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947B1 - 버클 장치 - Google Patents
버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1947B1 KR101451947B1 KR1020127012511A KR20127012511A KR101451947B1 KR 101451947 B1 KR101451947 B1 KR 101451947B1 KR 1020127012511 A KR1020127012511 A KR 1020127012511A KR 20127012511 A KR20127012511 A KR 20127012511A KR 101451947 B1 KR101451947 B1 KR 1014519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member
- slide button
- latch
- lever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41—Slot and tab or tongu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6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7—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nonself-biasing, interlocking component
Landscapes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프리텐셔너가 작동한 경우에는 버클 본체(3)에 대해 웨빙(173) 측에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하여,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는 레버 부재(28)를 거쳐 힘이 가해지는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된다. 또, 스토퍼 부재(27)에 맞닿는 레버 부재(28)도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되어 각 돌출편(88)이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맞닿음부(67)에 대향한다. 또, 슬라이드 버튼(11)이 관성력에 의해서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이동한 경우에는 각 맞닿음부(67)가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에 맞닿고, 슬라이드 버튼(11)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하여, 래치(30)와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해제가 방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웨빙에 연결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가 삽입 이탈되는 버클 본체를 구비한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 긴급 시에 웨빙에 연결된 텅 플레이트가 버클 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버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0-71007호에는 하우징 플레이트에 내하중 프레임이 고정되고, 내하중 프레임 내에는 좌우 한 쌍의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인 관성 질량체가 장착되고, 록킹 레버(locking lever)의 제2 암에 대해 동적인 방법으로 장착되는 안전벨트 버클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릴리즈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캐치 볼트(catch bolt)가 평행 운동해서 숫 래그가 개방되는 동시에, 제2 암이 릴리즈 버튼 측으로 회전 운동되어 좌우 한 쌍의 관성 질량체가 하우징 플레이트측으로 회전 운동된다.
또, 이 안전벨트 버클에 있어서, 프리텐셔너(pretensioner)가 작동하여 버클에 웨빙을 죄는 방향으로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한 경우, 좌우 한 쌍의 관성 질량체가 서로 대향하는 단면 대략 원호형상의 제1 회전 스토퍼에 맞닿는다. 그 결과, 하우징 플레이트 측으로의 회전운동이 방지되어, 록킹 레버가 회전운동하지 않고, 릴리즈 버튼의 이동도 저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0-71007호에 기재되는 안전 벨트 버클에서는 내하중 프레임 내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관성 질량체가 하우징 플레이트 상의 넓은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하우징 플레이트 상에 홀 소자 스위치나 기구적 스위치를 배치하면, 버클의 소형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러한 안전 벨트 버클에서는 좌우 한 쌍의 관성 질량체를 마련하기 때문에, 상기 관성 질량체가 커지고, 프리텐셔너의 작동 개시시를 검출하는 검출 감도가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릴리즈 버튼을 누를 때마다, 좌우 한 쌍의 관성 질량체가 회전 운동하기 때문에, 한 쌍의 관성 질량체나 록킹 레버 등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회전운동 지지부의 마모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돌시 등의 차량 긴급 시에 관성력이 작용하는 관성 질량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버클 본체에서 텅 플레이트가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버클 장치는 웨빙에 연결된 텅 플레이트가 삽입 이탈되도록 구성된 버클 본체를 구비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 본체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 측 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드 버튼,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내에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텅 플레이트의 삽입시에 상기 텅 플레이트에 걸어 맞춰지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버튼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텅 플레이트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래치 부재,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단면부에 상기 프레임 부재 측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한 경우,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프레임 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부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단면부에 단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중력 중심이 회전 축심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편심하도록 마련된 관성 질량체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단면부에 단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관성 질량체의 단부에 상기 프레임 부재 측에서 맞닿는 것이 가능한 레버 부재를 갖고, 상기 관성 질량체와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해 각각의 단부가 프레임 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부세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에 대향하는 맞닿음부가 마련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가 삽입된 버클 본체에 대해 차량 충돌시의 긴급 시에 상기 웨빙을 죄는 방향으로 가속도가 작용한 경우, 상기 관성 질량체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서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된 상기 관성 질량체의 단부가 상기 레버 부재에 맞닿고 동시에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가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되고,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상기 맞닿음부에 맞닿아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래치 부재와 상기 텅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해제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은 버클 장치에서 베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버튼에 대향하는 단면부에 단부가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중력 중심이 회전 축심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편심하도록 마련된 관성 질량체가 마련되어 있다. 또 베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버튼에 대향하는 단면부에 단부가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관성 질량체의 단부에 프레임 부재 측에서 맞닿는 것이 가능한 레버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또 이 관성질량체와 상기 레버 부재는 부세 부재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그리고, 차량 충돌시의 긴급 시에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웨빙이 조이는 측으로 인입되어 텅 플레이트가 삽입된 버클 본체에 대해 웨빙을 죄는 방향으로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한 경우, 관성 질량체는 관성 질량체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서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하여 관성 질량체의 단부가 레버 부재에 맞닿는다. 따라서, 레버 부재의 단부가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되어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가 슬라이드 버튼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맞닿음부에 맞닿아 슬라이드 버튼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하는 것에 의해서 래치 부재와 텅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해제가 방지된다.
따라서, 부세 부재의 부세력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관성 질량체와 레버 부재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관성 질량체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더 나아가서는 관성 질량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관성 질량체가 소형화되는 것에 의해서, 차량 충돌시의 긴급 시에 텅 플레이트가 삽입된 버클 본체에 대해 웨빙을 죄는 방향으로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한 경우, 관성 질량체가 더욱 조기의 시점에서 프레임 부재 측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시트벨트 리트랙터용의 프리텐셔너가 작동한 경우, 더욱 조기의 시점에서 프레임 부재 측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관성 질량체 및 레버 부재에 의해서, 슬라이드 버튼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하여, 래치 부재와 텅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해제를 방지하고, 버클 본체에서 텅 플레이트가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관성 질량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 프레임 부재 상에 홀 IC 스위치 또는 기구적 스위치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버클 장치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텅 플레이트가 삽입된 버클 본체에 대해 프리텐셔너가 작동하지 않아 웨빙을 죄는 방향으로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하지 않은 경우, 즉 관성 질량체에 관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레버 부재는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레버 부재를 축지지하는 부분의 마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 장치의 상하의 커버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상부 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버클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X1-X1 화살표 단면도.
도 4는 버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이젝터를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6은 슬라이드 버튼을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7은 슬라이더 부재를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슬라이더 부재를 이젝터에 걸어 고정시키는 설명도.
도 9는 베이스 부재에 스토퍼 부재와 레버 부재를 조립하는 설명도.
도 10은 프레임 부재에 베이스 부재와 래치를 조립하는 설명도.
도 11은 프레임 부재에 베이스 부재를 고정시키는 설명도.
도 12는 각 스위치를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13은 베이스 부재의 일 부분에 홀 IC 스위치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홀 IC 스위치의 평면도.
도 15는 홀 IC 스위치의 정면도.
도 16은 홀 IC 스위치의 저면도.
도 17은 도 2의 X2-X2 화살표 단면도.
도 18은 기구적 스위치의 사시도.
도 19는 베이스 부재의 기구적 스위치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도 20은 텅 플레이트의 삽입시의 상부 커버를 벗긴 버클 장치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X3-X3 화살표 단면도.
