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367B1 -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367B1
KR101449367B1 KR1020140019628A KR20140019628A KR101449367B1 KR 101449367 B1 KR101449367 B1 KR 101449367B1 KR 1020140019628 A KR1020140019628 A KR 1020140019628A KR 20140019628 A KR20140019628 A KR 20140019628A KR 101449367 B1 KR101449367 B1 KR 10144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rotary plate
bar
driving member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자
Original Assignee
신광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자 filed Critical 신광자
Priority to KR102014001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물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공대상물의 위치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위치고정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있도록 함에 따라 가공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 테두리 양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대상물의 위치고정장치에 있어서,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판, 상기 양 체결공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있는 거치바아,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전측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있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물 위치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workpiece}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 등의 가공 대상물에 관통홀이나 홈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고정 과정에서 가압 등에 의해 가공대상물의 찌그러짐 등의 훼손을 방지하면서도 가공대상물의 위치를 정확히 고정시켜 가공공구와 가공지점 간 위치변화를 방지함에 따라 가공불량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의 모터케이스는 최초 성형 된 후 가공장치를 통해 축공을 형성시키거나 축공 내부에 베어링 홈 등을 형성시키는 홀 가공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별도의 위치고정장치를 이용해 가공대상물의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를 고정시켜 홀 가공 과정에서 가공지점의 설정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한다.
종래의 위치고정장치는 여러 개의 지그가 가공대상물을 중심으로 사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공대상물의 테두리를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 시키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 경우 각 지그에 의한 가압력이 가공대상물의 테두리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작용 되기 때문에 가공대상물의 테두리 부분이 가압력에 의해 일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 되기 쉽다.
더구나 가공대상물의 재질이 알루미늄과 같이 연질금속이거나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일 경우 이러한 변형가능성이 클 수밖에 없다.
또한 가공대상물이 모터케이스처럼 좌우 테두리의 형상이 대칭 구조가 아닐 경우 각 지그마다 접촉면적 등에 차이가 생기므로, 접촉상태에 따라 각 지그의 가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가압과정에서 가압지점의 형상변형이 발생될 경우, 가공대상물의 가공지점과 가공공구 간의 위치도 틀려지게 되고, 이는 결국 가공불량의 주요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현상들을 방지하기 위해 각 지그의 가압력을 일일이 정밀하게 조절해야하고 그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설정위치를 여러 번 수정해야 하므로 전체 생산성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186350000호(2000.04.08)
본 발명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가공대상물의 위치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위치고정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있도록 함에 따라 가공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가공대상물의 신속한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설치 후 추가적인 위치수정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전체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적어도 일측 테두리 양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대상물의 위치고정장치에 있어서,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판, 상기 양 체결공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있는 거치바아,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공대상물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전측단부가 가공물의 후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후면접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바아, 상기 돌출바아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며 회동 과정에서 후측면이 상기 가공대상물의 전측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이 상기 돌출바아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회동 구동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밀거나 당기는 형태일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회동 구동부재는 상기 돌출바아와 연결되어 돌출바아를 회전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돌출바아와 연결되어 상기 돌출바아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가공대상물을 중심으로 가공대상물의 테두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복수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바아는 상기 가공대상물의 일측 테두리 양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각 체결공에 결합 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대상물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있는 쏠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쏠림 방지부재에는 상기 가공대상물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후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쏠림 방지부재는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대상물은 중앙에 축공이 형성될 수 있고 양측 모서리 부근에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 중 상기 체결공이 형성된 양 모서리와 반대되는 쪽 양 모서리로부터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지다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양 지지다리의 후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쏠림 방지부재는 상기 양 지지다리와 동일한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바아는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을 항하는 쪽 단부에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대상물은 중앙에 축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양 모서리 부근에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 중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양 모서리와 반대되는 쪽 양 모서리로부터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지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이 단순히 거치바아와 체결공 간 결합에 의해 거치바아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가공대상물의 설치 및 위치설정 과정이 간소해짐은 물론,
