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44Y1 -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 Google Patents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644Y1
KR200462644Y1 KR2020120005736U KR20120005736U KR200462644Y1 KR 200462644 Y1 KR200462644 Y1 KR 200462644Y1 KR 2020120005736 U KR2020120005736 U KR 2020120005736U KR 20120005736 U KR20120005736 U KR 20120005736U KR 200462644 Y1 KR200462644 Y1 KR 200462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bor
anchor bar
stopper
coupl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마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마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마린테크
Priority to KR2020120005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가 접안되는 항만 안벽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기술로서, 항만 안벽 모서리를 덮을 수 있도록 성형되며, 수평부,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로 이루어지는 보호판; 상기 수평부, 상기 수직부, 상기 중간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 상기 고정너트에 일단이 체결되는 앙카 바; 상기 수평부, 상기 수직부, 상기 중간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WHARF EDGE PROTECTOR}
본 고안은 배가 접안되는 항만 안벽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기술이다.
항구에는 배가 접안하여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으며, 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안벽이 시공된다.
통상 안벽의 상단 모서리 부위는 선체와 부딪히기도 하여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안벽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해 안벽 모서리를 덮는 보호구가 사용된다.
대표적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1-0097141호(2001.11.08 공개)의 "항만구조물의 모서리보호구"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부를 갖는 몸체(10)와 몸체의 상하단 내측면에 절곡형 앵글(20,21)이 접착 고정된다. 특히 몸체(10)는 유리섬유매트와 유리섬유로빙 및 다축 유리섬유직포를 교차로 배치시킨 구조를 이룬다.
종래기술의 경우 절곡형 앵글(20,21)은 몸체(10)에 부착시킨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부피를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동시나 보관 중에 절곡형 앵글이 파손될 가능성도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모서리보호구를 항만구조물의 안벽에 부착할 때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모서리보호구의 위치를 잡은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모서리보호구의 절곡부 내측면에 콘크리트가 제대로 채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모서리보호구의 절곡부에 배출되지 못한 공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편, 항만 안벽에는 접안하려는 선박이 충돌하기도 하며, 안벽을 따라 보행을 하던 사람들이 바닷물로 추락하는 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1-0097141호(2001.11.08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로서 보호판에 부착될 앙카 바는 현장에서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호판의 운반이나 보관시에 부피가 최소로 할 수 있으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시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에어홀을 마련함으로써 보호판 내측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선박이나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반사필름이나 형광필름이 부착되는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는, 상기 항만 안벽 모서리를 덮을 수 있도록 성형되며, 수평부,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로 이루어지는 보호판; 상기 수평부, 상기 수직부, 상기 중간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 상기 고정너트에 일단이 체결되는 앙카 바; 상기 수평부, 상기 수직부, 상기 중간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에어홀에 통공을 갖는 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마개의 전면부에 반사필름이나 형광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마개는 상기 에어홀의 내측에서 끼워지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걸림턱을 이루는 대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앙카 바의 타측 단부에 스토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는 보호판과 앙카 바가 분리될 수 있어 보호판의 운반이나 적재가 용이하며, 앙카 바는 현장에서 필요에 맞게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에어홀이 마련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보호판의 내측면에 채워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에어홀에는 반사필름이나 형광필름이 부착된 마개를 연결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
도 6은 마개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는 보호판(100), 고정너트(200), 앙카 바(300), 에어홀(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호판(100)은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판(100)은 항만 안벽 모서리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이며, 수평부(110), 수직부(120) 및 중간부(13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0)와 수직부(120)는 서로 직각을 이루며, 수평부(110)와 수직부(120)는 중간부(130)에 의해 연결된다. 특히 중간부(130)는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진 형태이다.
보호판(100)을 이루는 수평부(110), 수직부(120), 중간부(130)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내면에 복수개의 고정너트(200)가 결합된다. 고정너트(200)는 암나사를 갖는 통상적인 금속성 너트로서 용접으로 보호판(100)에 결합된다.
