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350B1 -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Google Patents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2350B1 KR101452350B1 KR1020120101375A KR20120101375A KR101452350B1 KR 101452350 B1 KR101452350 B1 KR 101452350B1 KR 1020120101375 A KR1020120101375 A KR 1020120101375A KR 20120101375 A KR20120101375 A KR 20120101375A KR 101452350 B1 KR101452350 B1 KR 101452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 side
- side wall
- air hole
- port
- vertica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가 접안되는 항만 안벽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기술로서, 항만 안벽 모서리를 덮을 수 있도록 성형되며, 수평부,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로 이루어지는 보호판; 상기 수평부, 상기 수직부, 상기 중간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 상기 고정너트에 일단이 체결되는 앙카 바; 상기 수평부, 상기 수직부, 상기 중간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가 접안되는 항만 안벽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기술이다.
항구에는 배가 접안하여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으며, 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안벽이 시공된다.
통상 안벽의 상단 모서리 부위는 선체와 부딪히기도 하여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안벽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해 안벽 모서리를 덮는 보호구가 사용된다.
대표적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1-0097141호(2001.11.08 공개)의 "항만구조물의 모서리보호구"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부를 갖는 몸체(10)와 몸체의 상하단 내측면에 절곡형 앵글(20,21)이 접착 고정된다. 특히 몸체(10)는 유리섬유매트와 유리섬유로빙 및 다축 유리섬유직포를 교차로 배치시킨 구조를 이룬다.
종래기술의 경우 절곡형 앵글(20,21)은 몸체(10)에 부착시킨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부피를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동시나 보관 중에 절곡형 앵글이 파손될 가능성도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모서리보호구를 항만구조물의 안벽에 부착할 때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모서리보호구의 위치를 잡은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모서리보호구의 절곡부 내측면에 콘크리트가 제대로 채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모서리보호구의 절곡부에 배출되지 못한 공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편, 항만 안벽에는 접안하려는 선박이 충돌하기도 하며, 안벽을 따라 보행을 하던 사람들이 바닷물로 추락하는 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에어홀을 마련함으로써 보호판 내측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선박이나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반사필름이나 형광필름이 부착되는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는, 상기 항만 안벽 모서리를 덮을 수 있도록 성형되며 에어홀이 복수개 형성된 보호판 ; 항만 안벽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보호판의 내면에서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앙카 바 ; 상기 에어홀에 결합되되, 통공이 형성되고 전면부에 반사필름 또는 형광필름이 부착되는 마개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에어홀의 내측에서 끼워지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걸림턱을 이루는 대경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는 에어홀이 마련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보호판의 내측면에 채워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에어홀에는 반사필름이나 형광필름이 부착된 마개를 연결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
도 6은 마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
도 6은 마개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는 보호판(100), 고정너트(200), 앙카 바(300), 에어홀(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호판(100)은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판(100)은 항만 안벽 모서리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이며, 수평부(110), 수직부(120) 및 중간부(13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0)와 수직부(120)는 서로 직각을 이루며, 수평부(110)와 수직부(120)는 중간부(130)에 의해 연결된다. 특히 중간부(130)는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진 형태이다.
보호판(100)을 이루는 수평부(110), 수직부(120), 중간부(130)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내면에 복수개의 고정너트(200)가 결합된다. 고정너트(200)는 암나사를 갖는 통상적인 금속성 너트로서 용접으로 보호판(100)에 결합된다.
고정너트(200)는 수평부(110), 수직부(120), 중간부(130)의 어느 한 곳 또는 두 곳 이상에 적당히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중간부(130)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너트(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하며, 제2실시예의 경우 수평부(110)와 수직부(120)에 고정너트(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제2실시예와 같이 수평부(110)와 수직부(120)에 고정너트(200)가 결합되는 경우 수평부(110)와 수직부(120)에 결합되는 고정너트(200)의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한다. 따라서 각 고정너트(200)에 앙카 바(300)를 체결하면 이웃하는 앙카 바(300)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상태가 된다.
각 고정너트(200)에 앙카 바(300)의 일단이 체결된다. 앙카 바(300)는 수나사를 갖는 길다란 볼트와 같은 것으로서 고정너트(200)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앙카 바(300)는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한다.
