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157B1 -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57B1
KR101843157B1 KR1020170130134A KR20170130134A KR101843157B1 KR 101843157 B1 KR101843157 B1 KR 101843157B1 KR 1020170130134 A KR1020170130134 A KR 1020170130134A KR 20170130134 A KR20170130134 A KR 20170130134A KR 101843157 B1 KR101843157 B1 KR 101843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oilet
display
vit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재
Original Assignee
오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재 filed Critical 오원재
Priority to KR102017013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1Local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in a facility, e.g. in a theat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operated by the opening or closing of doors, e.g. shop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2010/322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collecting data of u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2010/3253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with one or more reserve rolls
    • G06K2009/0093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5Biometric patterns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e.g. heartbeat, blood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의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화장실의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센서; 상기 본체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혈압 및 체온을 포함하는 바이탈 정보를 생성하는 바이탈 측정기; 상기 본체부 상에 설치되는 내부 디스플레이; 상기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바이탈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사용자의 유무 및 사용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관리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TOILET SAFETY CONVENIENC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많이 운집하게 되는 장소에는 복수의 양변기 또는 복수의 양변기와 소변기들이 설치된 공중화장실이 제공되어서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중화장실은 지하철역이나 터미널, 도로 휴게소, 공항 등은 물론, 극장, 공연장, 운동경기장, 공원, 사무용 빌딩 등 사람들이 많이 유동하거나 머무르게 되는 장소에 편의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을 구분하여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중화장실은 단순히 사용자의 용변을 위한 공간으로서 기능만을 제공하며, 사용적 측면과 관리적 측면에서 다양한 기능과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사용자 용변 공간의 폐쇄성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화장실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인에게 이상 상황의 발생을 통보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받도록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휴대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고속버스의 출발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속버스가 화장실이 설치된 휴게소에 도착했음을 통보받으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고속버스의 출발시각 또는 출발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고속버스의 출발에 관련된 시간 정보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제공받아 화장실 사용 및 휴게소 사용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제공하고,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노출시켜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의 설치 주체가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된 혈압 및 체온 등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직접 다운로드 하도록 하고, 충전 기능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장실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는 화장실의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화장실의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센서; 상기 본체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혈압 및 체온을 포함하는 바이탈 정보를 생성하는 바이탈 측정기; 상기 본체부 상에 설치되는 내부 디스플레이; 상기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바이탈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사용자의 유무 및 사용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관리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바이탈 정보가 기준값을 초과한 사용자의 사용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 이상 통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바이탈 정보를 건강 상태별 수준으로 분류하고, 상기 사용시간을 상기 분류된 건강 상태별 기준값에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 이상 통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가 상기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 이상 통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탈 측정기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혈압 및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바이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혈류량을 측정하는 혈류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바이탈 정보 및 충전 기능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바이탈 정보에 관련된 건강 정보 또는 광고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다수의 두루마리 휴지가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두루마리 휴지의 개수만큼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감지되는 두루마리 휴지의 개수 정보를 상기 관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휴대 단말 또는 외부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두루마리 휴지의 개수 정보가 기준값 보다 적으면 상기 휴대 단말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은 관리 페이지 접속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상기 바이탈 측정기 및 상기 관리 제어부의 설정 및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화장실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인에게 이상 상황의 발생을 통보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휴대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고속버스의 출발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속버스가 화장실이 설치된 휴게소에 도착했음을 통보 받으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고속버스의 출발시각 또는 출발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고속버스의 출발에 관련된 시간 정보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제공받아 화장실 사용 및 휴게소 사용에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제공하고,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노출시켜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의 설치 주체가 수익을 얻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된 혈압 및 체온 등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직접 다운로드 하도록 하고, 충전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장실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의 설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는 본체부(110), 사용자 감지 센서(120), 바이탈 측정기(130), 내부 디스플레이(140), 외부 디스플레이(150), 수납부(170), 센서부(175) 및 무선 통신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의 본체부(110)는 화장실의 내의 각 사용자의 개인 용변 공간의 내부에 설치된다.