거치바아가 적어도 가공대상물의 양 모서리 부근 체결공에 동시에 끼워지기 때문에 가공대상물의 좌우 흔들림 현상이 최소화되고, 이 상태에서 위치고정부가 가공대상물을 지지함에 따라 가공대상물의 전후 흔들림이나 이동도 차단할 수 있어 안정적인 위치고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렇게 가공대상물이 단순히 거치바아에 거치된 상태에서 위치고정부의 지지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가압력에 의해 가공대상물의 형상이 변형되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가공대상물의 전후측면이 접촉부재와 위치고정부에 의해 동시 지지되기 때문에 가공대상물의 흔들림 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위치고정부의 지지부재가 돌출바아를 통해 회전판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가공대상물에 연결되므로 전체 위치고정구조가 간소해짐은 물론 회전판이 회전하는 내내 가공대상물의 안정적인 고정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가 회동 구동부재를 통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가공대상물을 거치바아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지지부재에 의한 간섭이 발생 되지 않아 분리 및 결합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지지부재가 돌출바아와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 회동 되는 형태로 구현될 경우, 가공대상물의 설치 및 분리 과정에서 가공대상물과 지지부재 간의 불필요한 간섭이 발생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가 회전판을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을 회전판 쪽으로 밀어 지지하므로 가공대상물의 전후 흔들림이나 이동 현상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지지부재가 전후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 이동될 수 있으므로, 후측으로 이동하면서 가공대상물을 회전판 쪽으로 밀면서 지지함에 따라 가공대상물의 전후 흔들림이나 이동 현상이 더욱 줄어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대상물의 설치 및 분리과정에서 지지부재와의 불필요한 접촉 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위치고정부가 가공대상물의 테두리 외곽을 둘러싼 형태로 배열될 경우, 각 지지부재가 가공대상물의 여러 지점에 동시 연결되어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공대상물이 거치바아에 결합 된 상태에서 타측이 쏠림 방지부재와도 결합되므로, 가공대상물이 거치바아와 해당 체결공 간 공차에 의해 미세하게 이동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공대상물이 쏠림 방지부재의 끼움공간에 끼워진 형태로 결합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 외 가공대상물의 후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구조일 경우, 쏠림 방지부재가 단순히 회전판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움홈에 끼워짐으로 쏠림 방지부재의 자체구조 및 가공대상물 과의 결합구조가 간소화된다.
특히 가공대상물이 모터케이스일 경우 쏠림 방지부재가 모터케이스의 양 지지다리와 동일한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양 지지다리의 끼움홈에 결합되기 때문에 가공대상물의 전후좌우 흔들림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거치바아의 직경이 전측단부로 갈수록 줄어들게 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체결공 직경이 다르더라도 항시 거치바아와의 안정적인 끼움 결합이 가능하다.
도1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관한 도면으로,
도1은 은 가공대상물의 설치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측면 개략도
도3은 가공대상물이 제1, 2지지바아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측면 개략도
도5는 도3의 상태에서 위치고정부가 작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측면 개략도
도7은 도6의 정면 개략도
도8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관한 도면으로,
도8은 돌출바아가 전후 구동부재에 의해 전측으로 인출된 상태의 측면개략도
도9는 돌출바아 및 지지부재가 전후 구동부재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하여 가공대상물에 접촉된 상태의 측면 개략도
도10은 전후 구동부재가 회전판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11 및 도12는 고정볼트를 통해 지지부재의 회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13은 돌출바아 및 지지부재가 회동 구동부재에 의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14는 전후 구동부재와 회동 구동부재가 함께 적용된 일 예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15 및 도16는 전후구동부재와 회동 구동부재의 기능이 통합된 일 예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17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관한 도면으로,
도17은 쏠림 방지부재가 가공대상물의 일측 양 모서리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 개략도
도18 및 도19는 쏠림 방지부재가 가공대상물 후측면의 끼움홈에 삽입된 경우를 나타낸 정면개략도
도20은 도 19의 측면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가공대상물이 모터 케이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가공대상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양측모서리 부근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 지점에 홀 가공이 필요한 것이라면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 예>
본 실시 예에서의 위치고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회전구동부(100)와 회전판(200), 거치바아(400) 및 위치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회전구동부(100)는 후술할 회전판(200)을 통해 가공대상물(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AC 또는 DC모터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체(10)에 고정설치된다.
참고로 회전구동부(100)는 도면처럼 단순히 모터만으로 구성되어 모터축을 통해 후술할 회전판(200)과 직접연결되거나, 별도의 기어나 밸트풀리, 스프로킷 등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회전판(200)과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구동부(100)에는 회전판(200)이 연결된다.
회전판(200)은 가공대상물(1)을 비롯해 후술할 거치바아(400) 및 위치고정부(500) 등의 설치를 위한 지지체 역할과 더불어 회전구동부(100)의 회전력을 통해 가공대상물(1)을 실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재 형태이고 회전구동부(100)의 전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측 중앙이 회전구동부(100)와 연결됨에 따라 회전구동부(100)의 작동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회전판(200)과 회전구동부(100) 간 연결구조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공지의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회전판(200)의 전측에는 후면접촉부재(300)가 설치된다.