도 22는 슬라이드 버튼을 압압해서 텅 플레이트가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버튼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상부 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버클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X1-X1 화살표 단면도.
도 4는 버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이젝터를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6은 슬라이드 버튼을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7은 슬라이더 부재를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슬라이더 부재를 이젝터에 걸어 고정시키는 설명도.
도 9는 베이스 부재에 스토퍼 부재와 레버 부재를 조립하는 설명도.
도 10은 프레임 부재에 베이스 부재와 래치를 조립하는 설명도.
도 11은 프레임 부재에 베이스 부재를 고정시키는 설명도.
도 12는 각 스위치를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13은 베이스 부재의 일 부분에 홀 IC 스위치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홀 IC 스위치의 평면도.
도 15는 홀 IC 스위치의 정면도.
도 16은 홀 IC 스위치의 저면도.
도 17은 도 2의 X2-X2 화살표 단면도.
도 18은 기구적 스위치의 사시도.
도 19는 베이스 부재의 기구적 스위치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도 20은 텅 플레이트의 삽입시의 상부 커버를 벗긴 버클 장치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X3-X3 화살표 단면도.
도 22는 슬라이드 버튼을 압압해서 텅 플레이트가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버튼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버클 장치에 대해 구체화한 1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략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 장치(1)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 장치(1)의 상하의 커버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부 커버를 벗긴 버클 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1-X1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장치(1)는 합성 수지제의 상부 커버(2), 버클 본체(3)와 합성 수지제의 하부 커버(4)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 본체(3)를 하부 커버(4)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부재(21)의 양 측면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각 돌기부(7)를 하부 커버(4)의 각 위치 결정 홈(8)에 끼워 삽입시키면서 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버클 본체(3)는 이 하부 커버(4)의 내측 양 측면부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대략 삼각형 단면의 각 걸림부(9)에 프레임 부재(21)의 양 측면부가 걸어 고정되고, 하부 커버(4)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버클 본체(3)의 슬라이드 버튼(11)과 하부 커버(4)의 돌출부(12)가 상부 커버(2)의 개구(13) 내에 삽입되고, 하부 커버(4)는 상부 커버(2)의 하단면에 꽉 누른다. 각각의 돌출부(12)는 하부 커버(4)의 측 위에서 슬라이드 버튼(11) 측의 끝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코너부에 형성된 정면에서 보아 L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하부 커버(4)의 대략 삼각형상 단면의 각 걸림 발톱(14)이 상부 커버(2) 내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하부 커버(4)가 상부 커버(2)에 장착된다. 또, 개구(13)에 대해 길이 방향 타단 측에는 리드선(15)이 인출되는 슬릿 구멍(16)이 형성된다.
또, 개구(13)에는 슬라이드 버튼(11)의 하측에 텅 플레이트(17)가 삽입되는 단차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18)는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방향 선단부를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대략 중앙부로 안내하도록, 안쪽 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버클 본체(3)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버클 본체(3)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해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버클 본체(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 본체(3)는 스틸 등의 금속제의 프레임 부재(21)와, 합성 수지제의 이젝터(22), 이젝터 스프링(23),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버튼(11),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더 부재(24), 영구자석(25),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 부재(26),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스토퍼 부재(27),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레버 부재(28),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29), 스틸 등의 금속제의 래치(30), 래치 스프링(31), 버튼 스프링(32),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를 프레임 부재(21)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리벳(33), 홀 IC 스위치(34)와 기구적 스위치(35)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
다음에,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젝터(22)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하는 설명도 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21)는 스틸재 등의 판재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또,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의 플랜지 홀(38)이 형성된다. 리벳(41)은 한 쌍의 플랜지 홀(38)에 삽입 통과되어 코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커버(2)에 대향하는 상부판(42)과 하부 커버(4)에 대향하는 하부판(43)의 사이에, 플랜지 홀(38)의 높이의 2배의 높이를 갖는 삽입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U자 형상으로 절곡된 프레임 부재(21)의 절곡 저부, 즉, 프레임 부재(21)의 개구(13) 측의 단부에는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된 슬릿 형상의 삽입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 부재(21)의 절곡 선단측, 즉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삽입 구멍(46)에 서로 대향하는 끝 부분에는 대략 사각형의 개구(47)가 상부판(42)과 하부판(43)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웨빙 또는 와이어의 일단측은 개구(47)에 삽입통과되어 장착된다. 웨빙 또는 와이어의 타단측은 차량에 고정된다.
[이젝터와 이젝터 스프링]
또, 프레임 부재(21)의 내측에는 삽입 구멍(46)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로부터 이젝터 스프링(23)이 삽입된다. 이 이젝터 스프링(23)은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폭 방향 중앙 위치에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단면 원호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48) 사이에 신축 자유롭게 삽입된다.
그리고, 프레임 부재(21) 내에는 이젝터(22)가 삽입 구멍(46)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젝터(22)는 본체부(50)와 로드(51)를 구비한다. 로드(51)는 본체부(50)의 폭 방향 중앙 위치에 세워 마련되고, 이젝터 스프링(23)의 일단측에 삽입되고, 삽입 구멍(46) 측을 향해 힘을 가한다. 또, 이젝터(22)는 본체부(50)의 폭 방향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걸림편(52)을 구비한다. 한 쌍의 탄성 걸림편(52)는 로드(5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 즉 상부 커버(2)의 슬릿 구멍(16) 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 걸림편(52)의 길이는 삽입 구멍(46)으로부터 본체부(50)의 전체를 삽입부(45)에 삽입한 경우에, 각 플랜지 홀(38)에 도달하는 길이이다. 또,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 근방에는 평면에서 보아 직각 삼각형상의 걸림턱(53)이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젝터(22)를 삽입 구멍(46)으로부터 이젝터 스프링(23)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안쪽 측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각 걸림턱(53)이 각 플랜지 홀(38)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이젝터(22)와 이젝터 스프링(23)이 프레임 부재(21) 내에 장착되고, 이젝터(22)의 슬라이드 거리가 일정 범위로 제어된다(도 6 참조).
[슬라이드 버튼]
다음에, 슬라이드 버튼(11)에 대해 도 2 내지 도 4,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슬라이드 버튼(11)을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하는 설명도 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버튼(11)은 정면에서 보아 가로로 긴 사각형의 판형상의 조작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56)는 개구(13) 측을 향한 압압면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버튼(11)을 슬릿 구멍(16)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조작부(56)의 압압면과 반대 측의 배면부의 길이 방향 양단(도 2 중, 상하 방향 양단임)으로부터는 한 쌍의 측판(57)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측판(57)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상부판(42)을 사이에 두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각 측판(57)의 연장 방향의 끝 부분에서 각각 상부판(42)에 대향하는 코너부에는 내측을 향한 발톱편(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발톱편(58)은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사이에 프레임 부재(21)의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하게 마련된다. 걸어 맞춤 상태에서 발톱편(58)은 슬라이드 버튼(11)을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이탈 불능이고 또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또, 각 측판(57)의 내측에는 슬라이드 버튼(11)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보아 긴 사각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래치 지지 프레임(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치 지지 프레임(61)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62)를 구비한다. 각 측벽(62)은 조작부(56)의 압압면과 반대측의 배면부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측벽(62)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에 돌출부(48)를 사이에 두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긴 구멍(63)에 대향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벽(62)의 내측면에는 각 측벽(62)의 연장 방향측 끝 부분에 스토퍼(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벽(62)은 스토퍼(65)보다도 조작부(56)측의 측벽(62)의 내면에는 버튼 슬로프(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버튼 슬로프(66)는 조작부(56)와는 반대 방향측을 향하도록, 즉 개구(47)에 대해 프레임 부재(21)와는 반대 방향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다. 프레임 부재(21)와는 반대측을 향한 면이 조작부(56) 측을 향해 근접하고 프레임 부재(21)로부터 점차 멀어지게 형성된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벽(62)의 내측면에는 조작부(56) 측 기단부의 프레임 부재(21) 측의 코너부에 맞닿음부(67)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맞닿음부(67)는 조작부(56)의 배면부에서 버튼 슬로프(66)를 향해 소정 높이 돌출되어 있고, 단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맞닿음부(67)는 베이스 부재(26)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레버 부재(28)가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 운동된 경우에는 이 레버 부재(28)에 닿고(도 24 참조), 또한 레버 부재(28)가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레버 부재(28)의 하측을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2 참조).