고정너트(200)는 수평부(110), 수직부(120), 중간부(130)의 어느 한 곳 또는 두 곳 이상에 적당히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경우 중간부(130)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너트(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하며, 제2실시예의 경우 수평부(110)와 수직부(120)에 고정너트(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제2실시예와 같이 수평부(110)와 수직부(120)에 고정너트(200)가 결합되는 경우 수평부(110)와 수직부(120)에 결합되는 고정너트(200)의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한다. 따라서 각 고정너트(200)에 앙카 바(300)를 체결하면 이웃하는 앙카 바(300)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상태가 된다.
각 고정너트(200)에 앙카 바(300)의 일단이 체결된다. 앙카 바(300)는 수나사를 갖는 길다란 볼트와 같은 것으로서 고정너트(200)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앙카 바(300)는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한다.
앙카 바(300)는 일반적인 길다란 볼트가 사용될 수도 있고, 스터드 볼트와 같은 것도 적당하다.
바람직하게 앙카 바(300)는 현장상황에 따라 적당한 길이를 갖는 것을 사용하며, 수나사산을 갖는 길다란 앙카 바(300)를 준비하여 현장에서 적당한 길이로 잘라 사용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앙카 바(300)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보호판(100)과는 별개로 현장으로 운반된다. 보호판(100)은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보호판(100)에 미리 앙카 바를 부착시킨 상태로 운반하고자 하면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보호판(100)과 앙카 바(300)를 분리한 상태로 운반하는데, 동일한 형태를 갖는 보호판(100)은 차례로 포갤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과 같이 보호판(100)과 앙카 바(300)를 각각 별개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앙카 바(300)를 보호판(100)에 연결하게 되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상황에 맞는 앙카 바(300)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너트(200)에 결합되는 앙카 바(300)는 보호판(100)의 후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상태가 되며, 바람직하게 앙카 바(300)의 타측 단부에는 스토퍼(31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310)는 둥근 와셔와 같은 형태일 수 있고, 앙카 바(300)의 타측 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앙카 바(300)는 콘크리트에 함몰되며, 스토퍼(310)는 앙카 바(300)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보호판(100)을 이루는 수평부(110), 수직부(120), 중간부(130)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복수개의 에어홀(400)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에어홀(400)을 수평부(110) 및 중간부(130)에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며, 에어홀(400)의 존재로 인해서 콘크리트 타설 시 에어홀(400)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콘크리트가 보호판(100) 내면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고 공동부를 형성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홀(400)이 수평부(110)와 중간부(130)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수직부(120)에도 에어홀(40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의 에어홀(400)에는 마개(5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마개(500)는 보호판(100)의 내측에서 에어홀(40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개(500) 자체에도 공기의 소통을 위한 통공(5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홀(400)에 끼워지는 마개(500)의 전면부에는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은 에어홀(4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가 되도록 한다. 즉, 마개(500)에 부착된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은 에어홀(400) 내부에 위치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 적합하다. 마개(500)에 부착된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이 에어홀(400) 외측으로 돌출되면 마모로 인한 훼손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에어홀 내부에 안착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마개(500)의 중심부에 통공(510)이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의 소통에는 문제가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개(500)는 에어홀(400)의 내측에서부터 끼워지게 되는데, 마개(500)는 직경이 다른 소경부(520)와 대경부(530)로 이루어지고, 고무재와 같은 것으로 성형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소경부(520)가 에어홀(400)에 끼워지며, 소경부(520)와 대경부(530)는 걸림턱(525)을 경계로 형성된다. 걸림턱(525)은 에어홀(400) 주변부와 접촉되며 마개(5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개(500)에 부착되는 반사필름(600)이나 형광필름(600)은 보행자는 물론이고 선박을 운행하는 사람들에게 항만 안벽의 위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확인시켜주게 된다.
마개(500)에 반사필름(600)이 부착되는 경우 주간이나 야간시 빛이 반사되어 사람들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줄 수 있고, 형광필름(600)이 부착되는 경우는 특히 야간시에 항만 안벽의 위치를 잘 알려주게 된다.