후면접촉부재(300)는 회전판(200)에 장착된 가공대상물(1)의 후측면을 지지하여 가공대상물이 후측을 향해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현상을 막는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회전판(200)의 전측면 중앙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전측단부가 회전판(200) 전측에 설치된 가공대상물(1)의 후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후면접촉부재(300)는 위 설명처럼 회전판(200) 중앙에 위치됨에 따라 [도 7]과 같이 가공대상물(1)이 회전판(200) 전측에 위치되었을 때 가공대상물(1)의 중앙 가공지점이 후면접촉부재(300)의 전측 단부 중심점과 전후 동일선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면접촉부재(300)의 전측단부에는 접촉방지홈(310)이 형성됨에 따라 홀 가공 과정에서 가공공구(20)가 가공대상물(1)의 가공지점을 관통한 후 후면접촉부재(300)와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도 4]처럼 후면접촉부재(300)의 전측단부 내경이 가공대상물(1)에 형성될 가공홀 직경 보다 크도록 함에 따라, 후면접촉부재(300)의 전측단부가 가공대상물(1)의 가공홀 주변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만약 가공홀이 관통홀 구조가 아닌 홈 형태로 가공되어 가공공구(20)가 후면접촉부재(300)에 접촉될 가능성이 없다면 접촉방지홈(310)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후면접촉부재(300)가 봉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판재 형태 등 회전판(200)의 전측을 향해 돌출되어 가공대상물(1)의 후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접촉부재(300)는 도면과 같이 회전판(2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 위치조절이 불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면접촉부재(300)가 회전판(200) 중앙을 관통하고 회전판(200) 내부 또는 후측에 설치된 실린더 등의 구동부재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공대상물의 전후 폭이 종류에 따라 다양하더라도 후면접촉부재(300)가 전후 이동됨에 따라 해당 가공대상물의 후측면에 정확히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후면접촉부재(300)가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가공대상물을 앞쪽으로 미는 형태로 지지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위치고정부(500)와 더불어 가공대상물(1)의 전후측면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만약 가공대상물의 후측면이 직접 회전판(200)의 전측면에 밀착되어 후면접촉부재(300)에 의한 후측면 지지가 필요 없을 경우에는 후면접촉부재(3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후면접촉부재(300)까지 설치된 회전판(200)에는 거치바아(400)가 설치된다.
거치바아(400)는 가공대상물(1)을 최초 회전판(200)에 장착시켜 최초 위치설정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다시 제1거치바아(410)와 제2거치바아(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2거치바아(410)(420)는 회전판(200)의 전측에 위치되되 각 후측단부가 회전판(200)의 전측면 중 중심점을 기준으로 위쪽 사선방향을 향해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제1, 2거치바아(410)(420)의 위치 및 상호 간의 거리는 가공대상물(1)의 가공지점을 기준으로 일측 양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양 체결공(1c)의 위치 및 상호 간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처럼 제1, 2지지바아(410)(420)이 가공대상물(1)의 양 체결공(1c)에 끼워졌을 때 가공대상물(1)의 가공지점 중심이 회전판(200)의 중심과 전후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1, 2거치바아(410)(420)는 각각 후측 단부에서부터 전측 단부로 갈수록 일정 구간마다 직경이 줄어드는 구조, 즉 직경이 다단 형태로 축소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제1, 2거치바아(410)(420)의 직경을 다단 형태로 축소시킴에 따라, 제1, 2거치바아(410)(420)에 체결될 가공대상물(1)의 양 체결공(1c) 직경에 맞는 직경구간을 선택하여 끼울 수 있으므로, 항시 체경공(1c)과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끼움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후측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가공대상물(1)이 제1, 2거치바아(410)(420)의 후측 단부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참고로 제1, 2거치바아(410)(420)의 직경 축소구조는 다단 형태 외에도 쐐기 형태처럼 직경이 연속적으로 줄어드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공대상물(1)의 체결공(1c) 직경이 항시 일정하고 가공대상물이 제1, 2거치바아(40)(420)의 후측으로 이동될 가능성이 없다면 제1, 2거치바아(410)(420)의 직경 축소구조는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참고로 위에서 제1, 2거치바아(410)(420)의 설치지점을 회전판(2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위쪽이라 설명한 것은 구조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 것일 뿐,
회전판(200)은 회전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1, 2거치바아(410)(420)의 설치지점은 회전판(200)의 정지 상태에 따라 회전판(200)중심점의 아래쪽이 될 수도 있고 측부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2거치바아(410)(420)가 회전판(200)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위쪽에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거치바아(400)의 개수는 제1, 2거치바아 두개로 한정되지 않고 가공대상물의 형상 및 크기 등에 따라 체결 가능한 체결공의 개수가 3개 이상일 경우 그에 맞는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 2거치바아(410)(420)가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판(200)에는 위치고정부(500)가 더 설치된다.