또, 각 측벽(62) 사이의 중앙부에는 조작부(56)의 프레임 부재(21) 측 끝 부분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가늘고 긴 부재(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늘고 긴 부재(68)는 프레임 부재(21)의 삽입 구멍(46)으로부터 상부판(42)의 돌출부(48) 내에 삽입되어 이젝터(22)의 상부판(42) 측 끝 부분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 지지 프레임(61)의 조작부(56)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에는 프레임 부재(21) 측 끝 부분으로부터 상부판(42)에 형성된 한 쌍의 긴 구멍(63)에 끼워진 부분의 폭에 대략 동등한 폭으로 연장된 연장부(71)가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연장부(71)는 연장부(71)의 연장 방향 측 끝 부분의 폭 방향 양단부에 프레임 부재(21)를 향해 돌출한 한 쌍의 다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다리부(72)는 상부판(42)에 형성된 한 쌍의 긴 구멍(6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긴 구멍(63)을 관통해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터 스프링(23)과 이젝터(22)가 장착된 프레임 부재(21)의 각 긴 구멍(63)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다리부(72)를 삽입통과한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측판(57)에 형성된 각 발톱편(58)을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사이에 프레임 부재(21)의 외측으로부터 걸어 맞추어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버튼(11)이 프레임 부재(21)로부터 이탈 불능이고 또한 상부판(42) 상을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7 참조). 또, 슬라이드 버튼(11)의 가늘고 긴 부재(68)가 이젝터(22)의 상부판(42) 측 끝 부분에 맞닿는다(도 3 참조).
[슬라이더 부재]
다음에, 슬라이더 부재(24)에 대해 도 2 내지 도 4, 도 7,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슬라이더 부재(24)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하는 설명도 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슬라이더 부재(24)를 프레임 부재(21) 내에 장착된 이젝터(22)에 걸어 고정시키는 설명도 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부재(24)는 슬라이드 버튼(11)의 연장부(71)을 타고 넘도록 정면에서 보아 대략 문(門)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대한 슬라이더 부재(24)의 두께는 길이 방향의 연장부(71)의 길이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 부재(24)의 상면부의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한쪽의 끝 부분(도 2 중, 하측 끝 부분이며, 홀 IC 스위치(34)에 대향하는 끝 부분)에는 소정 깊이의 오목부(7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75)내에 대략 직방체 형상의 영구자석(25)이 삽입되어 접착 등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5)내에 영구자석(25)을 삽입한 후, 상기 오목부(75)의 개구측 끝 부분을 용융 등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영구자석(25)을 오목부(75)내에 고정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슬라이더 부재(24)의 폭 방향 양측의 각 다리부(76)의 높이는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의 상면부에서 연장부(71)의 표면까지의 높이보다 조금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더 부재(24)와 연장부(71)의 사이에 소정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 부재(24)의 영구자석(25)이 장착된 한쪽의 다리부(76)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다리부(76)에는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 측 끝 부분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또한 위쪽으로 연장된 단면 L자형의 걸어 맞춤 리브(77)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다리부(76)의 상부판(42) 측 단면에는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걸림편(7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 각 탄성 걸림편(78)의 선단부에는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의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에 개방된 평면에서 보아 U자형의 걸어 맞춤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이젝터(22)가 프레임 부재(21) 내에 장착된 경우에는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마련된 걸어 맞춤부(79)는 각각 긴 구멍(63)에 대향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25)이 장착된 슬라이더 부재(24)의 각 탄성 걸림편(78)을 연장부(71)를 타고 넘도록 프레임 부재(21)의 각 긴 구멍(63)에 삽입통과해서,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마련된 걸어 맞춤부(79)에 걸어 맞춰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한쪽의 끝 부분에 영구자석(25)이 고착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끝 부분에 걸어맞춤 리브(77)가 형성된 슬라이더 부재(24)는 프레임 부재(21)로부터 이탈 불능이고 또한 이젝터(22)와 일체적으로 상부판(42) 상을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11 참조).
[베이스 부재]
다음에, 베이스 부재(26)에 대해 도 2 내지 도 4, 도 9 내지 도 11, 도 13,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베이스 부재(26)에 스토퍼 부재(27)와 레버 부재(28)를 조립하는 설명도 이다. 도 10은 프레임 부재(21)에 베이스 부재(26) 및 래치(30)를 조립하는 설명도 이다. 도 11은 프레임 부재(21)에 베이스 부재(26)를 고정시키는 설명도 이다. 도 13은 베이스 부재(26)의 홀 IC 스위치(34)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이다. 도 19는 베이스 부재(26)의 기구적 스위치(35)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9,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는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의 대략 전체면을 덮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 부재(26)의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폭은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측판(57)보다 내측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 부재(26)의 슬라이드 버튼(11) 측 끝 부분에는 프레임 부재(21) 측에 개구된 래치 수납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치 수납부(82)는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11)의 슬라이드 방향에 교차하는 한 쌍의 유지판(83)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유지판(83)의 사이에 래치(30)가 배치된다. 또, 각 유지판(83)의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측에는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의 각 측벽(62)이 프레임 부재(21) 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평행한 한 쌍의 삽입홈(8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 부재(26)에 있어서,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에 대향하는 측의 유지판(83)의 하나에는 한 쌍의 레버 지지편(85)이 마련된다. 한 쌍의 레버 지지편(85)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조작부(56) 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한 쌍의 레버 지지편(85)의 각각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또, 이 한 쌍의 레버 지지편(85)의 각각에는 한 쌍의 축 지지홈(87)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축 지지홈(87)의 각각은 단면이 대략 원형 형상이고, 레버 지지편(85)의 상단부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형성된다. 한 쌍의 축 지지홈(86) 내에 각각 한 쌍의 레버 회전운동 축(8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레버 부재(28)의 베이스 부재(26) 측의 끝 부분에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 돌출된 다. 또, 레버 부재(28)의 각 레버 회전운동축(86)은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에 더 근접한 레버 부재(28)의 다른 끝 부분에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편(8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버 부재(28)가 상부판(42)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한 경우에는 각 레버 지지편(85)의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측의 끝 부분은 각 돌출편(88)과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28)는 한 쌍의 회전운동축(86)에 토션 스프링(29)의 자유단이 상측이 되도록 장착한 후, 이 한 쌍의 레버 회전운동축(86)을 각 레버 지지편(85)에 형성된 축 지지홈(86)에 절결부로부터 끼워 넣는 것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 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또한, 각 레버 회전운동축(86)을 절결부에 끼워 넣을 때, 각 레버 회전운동축(86)의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의 직선부를 상하 방향, 즉, 레버 부재(28)를 상부판(42)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하여 절결부에 끼워 넣는다. 또, 레버 부재(28)의 한 쌍의 돌출편(88)은 상기 레버 부재(28)가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한 경우에는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맞닿음부(67)의 베이스 부재(26) 측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4 참조).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의 평행한 한 쌍의 삽입홈(84) 상에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 외측 둘레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스토퍼 지지편(91)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스토퍼 지지편(91)은 각 레버 지지편(85)보다 상측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 측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한 쌍의 스토퍼 지지편(91)의 각각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이 한 쌍의 스토퍼 지지편(91)의 각각에는 단면이 반원형이고 위쪽으로 개방된 한 쌍의 축 지지홈(95)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의 축 지지홈(95)에 끼워진다. 한 쌍의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은 스토퍼 부재(27)의 단면이 대략 육각형의 관성 질량체(92)의 상단부에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 돌출된다(도 13, 도 19 참조). 또, 각 축 지지홈(95)의 프레임 부재(21) 측의 폭 방향 양 외측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각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단면이 원호형상의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부(96)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도 19 참조).