앙카 바(300)는 일반적인 길다란 볼트가 사용될 수도 있고, 스터드 볼트와 같은 것도 적당하다.
바람직하게 앙카 바(300)는 현장상황에 따라 적당한 길이를 갖는 것을 사용하며, 수나사산을 갖는 길다란 앙카 바(300)를 준비하여 현장에서 적당한 길이로 잘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앙카 바(300)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보호판(100)과는 별개로 현장으로 운반된다. 보호판(100)은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보호판(100)에 미리 앙카 바를 부착시킨 상태로 운반하고자 하면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보호판(100)과 앙카 바(300)를 분리한 상태로 운반하는데, 동일한 형태를 갖는 보호판(100)은 차례로 포갤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보호판(100)과 앙카 바(300)를 각각 별개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앙카 바(300)를 보호판(100)에 연결하게 되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상황에 맞는 앙카 바(300)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너트(200)에 결합되는 앙카 바(300)는 보호판(100)의 후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상태가 되며, 바람직하게 앙카 바(300)의 타측 단부에는 스토퍼(31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310)는 둥근 와셔와 같은 형태일 수 있고, 앙카 바(300)의 타측 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앙카 바(300)는 콘크리트에 함몰되며, 스토퍼(310)는 앙카 바(300)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보호판(100)을 이루는 수평부(110), 수직부(120), 중간부(130)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복수개의 에어홀(400)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에어홀(400)을 수평부(110) 및 중간부(130)에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며, 에어홀(400)의 존재로 인해서 콘크리트 타설 시 에어홀(400)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콘크리트가 보호판(100) 내면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고 공동부를 형성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홀(400)이 수평부(110)와 중간부(130)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수직부(120)에도 에어홀(40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에어홀(400)에는 마개(5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마개(500)는 보호판(100)의 내측에서 에어홀(40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개(500) 자체에도 공기의 소통을 위한 통공(5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홀(400)에 끼워지는 마개(500)의 전면부에는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은 에어홀(4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가 되도록 한다. 즉, 마개(500)에 부착된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은 에어홀(400) 내부에 위치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 적합하다. 마개(500)에 부착된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이 에어홀(400) 외측으로 돌출되면 마모로 인한 훼손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에어홀 내부에 안착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마개(500)의 중심부에 통공(510)이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의 소통에는 문제가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개(500)는 에어홀(400)의 내측에서부터 끼워지게 되는데, 마개(500)는 직경이 다른 소경부(520)와 대경부(530)로 이루어지고, 고무재와 같은 것으로 성형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소경부(520)가 에어홀(400)에 끼워지며, 소경부(520)와 대경부(530)는 걸림턱(525)을 경계로 형성된다. 걸림턱(525)은 에어홀(400) 주변부와 접촉되며 마개(5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개(500)에 부착되는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은 보행자는 물론이고 선박을 운행하는 사람들에게 항만 안벽의 위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확인시켜주게 된다.
마개(500)에 반사필름(600)이 부착되는 경우 주간이나 야간시 빛이 반사되어 사람들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줄 수 있고, 형광필름(600)이 부착되는 경우는 특히 야간시에 항만 안벽의 위치를 잘 알려주게 된다.