위치고정부(500)는 가공대상물(1)이 제1, 2거치바아(410)(420) 및 체결공(1c) 간 결합을 통해 회전판(200) 전측에 설치되었을 때 가공대상물(1)의 전후 흔들림 및 이동방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돌출바아(510)와 지지부재(520) 및 회동 구동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돌출바아(510)는 후술할 지지부재(520)의 설치를 위한 지지체역할 및 지지부재(520)와 회전판(200) 전측면 사이 간격 확보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후측 단부가 회전판(200) 전측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돌출바아(510)는 회전판(2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사방에 배열되되 각 돌출바아(510)는 가공대상물(1)이 제1, 2거치바아(410)(420)를 통해 회전판(200) 전측에 설치되었을 때 가공대상물의 외곽 테두리 외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가공대상물(1)을 제1, 2거치바아(410)(42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돌출바아(510)의 배열 개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가공대상물(1)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부재(520)는 위치고정부 중에서 가공대상물(1)과 직접 접촉되어 위치고정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 면적을 갖는 블록 형태이고 각 돌출바아(510)의 전측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522)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520) 및 돌출바아(510)와 함께 위치고정부(500)를 구성하는 회동 구동부재(530)는 각 지지부재(520)의 전후회동에 필요한 구동력 및 가공대상물(1)에 대한 지지부재(520)의 가압력 제공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면과 같이 일반적인 실린더나 솔레노이드처럼 작동로드(532)의 전후 직선구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거나 모터 형태로 구현되어 힌지축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회동 구동부재(530)의 구조 및 작동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재(520)의 회동 및 지지력 발휘 기능을 갖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구동부재(530)가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형태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회동 구동부재(530)는 회전판(200)의 전측면 중 각 돌출바아(510) 일측에 위치되고 전측을 향해 돌출된 작동로드(532)의 전측 단부가 각 지지부재(520)의 일측에 링크 형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2]와 같이 각 회동 구동부재(530)의 작동로드(532)가 후측으로 직선이동되면 각 지지부재(520)는 힌지축(522)을 중심으로 앞쪽으로 회동되고 [도 5] 및 [도 6]처럼 각 작동로드(532)가 전측으로 인출되면 각 지지부재(520)는 힌지축(522)을 중심으로 뒤쪽으로 회동 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가공대상물(1)을 회전판(200)에 장착하기 전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 회동 구동부재(530)의 각 작동로드(532)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면 각 지지부재(520)는 힌지축(522)을 중심으로 앞쪽을 향해 회동 된다.
이로 인해 회전판(200)의 전측 공간 중 각 지지부재(520) 간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가공대상물(1)을 각 돌출바아(510) 사이 공간에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지지부재(520)와의 불필요한 접촉이 발생 되지 않게 된다.
그 후 [도 3] 및 [도 4]처럼 가공대상물(1)의 후측면을 회전판(200) 전측면과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뒤 가공대상물(1)의 일측 양 모서리 부근의 체결공(1c)에 제1, 2거치바아(410)(420)의 전측 단부를 각각 삽입시킴에 따라 가공대상물(1)은 일측 테두리가 제1, 2거치바아(410)(420)에 걸쳐진 상태로 회전판(200) 전측에 설치된다.
참고로 가공대상물(1)이 도면 처럼 케이스본체(1a) 및 케이스본체(1a)의 일측 양 모서리로부터 연장 돌출된 지지다리(1b)를 갖는하는 모터케이스일 경우,
위 도면에서는 체결공(1c)이 케이스본체(1a) 중 양 지지다리(1b)와 연결된 양 모서리와 반대되는 쪽 양 모서리에 형성되고 제1, 2거치바아(410)(420)가 이러한 각 체결공(1c)에 끼워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외에도 체결공(1c)이 양 지지다리(1b)의 단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제1, 2거치바아(410)(420)가 양 지지다리(1b)의 체결공(1c)에 끼워지는 형태, 즉 가공대상물(1)이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로 제1, 2거치바아(410)(4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 2거치바아(410)(420)가 가공대상물(1)의 양 체결공(1c)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제1, 2거치바아(410)(420)의 직경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간별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 해당 체결공과 동일한 직경의 구간을 선택하여 끼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거치바아(410)(420)와 체결공(1c) 간 끼움공차가 최소화됨에 따라 흔들림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1, 2지지바아(410)(420)가 가공대상물(1)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 결합됨에 따라 가공대상물(1)은 좌우 흔들림이 차단되고, 이 상태에서는 가공대상물(1) 중 가공지점의 중심점이 회전판(200)의 중심점 및 후면접촉부재(300)의 중심점과 전후 동일 선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가공대상물(1)이 제1, 2거치바아(410(420)에 결합설치되면 후측면이 후면접촉부재(300)의 전측 단부에 접촉되어 지지 되고, 이로 인해 가공대상물(1)이 후측으로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현상이 더욱 차단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처럼 위치고정부(500)의 각 회동 구동부재(530)가 작동되어 각 작동로드(532)가 앞쪽으로 인출되면 각 지지부재(520)는 힌지축(522)을 중심으로 후측을 향해 회동 된다.
이러한 회동 과정에서 각 지지부재(520)의 후측면이 가공대상물(1)의 전측면 양 모서리 부근에 밀착됨에 따라, 각 지지부재(520)가 가공대상물이 전측으로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현상을 차단하게 된다.