또,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 끝 부분에서 베이스 부재(26)는 각 스토퍼 지지편(91)에 대향하도록,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 규제편(97)을 구비한다(도 13, 도 19 참조). 이 한 쌍의 회전 규제편(97)의 각각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가늘고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가 각 슬라이딩 안내부(96)의 최하단에 대향하도록 세워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연장부(101)가 스토퍼 부재(27)의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의 축방향 외측 끝 부분에 마련된다. 각각의 한 쌍의 연장부(101)는 관성 질량체(92)에 대향하고 또한 각 스토퍼 지지편(91)의 슬라이딩 안내부(96)의 외측면에 대향하도록 반경 방향 외측에 대략 부채형의 판형상으로 연장된다. 또, 각각의 연장부(101)의 둘레 방향 내면 상의 끝 부분에 한 쌍의 슬라이딩부(102)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102)는 각 슬라이딩 안내부(96)의 외주면에 대향하도록 연장된다. 또, 각 연장부(101)의 축 방향 외측면의 베이스 부재(26) 측의 끝 부분에는 한 쌍의 돌기(103)가 마련된다. 각각의 돌기(103)는 각각의 회전 규제편(97)의 상단면에 맞닿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27)는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을 각 스토퍼 지지편(91)의 축 지지홈(95)에 끼워 넣는 동시에,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의 외측 끝 부분에 마련된 각 슬라이딩부(102)를 각 스토퍼 지지편(91)의 각 슬라이딩 안내부(96)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한다. 또, 레버 부재(28)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29)의 자유단 측을 관성 질량체(92)의 베이스 부재(26) 측의 단면부에 맞닿게 한다(도 3 및 도 10 참조). 그 결과, 각 슬라이딩부(102)와 각 슬라이딩 안내부(96)에 의해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이 축 지지홈(95)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레버 부재(28)는 토션 스프링(29)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상기 레버 부재(28)의 상단면에 맞닿는 관성 질량체(92)의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측의 끝 부분를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한편, 스토퍼 부재(27)는 관성 질량체(92)가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지만,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단부에 마련된 각 돌기(103)가 각 회전규제편(97)의 상단면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도 3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28)는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레버 부재(28)의 상단면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의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측의 단면 대략 V자형으로 돌출된 끝 부분가 맞닿은 상태가 유지된다. 또, 관성 질량체(92)의 중력 중심은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의 축심으로부터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편심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성 질량체(92)에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관성 질량체(92)는 레버 부재(28)상을 슬라이딩하면서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한다(도 24 참조).
또,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의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의 단면에는 각 삽입홈(84)의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 외측 둘레가장자리로부터 한 쌍의 외부판(105)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외부판(105)의 각각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이 한 쌍의 외부판(105) 사이의 거리는 슬라이더 부재(24)의 상단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는 베이스 부재(26)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한 경우, 슬라이더 부재(24)의 영구자석(25)에 대향하는 외부판(105)에 형성된다.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는 하나의 외부판(105)의 프레임 부재(21)에 근접한 끝 부분에서 대략 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 베이스 부재(26)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한 경우, 슬라이더 부재(24)의 영구자석(25)에 대해 반대측의 측면부에 대향하는 외부판(105)에는 프레임 부재(21) 측의 끝 부분에서 대략 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가 형성되어 있다(도 19 참조).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외부판(105) 측의 기단부에는 길이 방향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이 외부판(105)을 소정 높이 잘라내는 동시에,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기단부를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 맞춤 리브(77)가 삽입통과 가능한 폭으로 잘라낸 가로로 긴 절결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와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각각의 래치 수납부(82) 측의 끝 부분에는 각 위치결정편(111)이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외측의 끝 부분에서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위치결정편(111)은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의 양 측면부에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U자형의 한 쌍의 절결부(112)(도 5 참조)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와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각 위치결정편(111)에 서로 대향하는 끝 부분에는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외측의 끝 부분에서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후, 또한, 래치 수납부(82) 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각 걸림편(113)이 마련되어 있다. 이 각 걸림편(113)은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의 양 측면부에 있어서, 각 돌기부(7)의 근방 위치에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U자형의 한 쌍의 절결부(115)(도 5 참조)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스토퍼 부재(27)와 레버 부재(28)가 장착된 베이스 부재(26)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 내의 천정면의 중앙 위치에 세워 마련된 스프링 보스(114)에 래치 스프링(31)의 일단측을 끼워 넣고, 또한, 래치(30)를 프레임 부재(21) 측으로부터 각 유지판(83)의 사이에 배치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를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 내에 넣어, 각 삽입홈(84)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측벽(62)을 삽입하는 동시에, 가로로 긴 절결부(108)에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를 삽입통과시켜 프레임 부재(21) 측에 밀어 넣는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26)의 각 위치결정편(111)을 프레임 부재(21)의 각 절결부(112)에 끼워 넣는 동시에, 베이스 부재(26)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의 각 걸림편(113)을 프레임 부재(21)의 각 절결부(115)에 밀어 넣어 걸어 맞춘다.
