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232B1 -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 - Google Patents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232B1
KR101454232B1 KR1020120148153A KR20120148153A KR101454232B1 KR 101454232 B1 KR101454232 B1 KR 101454232B1 KR 1020120148153 A KR1020120148153 A KR 1020120148153A KR 20120148153 A KR20120148153 A KR 20120148153A KR 101454232 B1 KR101454232 B1 KR 10145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wall
duct part
vertical duc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887A (ko
Inventor
이광진
조남경
한영민
김승한
유병일
김진선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2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로켓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의 연소시험시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제트가스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에 있어서, 지지부(150)에 지지되어 대략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로켓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제트가스가 화염과 함께 유입되는 유입구(117)가 형성된 수직덕트부(110); 상기 수직덕트부(110)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하부에 일단이 체결되며, 내부로 유입된 제트가스의 유동방향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덕트부(120); 상기 절곡덕트부(120)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절곡덕트부(120)의 타단에 체결되며, 지지부(150)에 지지되어 대략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덕트부(130); 및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주분사구(141)가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주분사구(141)를 통해 상기 제트가스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노즐(140);을 포함하는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Elbow Type Silencer For Noise Reduction Of Jet Gas}
본 발명은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켓엔진 및 가스터빈 엔진의 연소시험시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제트가스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며, 상기 제트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화염의 코어부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가스 소음 저감장치들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트소음 저감수단을 구비한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의 경우에는 엔진의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하는 제트 소음을 원추형 확장관과 분절홀을 이용하여 저감시키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으나, 엔진의 배기가스 온도가 1,000 ℃를 초과하거나 초음속 유동인 경우에는 소음기 자체의 냉각 문제와 충격파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물을 이용한 후류처리장치'의 경우에는 수평형 구조로 고온 고속의 화염과 연소가스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제한되며,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만 국한적으로 이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소음 저감을 위한 물의 공급방법이 제트소음의 코어 부분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모멘텀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코어 부분이 효율적으로 냉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91938호(2011. 12. 02), 제트소음 저감수단을 구비한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등록특허공보 제10-0469008호(2005. 01. 20), 물을 이용한 후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트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화염의 코어부분에 직접적으로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고, 수직형 구조로 구비되어 제트가스가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며, 제트가스의 유로를 이루는 각 덕트에는 덕트의 내측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분사공이 구비된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는, 로켓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의 연소시험시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제트가스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에 있어서, 지지부(150)에 지지되어 대략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로켓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제트가스가 화염과 함께 유입되는 유입구(117)가 형성된 수직덕트부(110); 상기 수직덕트부(110)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하부에 일단이 체결되며, 내부로 유입된 제트가스의 유동방향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덕트부(120); 상기 절곡덕트부(120)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절곡덕트부(120)의 타단에 체결되며, 지지부(150)에 지지되어 대략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덕트부(130); 및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주분사구(141)가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주분사구(141)를 통해 상기 제트가스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노즐(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노즐(140)은,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주분사구(141)가 내부에 배치되되,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분사구(141)가 수직덕트부(110)의 중심(C) 위치에 배치되며, 하향경사진 몸통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화염의 코어부분에 상기 냉각수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보조분사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노즐(140)은,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주분사구(141)가 내부에 배치되되,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덕트부(110)는, 측부가 외벽(112)과 내벽(113)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외벽(112)과 내벽(113)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로(114)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113)에는 수직덕트부(110)의 내부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냉각수로(114)로 유입된 냉각수가 분사되는 분사공(1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공(115)은, 내벽(113) 내에서 하향경사진 형태로 개구되어 