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196B1 -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196B1
KR101452196B1 KR1020130081933A KR20130081933A KR101452196B1 KR 101452196 B1 KR101452196 B1 KR 101452196B1 KR 1020130081933 A KR1020130081933 A KR 1020130081933A KR 20130081933 A KR20130081933 A KR 20130081933A KR 101452196 B1 KR101452196 B1 KR 101452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health management
bod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filed Critical 이재현
Priority to KR102013008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매일 체중과 같은 신체 정보을 측정하고 별도로 기록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종래의 건강관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욕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매일 욕실을 이용할 때마다 체중, 체지방 및 비만도 등과 같은 신체 정보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동시에, 측정된 내용을 개인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에 자동으로 전송하고 저장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Smart health management system capable to install in bathroom and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욕실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매일 샤워를 할 때마다 체중이나 체지방, 비만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체 정보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체중이나 체지방, 비만도 등의 신체 정보를 자동적으로 개인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에 전송하고 저장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운동량은 줄어드는 추세에 따라 비만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되게 되면서 체중조절 및 다이어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체중조절 및 다이어트를 위한 방법에는 운동요법이나 식이요법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어느 경우라도 수시로 체중을 확인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체중조절에 있어서, 종래, 심리요법의 일환으로, 매일 체중을 측정하기만 하여도 일정 수준의 다이어트 효과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된 바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가 아니더라도, 최근에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자신의 체중을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해 체중계를 구입하여 방이나 거실에 비치해 두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체중을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해 일반 가정에서 사용 가능한 체중계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10-1115655호(2012.01.27.)에 제시된 바와 같은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115655호의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은, 욕실이나 화장실을 출입하면서 자신의 몸무게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욕실용 발판 등에 체중계를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은 발판 몸체에 단순히 안착 홈을 형성하고 그 위에 체중계를 올려놓은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발판을 들거나 뒤집을 때 체중계가 발판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체중계의 상면이 발판 몸체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될 우려가 매우 크며, 체중계와 발판 몸체 사이의 틈새로 들어간 물이 안착 홈 내부에 고이게 되어 체중계가 고장나거나 고인 물이 썩어 위생상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115655호는, 설치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널판부와 상기 설치 바닥에 대해 상기 널판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갖는 발판 몸체, 상기 널판부에 관통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는 체중계 및 상기 체중계에 마련되어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상기 체중계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체중계의 하면이 상기 널판부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거나 상기 널판부의 하면과 같은 위치에 있도록 상기 체중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115655호에 따르면, 체중계가 발판 몸체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발판 몸체에 관통 형성된 개구에 배치된 체중계가 브라켓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발판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체중계가 발판 몸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115655호의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 또한, 결과적으로는 발판에 체중계를 결합한 구성일 뿐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체중을 관리해야 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기존의 체중계와 다를 바 없는 것이었다.
즉, 종래의 체중계들은, 일반적으로, 단순히 체중을 표시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것이 대부분이며, 따라서 체중관리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방이나 거실에 있는 체중계를 통해 매일매일 체중을 재고, 그때의 체중을 일일이 기억 또는 별도록 기록하여 계속해서 자신의 체중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체중관리를 위해서는 매일매일 꾸준히 체중을 재고 체중 변화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현대인들의 생활 패턴 상 매일마다 체중을 재고 일일이 기록하면서 관리한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가 많고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도 있었다.
아울러, 이와 같이 체중을 재고 기록하는 작업을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늘어나게 되면, 체중관리가 허술해지게 되어 체중관리에 대한 의지나 의욕이 감퇴되고, 결과적으로 체중관리나 다이어트의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체중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사용자가 특별히 의도하지 않아도 매일매일 용이하게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체중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체중계는 제시된 바 없었다.
또한, 최근에는, 단순히 체중만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체중과 함께 체지방 및 비만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신체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종합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인 건강관리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신체정보를 동시에 제공 가능한 측정장치는, 비교적 고가인 경우가 많아 그러한 측정장치를 각 개인이 구비하기에는 비용 등의 측면에서 무리가 있다.