그 결과, 베이스 부재(26)가 래치 수납부(82) 내에 래치(30) 및 래치 스프링(31)을 수납한 상태에서, 프레임 부재(21) 상에 걸어 고정된다. 또,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는 가로로 긴 절결부(108)를 거쳐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외측면을 따라 이젝터(22)와 일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슬라이드 버튼(11)의 측벽(62)은 베이스 부재(26)의 각 삽입홈(84) 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벳(33)을 베이스 부재(26)의 각 리벳 삽입통과 구멍(116)에 삽입통과하여,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에 관통하는 각 리벳구멍(117)과 하부판(43)의 각 리벳구멍(117)에 대향해서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리벳구멍에 통과시켜 코킹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26)는 프레임 부재(21)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상단부의 폭 방향 중앙 위치로부터 래치 수납부(82)를 향해 세워 마련된 단면 십자형상의 로드(118)에, 버튼 스프링(32)의 일단을 끼워 넣는다. 또,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의 조작부(56)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연장부(71)측의 상단 가장자리 중앙 위치에 세워 마련된 단면 십자형의 돌출부(121)에 버튼 스프링(32)의 타단을 끼워 넣는다. 또, 이 돌출부(121)의 주위에는 버튼 스프링(32)의 타단의 주위에 맞닿는 커버부(122)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에 의해서 개구(13) 측에 힘이 가해지고, 조작부(56)를 압압해서 놓으면,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30)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단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을 향해 교대(abutment) 편(125)이 연장되어 있다. 또, 래치(30)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는 프레임 부재(21)를 향해 걸어맞춤편(126)이 연장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편(126)은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에 형성된 관통구멍(127)(도 3, 도 5 참조) 및 하부판(43)에 형성된 관통구멍(128)(도 3, 도 5 참조)에 대응하고 있고, 하부판(43)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각 관통구멍(127, 128)을 관통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의 각 유지판(83)은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의 래치(30)의 이동을 저지하고, 걸어맞춤 방향 및 걸어맞춤 해제 방향(도 3 중, 하부 방향 및 상부 방향임)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일단 측이 래치 수납부(82) 내의 천정면에 세워 마련된 스프링 보스(114)에 끼워 넣어진 래치 스프링(31)의 타단측은 래치(30)의 표면의 오목부에 맞닿아 있고, 이 래치(30)를 걸어 맞춤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 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또,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은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에 마련된 각 스토퍼(65)에 맞닿도록 되어 있고, 각 스토퍼(65)는 각 교대 편(125)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걸어 맞춤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측 방향으로의 래치(30)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 각 스토퍼(65)의 하면과 각 버튼 슬로프(66)는 소정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각 스토퍼(65)의 하면은 래치(30)의 각각의 교대 편(125)의 상면에도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토퍼(65)는 각 교대 편(125)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걸어 맞춤 해제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래치(30)의 이동을 저지한다.
[각 스위치]
다음에, 홀 IC 스위치(34) 및 기구적 스위치(35)의 장착에 대해 도 12 내지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각 스위치를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홀 IC 스위치(34)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이다. 도 17은 도 2의 X2-X2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18은 기구적 스위치(35)의 사시도 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를 각 리벳(33)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에 고정시킨 후, 버튼 스프링(32)을 장착한 상태에서, 홀 IC 스위치(34)를 베이스 부재(26)의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상에 걸어 고정시킨다. 또, 기구적 스위치(35)를 베이스 부재(26)의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상에 걸어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버클 본체(3)가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홀 IC 스위치(34)와 기구적 스위치(35) 중의 한쪽만을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홀 IC 스위치(34)의 베이스 부재(26)에의 장착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 IC 스위치(34)에는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보아 대략 긴 사각형이고 대략 직방체 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131) 내에 자기를 검출하는 홀 소자(132)가 마련된다. 홀 IC 스위치(34)는 홀 소자(132)에의 영구자석(25)의 근접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이다.
홀 IC 스위치(34)의 내측에서 홀 소자(132)는 케이스(131) 내의 리드선(15)의 인출측인 끝 부분 근방, 즉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의 끝 부분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24)가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영구자석(25)이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34)는 슬라이드 버튼(11)에 근접한 측의 단면의 길이 방향에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형상의 걸림턱(13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33)의 일부분은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에 대향하는 측면 에지부의 전체 높이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면의 하단 가장자리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외부판(105) 측의 단부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 이 단면에는 이 걸림턱(133)에 대해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상단부에서 높이 방향 중앙 위치까지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편(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34)의 길이 방향의 슬라이드 버튼(11) 측의 단면에 서로 대향하는 단면에는 하단 가장자리부의 폭 방향 대략 중앙 위치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연장된 걸어맞춤 돌기(1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34)의 저면부의 외부판(105) 측의 측면 에지부 대략 중앙 위치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위치 결정 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위치 결정 돌기(136)의 높이는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두께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는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외부판(105)의 슬라이드 버튼(11)에 근접한 에지에서 외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벽면부에 마련된 탄성 걸림편(141)을 구비한다. 탄성 걸림편(141)은 슬라이드 버튼(11) 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대략 판형상의 홀 IC 스위치(34)의 걸림턱(133)에 대향하는 부분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 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또, 이 탄성 걸림편(141)의 하단부와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상면까지의 간극은 홀 IC 스위치(34)의 걸림턱(133)의 두께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길이 방향의 걸림편(113) 측의 끝 부분에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 프레임형상의 걸어맞춤 프레임(142)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프레임(142)에 홀 IC 스위치(34)의 걸어맞춤 돌기(135)가 끼워 넣어진다. 또,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외부판(105) 측의 끝 부분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긴 사각형의 관통구멍(14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43)에 홀 IC 스위치(34)의 저면부에 세워 마련된 위치 결정 돌기(136)가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 IC 스위치(34)의 걸어맞춤 돌기(135)를 베이스 부재(26)의 걸어맞춤 프레임(142)에 끼워 넣으면서,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상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홀 IC 스위치(34)의 걸림턱(133)의 하단부가 베이스 부재(26)의 탄성 걸림편(141)의 하단부에 걸어 맞춰진다. 또, 홀 IC 스위치(34)의 저면에 세워 마련된 위치 결정 돌기(136)가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외부판(105) 측의 끝 부분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43)에 끼워 넣어진다.
또, 도 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 IC 스위치(34)의 각 리드선(15)은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에 마련된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리드 멈춤편(145)을 거쳐, 베이스 부재(26)의 외주면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된 후,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홀 IC 스위치(34)는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외측에 이탈 불능으로 장착된다.
다음에, 기구적 스위치(35)의 베이스 부재(26)에의 장착에 대해 도 2, 도 18 및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적 스위치(35)는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대략 전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대략 긴 사각형의 프린트 회로 기판(151), 이 프린트 회로 기판(151)의 외부판(105)에 대향하는 면 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금 도금된 동박 등으로 형성된 직선형상의 2개의 프린트 배선(152, 153), 인 청동 등으로 형성되어 각 프린트 배선(152, 153) 간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브러시(155)를 프린트 회로 기판(151) 측에 누른 상태에서, 이 프린트 기판(151)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걸어 맞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이고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프린트 배선(152, 153) 중의 한쪽의 프린트 배선(152)은 대략 중앙부에서 소정 폭으로 절제되어 전기적으로 절단되고, 일직선상에 배열된 각 프린트 배선(152A, 152B)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리드선(15)은 프린트 배선(152A)과 프린트 배선(153)에 각각 납땜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브러시(156)가 프린트 배선(152A) 상에 대향한 경우에는 브러시(155)에 의해서 각 프린트 배선(152A, 153)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리드선(15)을 거쳐서 회로가 접속된다.
