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155B1 -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염기서열 - Google Patents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염기서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155B1
KR101449155B1 KR1020120141256A KR20120141256A KR101449155B1 KR 101449155 B1 KR101449155 B1 KR 101449155B1 KR 1020120141256 A KR1020120141256 A KR 1020120141256A KR 20120141256 A KR20120141256 A KR 20120141256A KR 101449155 B1 KR101449155 B1 KR 101449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target protein
protein
recombinant vec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710A (ko
Inventor
황인환
김영현
박민희
조규형
이용직
손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앱
Priority to KR102012014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155B1/ko
Priority to PCT/KR2013/010856 priority patent/WO2014088255A1/ko
Publication of KR2014007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16Methods for controlling, regulating or enhancing expression of transgenes in plant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4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C12N15/8243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involving biosynthetic or metabolic pathways, i.e. metabolic engineering, e.g. nicotine, caffeine
    • C12N15/8251Amino acid content, e.g. synthetic storage proteins, altering amino acid biosynth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4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C12N15/8257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gene products, e.g. pharmaceutical products, interfer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합성한 DNA 단편 및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목적 단백질의 번역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21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DNA 단편 및 상기 DNA 단편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NA 단편은 목적 단백질의 상류에 첨가되어 재조합 벡터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 전환된 식물체는 목적 단백질의 번역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식물체 내의 특정 장소로 타겟팅을 유도하여 목적 단백질이 안정하게 축적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식물체로부터 목적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염기서열{Nucleotide sequence to promote translation efficiency in plants}
본 발명은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유전자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신규한 염기서열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이용되는 많은 생의약품은 대부분 동물세포, 박테리아, 곰팡이 등을 이용해 생산되어 왔다(Granz PR 외, 1996; Ma JK 외, 1999; Pen J, 1996). 그러나 미생물 시스템을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은 대량 생산이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단백질의 적절한 접힘, 및 당화과정(glycosylation)과 같은 단백질 합성 후 변형과정(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당단백질의 생성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 문제점은 동물세포를 이용함으로써 해결되었으나, 동물세포가 인체 감염 가능한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는 문제와 대량 생산을 위한 설비확충에 큰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 해결되어야 할 또 다른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식물세포의 경우, 동물세포와 달리 인체에 감염 가능한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없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전해져 온 재배, 수확과 관련된 경험과 기반 시설이 잘 구축되어 있어 대량 생산을 위한 경작면적만 확보하면 언제나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대량 생산을 위한 비용 설비 투자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식물에서 단백질 생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식물체 또는 식물세포에서 단백질을 발현시켰을 때, 식물에서 생산 가능한 단백질 발현 수준이 상업적 규모만큼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까지 잘 이용되지 않았다.
단백질의 생성은 mRNA를 생성하는 전사(transcription)단계와 번역(translation) 단계를 거쳐 단백질을 생성한다.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에는 크게 전사량을 상승시키는 방법과 번역 효율을 올리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용 단백질을 식물체 내에서 효과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 전사(transcription)단계 효율을 개선하여 mRNA의 생산을 증대하여도 생산된 mRNA가 모두 번역에 이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mRNA 생산을 저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Napoli C 외, 1990; van der Krol AR 외, 1990).