바이탈 측정기(130)는 혈압 및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측정된 혈압 및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이탈 측정기(130)는 상기 본체부(110) 상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 또는 삽입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혈압 및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바이탈 정보를 생성하는 손가락 심박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혈류계(135)는 상기 바이탈 측정기(130)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혈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바이탈 정보를 보완하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바이탈 정보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 센서(120)는 상기 사용자의 용변 공간 내부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20)는 상기 화장실의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각 용변 공간 내부의 벽 또는 문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디스플레이(14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관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바이탈 측정기(130)에서 측정된 혈압 및 체온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 또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외부 디스플레이(150)는 상기 사용자 용변 공간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변 공간 내부에 사용자의 재실 유무 및 사용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160)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140)가 상기 바이탈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50)가 상기 사용자의 유무 및 사용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바이탈 정보가 기준값을 초과하였으며, 또한 상기 바이탈 정보가 기준값을 초과한 사용자가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부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간 경과를 통보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외부인에게 이상 상황의 통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피커 또는 알람을 통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제어부(160)는 상기 화장실 사용자가 바이탈 측정기(130)를 통해 측정된 혈압 또는 체온의 정보를 건강 상태 별 수준으로 분류하고, 상기 사용시간을 상기 분류된 건강 상태별 기준값에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부 디스플레이(140), 외부 디스플레이(150), 스피커 또는 알람을 통해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장실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일정 시간 이상 화장실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인지하도록 하거나, 외부인에게 화장실 사용자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이을 통보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80)는 상기 관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휴대 단말(200) 또는 외부 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는 상기 무선 통신부(180)가 휴대 단말(200) 또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고속버스의 출발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속버스가 화장실이 설치된 휴게소에 도착했음을 통보 받으면, 상기 관리 제어부(160)가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하여 상기 고속버스의 출발시각 또는 출발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은 고속버스의 출발에 관련된 시간 정보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제공받아 화장실 사용 및 휴게소 사용에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80)는 상기 바이탈 측정기(130)에서 측정된 혈압 및 체온 등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200)을 통해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노출시켜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의 설치 주체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는 본체부(110) 상에 USB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화장실의 각 사용자의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200)의 사용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바이탈 측정기(130)에서 측정된 혈압 및 체온 등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200)로 직접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충전 기능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는 본체부(110)는 다수의 두루마리 휴지(101)가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수납부(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11)에 의해 다수의 두루마리 휴지(101)가 사용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다수의 센서부(175)는 상기 수납부(111)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두루마리 휴지(101)의 개수만큼 상기 수납부(111)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두루마리 휴지의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 제어부(160)는 상기 다수의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두루마리 휴지의 개수 정보가 기준값 보다 적으면, 상기 외부의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장실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휴대 단말(200)을 이용해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의 관리 페이지 접속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상기 바이탈 측정기 및 상기 관리 제어부의 설정 및 관리를 실행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의 관리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의 설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의 본체부(110)는 화장실의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내부의 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는 용변기의 좌우측 벽면에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150)는 외부인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외부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용변 공간의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외부인이 각 용변 공간의 사용 시간을 매우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각 용변 공간의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상 발생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외부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50)는 각 용변 공간의 외부의 사용 대기자들에게 뉴스, 동영상, 광고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기로 인한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140)와 마찬가지로, 고속버스의 출발시각 또는 출발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여, 고속버스의 출발에 관련된 시간 정보를 제공받아 화장실 사용 및 휴게소 사용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100)는 비데(bidet)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감지 센서(120)가 좌변기 커버의 착좌부(115)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고, 혈류계(135)가 상기 좌변기 커버의 착좌부(115)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혈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바이탈 측정기(130)와 내부 디스플레이(140)가 비데 조작부(111)의 옆에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혈압 및 체온을 측정하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가 비데(bidet)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비데 상에 사용자 감지 센서(120), 바이탈 측정기(130), 혈류계(135), 내부 디스플레이(140)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 사용 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통합하여 일원화함으로써, 설치와 관리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화장실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인에게 이상 상황의 발생을 통보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편의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제공하고,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노출시켜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의 설치 주체가 수익을 얻도록 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장실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110: 본체부