즉 가공대상물(1)은 일측 양 모서리 부근이 제1, 2거치바아(410)(420)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전후측면이 각각 후면접촉부재(300)와 각 지지부재(520)에 밀착됨으로써 가공대상물(1)의 전후좌우 흔들림이나 이동이 차단된 상태가 된다.
특히 이때 각 지지부재(520)가 가동대상물(1) 전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회도 구동부재(530)에 의해 뒤쪽으로 회동하려는 힘이 계속 작용 되기 때문에, 가공대상물(1)은 후면접촉부재(300)와 지지부재(520) 사이에 강하게 물려진 상태가 된다.
더구나 위치고정부(500)가 가공대상물(1)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상태이므로 각 지지부재(520)가 가공대상물(1)의 사방 테두리를 동시에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압면적이 최대화 되어, 그만큼 가공대상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만약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후면접촉부재(300)가 생략되고 가공대상물의 후측면이 회전판의 전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동일한 물림 구조를 갖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을 양 체결공(1c)를 통해 단순히 양 거치바아(410)(420)에 끼움 결합시키고 위치고정부(500)의 각 지지부재(520) 회동만을 통해 가공대상물(1)을 지지하여 위치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가공대상물의 위치고정 구조 및 과정이 간소해진다.
뿐만 아니라 위치고정부(500)의 각 지지부재(520)가 단순히 가공대상물의 전측면에 전측면에 형태로 연결됨에 따라, 기존 지그 방식과 달리 위치고정과정에서 가압대상물의 가압지점이 찌그러지는 등의 현상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각 지그의 가압력을 일일이 조절해야 하는 종래 기술의 번거로움 및 복잡함이 해소될 수 있다.
<제2실시 예>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가공대상물(1)을 제1, 2거치바아(410)(420)에 결합시키고 위치고정부(500)가 가공대상물(1)에 연결되어 지지함에 따라 가공대상물(1)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적 개념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반면, 위치고정부(500)의 구조를 다르게 구현한 것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위치고정부(500)는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돌출바아(510)와 지지부재(520) 및 회동 구동부재(530)을 기본구성으로 하되 회동 구동부재(530)을 달리 구현하여 지지부재(520)의 회동구조가 바뀌었고 더불어 전후 구동부재(540)을 추가하여 지지부재(520)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돌출바아(510)는 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판(200)의 전측면 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위치된다.
본 실시 예서는 돌출바아(510)가 회전판(200)에 설치된 별도의 전후 구동부재(540)와 연결되어 전후 구동부재(540)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전후 구동부재(5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실린더 형태로 회전판(200)의 전측면 중 각 돌출바아(510)와 전후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각 돌출바아(510)의 후측이 전후 구동부재(540)의 전측 단부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직선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후 구동부재(540)는 [도 10]과 같이 회전판(200)의 내부 또는 후측에 위치되고 각 돌출바아(510)의 후단부가 회전판(200)의 전측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전후 구동부재(54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전후 구동부재(540)는 반드시 실린더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솔레노이드나 기어구조 등 돌출바아(510)를 전후 직선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후 구동부재(540)가 각 돌출바아(510) 마다 개별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돌출바아(510)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된 상태에서 각 돌출바아(510)의 전후 이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각 돌출바아(510)는 전후 구동부재(540)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전후 구동부재(540)에는 지지부재(520)가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지지부재(520)도 <제1실시예>의 지지부재(52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측이 각 돌출바아(510)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전후 구동부재(540)에 의해 돌출바아(510)와 함께 전후 이동된다.
이렇게 지지부재(520)가 전후 구동부재(540)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 이동됨에 따라 후진 하면서 제1, 2지지바아(410)(420)에 결합된 가공대상물(1)을 후측으로 밀어 가압할 수 있어, 가공대상물(1)의 위치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의 지지부재(520)도 위 실시 예처럼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가공대상물(1)을 회전판(200) 전측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지지부재(52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지지부재(520)의 회동 제어구조는 수동방식 또는 회동 구동부재(530)의 구동력을 이용한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지지부재(520)의 회동제어를 수동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도 9]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각 지지부재(520)는 일측이 각 돌출바아(510)의 전단부에 관통 되어진 형태로 연결되어 돌출바아(510)의 삽입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지지부재(520)의 외측면 중 돌출바아(510)의 삽입구간에는 별도의 고정볼트(550)가 끼워져 고정볼트(550)의 단부가 지지부재(520)를 관통한 뒤 돌출바아(510)의 삽입구간 둘레면을 가압하거나 볼트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520)가 헛돌지 않게 한다.
또한 [도 9]처럼 돌출바아(510)가 지지부재(520)를 관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측단부에 별도의 이탈방지부재(560)를 결합시킴으로써 지지부재(520)가 돌출바아 앞쪽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도 있다.