아울러 유전자로부터 최종적으로 합성되어지는 단백질의 양은 전사 단계 보다는 번역 단계에서의 조절이 더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효과적인 유용 단백질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전사 단계가 아닌 번역 단계에서 단백질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번역 단계에서 단백질의 합성을 증진시켜 유용단백질을 식물체로부터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번역개시 코돈의 인접한 상부에 존재하는 5' UTR의 염기서열에 주목하고, 인위적으로 5' UTR 염기서열을 합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DNA 단편 및/또는 상기 DNA 단편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DNA 단편으로, 상기 DNA 단편은 식물세포 내에서 그 하류에 위치한 목적 단백질의 번역(translation)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프로모터,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순차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식물 세포에서 소포체(ER)로 목적 단백질을 타겟팅(targeting) 및 유지(retention)할 수 있는 염기서열이 추가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세포에서 소포체(ER)로 목적 단백질을 타겟팅(targeting)할 수 있는 염기서열은 BiP(chaperone binding protein)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이고, 상기 목적 단백질을 유지(retention)할 수 있는 염기서열은 HDEL(His-Asp-Glu-Leu) 또는 KDEL(Lys-Asp-Glu-Leu)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셀룰로오스-결합 도메인(cellulose-binding domain: CBD)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이 추가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재조합 벡터를 식물체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목적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를 식물체에 도입하는 단계는 PEG 침전법(Polyethylen glycol),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sp.)-매개에 의한 방법, 입자 총 충격법(particle gun bombardment), 실리콘 탄화물 위스커법(Silicon carbide whiskers), 초음파 처리법(sonication), 및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애기장대, 대두, 담배, 가지, 고추, 감자, 토마토, 배추, 무, 양배추, 상추, 복숭아, 배, 딸기, 수박, 참외, 오이, 당근, 및 샐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쌍자엽 식물; 또는 벼, 보리, 밀, 호밀, 옥수수, 사탕수수, 귀리, 및 양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자엽 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NA 단편은 목적 단백질의 상류에 첨가되어 재조합 벡터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 전환된 식물체는 목적 단백질의 번역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식물체 내의 특정 장소로 타겟팅을 유도하여 목적 단백질이 안정하게 축적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식물체로부터 목적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애기장대의 원형질체에서 융합단백질 GFP의 발현을 위하여, a) M17, b) R21이 각각 첨가된 재조합 벡터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애기장대 원형질체로부터 GFP의 발현을 웨스턴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것이다. lane 1: Marker, lane 2: M17-GFP, lane 3: R21 GFP, lane 4: Negative contro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번역효율 증진용 DNA 단편과 소포체로 타켓팅 할 수 있는 신호서열(gBiP), 목적 단백질(GFP) 서열, 셀룰로오스-결합 도메인(CBD), 및 HDEL 서열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벡터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애기장대 원형질체로부터 목적 단백질인 GFP가 소포체로 타겟팅 되어 적절히 발현하는지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체 내에서 목적 단백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유전자의 번역을 증진할 수 있는 5' 비번역 부위(5’UTR: 5’untranslated region) 개발에 주목하고,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에서 번역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리불로스 비스포스페이트 카복시라아제/옥시게나아제(RuBisCo)의 작은 서브유니트(RbcS) 유전자의 5' UTR의 염기서열 기초로 임의적인 5' UTR 염기서열을 합성하였다.
일반적으로 mRNA의 5' 비번역 부위(5' untranslated region: 5' UTR)는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나 이러한 기능 중, 가장 큰 특징은 mRNA 번역 효율 조절에 관여하는 것이다. 번역개시 코돈의 인접한 상부에 존재하는 5' UTR의 염기서열이 번역 단계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Xiong W 외, 2001; Rogozin IB 외, 2001; Gallie DR 외, 1989; Mignone F 외, 2002; Kawaguchi R 외, 2002; Kawaguchi R 외, 2005), 그 대표적인 예가 리불로스 비스포스페이트 카복시라아제/옥시게나아제(RuBisCo)의 작은 서브유니트(subunit; RbcS) 유전자의 5' UTR이다. 이러한 5' UTR의 길이는 백 베이스 (base) 또는 그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로 되어 있고, 3' UTR의 길이는 그보다 더 긴 몇 킬로베이스(kilo base)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원핵생물에 5' UTR에 위치한 리보솜 결합 부위 시퀀스로 알려진 샤인-달가노 시퀀스 (Shine-Dalgarno sequence)와 같이 정해진 위치는 아니지만 진핵생물에서도 리보솜 결합 부위 시퀀스라 할 수 있는 5’UTR에 속한 시퀀스들에 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Kozak M, 1987; Hamilton 외, 1987; Yamauchi 외, 1991; Joshi 외, 1997).