111: 수납부
120: 사용자 감지 센서
130: 바이탈 측정기
135: 혈류계
140: 내부 디스플레이
150: 외부 디스플레이
160: 관리 제어부
170: 수납부
175: 센서부
180: 무선 통신부
200: 휴대 단말
300: 외부 서버

Claims (12)

  1. 화장실의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화장실의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센서;
    상기 본체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혈압 및 체온을 포함하는 바이탈 정보를 생성하는 바이탈 측정기;
    상기 본체부 상에 설치되는 내부 디스플레이;
    상기 각 사용자의 용변 공간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바이탈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사용자의 유무 및 사용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관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바이탈 정보를 건강 상태별 수준으로 분류하여 건강 상태별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바이탈 정보가 기준값을 초과한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상기 분류된 건강 상태별 기준값에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시간이 상기 건강 상태별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 이상 통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가 상기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 이상 통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탈 측정기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혈압 및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바이탈 정보를 생성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혈류량을 측정하는 혈류계;
    를 더 포함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바이탈 정보 및 충전 기능을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USB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바이탈 정보에 관련된 건강 정보 또는 광고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다수의 두루마리 휴지가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두루마리 휴지의 개수만큼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감지되는 두루마리 휴지의 개수 정보를 상기 관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센서부;
    를 포함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휴대 단말 또는 외부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두루마리 휴지의 개수 정보가 기준값 보다 적으면 상기 휴대 단말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관리 페이지 접속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상기 바이탈 측정기 및 상기 관리 제어부의 설정 및 관리를 실행하는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KR1020170130134A 2017-10-11 2017-10-11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KR101843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134A KR101843157B1 (ko) 2017-10-11 2017-10-11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134A KR101843157B1 (ko) 2017-10-11 2017-10-11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157B1 true KR101843157B1 (ko) 2018-03-28

Family

ID=6190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134A KR101843157B1 (ko) 2017-10-11 2017-10-11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81Y1 (ko) * 2018-10-12 2019-02-22 최병록 롤 휴지 디스펜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444A (ja) 1998-06-19 2000-01-11 Toto Ltd 外部通信手段を有するトイレ装置
KR100801577B1 (ko) * 2007-06-29 2008-02-11 코지앤코(주) 화장실용 휴지 교체시기 알림장치를 갖춘 롤 휴지 디스펜서
JP2009189728A (ja) 2008-02-18 2009-08-27 Toto Ltd 健康管理システム
JP2011170827A (ja) 2010-02-17 2011-09-01 Shohei Kobayashi 情報表示システム
KR101452196B1 (ko) 2013-07-12 2014-10-23 이재현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JP2015167665A (ja) 2014-03-06 2015-09-28 株式会社 ホロブレイン 排便介助・監視装置
KR101559391B1 (ko) 2014-12-04 2015-10-12 (주)정우솔루션 유치장화장실 관리시스템
JP2015202340A (ja) * 2014-04-16 2015-11-16 株式会社 ホロブレイン 排便介助・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444A (ja) 1998-06-19 2000-01-11 Toto Ltd 外部通信手段を有するトイレ装置
KR100801577B1 (ko) * 2007-06-29 2008-02-11 코지앤코(주) 화장실용 휴지 교체시기 알림장치를 갖춘 롤 휴지 디스펜서
JP2009189728A (ja) 2008-02-18 2009-08-27 Toto Ltd 健康管理システム
JP2011170827A (ja) 2010-02-17 2011-09-01 Shohei Kobayashi 情報表示システム
KR101452196B1 (ko) 2013-07-12 2014-10-23 이재현 욕실에 설치 가능한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JP2015167665A (ja) 2014-03-06 2015-09-28 株式会社 ホロブレイン 排便介助・監視装置
JP2015202340A (ja) * 2014-04-16 2015-11-16 株式会社 ホロブレイン 排便介助・監視装置
KR101559391B1 (ko) 2014-12-04 2015-10-12 (주)정우솔루션 유치장화장실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81Y1 (ko) * 2018-10-12 2019-02-22 최병록 롤 휴지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Monitoring building door events using barometer sensor in smartphones
KR101889913B1 (ko)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KR102014898B1 (ko) 휴지 걸이대
JP2017152029A (ja) 個室管理システム
CN110766918A (zh) 智能控制系统及方法
US1093927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particular devices based on estimated distance
KR20180118849A (ko) 스마트 미러 및 이를 이용하는 IoT 스마트 화장실 서비스 방법
JP2016204833A (ja) トイレ情報システム、トイレ情報処理方法、及びトイレ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843157B1 (ko) 화장실 안전 편의 장치
JP6258910B2 (ja) 個室管理システム
JP6858667B2 (ja) 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
JP2009237607A (ja) 災害発生時の在宅確認システム、災害時情報提供システム、災害発生時の在宅確認プログラムおよび災害時情報提供プログラム
DE102009046096A1 (de) Alarmeinrichtung zur Erkennung und Mitteilung von umgebungs- und anlagenspezifischen Zuständen
JP2018109847A (ja) 評価システム、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62571B2 (ja) 遠隔監視装置
JP2020135486A (ja) 空室管理装置及び多目的トイレ
US10629040B2 (en) Energy efficient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20070081473A (ko) 경보메시지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2244588B1 (ko) 보안 시스템과 연동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0965A (ko) 화장실 재실 감지 제어 함체 및 이를 구비한 화장실 재실 모니터링 시스템
KR102738923B1 (ko) Ict 빅데이터 기반 고독사 예방 시스템
Cai et al. Intelligent toilet management system with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US112591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particular devices based on estimated distance
JP7521718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8073077A (ja) 個室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12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11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