물론 고정볼트(550)만으로 지지부재(520)의 불필요한 회동 및 전후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면 이탈방지부재(56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공대상물(1)을 제1, 2거치바아(410)(420)에 결합시키기 전에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고정볼트(550)와 돌출바아(510)를 분리시켜 지지부재(520)의 회동이 자유롭도록 한 뒤 각 지지부재(520)를 각 돌출바아(51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가공대상물(1)이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확보한다.
그 뒤 가공대상물(1)을 제1, 2거치바아(410)(4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 지지부재(520)를 반대로 회동시켜 후측면이 가공대상물(1)의 전측면 모서리 부근에 접촉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볼트(550)를 조여 각 지지부재(520)의 회동을 차단함에 따라 각 지지부재(520)가 가공대상물(1)의 전측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전후 구동부재(540)에 의해 돌출바아(510)를 후측으로 당기면 각 지지부재(520)가 가공대상물(1)의 전측면을 후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지지부재(520)의 회동제어를 회동 구동부재(530)를 통해 구현할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20)는 일측이 돌출바아(510)에 고정설치되고 회동 구동부재(530)는 모터 형태로 구현되어 각 돌출바아(5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돌출바아(510)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각 돌출바아(510)가 회동 구동부재(53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이와 연결된 각 지지부재(520) 또한 돌출바아(510)와 함께 회동 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회동 구동부재(530)는 모터 형태 외에도 돌출바아(510)를 일정각도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만약 지지부재가 회동 구동부재(530)에 의한 회동을 통해 가공대상물에 접촉되는 것만으로도 가공대상물(1)의 위치고정이 가능하다면, 전후 구동부재(540)는 생략될 수 있다.
만약 회동 구동부재(530)와 전후 구동부재(540)를 함께 적용할 경우 [도 14]처럼 별개로 제작된 상태에서 함께 적용되거나 [도 15] 및 [도 16]처럼 양 기능이 병합된 통합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별개로 제작된 상태에서 함께 적용되는 경우, [도 14]와 같이 우선 전후 구동부재(540)가 돌출바아(510)와 연결되어 각 돌출바아(510) 및 지지부재(520)의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동 구동부재(530)을 전후 구동부재(540)에 연결하여 전후 구동부재(540)와 돌출바아(510) 및 지지부재(520)이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회동 구동부재와 전후 구동부재(540)의 기능이 병합된 구조로 구현될 경우,
[도 15]처럼 회동 구동부재(530)를 웜휠(worm wheel) 형태로 구현하고 돌출바아(510)의 둘레면에 웜기어(570)(worm gear)를 형성시킴으로써, 회동 구동부재(530)가 일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돌출바아(510)가 일정각도 회동하면서 전측으로 직선이동되고, 회동 구동부재(530)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돌출바아(510)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후측으로 직선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후 구동부재(540)를 실린더 형태로 구현하되, 전후 구동부재(540) 내벽면과 이에 삽입된 돌출바아(510)의 둘레면에 나선부(580)를 형성시킴으로써, 돌출바아(510)가 전후 구동부재(540) 내 유체압력에 의해 전후 직선 이동되는 과정에서 나선부를 통해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돌출바아(510)가 전후 직선이동과정에서 회동이 함께 이루어짐에 따라, 가공대상물을 제1, 2거치바아(410)(420)에 설치하거나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지지부재의 회동에 의한 가공대상물과의 접촉 및 가압여부가 동시에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러한 돌출바아 및 지지부재의 전후이동 및 회동의 통합구조들은 위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바아(510)의 전후진 및 회동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 적용 가능하다.
<제3실시 예>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가공대상물(1)을 제1, 2거치바아(410)(4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위치고정부(500)가 가공대상물(1)에 접촉되도록 하여 위치고정시키는 기본 기술적 개념은 위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반면,
가공대상물(1) 중 제1, 2거치바아(410)(420)와 체결되는 쪽과 반대되는 쪽을 지지할 수 있는 쏠림 방지부재(600)가 더 구비된 것에 차이가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쏠림 방지부재(600)가 <제 1실시 예>의 구조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2실시 예>에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쏠림 방지부재(600)는 가공대상물(1)이 제1, 2거치바아(410)(420)를 통해 설치었을 때 제1, 2거치바아(410)(420)와 각 체결공(1c) 사이에 발생 될 수 있는 미세 끼움공차로 인해 가공대상물(1)이 일측으로 쏠려 가공지점의 위치변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특히 이렇게 제1, 2거치바아(410)(420)와 체결공(1c)간 미세 공차가 형성된 상태에서 회전할 경우 가공대상물의 위치가 원심력에 의해 상하좌우로 반복적으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치우치게 될 수 있으므로 쏠림 방지부재(600)을 통해 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물론 위치고정부(500) 및 후면접촉부재(300)를 통해 가공대상물(1)의 위치가 고정되기는 하지만, 쏠림 방지부재(600)는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고정을 위해 보조 지지체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치고정부(500) 및 후면접촉부재(300) 만으로도 가공대상물(1)의 위치고정이 충분히 가능하다면 쏠림 방지부재(600)은 생략 가능하다.