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목적 단백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애기장대의 5' UTR의 서열 가운데 번역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리불로스 비스포스페이트 카복시라아제/옥시게나아제(RuBisCo)의 작은 서브유니트(RbcS) 유전자의 5' UTR 서열을 기초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5' UTR 염기서열을 합성하였고, 상기 서열이 우수한 번역 효율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DNA 단편으로, 상기 DNA 단편은 식물세포 내에서 그 하류에 위치한 목적 단백질의 번역(translation)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DNA 단편으로, 상기 DNA 단편은 식물세포 내에서 그 하류에 위치한 목적 단백질의 번역(translation)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조합 벡터는 단백질 발현에 사용되는 기존의 벡터를 기본 골격으로 하여 프로모터, 단백질의 번역(translation) 효율을 증진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순차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발현 벡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현 벡터"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삽입 또는 도입될 수 있는 당분야에 공지된 플라스미드, 바이러스 또는 기타 매개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발현 조절 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유전자 서열과 발현 조절 서열은 선택 마커 및 복제 개시점(replication origin)을 같이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발현 벡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작동 가능하게 연결(operably linked)"된다는 것은 적절한 분자가 발현 조절 서열에 결합될 때 유전자 발현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연결된 유전자 및 발현 조절 서열일 수 있다. "발현 조절 서열(expression control sequence)"이란 특정한 숙주 세포에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발현을 조절하는 DNA 서열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절 서열은 전사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모터,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 부위를 암호화하는 서열, 및 전사와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모터로는 식물체 내에서 삽입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CaMV의 35S RNA 및 19S RNA 프로모터; 피크워트 모자이크 비루스(FMV)에서 유래한 전장 전사 프로모터 및 TMV의 코트 단백질 프로모터일 수 있다. 또한 식물 세포 내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도입시키기 위한 적합한 벡터로는 Ti 플라스미드 및 식물 바이러스 벡터가 있다. 상기 적합한 벡터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p35S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도입시키는데 적합한 벡터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식물 세포내로 도입할 수 있는 벡터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DNA 단편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식물 세포 내의 특정 장소로 목적 단백질의 타겟팅(targeting)을 유도하고 유지(retention)시킬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재조합 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형질전환 식물체 또는 세포내에서 목적 단백질을 과발현시키는 경우, 단백질이 분해(proteolytic degradation)되는 현상들이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다양한 세포내 소기관으로 외래 단백질을 타겟팅시킬 경우에는 이들 단백질을 보다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목적 단백질을 소포체로 타겟팅 할 경우, 세포질에 존재하는 것 보다 단백질의 분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 담배에서 인간 상피 성장 인자를 소포체로 타겟팅 시켰을 때 단백질의 수율이 약 104배나 증가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Wirth S 외, 2004). 또한, KDEL 또는 HDEL과 같은 소포체 저장 신호 펩타이드(ER retention signal peptide)를 이용하면 목적 단백질을 소포체내에 머물도록 함으로써 분자 샤페론에 의한 폴딩(folding)과 조합(assembly)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단백질의 분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Nuttall J 외, 2002). 이러한 예로서, 목적 단백질을 분비 경로로 보냈을 때보다 소포체에 유지(retention) 시킨 경우, 목적 단백질의 수율이 10~100배 정도 증가된다고 알려진 바 있다(Hellwig S 외, 2004). 또한, 식물의 엽록체는 총 수용성 단백질의 40%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거대한 단백질 저장소일 뿐만 아니라 그 수가 많기 때문에 목적 단백질의 저장소로서 좋은 타겟이 되고 있다. 식물의 엽록체 내에는 단백질 프로세싱에 필요한 최소한의 프로테아제(protease)만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은 목적 단백질을 프로테아제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엽록체 내에 고농도로 저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프로모터, 단백질의 번역(translation) 효율을 증진시키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순차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발현 벡터에 식물체의 특정 장소, 즉, 소포체 또는 엽록체로 목적 단백질을 타겟팅 할 수 있는 표지 서열을 추가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식물 세포에서 소포체(ER)로 목적 단백질을 타겟팅(targeting) 할 경우에는 BiP (chaperone binding protein)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BiP의 cDNA 대신 인트론을 포함하는 BiP의 게놈 DNA인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 단백질을 유지(retention)시키기 위한 염기서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HDEL(His-Asp-Glu-Leu) 또는 KDEL(Lys-Asp-Glu-Leu)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BiP 단백질의 N-말단에는 소포체로의 타겟팅을 결정하는 신호 서열을 함유하고 있어 목적 단백질들을 소포체로 타겟팅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세포에서 엽록체로 목적 단백질을 타겟팅(targeting)할 경우에는 Cab(엽록소 a/b 결합 단백질)을 코팅하는 염기서열을 사용할 수 있다. Cab(엽록소 a/b 결합 단백질)는 N-말단에 엽록체로의 타겟팅에 필요한 트랜지트 펩타이드(transit peptide)를 가지고 있어서, 이 펩타이드를 이용할 경우, 목적 단백질을 정상적으로 엽록체로 타겟팅 할 수 있다(kavanagh TA. 외., 1988).