한편, 슬라이드 브러시(156)가 프린트 배선(152B) 상에 대향한 경우에는 각 프린트 배선(152A, 153)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단되고, 각 리드선(15)을 거쳐서 회로가 절단된다. 즉, 기구적 스위치(35)는 슬라이드 브러시(156)의 슬라이드 이동한 위치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또, 슬라이드 브러시(156)의 외부판(105)에 대향하는 면의 슬라이드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한 쌍의 돌출편(157)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구적 스위치(35)를 베이스 부재(26)에 장착한 경우에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가 각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회로 기판(151)의 길이 방향 양 단면의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 측의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각 걸림턱(161, 16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26)의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길이 방향 양 끝 부분에는 프린트 회로 기판(151)의 양 끝 부분을 도 19 중 위쪽으로부터 끼워 넣는 한 쌍의 끼워 넣음 홈(163)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걸림편(113) 측의 끝 부분에 형성된 끼워 넣음 홈(163)의 외측 끝 부분에는 프린트 회로 기판(151)의 걸림턱(161)이 끼워 넣어지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 프레임형상의 걸어맞춤 프레임(164)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슬라이드 버튼(11) 측의 끼워 넣음 홈(163)의 외측 끝 부분에는 프린트 기판(151)의 걸림턱(162)의 높이의 간극을 만들도록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 측을 향해 연장된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걸림편(165)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프린트 배선(152, 153)을 외부판(105)에 대향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드 브러시(156)를 슬라이드 버튼(11)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 즉 각 리드선(15)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기구적 스위치(35)의 걸림턱(161)을 베이스 부재(26)의 걸어맞춤 프레임(164)에 끼워 넣으면서, 각 걸어맞춤 홈(163)에 양 끝 부분를 끼워 넣어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상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걸림턱(162)이 탄성 걸림편(165)에 걸어 고정된다.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는 슬라이드 브러시(156)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도 2,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적 스위치(35)의 각 리드선(15)은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리드 멈춤편(167)과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에 마련된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리드 멈춤편(168)을 거쳐, 베이스 부재(26)의 외주면을 대략 따라 절곡된 후,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기구적 스위치(35)는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외측에 이탈 불능으로 장착된다. 또,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슬라이더 부재(24)와 일체적으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도 2, 도 20 참조).
[텅 플레이트]
여기서, 텅 플레이트(17)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20 및 도 2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텅 플레이트(17)를 삽입할 때의 상부 커버를 벗긴 버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X3-X3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7)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이고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주위가 합성 수지재에 의해 피복된 텅 본체(171)를 구비하고 있다. 텅 본체(171)에는 슬릿 구멍(172)이 형성되어 있고, 긴 띠 형상의 웨빙(173)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웨빙(173)의 일단측이 좌석을 거쳐 버클 장치(1)와는 반대측의 차체에 고정되고, 그 타단측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도시하지 않음)의 감기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권취 드럼에 감겨 있다. 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는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권취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웨빙(173)을 소정 길이만 긴축 측에 급격하게 인입하는 프리텐셔너(도시하지 않음)가 사용되고, 승무원을 좌석에 강고하게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텅 플레이트(17)의 선단측은 삽입 판부(175)로 되어 있고, 개구(13)로부터 버클 본체(3)의 내측, 즉,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사이의 삽입부(45)에 삽입된다. 삽입 판부(175)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176)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구멍(176)은 삽입 판부(175)가 삽입부(45)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경우에는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대향 방향에 마련된 각 관통구멍(127, 128)과 중첩되고, 각 관통구멍(127, 128)을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관통함으로써, 걸어맞춤편(126)이 걸어맞춤 구멍(176)을 관통한다.
[통상시의 작용/효과]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클 장치(1)의 통상시의 작용/효과에 대해 도 2, 도 3, 도 20 및 도 2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45)에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스토퍼(65)가 하측으로부터 맞닿고 있으므로, 래치 스프링(31)의 부세력에 의해서 래치(30)가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를 개구(13)로부터 삽입부(45)에 삽입해 가면, 우선, 삽입 판부(175)가 이젝터(22)의 전단에 형성된 오목부에 걸어 맞춰져 삽입 판부(175)가 이젝터(22)를 압압한다. 계속해서, 삽입 판부(175)를 이젝터 스프링(23)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또한 삽입하여, 이젝터(22)를 소정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면, 이젝터(22)의 본체부(50)가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다리부(72)에 맞닿고, 각 다리부(72)를 압압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각 다리부(72)가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스토퍼(65)가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으로부터 이간되기 때문에, 래치(30)는 래치 스프링(31)의 부세력을 받아 걸어 맞춤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 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각 관통구멍(127, 128)을 관통하는 동시에,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구멍(176)을 관통하고,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구멍(176)에 걸어 맞춰진다.
계속해서, 텅 플레이트(17)의 압압을 해제하면,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의해서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상태로 된다. 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스토퍼(65)가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에 상측부터 맞닿아, 래치(30)의 걸어맞춤 해제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이 잠금 상태에서는 버클 장치(1)로부터의 텅 플레이트(17)의 빼냄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에 의해 규제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45)에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젝터(22)는 이젝터 스프링(23)에 의해서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 부재(24)는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홀 IC 스위치(34)는 OFF 신호를 출력한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A, 153)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때문에,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거쳐 회로가 접속되고, ON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7)가 삽입부(45)에 삽입되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걸어맞춤 구멍(176)에 걸어 맞춰진 잠금 상태에서는 이젝터(22)가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있다. 또, 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 부재(24)는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근방에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 근접하기 때문에, 상기 홀 IC 스위치(34)는 ON신호를 출력한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걸림턱(161) 측, 즉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A, 153)이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이 때문에,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통해 회로가 단절되고, OFF 신호를 출력한다.
또, 버클 장치(1)는 웨빙(173)의 감기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에는 관성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서 레버 부재(28)는 스토퍼 부재(27) 측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텅 플레이트의 버클 본체로부터의 이탈]
다음에, 버클 본체(1)에서 텅 플레이트(17)의 이탈에 대해 도 2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슬라이드 버튼(11)을 압압해서 텅 플레이트(17)가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7)를 버클 본체(3)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를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손가락으로 밀어 넣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버튼 슬로프(66)가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의 하면에 맞닿아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때문에,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은 래치 스프링(31)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걸어 맞춤 해제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측벽(62)의 내측면에 형성된 각 맞닿음부(67)는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의 하측을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각 관통구멍(127, 128)으로부터 빠지는 동시에,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구멍(176)으로부터 빠져 걸어 맞춤 해제 상태로 된다. 이때, 이젝터(22)의 전단은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의 선단부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텅 플레이트(17)는 개구(13) 측에 힘이 가해져 압출된다. 또, 이젝터(22)는 이젝터 스프링(23)의 부세력에 의해서 개구(13)측에 힘이 가해지고, 삽입 구멍(46)측으로 이동하여, 각 관통구멍(127, 128)과 중첩되어 폐색하고,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의 하단부에 맞닿는다.
그리고, 슬라이드 버튼(11)에서 손을 놓으면,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의해서, 개구(13) 측에 힘이 가해지고, 슬라이드 버튼(11)의 통상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스토퍼(65)가 하측부터 맞닿아, 래치 스프링(31)의 부세력에 의해서 래치(30)가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버클 장치(1)는 웨빙(173)의 감기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에는 관성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서 레버 부재(28)는 스토퍼 부재(27) 측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도 23 및 도 2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 작동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버튼(11)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가 작동한 경우, 텅 플레이트(17)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웨빙(173)이 소정 길이만큼 조여지는 방향으로 급격하게 인입된다. 그 때문에,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에는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구멍(176)이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버클 본체(3)에 대해 웨빙(173) 측에(화살표 ‘181’ 방향임.)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하고,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에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한다.