이러한 쏠림 방지부재(600)는 기본적으로 회전판(200)의 전측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데,
먼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회전판(200)의 전측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공대상물(1)중 제1, 2거치바아(410)(420)와 체결된 쪽 모서리와 반대되는 쪽의 양측 모서리가 위치될 지점 부근에 각각 위치된다.
만약 도면과 같이 가공대상물(1)이 모터케이스일 경우 모터케이스 양측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양 지지다리(1b)의 단부가 위치될 지점에 위치된다.
즉 모터케이스의 양 지지다리 단부가 가공대상물의 양측 모서리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양 쏠림 방지부재(600)는 가공대상물(1)의 해당 양 모서리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610)이 형성되어, 가공대상물(1)이 제1, 2거치바아(410)(4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해당 양 모서리가 양 쏠림 방지부재(600)의 끼움공간(610)에 슬라이딩 형태로 삽입됨에 따라 쏠림 방지부재(600)가 해당 모서리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이로 인해 가공대상물(1)은 사방의 모서리가 제1, 2거치바아(410)(420) 및 양 쏠림 방지부재(600)에 동시 결합 되어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쏠림 방지부재(600)가 가공대상물과 추가로 결합 됨으로써 제1, 2거치바아(410)(420)가 가공대상물(1)의 양 체결공(1c)에 끼워졌을 때 제1, 2거치바아(410)(420)의 중심점과 양 체결공(1c)의 중심점이 일치된 상태가 유지되고, 결국 제1, 2거치바아(410)(420)와 체결공(1c)간 끼움공차 만큼 가공대상물(1)이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가공대상물(1)의 가공지점 중심과 회전판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되고, 이는 가공공구와 가공지점 간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쏠림 방지부재(600)가 가공대상물(1)의 해당 모서리를 감싸고 있으므로 가공대상물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하좌우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게 된다.
[도 18] 내지 [도 20]은 쏠림 방지부재(60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만약 가공대상물(1)의 후측면에 끼움홈(1d)이 형성된 구조일 경우 회전판(200)의 전측면 중 끼움홈(1d)과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움홈(1d)에 결합 되도록 함에 따라 가공대상물(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형태이다.
만약 도면과 같이 가공대상물이 모터케이스일 경우 모터케이스는 성형과정에서 재료 절감이나 무게 경감 등의 이유로 양 지지다리 후측면이 후측면이 개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대상물이 모터케이스일 경우 양 지지다리 후측면의 개방부가 끼움홈 역할을 하게 되고 쏠림 방지부재(600)는 회전판(200)의 전측면 중 양 지지다리(1b)의 끼움홈과 마주하는 지점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움홈(1d)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모터케이스이 양 지지다리(1b)는 케이스본체(1a)의 양 모서리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므로, 양 쏠림 방지부재(600) 또한 이와 동일한 사선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렇게 양 쏠림 방지부재(600)가 서선방향으로 위치됨에 따라 가공대상물이 일측으로 치우지지 않고 정확히 위치고정될 수 있다.
물론 끼움홈(1d)과 쏠림 방지부재(600)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가공대상물의 정확한 지지는 가능하다.