바람직하게 반사필름(600)이 부착되는 마개(500)와 형광필름(600)이 부착되는 마개(500)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는 보호판(100)에 고정너트(200)가 결합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시키고, 현장에서 앙카 바(300)를 고정너트(200)에 결합한 후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앙카 바(300)가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게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전술한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보호판 110 : 수평부
120 : 수직부 130 : 중간부
200 : 고정너트 300 : 앙카 바
310 : 스토퍼 400 : 에어홀
500 : 마개 510 : 통공
520 : 소경부 530 : 대경부
525 : 걸림턱 600 : 반사필름(형광필름)

Claims (3)

  1. 항만 안벽에 마련되는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항만 안벽 모서리를 덮을 수 있도록 성형되며, 수평부,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로 이루어지는 보호판;
    상기 수평부, 상기 수직부, 상기 중간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
    상기 고정너트에 일단이 체결되는 앙카 바;
    상기 수평부, 상기 수직부, 상기 중간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에어홀;
    상기 에어홀에 결합되되, 통공이 형성되고 전면부에 반사필름 또는 형광필름이 부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에어홀의 내측에서 끼워지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걸림턱을 이루는 대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앙카 바의 타측 단부에 스토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KR2020120005736U 2012-07-02 2012-07-02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KR200462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736U KR200462644Y1 (ko) 2012-07-02 2012-07-02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736U KR200462644Y1 (ko) 2012-07-02 2012-07-02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644Y1 true KR200462644Y1 (ko) 2012-09-21

Family

ID=4755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736U KR200462644Y1 (ko) 2012-07-02 2012-07-02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50B1 (ko) * 2012-09-13 2014-10-21 주식회사 아세아마린테크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441A (en) 1978-06-23 1980-01-12 Bando Chem Ind Ltd Material for protecting edge of quay-wall
JPS559932A (en) 1978-07-04 1980-01-24 Bando Chem Ind Ltd Corner protective method for quay
KR100360365B1 (ko) 2000-04-20 2002-11-18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항만구조물의 모서리보호구
KR200426203Y1 (ko) * 2006-06-27 2006-09-19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항만용 모서리 보강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441A (en) 1978-06-23 1980-01-12 Bando Chem Ind Ltd Material for protecting edge of quay-wall
JPS559932A (en) 1978-07-04 1980-01-24 Bando Chem Ind Ltd Corner protective method for quay
KR100360365B1 (ko) 2000-04-20 2002-11-18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항만구조물의 모서리보호구
KR200426203Y1 (ko) * 2006-06-27 2006-09-19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항만용 모서리 보강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50B1 (ko) * 2012-09-13 2014-10-21 주식회사 아세아마린테크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2595B (zh) 漂浮架台製造方法
EP3615457B1 (en) Transport container
EP3054054B1 (en) Vertical pneumatic fender and monitoring method for same
ECSP19005293A (es) Tarima de carrete de tubo y método de uso
KR200462644Y1 (ko)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AU2015228581A1 (en) A security device
KR101813573B1 (ko)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EP3315432A1 (en) Rack post protection apparatus
KR20150053142A (ko) 슬로싱 억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슬로싱 방지용 화물창
ES2637279T3 (es) Contenedor de envío
ES2608833T3 (es) Un sistema de trasporte para artículos grandes y ensamblaje con el mismo
KR101975167B1 (ko) 수상 플로트 구조물
KR101173082B1 (ko) 부표를 이용한 등부표
EP3338588A1 (en) A trolley case
KR101715424B1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KR101452350B1 (ko) 항만 안벽 모서리 보호구
CN202416222U (zh) 户外电力线路管杆防护装置
US20120175373A1 (en) Flotation Device for a Container
ES2871827T3 (es) Contenedor
CN203473653U (zh) 货物集装箱
JP3213339U (ja) 水上浮揚型避難設備
CN204110469U (zh) 桶装饮用水水桶
US20150144047A1 (en) Fender holder and assembly
CN204475965U (zh) 充气梁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