따라서 이러한 BiP의 신호 서열, 소포체 유지 신호 서열 또는 Cab의 트랜지트 펩타이드 등을 이용한 발현 벡터를 사용할 경우, 목적 단백질을 소포체 또는 엽록체로 타겟팅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목적 단백질을 높은 수준으로 축적시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조합 벡터를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식물체 내로 도입시킴으로써 형질전환된 식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를 식물체 내로 도입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PEG(Polyethylenglycol)에 의한 침전법,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sp.)-매개에 의한 방법, 입자 총 충격법(particle gun bombardment), 실리콘 탄화물 위스커법(Silicon carbide whiskers), 초음파 처리법(sonication), 또는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PEG(Polyethylenglycol)에 의한 침전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로 애기장대를 형질전환시켰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 에서는 상기 식물체로 애기장대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일례일 뿐, 상기 식물체는 쌍자엽 식물 또는 단자엽 식물일 수 있으며, 상기 쌍자엽 식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애기장대, 대두, 담배, 가지, 고추, 감자, 토마토, 배추, 무, 양배추, 상추, 복숭아, 배, 딸기, 수박, 참외, 오이, 당근 또는 샐러리 등일 수 있고, 상기 단자엽 식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벼, 보리, 밀, 호밀, 옥수수, 사탕수수, 귀리, 또는 양파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서열번호 1로 구성되는 DNA 단편이 첨가된 재조합 벡터를 식물체에 도입함으로써 식물체로부터 목적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목적 단백질은 생산하고자 하는 단백질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특정 단백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목적 단백질로서 리포터 단백질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리포터 단백질은 리포터 유전자에 의해 발현된 단백질로서 그 존재에 의해서 세포 내에서의 그의 활성을 알려주는 표지 단백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목적 단백질로 녹색 형광 단백질(GFP)를 사용하였다.
상기 형질전환된 식물체로부터 목적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번역 증진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이 프로모터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벡터를 식물체에 도입하거나 또는 상기 재조합 발현 벡터로 세포를 형질전환 시킨 다음, 목적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적당한 시간동안 배양한 후, 형질전환된 식물 또는 세포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적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형질전환된 식물 또는 세포에서 고발현된 목적 단백질의 회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분리 및 정제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세포 조각(cell debris)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세포 용해물을 원심분리한 후, 침전, 예를 들어, 염석(황산암모늄 침전 및 인산나트륨 침전), 용매 침전(아세톤, 에탄올 등을 이용한 단백질 분획 침전)등을 수행할 수 있고, 투석, 전기영동 및 각종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로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 HPLC, 역상-HPLC, 친화성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한외여과 등의 기법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적용시켜 본 발명의 목적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다(Maniatis 외.,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1982); Sambrook 외.,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1989); Deutscher, M., Guide to Protein Purification Methods Enzymology, vol. 182.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1990)).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형질전환된 식물체로부터 목적 단백질을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해 앞서 기술한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에 셀룰라제의 셀룰로오스-결합 도메인(cellulose-binding domain:CBD)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추가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사용함에 따라 발현된 목적 단백질이 셀룰로오스 결합 도메인과 융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담체를 컬럼으로 이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용이하게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이렇게 생산된 융합된 형태의 목적 단백질은 적절한 효소 등을 이용하여 셀룰로오스 결합 도메인을 절단한 다음 추가적인 분리 정제 과정을 거쳐서 비융합된 형태의 목적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번역효율을 증가시키는 5' UTR 의 개발
목적 단백질의 생산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유전자의 번역을 증진할 수 있는 5' UTR을 개발하기 위하여, 애기장대에서 번역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리불로스 비스포스페이트 카복시라아제/옥시게나아제(RuBisCo)의 작은 서브유니트(RbcS) 유전자의 5' UTR의 염기서열을 기초로 임의적인 5' UTR 염기서열을 개발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5' UTR을 M17이라 명명하고, RbcS 유전자의 5' UTR을 R21이라 명명하였으며, 각 염기서열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명칭 염기서열 서열번호