하부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공(115)은,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내벽(113)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15)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되 하부는 개구되어, 상기 분사공(115)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내벽(113)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덕트부(110)는, 복수 개의 덕트유닛(111)이 플렌지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공(115) 및 가이드부(116)는 각 덕트유닛(111)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덕트부(120)는, 측부가 외벽(122)과 내벽(123)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외벽(122)과 내벽(123)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로(124)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123)이 외벽(12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서 상기 냉각수로(124)의 단부에는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유입된 냉각수가 분사되는 분사공(1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덕트부(120)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외벽(122)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25)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되 하부는 개구되어, 상기 분사공(125)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내벽(123)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곡덕트부(120)는, 복수 개의 덕트유닛(121)이 플렌지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공(125) 및 가이드부(126)는 각 덕트유닛(121)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에 의하면,
첫째,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제트가스를 하부위치에서 수용하는 수직덕트부의 수직형 구조를 통해, 제트가스가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며, 더욱이, 수직덕트부와 수직덕트부의 후단에 체결되는 절곡덕트부의 배치된 각도를 조절하여 화염 및 제트가스의 배출 방향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둘째, 수직덕트부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제트가스의 유동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노즐을 통해 상기 제트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화염의 코어부분에 직접적으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코어부분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트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냉각노즐은 수직덕트부의 측부에 관통삽입된 상태로 수직덕트부의 내부에서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주분사구가 수직덕트부의 중심(C) 위치에 배치되며, 하향경사진 몸통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화염의 코어부분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보조분사구가 형성되므로, 상기 코어부분의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넷째, 수직덕트부 및 절곡덕트부에는 각 덕트유닛마다 각 덕트부의 내측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분사공이 형성되므로, 상기 화염 및 고열의 배기가스에 의해 덕트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가스 소음 저감장치들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덕트부 및 냉각노즐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노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덕트부의 냉각수 공급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곡덕트부의 냉각수 공급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이하에서는 '곡관형 소음기(100)'라 명칭함)는, 제트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화염의 코어부분에 직접적으로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수직형 구조로 구비되어 제트가스가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며, 제트가스가 유동하는 각 덕트가 과열방지 구조로 구비된 소음기로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덕트부(110), 절곡덕트부(120), 수평덕트부(130) 및 냉각노즐(14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수직덕트부(110)는, 수직형 구조로 배치되어 로켓엔진 및 가스터빈 엔진의 연소시험시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제트가스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성으로서, 지지부(150)에 의해 지지되어 대략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로켓엔진 및 가스터빈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제트가스가 화염과 함께 유입되는 유입구(11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덕트부(110)는 도 3에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덕트유닛(111)이 플렌지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조립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덕트부(110)는 측부가 외벽(112)과 내벽(113)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외벽(112)과 내벽(113)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로(114)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113)에는 수직덕트부(110)의 내부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냉각수로(114)로 유입된 냉각수가 분사되는 분사공(115)이 수직덕트부(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사공(115)은 내벽(113) 내에서 하향경사진 형태로 개구되어 하부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사된 냉각수는 내벽(113)의 내측면을 냉각시키면서 수직덕트부(110)의 내부로 유입된 화염 및 고열의 배기가스에 의해 수직덕트부(11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내부에 해당하는 내벽(113)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15)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되 하부는 개구되어 분사공(115)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내벽(113)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분사공(115)을 통한 냉각수의 분사동작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므로, 고압의 제트가스 및 화염의 영향이 분사공(115)에 가해져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효율이 저하되거나 분사방향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분사공(115) 및 가이드부(116)는 복수 개로 구비된 각 덕트유닛(111) 별로 형성되어 냉각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덕트부(120)는, 유입된 제트가스의 유동방향이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직덕트부(110)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수직덕트부(110)의 