즉, 일반적인 경우, 체중뿐만 아니라 체지방이나 비만도 등과 같은 체질정보까지 측정 가능한 장비들은 대부분 병원이나 헬스클럽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신체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그러한 측정장치가 설치된 곳으로 매번 찾아가야 하므로, 이는 꾸준한 관리가 중요한 건강관리에 있어서 큰 단점이 되며, 결과적으로, 일반 가정에 있어서는, 현재까지도 상기한 바와 같은 단순한 체중계 이외에 건강관리를 위한 별다른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개인 차원에서 꾸준히 실천하기에는 여러 가지로 제약이 많았던 종래의 건강관리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단순한 종래의 체중계 대신에, 체지방이나 비만도 등과 같은 종합적인 신체 정보까지 일반 가정에서 측정가능한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측정장치를 찾아가 측정하지 않아도 일상 생활중에 자연스럽게 신체 정보가 측정되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건강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면 각 개인의 건강관리에 있어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시스템이나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측정장치를 찾아가 측정하지 않아도 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더하여, 측정된 여러 가지 신체정보를 사용자가 일일이 기록하고 관리할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별도의 저장공간에 기록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건강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건강관리를 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시스템이나 방법 또한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히 체중만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체중과 함께 체지방 및 비만지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신체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종합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존의 측정장치들은 비교적 고가인 경우가 많아 각 개인이 구비하기에는 비용 등의 측면에서 무리가 있고, 그로 인해 일반 가정에 있어서는 단순한 체중계 이외에 건강관리를 위한 별다른 대안이 없었던 종래의 건강관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욕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매일 샤워를 할 때마다 체중 및 체지방, 비만지수 등의 건강정보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된 신체정보를 자동적으로 개인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에 전송하고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일일이 자신의 신체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건강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별도로 기록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욕실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 체지방, 비만도, 체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상기 측정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측정부에 내장되어,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욕실의 바닥 또는 벽면에 설치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욕실을 이용할 때마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자동적으로 측정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직접 측정장치를 찾아가 측정하고 기록할 필요 없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측정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체지방, 비만도 및 체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질측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체중측정모듈이 상기 욕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체질측정모듈이 상기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측정부는, 상기 욕실의 바닥 또는 벽면에 설치 가능하도록 방수 기능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욕실의 바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타일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욕실 내에 설치된 타일과 동일한 색상이나 무늬로 형성되거나, 또는, 특정한 이미지나 도안을 포함하여 인테리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욕실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사용자를 등록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버튼;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시에, 외부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선택버튼 및 상기 제어패널을 통하여 미리 복수의 사용자와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각각의 사용자 선택버튼에 할당하여 저장해 두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욕실을 이용시 자신에게 할당된 사용자 선택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측정된 상기 신체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버튼 및 상기 제어패널을 통한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측정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선택버튼 및 상기 제어패널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표시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신체정보를 일자별로 순서대로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신체정보에 근거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가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정보를 일일이 기록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게 되는 동시에,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의 신체 변화를 확인하고 건강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표시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신체정보를 일자별로 순서대로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신체정보에 근거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 또는 전용의 단말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정보를 일일이 기록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확인하고 건강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별도로 기록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신체정보 수신부; 상기 신체정보 수신부에 의해 얻어진 상기 신체정보를 각각의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신체정보 저장부; 및 상기 신체정보 수신부에 의해 얻어진 신체정보 및 상기 신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신체정보의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변화를 관리하는 신체정보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체정보 수신부는,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의 측정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체정보 저장부 및 상기 신체정보 관리부는,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별도로 기록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체중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선택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신체정보를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표시부에 상기 신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제어부가 수신된 신체정보를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해당 신체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신체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상기 신체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동시에, 일정 기간 동안의 해당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욕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매일 샤워를 할 때마다 체중, 체지방 및 비만도 등과 같은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매일매일 신체 정보를 측정하고 일일이 기록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종래의 건강관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된 체중, 체지방 및 비만지수 등의 신체정보를 자동적으로 개인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에 전송하고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자신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는 동시에,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건강관리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과 외부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건강관리를 행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중과 함께 체지방 및 