M17 5' UTR 5'- GGC GTG TGT GTG TGT TAA AGA -3' 1
R21 5' UTR 5'- CAC AAA GAG TAA AGA AGA ACA -3' 2
개발된 5' UTR 의 식물세포 내에서 발현량 확인
단백질 발현과정에서 M17 번역 효율이 증가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리포터(report) 유전자로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를 사용하였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GFP의 개시코돈 상부에 M17을 설치하고, 대조군으로 RbcS 유래의 5' UTR인 R21을 GFP의 개시코돈 상부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PEG(Polyethylen glycol) 침전법으로 이들을 애기장대의 원형질체(protoplast)에 도입하여 M17이 번역 효율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기장대에서 비교적 높은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RbcS 유래의 5' 비번역 염기서열인 R21보다 M17이 설치된 군의 발현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로부터, M17이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켜 발현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식물 세포 내의 특정 장소에 목적 단백질을 수송 시 개발된 5' UTR 번역 효율 분석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5' UTR인 M17이 단백질의 안정된 저장 및 수율 증가를 위해, 목적 단백질을 특정장소로 수송할 수 있도록 작성된 벡터에서도 우수한 번역 효율을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포체로 목적 단백질을 수송하는 벡터에 M17 5' UTR 및 대조군인 R21 5' UTR을 각각 첨가하였다. 이때,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로 목적 단백질을 수송하기 위하여 제작된 벡터는 소포체 수송에 관여하는 BiP(chaperone binding protein)를 암호화(coding)하는 염기서열, 목적단백질을 소포체에 유지(retention)시키기 위한 HDEL(His-Asp-Glu-Leu)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그리고 단백질의 정제에 이용되는 셀룰로스-결합 도메인(cellulose-binding domain)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벡터에서 목적단백질은 리포터(report) 유전자인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이 사용되었으며, 이들 벡터를 PEG 침전법을 이용하여 애기장대 원형질체에 도입하고 발현 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비번역 부위 M17의 발현이 대조군인 R21의 발현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목적 단백질인 GFP를 소포체로 수송함에 있어서 5' 비번역 부위 M17가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로부터, 번역효율이 우수한 본 발명의 5' 비번역 부위 M17은 목적 단백질을 특정장소로 타겟팅(targeting) 및 유지(retention)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120> Nucleotide sequence to promote translation efficiency in plants <130> PB12-10864 <160> 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17 5' UTR <400> 1 ggcgtgtgtg tgtgttaaag a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abidopsis thaliana - RbcS 5' UTR <400> 2 cacaaagagt aaagaagaac a 21 <210> 3 <211> 272 <212> DNA <213> Arabidopsis thaliana - BiP <400> 3 atggctcgct cgtttggagc taacagtacc gttgtgttgg cgatcatctt cttcggtgag 60 tgattttccg atcttcttct ccgatttaga tctcctctac attgttgctt aatctcagaa 120 ccttttttcg ttgttcctgg atctgaatgt gtttgtttgc aatttcacga tcttaaaagg 180 ttagatctcg attggtattg acgattggaa tctttacgat ttcaggatgt ttatttgcgt 240 tgtcctctgc aatagaagag gctacgaagt ta 272 <210> 4 <211> 502 <212> DNA <213> Clostridium stercorarium - CBD <400> 4 ttacacatgg catggatgaa ctatacaaat taggaggtgg aggtggaccc cgggcacacc 60 accaccacca ccactttcga agttcaccag tgcctgcacc tggtgataac acaagagacg 120 catattctat cattcaggcc gaggattatg acagcagtta tggtcccaac cttcaaatct 180 ttagcttacc aggtggtggc agcgccattg gctatattga aaatggttat tccactacct 240 ataaaaatat tgattttggt gacggcgcaa cgtccgtaac agcaagagta gctacccaga 300 atgctactac cattcaggta agattgggaa gtccatcggg tacattactt ggaacaattt 360 acgtggggtc cacaggaagc tttgatactt atagggatgt atccgctacc attagtaata 420 ctgcgggtgt aaaagatatt gttcttgtat tctcaggtcc tgttaatgtt gactggtttg 480 tattctcaaa tcaagaactt ag 502

Claims (9)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DNA 단편으로, 상기 DNA 단편은 식물세포 내에서 그 하류에 위치한 목적 단백질의 번역(translation)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