하부에 일단이 체결되며, 내부로 유입된 제트가스의 유동방향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덕트유닛(121)이 플렌지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조립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덕트부(120)는 측부가 외벽(122)과 내벽(123)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외벽(122)과 내벽(123)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로(124)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123)이 외벽(12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서 상기 냉각수로(124)의 단부에는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유입된 냉각수가 분사되는 분사공(1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덕트부(120)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외벽(122)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25)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되 하부는 개구되어, 상기 분사공(125)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내벽(123)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26)가 형성된다. 따라서, 분사공(125)을 통해 분사된 냉각수는 내벽(123)의 내측면을 냉각시키면서 절곡덕트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열의 배기가스에 의해 수직덕트부(11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기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26)에 의해 분사공(125)을 통한 냉각수의 분사동작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므로, 고압의 제트가스 및 화염의 영향이 분사공(125)에 가해져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효율이 저하되거나 분사방향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분사공(125) 및 가이드부(126)는 복수 개로 구비된 각 덕트유닛(121) 별로 형성되어 냉각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덕트부(130)는, 절곡덕트부(120)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절곡덕트부(120)의 타단에 체결되며, 지지부(150)에 의해 지지되어 대략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후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배기 소음기(7)가 체결된다. 상기 배기 소음기(7)는 상측으로 굴뚝과 같이 돌출되며 이중으로 흡음재가 설치되어 최종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냉각노즐(140)은, 수직덕트부(110)의 유입구(117)로 유입되는 화염 및 제트가스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주분사구(141)가 수직덕트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주분사구(141)을 통해 제트가스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노즐(140)는 수직덕트부(11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주분사구(141)가 내부에 배치되되,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분사구(141)가 수직덕트부(110)의 중심(C) 위치에 배치되며, 하향경사진 몸통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화염의 코어부분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보조분사구(1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염의 코어부분에 직접적으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주분사구(141) 및 보조분사구(142)의 구성을 통해 코어부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트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냉각노즐(140)의 주분사구(141)가 중심(C) 위치까지 연장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노즐(140)는 수직덕트부(11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주분사구(141)가 내부에 배치되되,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수직덕트부(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화염의 코어 외측방향에서 중심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코어부분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관형 소음기(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제트가스를 하부에서 유입시키는 수직덕트부(110)의 수직형 구조를 통해, 제트가스가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며, 더욱이, 수직덕트부(110)와 그 후단에 체결되는 절곡덕트부(120)가 상호 배치된 각도를 조절하여 화염 및 제트가스의 배출 방향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곡관형 소음기(100)의 벽면 보호를 위한 냉각방식과 제트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냉각수 분사방식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내구성 및 소음기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곡관형 소음기 110...수직덕트부
111..덕트유닛 112,122...외벽
113,123...내벽 114,124...냉각수로
115,125...분사공 116,126...가이드부
130...수평덕트부 140...냉각노즐
141...주분사구 142...보조분사구
150...지지부

Claims (11)

  1. 로켓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의 연소시험시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제트가스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에 있어서,
    지지부(150)에 지지되어 대략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로켓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제트가스가 화염과 함께 유입되는 유입구(117)가 형성된 수직덕트부(110);
    상기 수직덕트부(110)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하부에 일단이 체결되며, 내부로 유입된 제트가스의 유동방향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덕트부(120);
    상기 절곡덕트부(120)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절곡덕트부(120)의 타단에 체결되며, 지지부(150)에 지지되어 대략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덕트부(130); 및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주분사구(141)가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상기 주분사구(141)를 통해 상기 제트가스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노즐(140);을 포함하되,
    상기 냉각노즐(140)은,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주분사구(141)가 내부에 배치되되,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분사구(141)가 수직덕트부(110)의 중심(C) 위치에 배치되며, 하향경사진 몸통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화염의 코어부분에 상기 냉각수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보조분사구(1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덕트부(110)는,