또, 관성 질량체(92)의 중력 중심은 스토퍼 부재(27)의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의 축심보다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편심하고 있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는 레버 부재(28)를 거쳐 힘이 가해지는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프레임 부재(21)측으로(화살표 ‘182’ 방향임) 회전운동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의 개구(13)에 근접한 끝 부분은 레버 부재(28)의 상면부를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 레버 부재(28)를 프레임 부재(21) 측으로(화살표 ‘183’ 방향임) 회전운동시킨다.
또, 레버 부재(28)는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된 경우에는 각 돌출편(88)이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의 각 측벽(62)의 내측면에 형성된 각 맞닿음부(67)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회전운동된다.
계속해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 본체(3)에 대해 웨빙(173) 측에(화살표 ‘181’ 방향임)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한 경우, 슬라이드 버튼(11)에도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화살표 ‘185’ 방향임)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고,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 즉 텅 플레이트(17)와 래치(30)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한편,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은 회전 질량체(92)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맞닿음부(67)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회전운동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은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시작한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맞닿음부(67)를 받아내고, 이 슬라이드 버튼(11)의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하여, 래치(30)와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에, 버클 본체(3)로부터 텅 플레이트(17)가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의해서 개구(13) 측의 통상 위치로 복귀한다. 또, 스토퍼 부재(27)는 레버 부재(28)를 통해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각 돌기(103)가 베이스 부재(26)의 각 회전 규제편(97)에 맞닿는다. 또한, 레버 부재(28)도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버클 장치(1)에 의하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가 작동한 경우, 버클 본체(3)에 대해 웨빙(173) 측에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한다.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는 레버 부재(28)를 통해 힘이 가해지는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된다. 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에 맞닿는 레버 부재(28)도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되고, 각 돌출편(88)이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측벽(62)의 내측면에 형성된 각 맞닿음부(67)에 대향한다. 또, 슬라이드 버튼(11)이 관성력에 의해서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각 맞닿음부(67)가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에 맞닿아, 슬라이드 버튼(11)의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래치(30)와 텅 플레이트(17) 사이의 걸어 맞춤 해제가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서 스토퍼 부재(27)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관성 질량체(92)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관성 질량체(92)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스토퍼 부재(27)는 레버 부재(28)의 타단측을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맞닿음부(67)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좋기 때문에, 관성 질량체(92)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관성 질량체(92)가 소형화되는 것에 의해, 텅 플레이트(17)가 삽입된 버클 본체(3)에 대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웨빙(173)을 죄는 방향에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한 경우에는 스토퍼 부재(27)가, 더욱 조기의 시점에서 프레임 부재(21)측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가 작동한 경우에는 더욱 조기의 시점에서 프레임 부재(21) 측 방향으로 회전운동된 스토퍼 부재(27) 및 레버 부재(28)에 의해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버튼(11)의 이동을 저지하여, 래치(30)와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해제를 방지하고, 버클 본체(3)로부터 텅 플레이트(17)가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 프레임 부재(21) 상에 홀 IC 스위치(34)나 기구적 스위치(35)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버클 장치(1)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가 삽입된 버클 본체(3)에 대해 웨빙(173)을 죄는 방향에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토퍼 부재(27)는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27)의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을 축지지하는 부분 및 레버 부재(28)의 각 레버 회전운동측(86)을 축지지하는 부분의 마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맞닿음부(67)는 래치(30)가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슬라이드 버튼(11)이 슬라이드 이동한 경우에는 레버 부재(28)와 프레임 부재(21)의 사이에 진입하기 때문에,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통상시에는 레버 부재(28) 및 스토퍼 부재(27)가 회전운동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드 버튼(11)을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개량,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 예를 들면, 스토퍼 부재(27)의 회전 질량체(92)에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을 직접 장착하는 동시에, 각 맞닿음부(67)의 높이를 회전 질량체(92)가 프레임 부재(21)측으로 회전운동했을 때에만 맞닿도록 구성하여, 레버 부재(28)를 마련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부품 점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 또, 예를 들면,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을 삭제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형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의 배면측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만 맞닿음부(67)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레버 부재(28)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C) 또한, 예를 들면, 버클 본체(3)에 홀 IC 스위치(34) 또는 기구적 스위치(35)의 어느 한쪽만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D) 또한, 예를 들면, 홀 IC 스위치(34) 내의 홀 소자(132)를 리드선(15)의 인출측에 대향하는 안쪽측 끝 부분의 근방, 즉, 개구(13) 측의 끝 부분의 근방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각 리드선(15)을 프린트 배선(152B)과 프린트 배선(153)에 각각 납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45)에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젝터(22)는 이젝터 스프링(23)에 의해서 개구(13)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 부재(24)는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 근접하기 때문에, 상기 홀 IC 스위치(34)는 ON 신호를 출력한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B, 153)이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이 때문에,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거쳐 회로가 단절되고, OFF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7)가 삽입부(45)에 삽입되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걸어맞춤 구멍(176)에 걸어맞춰진 잠금 상태에서는 이젝터(22)가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있다. 또, 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 부재(24)는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단면 근방에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홀 IC 스위치(34)는 OFF 신호를 출력한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걸림턱(161) 측, 즉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B, 153)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때문에,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거쳐 회로가 접속되고, ON 신호를 출력한다.
Claims (2)
- 웨빙에 연결된 텅 플레이트가 삽입 이탈되도록 구성된 버클 본체를 구비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 본체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 측 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드 버튼,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내에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텅 플레이트의 삽입시에 상기 텅 플레이트에 걸어 맞춰지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버튼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텅 플레이트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래치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 대향하는 단면부에 상기 프레임 부재 측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한 경우,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프레임 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부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단면부에 단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중력 중심이 회전 축심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편심하도록 마련된 관성 질량체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단면부에 단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관성 질량체의 단부에 상기 프레임 부재 측에서 맞닿는 것이 가능한 레버 부재를 갖고,
