CN217508109U (zh) 一种辅助电缆敷设的滑轮组件及电缆敷设装置
EP3922589A1 (en) Installation arrangement and construction-time elevator
JP4292114B2 (ja) 演出空間用給電装置および給電方法
KR200483041Y1 (ko) 케이블 가설 장치
CN102653942B (zh) 混凝土斜坡伸缩缝切割机的牵引装置及使用方法
CN211143635U (zh) 一种建筑垃圾电动传送装置
CN211829477U (zh) 抓钢机的取电装置
JP2004266952A (ja) ケーブルの布設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