비만지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신체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종합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존의 측정장치들은 비교적 고가인 경우가 많아 각 개인이 구비하기에는 비용 등의 측면에서 무리가 있고, 그로 인해 일반 가정에 있어서는 단순한 체중계 이외에 건강관리를 위한 별다른 대안이 없었던 종래의 건강관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욕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매일 샤워를 할 때마다 체중 및 체지방, 비만지수 등의 건강정보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체중과 체지방, 비만도 등의 신체 정보를 자동적으로 개인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에 전송하고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일마다 일일이 기록하고 관리할 필요 없는 동시에, 언제 어디서나 열람 가능하여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건강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욕실과 같은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 체질량, 비만도, 체질 등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11)와, 욕실과 같은 실내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11)에 의해 측정된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12) 및 상기한 건강관리 시스템(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표시부(12) 또는 측정부(11)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한 건강관리 시스템(10)은, 욕실에 설치되는 특성상 일정 수준 이상의 방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한 측정부(1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 체질량, 비만도, 체질 등의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측정모듈이 내장되어 욕실의 바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타일의 형태로 형성되며,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욕실의 시공시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10)을 함께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욕실 바닥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측정부(11)가, 욕실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측정모듈과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지방이나 비만도 및 체질 등의 정보를 측정하는 체질측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한 측정부(11)는,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측정모듈과 체지방이나 비만도 등의 체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질측정모듈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측정부(11)는, 외관을 기존에 욕실 내에 설치된 타일과 동일한 색상이나 무늬로 형성하여 겉으로 보이지 않도록 숨길 수도 있고, 또는, 특별한 이미지나 도안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테리어의 효과를 얻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부(11)가 욕실의 바닥이나 벽면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매일매일 일일이 측정장치를 찾아가 측정하고 기록할 필요 없이, 매일 샤워를 하는 것만으로도 체중 및 체질 정보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표시부(1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욕실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측정부(11)에 의해 측정된 체중 및 체지방이나 비만도 등과 같은 체질에 대한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와, 복수의 사용자를 등록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버튼(14) 및 건강관리 시스템(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표시부(12)가 벽면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상기한 표시부(12)는, 벽면 이외에, 예를 들면, 천장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한 측정부(11)와 상기한 표시부(1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표시부(12)는, 사용자 단말과 같은 외부의 장치로 체중 및 체질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측정부(11)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13)에 표시하는 동시에,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부(11)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3)에 표시하는 동시에, 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사용자 단말(21)로 전송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2)는 측정부(11)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값을 표시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의 사용자 단말(21)에 전송하고, 또한, 사용자 단말(21)은, 표시부(12)로부터 전송된 측정값을 일자별로 순서대로 저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든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의 체중 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사용자 단말(2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2)로부터 전송된 측정값을 일자별로 순서대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앱이나 어플을 사용자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사용자 단말(21)은, 표시부(12)로부터 전송된 측정값을 일자별로 순서대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나, 그러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단말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1)로의 전송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 선택버튼(14) 및 제어패널(15)을 통하여 미리 복수의 사용자와 스마트폰의 번호를 각각의 사용자 선택버튼(14)에 할당하여 저장해 두고, 측정시, 즉, 욕실을 이용시에 사용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사용자 선택버튼(14)을 누르면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측정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표시부(12)에 내장되는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더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상기한 사용자 선택버튼(14) 및 제어패널(17)을 통한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부(31), 측정부(11)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32), 상기한 수신부(32)에 의해 수신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13)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3), 상기한 사용자 선택버튼(14) 및 제어패널(17)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전화번호와 같은 각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34) 및 측정부(11)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상기한 사용자 선택버튼(14)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단말(21)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10)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매일 욕실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신체 변화를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4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40)은, 크게 나누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정보 측정부(41), 상기 신체정보 측정부(41)에 의해 얻어진 신체정보를 각각의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신체정보 저장부(42) 및 상기 신체정보 측정부(41)에 의해 얻어진 신체정보 및 상기 신체정보 저장부(42)에 저장된 신체정보의 내용을 관리하는 신체정보 관리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신체정보 측정부(41)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10)의 측정부(11), 표시부(12) 및 제어부(30)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신체정보 저장부(42) 및 신체정보 관리부(43)는,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측정부(11), 표시부(12) 및 제어부(30)를 이용하여 신체정보 측정부(41)를 구성하고, 상기한 신체정보 저장부(42) 및 신체정보 관리부(43)는, 신체정보 측정부(41)로부터 수신된 신체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변화 추이를 그래프 등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앱 또는 어플을 각각의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21)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일 욕실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방법은, 먼저, 상기한 사용자 선택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를 선택하고(단계 S51),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신체정보를 표시부로 전송한다(단계 S52).