  2. 제1항의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프로모터,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 및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순차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식물 세포에서 소포체(ER)로 목적 단백질을 타겟팅(targeting)할 수 있는 BiP(chaperone binding protein)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및 상기 목적 단백질을 유지(retention)할 수 있는 HDEL(His-Asp-Glu-Leu) 또는 KDEL(Lys-Asp-Glu-Leu)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이 추가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셀룰로오스-결합 도메인(cellulose-binding domain: CBD)을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이 추가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7. 제2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조합 벡터를 식물체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목적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를 식물체에 도입하는 단계는 PEG 침전법(Polyethylen glycol),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sp .)-매개에 의한 방법, 입자 총 충격법(particle gun bombardment), 실리콘 탄화물 위스커법(Silicon carbide whiskers), 초음파 처리법(sonication), 및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애기장대, 대두, 담배, 가지, 고추, 감자, 토마토, 배추, 무, 양배추, 상추, 복숭아, 배, 딸기, 수박, 참외, 오이, 당근, 및 샐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쌍자엽 식물; 또는 벼, 보리, 밀, 호밀, 옥수수, 사탕수수, 귀리, 및 양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자엽 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141256A 2012-12-06 2012-12-06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염기서열 KR10144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56A KR101449155B1 (ko) 2012-12-06 2012-12-06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염기서열
PCT/KR2013/010856 WO2014088255A1 (ko) 2012-12-06 2013-11-27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염기서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56A KR101449155B1 (ko) 2012-12-06 2012-12-06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염기서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710A KR20140073710A (ko) 2014-06-17
KR101449155B1 true KR101449155B1 (ko) 2014-10-13

Family

ID=5088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256A KR101449155B1 (ko) 2012-12-06 2012-12-06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염기서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9155B1 (ko)
WO (1) WO201408825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04B1 (ko) * 2015-12-10 2017-11-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세포 소기관에서의 prrsv 유래의 n 단백질의 대량생산용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KR20180084680A (ko) * 2017-01-17 2018-07-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세포에서의 목적 단백질 발현을 위한 재조합 벡터
WO2020101187A1 (ko) 2018-11-15 2020-05-22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체에서 바이러스-유사 입자를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써코바이러스-유사 입자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56913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체에서 바이러스-유사 입자를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써코바이러스-유사 입자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56948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 발현 시스템에서 캡시드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바이러스-유사 입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7847C2 (ru) * 2016-05-12 2020-07-24 Биоэппликейшнз Инк. Растите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вакцинации против чумы свиней и способ ее приготовления
US10947278B2 (en) 2018-09-19 2021-03-16 Bioapplications Inc. Recombinant vector comprising porcine FC fragment and preparation method of recombinant protein using thereof
KR102148405B1 (ko) * 2018-09-19 2020-08-27 주식회사 바이오앱 돼지의 Fc 단편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벡터를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의 제조 방법
KR102557824B1 (ko) * 2020-08-18 2023-07-20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 발현 재조합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738A (ko) * 2004-12-07 2006-06-1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번역반응 촉진 dna 단편 및 그것을 사용한 무세포계단백질 합성방법
KR20110023485A (ko) * 2009-08-31 2011-03-08 헬릭스 주식회사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 및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1444B1 (en) * 1998-07-10 2001-08-07 Calgene Llc Enhancer elements for increased translation in plant plastids
WO2003012035A2 (en) * 2001-07-27 2003-02-13 Icon Genetics, Inc. Commercial use of arabidopsis for production of human and animal therapeutic and diagnostic proteins
WO2005021765A2 (en) * 2003-08-27 2005-03-10 Orf Liftaekni Hf. Enhancing accumulation of heterologous polypeptides in plant seeds through targeted suppression of endogenous storage proteins
GB0800272D0 (en) * 2008-01-08 2008-02-13 Plant Bioscience Ltd Protein expression systems
