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426B1 -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나트륨 도핑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태양전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나트륨 도핑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태양전지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0426B1 KR101450426B1 KR1020130002432A KR20130002432A KR101450426B1 KR 101450426 B1 KR101450426 B1 KR 101450426B1 KR 1020130002432 A KR1020130002432 A KR 1020130002432A KR 20130002432 A KR20130002432 A KR 20130002432A KR 101450426 B1 KR101450426 B1 KR 101450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vent
- doping
- doping solution
- layer
- acetonitri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0/0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 H10F10/1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10/16—Photovoltaic cells having only PN heterojunction potential barriers
- H10F10/167—Photovoltaic cells having only PN heterojunction potential barriers comprising Group I-III-VI materials, e.g. CdS/CuInSe2 [CIS] heterojunction photovoltaic cel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10—Semiconductor bodies
- H10F77/12—Active materials
- H10F77/126—Active materials comprising only Group I-III-VI chalcopyrite materials, e.g. CuInSe2, CuGaSe2 or CuInGaSe2 [CIG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10—Semiconductor bodies
- H10F77/12—Active materials
- H10F77/128—Active materials comprising only Group I-II-IV-VI kesterite materials, e.g. Cu2ZnSnSe4 or Cu2ZnSnS4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10—Semiconductor bodies
- H10F77/16—Material structures, e.g. crystalline structures, film structures or crystal plane orientations
- H10F77/169—Thin semiconductor films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H10F77/1694—Thin semiconductor films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the films including Group I-III-VI materials, e.g. CIS or CI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1—CuInSe2 material PV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2d는 Formamide 단일 용매에 NaCl을 용해 후 Acetone, Methanol, Dimethylsulfoxide, Acetonitrile을 각각 혼합하여 스핀코팅한 후 건조시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표면 사진.
도 3a 내지 3c는 NaCl을 용해시킨 Formamide와 Acetonitrile 혼합 용액에 Acetone, Ethyleneglycol, Methanol을 각각 추가 혼합하여 스핀코팅한 후 건조시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표면 사진.
도 4a 내지 4c는 Formamide 기반 Na 도핑 적용 기판에 형성된 CZTS 흡수층의 H2S 열처리 후 미세구조를 보인 SEM 사진.
도 5a 내지 5c는 FA-AN-MeOH 기반 Na 도핑 적용된 Mo기판에 형성된 CZTS 흡수층의 H2S 열처리 후 미세구조를 보인 SEM 사진.
도 6a 내지 6c는 Na 도핑 없이 Mo 기판에 형성된 CZTS 흡수층의 H2S 열처리 후 미세구조를 보인 SEM 사진.
도 7a 내지 7c는 Water 기반 Na 도핑 적용된 Mo기판에 형성된 CZTS 흡수층의 H2S 열처리 후 미세구조를 보인 SEM 사진.
도 8a 및 8b는 CZTS 흡수층에 Na 도핑 용액을 담침하고 열처리한 후 미세구조를 보인 SEM 사진.
도 9a 내지 9c는 Na 도핑층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 그림.
도 10a 및 10b는 Na 도핑층 형성 전과 형성 후의 흡수층 표면 미세 구조를 보인 사진.