이어서, 표시부에 신체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된 각각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해당 신체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5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에 신체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신체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동시에, 일정 기간 동안의 해당 사용자의 신체 변화를 그래프나 표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 S54).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자신의 신체 변화를 확인하여 용이하게 건강관리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강관리시스템이 욕실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한 스마트 스마트 건강관리시스템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강관리시스템은, 욕실 이외에 방이나 거실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이외에 개인의 PC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한 사용자 단말이 다른 전용의 하드웨어로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을 구현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매일 샤워를 할 때마다 체중, 체지방 및 비만도 등과 같은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매일매일 신체 정보를 측정하고 일일이 기록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종래의 건강관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된 체중, 체지방 및 비만지수 등의 신체정보를 자동적으로 개인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에 전송하고 별도의 저장공간에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기록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는 동시에, 자신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건강관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스마트 건강관리시스템 11. 측정부
12. 표시부 13. 디스플레이
14. 사용자 선택버튼 15. 제어패널
21. 사용자 단말 30. 제어부
31. 입력부 32. 수신부
33. 디스플레이부 34. 저장부
35. 통신부 40. 건강관리 시스템
41. 신체정보 수신부 42. 신체정보 저장부
43. 신체정보 관리부

Claims (12)

  1.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별도로 기록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욕실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 체지방, 비만도, 체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상기 측정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측정부에 내장되어,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신체정보를 일자별로 순서대로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신체정보에 근거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전용의 단말장치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욕실의 바닥 또는 벽면에 설치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욕실을 이용할 때마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자동적으로 측정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직접 측정장치를 찾아가 측정하고 기록할 필요 없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측정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체지방, 비만도 및 체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질측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체중측정모듈이 상기 욕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체질측정모듈이 상기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욕실의 바닥 또는 벽면에 설치 가능하도록 방수 기능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욕실의 바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타일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욕실 내에 설치된 타일과 동일한 색상이나 무늬로 형성되거나, 또는, 특정한 이미지나 도안을 포함하여 인테리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욕실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사용자를 등록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버튼;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시에, 외부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선택버튼 및 상기 제어패널을 통하여 미리 복수의 사용자와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각각의 사용자 선택버튼에 할당하여 저장해 두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욕실을 이용시 자신에게 할당된 사용자 선택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측정된 상기 신체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버튼 및 상기 제어패널을 통한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측정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선택버튼 및 상기 제어패널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사용자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별도로 기록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신체정보 수신부;
    상기 신체정보 수신부에 의해 얻어진 상기 신체정보를 각각의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신체정보 저장부; 및
    상기 신체정보 수신부에 의해 얻어진 신체정보 및 상기 신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신체정보의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변화를 관리하는 신체정보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 수신부는,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의 측정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체정보 저장부 및 상기 신체정보 관리부는,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별도로 기록하여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체중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선택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신체정보를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표시부에 상기 신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제어부가 수신된 신체정보를 상기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해당 신체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신체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상기 신체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동시에, 일정 기간 동안의 해당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방법.
KR1020130081933A 2013-07-12 2013-07-12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101452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933A KR101452196B1 (ko) 2013-07-12 2013-07-12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933A KR101452196B1 (ko) 2013-07-12 2013-07-12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196B1 true KR101452196B1 (ko) 2014-10-23

Family

ID=5199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933A KR101452196B1 (ko) 2013-07-12 2013-07-12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1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57B1 (ko) 2017-10-11 2018-03-28 오원재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KR101929501B1 (ko) * 2016-01-20 2018-12-14 곽병관 다기능 일체형 체지방 측정기, 이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형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116A (ja) * 1998-01-08 1999-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健康管理装置
KR20020092309A (ko) * 2002-11-12 2002-12-11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주택용 건강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116A (ja) * 1998-01-08 1999-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健康管理装置
KR20020092309A (ko) * 2002-11-12 2002-12-11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주택용 건강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501B1 (ko) * 2016-01-20 2018-12-14 곽병관 다기능 일체형 체지방 측정기, 이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형 관리 시스템
KR101843157B1 (ko) 2017-10-11 2018-03-28 오원재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3577B2 (en) Biometric monitoring device having a body weight sens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EP2977974A1 (en) Lifestyle care assisting device
US6864436B1 (en) Wireless electronic scale
KR20100065770A (ko) 운동량 측정 장치, 운동량 측정 시스템 및 운동량 측정 방법
CN102715896A (zh) 一种具血压数据分析和管理功能的电子血压计
US20160127809A1 (en) Integrated work desk system and method for encouraging and tracking standing
US20090252306A1 (en)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CN102542517A (zh) 远程保健系统和使用其的保健方法
KR101452196B1 (ko)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JP2008259659A (ja) キッチン設備制御システム
JP2006296481A (ja) 体重測定機能付洗面ユニット
KR20170121617A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JP5215625B2 (ja) 活動管理システム
JP201721186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50007653A (ko) 욕실 바닥에 설치 가능한 타일형 스마트 체중계와 이를 이용한 체중관리 시스템 및 체중관리방법
JP5579565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CN111656452B (zh) 信息终端显示部的显示方法及记录介质
WO2020189019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7135859A (ja) 在宅健康管理システム
WO2019051672A1 (zh) 马桶盖及智能家居系统
CN210931125U (zh) 马桶盖及智能家居系统
JP2015082209A (ja) 健康管理システムおよび建物
Younge et al. ScaleMirror: A pervasive device to aid weight analysis
CA3018394A1 (en) Method that enables a mobile device to act as a workspace fitness device controller
CA3060624A1 (en) Apparatus with sensors that installs inside a large inflatable ball and communicates with othe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