    측부가 외벽(112)과 내벽(113)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외벽(112)과 내벽(113)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로(114)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113)에는 수직덕트부(110)의 내부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냉각수로(114)로 유입된 냉각수가 분사되는 분사공(1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115)은, 내벽(113) 내에서 하향경사진 형태로 개구되어 하부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115)은,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덕트부(110)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내벽(113)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15)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되 하부는 개구되어, 상기 분사공(115)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내벽(113)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덕트부(110)는,
    복수 개의 덕트유닛(111)이 플렌지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공(115) 및 가이드부(116)는 각 덕트유닛(111)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덕트부(120)는,
    측부가 외벽(122)과 내벽(123)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외벽(122)과 내벽(123)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로(124)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123)이 외벽(12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서 상기 냉각수로(124)의 단부에는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유입된 냉각수가 분사되는 분사공(1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덕트부(120)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외벽(122)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25)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되 하부는 개구되어, 상기 분사공(125)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내벽(123)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덕트부(120)는,
    복수 개의 덕트유닛(121)이 플렌지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공(125) 및 가이드부(126)는 각 덕트유닛(121)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KR1020120148153A 2012-12-18 2012-12-18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 KR10145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53A KR101454232B1 (ko) 2012-12-18 2012-12-18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53A KR101454232B1 (ko) 2012-12-18 2012-12-18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887A KR20140078887A (ko) 2014-06-26
KR101454232B1 true KR101454232B1 (ko) 2014-10-23

Family

ID=5113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153A KR101454232B1 (ko) 2012-12-18 2012-12-18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473A (ko) * 2018-05-08 2019-1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5279B2 (ja) * 2017-12-27 2022-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排気装置
CN113074065B (zh) * 2021-04-06 2022-04-01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一种用于传热多相流噪声综合研究的动力系统
CN112983683A (zh) * 2021-04-13 2021-06-18 西安蓝坤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火箭发动机高空模拟试验的装置及方法
CN113670627B (zh) * 2021-08-13 2024-04-26 上海坦泽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火箭发动机地面试车尾焰降噪引射筒
CN116504145B (zh) * 2023-01-13 2023-11-28 湖南蓝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兼容共阴共阳的全倒装microLED显示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3131U (ko) * 1985-12-03 1987-06-13
JPH0921725A (ja) * 1995-07-04 1997-01-21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ロケットエンジン試験装置
KR20010057323A (ko) * 1999-12-21 2001-07-04 장근호 물을 이용한 소음감쇠장치
JP3632970B2 (ja) 1997-08-12 2005-03-3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排気ジェット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3131U (ko) * 1985-12-03 1987-06-13
JPH0921725A (ja) * 1995-07-04 1997-01-21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ロケットエンジン試験装置
JP3632970B2 (ja) 1997-08-12 2005-03-3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排気ジェット冷却装置
KR20010057323A (ko) * 1999-12-21 2001-07-04 장근호 물을 이용한 소음감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473A (ko) * 2018-05-08 2019-1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음기
KR102083471B1 (ko) * 2018-05-08 2020-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887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232B1 (ko) 제트가스의 소음저감을 위한 곡관형 소음기
CN101672477B (zh) 分段式燃烧器盖
RU2568030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пульсаций камеры сгорания
KR101346469B1 (ko) 2차 연소 시스템 및 질소산화물 배기 감소 방법
JP6134544B2 (ja) 作動流体を燃焼器に供給するシステム
JP6708380B2 (ja) 燃焼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料噴射器組立体
JP5650910B2 (ja) 地上設置式単純サイクルパルスデトネーション燃焼器ベースの発電用ハイブリッドエンジン
WO2011052642A1 (ja) チャンバ付騒音低減装置
JP5584700B2 (ja) 音響ダンパ
JP6769370B2 (ja) 燃焼装置及びガスタービン
KR101278280B1 (ko) 저녹스형 버너
JP2011163752A (ja) 燃焼器のヘッド端部に高圧空気を供給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111015A1 (en) Self-oscillating fuel injection jets
US20180187563A1 (en) Gas turbine transition duct with late lean injection having reduced combustion residence time
JP7174208B2 (ja) 火力発電所の排ガス処理装置
JP2014169853A (ja) 燃焼装置および燃焼装置の圧力変動を低減する方法
RU2015108962A (ru) Сопло для подачи горящей плазмы
JP2010043851A (ja) コンタードインピンジメントスリーブ孔
WO2011052566A1 (ja) 騒音低減装置
KR101291258B1 (ko) 배기관 배압손실 저감 장치
JP2019174051A (ja) 燃焼装置及びガスタービン
JP2017057850A (ja) 消音要素及びカプラを有するサイレンサダクト
KR20120082649A (ko) 저녹스형 오일 버너
JP3948097B2 (ja) ボイラの過熱低減器
JP2016128651A (ja) 内燃機関の排気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