샘플종류 | Voc V | Isc A | Jsc mA/cm2 | Fill factor | efficiency |
Na 도핑 전 | 0.462672 | 0.00648 | 22.53743 | 29.4332 | 3.07 |
Na 도핑 후 | 0.457989 | 0.008945 | 29.51712 | 30.5114 | 4.12 |
Claims (20)
- Na를 포함하는 도핑 용액으로서 주용매인 Formamide와 보조용매로서 Acetone, Methanol, Ethylene glycol, Dimethylsulfoxide, Acetonitril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Na 도핑 용액을 준비하고,
기판 위에 상기 Na 도핑 용액을 도포하여 Na 도핑층을 형성하고,
상기 Na 도핑층을 열처리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상기 Na 도핑층 위에 칼코겐화물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층의 열처리는 용매의 건조를 위하여 50 ~ 100℃ 범위에서 1차 열처리하고, 불순물의 제거를 위하여 200 ~ 300℃ 범위에서 2차 열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주용매인 Formamide을 사용한 1M 도핑 용액 100 mL 당 보조 용매로서 Acetone 2mL, Methanol 4mL, Dimethylsulfoxide 1mL, 또는 Acetonitrile 1mL 을 첨가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용질로서 NaCl을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주용매인 Formamide에 보조용매로서 Acetone, Methanol, Ethylene glycol, Dimethylsulfoxide, Acetonitril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선택된 보조용매 이외에 남은 보조용매 중 어느 하나의 보조용매를 제2보조 용매로서 더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주용매인 Formamide을 사용한 1M 도핑 용액 100 mL 당 보조 용매로서 Acetonitrile 1mL을 포함함과 더불어, 제2보조용매로서 Acetone 1mL ~ 2mL, Ethylene glycol 2mL ~ 4mL, 또는 Methanol 2mL ~ 4mL를 더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코겐화물 흡수층은 CIGS 또는 CZT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칼코겐화물 흡수층은 상기 Na 도핑층 위에 CIGS 또는 CZTS 잉크를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의 도포는 스핀 코팅, 스프레이, 닥터블레이트, 또는 테잎캐스팅에 의해서 수행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Na를 포함하는 도핑 용액으로서 주용매인 Formamide와 보조용매로서 Acetone, Methanol, Ethylene glycol, Dimethylsulfoxide, Acetonitril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Na 도핑 용액을 준비하고,
기판 위에 전극층과 흡수층을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전극층과 흡수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을 상기 Na 도핑 용액에 담침하거나 상기 기판 상부에 도핑 용매를 균일하게 도포시켜 도핑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을 열처리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용매의 건조를 위하여 50 ~ 100℃ 범위에서 1차 열처리하고, 불순물의 제거를 위하여 200 ~ 300℃ 범위에서 2차 열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주용매인 Formamide을 사용한 1M 도핑 용액 100 mL 당 보조 용매로서 Acetone 2mL, Methanol 4mL, Dimethylsulfoxide 1mL, 또는 Acetonitrile 1mL 을 첨가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용질로서 NaCl을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주용매인 Formamide에 보조용매로서 Acetone, Methanol, Ethylene glycol, Dimethylsulfoxide, Acetonitril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선택된 보조용매 이외에 남은 보조용매 중 어느 하나의 보조용매를 제2보조 용매로서 더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 제조 방법.
- Na를 포함하는 용질과,
주용매인 Formamide와 보조용매로서 Acetone, Methanol, Ethylene glycol, Dimethylsulfoxide, Acetonitril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Na 도핑 용액.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주용매인 Formamide을 사용한 1M 도핑 용액 100 mL 당 보조 용매로서 Acetone 2mL, Methanol 4mL, Dimethylsulfoxide 1mL, 또는 Acetonitrile 1mL 을 첨가하는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Na 도핑 용액.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용질로서 NaCl을 포함하는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Na 도핑 용액.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주용매인 Formamide에 보조용매로서 Acetone, Methanol, Ethylene glycol, Dimethylsulfoxide, Acetonitril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선택된 보조용매 이외에 남은 보조용매 중 어느 하나의 보조용매를 제2보조 용매로서 더 포함하는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Na 도핑 용액.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Na 도핑 용액은 주용매인 Formamide을 사용한 1M 도핑 용액 100 mL 당 보조 용매로서 Acetonitrile 1mL을 포함함과 더불어, 제2보조용매로서 Acetone 1mL ~ 2mL, Ethylene glycol 2mL ~ 4mL, 또는 Methanol 2mL ~ 4mL를 더 포함하는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Na 도핑 용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2432A KR101450426B1 (ko) | 2013-01-09 | 2013-01-09 |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나트륨 도핑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태양전지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2432A KR101450426B1 (ko) | 2013-01-09 | 2013-01-09 |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나트륨 도핑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태양전지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0733A KR20140090733A (ko) | 2014-07-18 |