또한 가공대상물(1)이 모터케이스가 아닌 다른 형태이더라도 후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쏠림 방지부재(600)가 이러한 끼움홈에 끼워져 가공대상물 중 제1, 2거치바아(410)(420)와 결합되는 지점과 반대되는 쪽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것처럼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이 단순히 회전판에 형성된 거치바아와의 끼움 결합을 통해 최초 위치가 설정되고 이 상태에서 위치고정부가 가공대상물의 전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거치대상물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가공대상물의 설치 및 분리구조가 간소해 지고 부분별 가압력 조절이 필요 없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가압에 의한 가공대상물의 파손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또한 쏠림 방지부재를 통해 거치바아와 더불어 가공대상물의 보다 정확한 위치고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점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가공대상물을 회전판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거치바아에 끼움 결합시킨 상태에서 위치고정부와 가공대상물 간의 접촉을 통해 가공대상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전체 구조를 간소화 하면서도 정확하고 신속한 위치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 : 가공대상물 1a : 케이스본체
1b : 지지다리 1c : 체결공
1d : 끼움홈 100 : 회전구동부
200 : 회전판 300 : 후면접촉부재
310 : 접촉방지홈 400 : 거치바아
410 : 제1거치바아 420 : 제2거치바아
500 : 위치고정부 510 : 돌출바아
520 : 지지부재 522 : 힌지축
530 : 회동 구동부재 532 : 작동로드
540 : 전후 구동부재 550 : 고정볼트
560 : 이탈방지부재 570 : 웜기어(570)
600 : 쏠림 방지부재 610 : 끼움공간

Claims (3)

  1. 적어도 일측 테두리 양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대상물의 위치고정장치에 있어서,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판;
    상기 양 체결공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있는 거치바아; 및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바아, 상기 돌출바아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며 회동 과정에서 후측면이 상기 가공대상물의 전측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돌출바아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구동부재를 갖는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 구동부재는 실린더이고 상기 돌출바아는 후단부가 상기 구동 부재의 전측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전후 구동부재의 내벽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바아 중 상기 전후 구동부재에 삽입되는 구간의 둘레면에는 상기 전후 구동부재의 나선부와 결합되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바아는 상기 전후 구동부재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압력에 의해 전후 직선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후구동부재 나선부 및 돌출바아 나선부 간 결합에 의해 회전되는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019628A 2014-02-20 2014-02-20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KR10144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628A KR101449367B1 (ko) 2014-02-20 2014-02-20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628A KR101449367B1 (ko) 2014-02-20 2014-02-20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504A Division KR101382389B1 (ko) 2013-08-07 2013-08-07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367B1 true KR101449367B1 (ko) 2014-10-10

Family

ID=5199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628A KR101449367B1 (ko) 2014-02-20 2014-02-20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3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69Y1 (ko) * 2015-12-24 2016-05-16 (주)동양금속 피가공물 고정용 지그
CN110125853A (zh) * 2019-07-01 2019-08-16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预热继电器固定工装
CN112247881A (zh) * 2020-10-30 2021-01-22 天津开发区精锐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圆形工件加工用固定装置
CN117245417A (zh) * 2023-11-17 2023-12-19 宁波东恩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机壳的成型加工用定位夹具及使用方法
KR102619623B1 (ko) * 2022-11-01 2023-12-29 (주)비디텍 4륜구동 트랜스퍼 케이스용 지그 및 체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4404A (ja) * 2003-08-28 2007-03-01 ティンバーライン トゥール アンド キャスティ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ランプ及び修理工具
KR20100016945A (ko) * 2008-08-05 2010-02-16 주식회사 현대지엔에이 자동차 하이포이드 링기어 고정용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4404A (ja) * 2003-08-28 2007-03-01 ティンバーライン トゥール アンド キャスティ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ランプ及び修理工具
KR20100016945A (ko) * 2008-08-05 2010-02-16 주식회사 현대지엔에이 자동차 하이포이드 링기어 고정용 지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69Y1 (ko) * 2015-12-24 2016-05-16 (주)동양금속 피가공물 고정용 지그
CN110125853A (zh) * 2019-07-01 2019-08-16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预热继电器固定工装
CN112247881A (zh) * 2020-10-30 2021-01-22 天津开发区精锐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圆形工件加工用固定装置
KR102619623B1 (ko) * 2022-11-01 2023-12-29 (주)비디텍 4륜구동 트랜스퍼 케이스용 지그 및 체결방법
CN117245417A (zh) * 2023-11-17 2023-12-19 宁波东恩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机壳的成型加工用定位夹具及使用方法
CN117245417B (zh) * 2023-11-17 2024-02-06 宁波东恩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机壳的成型加工用定位夹具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389B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KR101449367B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KR101449366B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CN104259876A (zh) 一种自定心夹具
CN208068378U (zh) 窗框型材切割装置
CN204221398U (zh) 一种自定心夹具
KR101457844B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KR20100062605A (ko) 샤시 코너 클랩핑 장치
CN210231567U (zh) 一种补偿型动力卡盘
WO2024134530A1 (en) Machining center of profiled elements for window/door frames
EP3388176B1 (en) Circular sawing machine capable of suppressing runout of circular saw blade
CN108188740B (zh) 一种数控加工中心
CN108015612A (zh) 一种用于电气机械设备切割机
CN110802407A (zh) 一种用于飞机轮毂装配线的轮毂夹具及其应用方法
KR102279320B1 (ko) 로토 프로식 랙 전조기의 다이스 장착 지그
CN210360421U (zh) 一种多工位凸轮轴铣床定位装置
KR101855160B1 (ko) 평면 각 및 가공 토크 조절 구조를 가지는 탭 드릴 머신
CN211803651U (zh) 一种哈芬槽旋铆机
CN107717571B (zh) 具有新型夹钳器的型材切割机
JP2009006344A (ja) ヘミング加工装置,ヘミング加工方法およびヘミング加工装置におけるスライド部の隙間調整方法
KR20040039238A (ko) 타이어용 몰드의 홀 가공장치
CN108372410B (zh) 一种数控加工中心
KR20160003842U (ko) 루프 랙 홀 가공장치
CN220462425U (zh) 一种送料切割装置
CN117583759B (zh) 自动化激光切割生产线用转运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