상기 관성 질량체와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해 각각의 단부가 프레임 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부세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에 대향하는 맞닿음부가 마련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가 삽입된 버클 본체에 대해 차량 충돌시의 긴급 시에 상기 웨빙을 죄는 방향으로 가속도가 작용한 경우, 상기 관성 질량체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서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된 상기 관성 질량체의 단부가 상기 레버 부재에 맞닿고 동시에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가 프레임 부재 측으로 회전운동되고,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상기 맞닿음부에 맞닿아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래치 부재와 상기 텅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해제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247989 | 2009-10-28 | ||
JPJP-P-2009-247989 | 2009-10-28 | ||
JPJP-P-2010-208939 | 2010-09-17 | ||
JP2010208939A JP5688256B2 (ja) | 2009-10-28 | 2010-09-17 | バックル装置 |
PCT/JP2010/068237 WO2011052415A1 (en) | 2009-10-28 | 2010-10-12 | Buck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8039A KR20120068039A (ko) | 2012-06-26 |
KR101451947B1 true KR101451947B1 (ko) | 2014-10-22 |
Family
ID=4370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2511A KR101451947B1 (ko) | 2009-10-28 | 2010-10-12 | 버클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8650726B2 (ko) |
EP (1) | EP2493348B1 (ko) |
JP (1) | JP5688256B2 (ko) |
KR (1) | KR101451947B1 (ko) |
CN (1) | CN102595954B (ko) |
AU (1) | AU2010312730A1 (ko) |
WO (1) | WO201105241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27026B2 (en) * | 2012-10-16 | 2014-09-09 | Oceaneering International, Inc. | Barrier for use with seatbelt buckle and system including same |
TWI527720B (zh) * | 2013-10-02 | 2016-04-01 | Yoke Ind Corp | Seat belt locking device |
DE102013020618B4 (de) * | 2013-12-02 | 2022-12-29 | Zf Automotive Germany Gmbh | Gurtschloss |
CN203860572U (zh) | 2014-05-13 | 2014-10-08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幼儿安全带连接扣 |
US10005563B2 (en) * | 2015-11-23 | 2018-06-26 | The Boeing Company |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atbelt status |
JP6475305B1 (ja) | 2017-11-02 | 2019-02-27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バックル装置 |
US10575597B2 (en) * | 2017-11-08 | 2020-03-03 | Autoliv Asp, Inc. | Debris resistant seatbelt buckle device |
CN108302159B (zh) * | 2018-02-09 | 2024-05-24 | 东莞市景瑜实业有限公司 | 一种带连接锁扣 |
US10602808B2 (en) * | 2018-03-01 | 2020-03-31 | Patrick M. Ardis | Buckle assembly |
CN108372840B (zh) * | 2018-04-18 | 2024-05-31 | 重庆光大产业有限公司 | 一种锁扣装置总成 |
MY195143A (en) * | 2019-03-19 | 2023-01-11 | Thaib Najiyah | A Clamping Device |
TWI782778B (zh) * | 2020-07-16 | 2022-11-01 | 智崴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 扣具裝置 |
US11213102B1 (en) * | 2020-09-24 | 2022-01-04 | Brogent Technologies Inc. | Buckle device |
ES2974060T3 (es) * | 2020-09-28 | 2024-06-25 | Brogent Tech Inc | Dispositivo de hebilla |
CN115107851A (zh) * | 2021-03-18 | 2022-09-27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扣具、扣具监测系统及婴幼儿载具 |
TWI776642B (zh) * | 2021-08-19 | 2022-09-01 | 智崴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 可顯示鎖固狀態的扣具裝置 |
CN114715001B (zh) * | 2022-03-24 | 2023-08-04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一种磁性搭扣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7310A (ja) * | 1997-11-12 | 1999-05-25 | Nippon Seiko Kk | バックル装置 |
JPH11155611A (ja) * | 1997-11-28 | 1999-06-15 | Nippon Seiko Kk | バックル装置 |
JP2005144138A (ja) * | 2003-10-24 | 2005-06-09 | Takata Corp | バックルにおけるショックプルーフ装置、これを備えたバックル、およびこのバックル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
KR20060129045A (ko) * | 2004-03-09 | 2006-12-14 |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시트벨트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227513B (en) * | 1988-11-08 | 1993-02-10 | Gen Engineering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belt buckle |
DE3842453A1 (de) | 1988-12-16 | 1990-06-21 | Autoliv Kolb Gmbh & Co | Schloss fuer ein kraftfahrzeug-sicherheitsgurtsystem |
GB8904205D0 (en) * | 1989-02-23 | 1989-04-05 | Bsrd Ltd | Seat belt buckle |
US5054171A (en) * | 1989-06-14 | 1991-10-08 |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 Buckle device |
DE4009272A1 (de) * | 1990-03-22 | 1991-09-26 | Trw Repa Gmbh | Gurtschloss fuer ein sicherheitsgurtsystem, das mit einer rueckstrammeinrichtung versehen ist |
DE59009070D1 (de) * | 1990-11-15 | 1995-06-14 | Trw Repa Gmbh | Schloss für Sicherheitsgurtsysteme in Fahrzeugen. |
GB9204793D0 (en) * | 1992-03-05 | 1992-04-15 | Bsrd Ltd | Seat belt buckle |
JP2587877Y2 (ja) * | 1992-05-26 | 1998-12-24 | 日本精工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 |
DE4427011A1 (de) * | 1994-07-29 | 1996-02-01 | Trw Repa Gmbh |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
US5496068A (en) * | 1995-01-20 | 1996-03-05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Inertia sensitive buckle for seat belt pretensioner system |
US5704099A (en) * | 1995-10-05 | 1998-01-06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Seat belt buckle with inertia locking mechanism |
DE29613690U1 (de) | 1996-08-07 | 1996-12-05 |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 Gurtstrafferfester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
GB2322158B (en) * | 1997-02-17 | 2001-09-26 | Alliedsignal Ltd | Buckle |
JP3809007B2 (ja) * | 1998-03-25 | 2006-08-16 | タカタ株式会社 | バックル |
US6233794B1 (en) * | 1998-06-18 | 2001-05-22 |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 Buckle for use with a pretensioner |
EP1219197B1 (en) * | 1999-08-13 | 2015-09-30 | Ashimori Industry Co., Ltd. | Buckle device |
JP3859401B2 (ja) * | 1999-08-26 | 2006-12-20 | タカタ株式会社 |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
JP4471340B2 (ja) * | 2003-10-07 | 2010-06-02 | 芦森工業株式会社 | バックル装置 |
-
2010
- 2010-09-17 JP JP2010208939A patent/JP5688256B2/ja active Active
- 2010-10-12 CN CN201080048541.1A patent/CN10259595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0-12 WO PCT/JP2010/068237 patent/WO201105241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10-12 EP EP10773415.4A patent/EP2493348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0-10-12 AU AU2010312730A patent/AU201031273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10-12 US US13/390,397 patent/US865072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0-12 KR KR1020127012511A patent/KR1014519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7310A (ja) * | 1997-11-12 | 1999-05-25 | Nippon Seiko Kk | バックル装置 |
JPH11155611A (ja) * | 1997-11-28 | 1999-06-15 | Nippon Seiko Kk | バックル装置 |
JP2005144138A (ja) * | 2003-10-24 | 2005-06-09 | Takata Corp | バックルにおけるショックプルーフ装置、これを備えたバックル、およびこのバックル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
KR20060129045A (ko) * | 2004-03-09 | 2006-12-14 |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시트벨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1115559A (ja) | 2011-06-16 |
EP2493348B1 (en) | 2016-01-13 |
KR20120068039A (ko) | 2012-06-26 |
CN102595954A (zh) | 2012-07-18 |
EP2493348A1 (en) | 2012-09-05 |
AU2010312730A1 (en) | 2012-02-16 |
US20120144630A1 (en) | 2012-06-14 |
WO2011052415A1 (en) | 2011-05-05 |
CN102595954B (zh) | 2014-12-31 |
JP5688256B2 (ja) | 2015-03-25 |
US8650726B2 (en) | 2014-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1947B1 (ko) | 버클 장치 | |
JP5688257B2 (ja) | バックル装置 | |
US7210950B2 (en) | Connector for memory card | |
US8327512B2 (en) | Slide switch for buckle apparatus | |
JP5544603B2 (ja) | スイッチ付バックル装置 | |
US4947290A (en) | Rail moun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equipment | |
TWI251964B (en) |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 |
JP4474355B2 (ja)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
US10813414B2 (en) | Buckle device | |
JP6444576B1 (ja) | 電気機器筐体及び電気機器 | |
JP4023394B2 (ja) |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 |
JP2005026016A (ja) |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 |
JP3875669B2 (ja) | 安全帯用バックル | |
JP2001233179A (ja) | バックル装置 | |
JP2002347575A (ja) | 乗員拘束装置及びタングプレート | |
JP2003180408A (ja) | バックル装置 | |
WO2008022159A2 (en) |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