KR101450426B1 true KR101450426B1 (ko) | 2014-10-14 |
Family
ID=5173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24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0426B1 (ko) | 2013-01-09 | 2013-01-09 |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나트륨 도핑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태양전지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042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4248A (ko) * | 2016-09-27 | 2018-04-04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유연 czts계 박막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69684A1 (en) | 2002-02-14 | 2003-08-21 |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Light absorbing layer forming method |
KR20090106513A (ko) * | 2006-12-08 | 2009-10-09 | 솔로파워, 인코포레이티드 | Ⅰbⅲaⅵa 족 화합물 층들을 위한 도핑 기술들 |
KR20100099753A (ko) * | 2007-12-29 | 2010-09-13 | 상하이 인스티튜트 오브 세라믹스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 구리-인듐-갈륨-황-셀레늄 박막 태양전지의 광 흡수층의 제조 방법 |
US20120214293A1 (en) | 2011-02-22 | 2012-08-23 | Serdar Aksu | Electrodepositing doped cigs thin films for photovoltaic devices |
-
2013
- 2013-01-09 KR KR1020130002432A patent/KR10145042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69684A1 (en) | 2002-02-14 | 2003-08-21 |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Light absorbing layer forming method |
KR20090106513A (ko) * | 2006-12-08 | 2009-10-09 | 솔로파워, 인코포레이티드 | Ⅰbⅲaⅵa 족 화합물 층들을 위한 도핑 기술들 |
KR20100099753A (ko) * | 2007-12-29 | 2010-09-13 | 상하이 인스티튜트 오브 세라믹스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 구리-인듐-갈륨-황-셀레늄 박막 태양전지의 광 흡수층의 제조 방법 |
US20120214293A1 (en) | 2011-02-22 | 2012-08-23 | Serdar Aksu | Electrodepositing doped cigs thin films for photovoltaic devic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4248A (ko) * | 2016-09-27 | 2018-04-04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유연 czts계 박막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0733A (ko) | 2014-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148644B (zh) | 基于梯度退火与反溶剂的全无机钙钛矿电池及其制备方法 | |
CN102194925A (zh) | 制造薄膜光吸收层的方法及使用其制造薄膜太阳能电池的方法 | |
CN110212092B (zh) | 梯度结构特征的二维Ruddlesden-Popper杂化钙钛矿薄膜及其制备方法 | |
CA3142542A1 (en) | Doped mixed cation perovskite materials and devices exploiting same | |
KR101197228B1 (ko) |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의 광흡수층 제조방법 | |
KR102080748B1 (ko) | 고품질 페로브스카이트 광 활성층 박막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 |
KR101583026B1 (ko) | Czts계 태양전지용 박막의 제조방법 | |
Ye et al. | Crack-free perovskite layers for high performance and reproducible devices via improved control of ambient conditions during fabrication | |
WO2017074069A1 (ko) | 태양전지의 광흡수체 제조 방법 | |
KR101542343B1 (ko) | 박막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766624B1 (ko)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53184B1 (ko) | 태양전지 광흡수층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태양전지 광흡수층 | |
CN112909183B (zh) | 一种拓宽钙钛矿吸光层加工窗口的方法及平面型钙钛矿太阳能电池 | |
KR101450426B1 (ko) | 칼코겐화물 흡수층용 나트륨 도핑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태양전지 제조방법 | |
KR102524637B1 (ko) | 박막 태양전지 및 광흡수층에 대한 용액 기반 알카리 원소 후증착 처리 방법 | |
CN115715138A (zh) | 一种有机离子塑性晶体掺杂的全无机钙钛矿太阳能电池 | |
KR101559102B1 (ko) |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 |
KR101596092B1 (ko) | 알칼리 도핑액 조성물, 이를 사용한 cis계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541449B1 (ko) | 다공성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 |
KR101582121B1 (ko) | 이종 적층형 cis계 광활성층 박막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cis계 광활성층 박막 및 상기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 태양전지 | |
KR102311393B1 (ko) |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막 | |
US20160284901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ci(g)s-based thin film including aging of slurry comprising binary nanoparticles, and ci(g)s-based thin film manufactured thereby | |
Xu et al. | Heterojunction interface regulation to realize high-performance flexible Kesterite solar cells | |
CN117337118A (zh) | 一种在高湿度条件下制造钙钛矿薄膜的方法 | |
KR101759981B1 (ko) | FeS2 박막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