바람직하게 반사필름(600)이 부착되는 마개(500)와 형광필름(600)이 부착되는 마개(500)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는 보호판(100)에 고정너트(200)가 결합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시키고, 현장에서 앙카 바(300)를 고정너트(200)에 결합한 후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앙카 바(300)가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게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호판 110 : 수평부
120 : 수직부 130 : 중간부
200 : 고정너트 300 : 앙카 바
310 : 스토퍼 400 : 에어홀
500 : 마개 510 : 통공
520 : 소경부 530 : 대경부
525 : 걸림턱 600 : 반사필름(형광필름)
120 : 수직부 130 : 중간부
200 : 고정너트 300 : 앙카 바
310 : 스토퍼 400 : 에어홀
500 : 마개 510 : 통공
520 : 소경부 530 : 대경부
525 : 걸림턱 600 : 반사필름(형광필름)
Claims (2)
- 항만 안벽에 마련되어 항만 안벽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
상기 항만 안벽 모서리를 덮을 수 있도록 성형되며, 수평부,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로 이루어지며 에어홀이 복수개 형성된 보호판 ; 항만 안벽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수평부의 내면과 상기 수직부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앙카 바 ; 상기 에어홀에 결합되되, 통공이 형성되고 전면부에 반사필름 또는 형광필름이 부착되는 마개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앙카 바는 상기 보호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부의 내면과 상기 수직부의 내면에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며 서로 이웃하는 앙카바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에어홀의 내측에서 끼워지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걸림턱을 이루는 대경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1375A KR101452350B1 (ko) | 2012-09-13 | 2012-09-13 |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1375A KR101452350B1 (ko) | 2012-09-13 | 2012-09-13 |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5059A KR20140035059A (ko) | 2014-03-21 |
KR101452350B1 true KR101452350B1 (ko) | 2014-10-21 |
Family
ID=5064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1375A KR101452350B1 (ko) | 2012-09-13 | 2012-09-13 |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235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1654Y1 (ko) | 2001-12-31 | 2002-04-10 | 최두영 | 안전표시판을 형성한 고가도로, 고속도로, 교랑가드레일의 난간지주 |
KR100360365B1 (ko) | 2000-04-20 | 2002-11-18 |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 항만구조물의 모서리보호구 |
KR20110008191U (ko) * | 2010-02-12 | 2011-08-18 | 주식회사동일케미칼 | 발광램프를 구비한 모서리 보호구 |
KR200462644Y1 (ko) * | 2012-07-02 | 2012-09-21 | 주식회사 아세아마린테크 |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
2012
- 2012-09-13 KR KR1020120101375A patent/KR1014523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0365B1 (ko) | 2000-04-20 | 2002-11-18 |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 항만구조물의 모서리보호구 |
KR200271654Y1 (ko) | 2001-12-31 | 2002-04-10 | 최두영 | 안전표시판을 형성한 고가도로, 고속도로, 교랑가드레일의 난간지주 |
KR20110008191U (ko) * | 2010-02-12 | 2011-08-18 | 주식회사동일케미칼 | 발광램프를 구비한 모서리 보호구 |
KR200462644Y1 (ko) * | 2012-07-02 | 2012-09-21 | 주식회사 아세아마린테크 |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5059A (ko) | 2014-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0217B1 (ko) | 세로형 공기식 방현재 및 그 감시 방법 | |
US9644393B2 (en) | Impact absorbing barrier | |
KR101452350B1 (ko) |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
KR101975167B1 (ko) | 수상 플로트 구조물 | |
KR101722440B1 (ko) | 방폭 구조물 | |
KR200426203Y1 (ko) | 항만용 모서리 보강패널 | |
KR101263518B1 (ko) |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위한 선박충돌방호용 프로텍터의충격흡수 지지구조 | |
EP3277571A1 (en) | Improved device for a vessel | |
KR200462644Y1 (ko) |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
KR200482100Y1 (ko) | 선저플러그 파손방지용 케이싱유니트 | |
KR101508899B1 (ko) | 해상부유구조물용 휀더 | |
JP7002107B2 (ja) | 侵入防止構造体 | |
US20150144047A1 (en) | Fender holder and assembly | |
KR100577901B1 (ko) |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 |
ES2955557T3 (es) | Barreras y métodos de protección antirrotación con balasto de agua | |
KR102237126B1 (ko) |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 |
KR200470181Y1 (ko) | 선박용 함몰형 핸드레일 기구 | |
US20100307017A1 (en) | Underwater Foundation Leveling Device | |
KR200166615Y1 (ko) | 반사파 흡수구조를 가진 항내 접안시설 | |
JP2020169536A (ja) | 港湾の岸壁における安全管理方法及び安全管理システム | |
KR101400014B1 (ko) | 추락방지용 족장 | |
TWI532644B (zh) | Ship anti-pirate device | |
ES2381425T3 (es) | Dispositivo de retención de objetos apilados de áreas de almacenamiento | |
KR100989113B1 (ko) | 플로트 | |
KR200446227Y1 (ko) | 선박용 방현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