US20100313307A1 (en) * 2008-06-28 2010-12-09 Donald Danforth Plant Science Center Protein production and storage in plants
US20120185969A1 (en) * 2009-09-04 2012-07-19 Syngenta Participations Ag Stacking of translational enhancer elements to increase polypeptide expression in pla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738A (ko) * 2004-12-07 2006-06-1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번역반응 촉진 dna 단편 및 그것을 사용한 무세포계단백질 합성방법
KR20110023485A (ko) * 2009-08-31 2011-03-08 헬릭스 주식회사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 및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04B1 (ko) * 2015-12-10 2017-11-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세포 소기관에서의 prrsv 유래의 n 단백질의 대량생산용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KR20180084680A (ko) * 2017-01-17 2018-07-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세포에서의 목적 단백질 발현을 위한 재조합 벡터
WO2018135860A1 (ko) * 2017-01-17 2018-07-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세포에서의 목적 단백질 발현을 위한 재조합 벡터
KR102022662B1 (ko) * 2017-01-17 2019-09-18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 세포에서의 목적 단백질 발현을 위한 재조합 벡터
US11279943B2 (en) 2017-01-17 2022-03-22 Bioapplications Inc. Recombinant vector for expressing target protein in plant cell
US11845945B2 (en) 2017-01-17 2023-12-19 Bioapplications Inc. Recombinant vector for expressing target protein in plant cell
WO2020101187A1 (ko) 2018-11-15 2020-05-22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체에서 바이러스-유사 입자를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써코바이러스-유사 입자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56913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체에서 바이러스-유사 입자를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써코바이러스-유사 입자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56948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 발현 시스템에서 캡시드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바이러스-유사 입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710A (ko) 2014-06-17
WO2014088255A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155B1 (ko) 식물체에서 목적 단백질의 번역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염기서열
KR101161622B1 (ko) 번역 효율 증진용 dna 단편 및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US8846052B2 (en) Bacterial toxin vaccine
JP2020503884A (ja) 植物細胞における目的タンパク質の発現のための組換えベクター
JP7491517B2 (ja) 植物から目的タンパク質を大量生産する方法
JP6915908B2 (ja) Bip断片を含む組換えベクターおよび前記ベクターを利用した組換えタンパク質の製造方法
D'Aoust et al. Efficient and reliable production of pharmaceuticals in alfalfa
Ahmad et al. Green factories: plastids for the production of foreign proteins at high levels
López et al. MALDI‐TOF characterization of hGH1 produced by hairy root cultures of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grown in an airlift with mesh bioreactor
KR102223051B1 (ko) 질소결핍 유도성 프로모터, 클로렐라 유래 신호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시스템
KR102148405B1 (ko) 돼지의 Fc 단편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벡터를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의 제조 방법
JP6640148B2 (ja) RbcS融合タンパク質を利用して植物から目的タンパク質を高発現する方法及び目的タンパク質発現植物体を利用した医療用タンパク質の経口投与用組成物の製造方法
Saumya et al. Plastid transformation–a greener and cleaner technique for overexpression of proteins
KR101545261B1 (ko) 엽록체에서 목적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식물체
JP2012139156A (ja) 光合成組織における遺伝子発現制御に関わるdna
JP2022071820A (ja) 遺伝子の発現を高める方法
US20080070276A1 (en) Transcriptional Termination of Transgene Expression Using Host Genomic Terminators
KR20140035735A (ko) 엽록체에서 목적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식물체
KR20230135411A (ko) 식물에서 목적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강한 재조합 프로모터 및/또는 종결자를 포함하는 고발현 벡터 및 이를 이용한 목적 단백질의 대량 생산 방법
JP6386029B2 (ja) ウミホタルルシフェラーゼ生産法
CN116987165A (zh) 高粱株高SgSD1蛋白及其育种材料和应用
Shchelkunov et al. Transplastome plants
Sindarovska et al. Purification of recombinant GFP produced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ient expression in Nicotiana excelsior
JP2010075116A (ja) 植物の篩管を通して遺伝子の転写物を輸送する方法
Saba Riaz et al. Cleavage and Polyadenylation Specificity Factor (CPSF) subunit interaction in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