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985B1 -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 Google Patents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985B1
KR101446985B1 KR1020140034286A KR20140034286A KR101446985B1 KR 101446985 B1 KR101446985 B1 KR 101446985B1 KR 1020140034286 A KR1020140034286 A KR 1020140034286A KR 20140034286 A KR20140034286 A KR 20140034286A KR 101446985 B1 KR101446985 B1 KR 10144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seat
guide wall
seat plate
s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수
Original Assignee
부호체어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9964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469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부호체어원(주) filed Critical 부호체어원(주)
Priority to KR1020140034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985B1/ko
Priority to CN201410280124.XA priority patent/CN10493956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은 외주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어 외주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 벽부와, 상기 가이드 벽부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격 공간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걸림 리브를 포함하는 좌판 플레이트; 상기 좌판 플레이트 상부에 장착되는 쿠션 부재; 및 결속 스트링이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 부재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시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 스트링은 상기 걸림 리브에 걸림 결합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CHAIR SEAT HAVING DETACHABLE SEAT COVER}
본 발명은 의자 좌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트 커버가 결속되는 리브 부재 및 리브 부재 등을 지지하는 가이드 벽부에 대한 구성을 좌판의 베이스로 기능하는 좌판 플레이트의 외주 내측 부분에 구비시킴으로써 시트 커버의 결속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과 동시에 시트 커버가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통상적으로 사람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판, 좌판 및 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몸체로 구성되는데, 사용 용도,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한 기능 또는 형상을 가지는 의자는 물론, 특수한 기능이 구현된 부품 내지 구성품이 결합된 형태가 이용되고 있다.
의자의 주요 구성품의 하나인 좌판(SEAT)은 착석자의 신체 일부와 대접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신체 일부와 맞닿을 시 그 착석감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직물, 메쉬, 피혁 등의 유연성 내지 탄성력이 있는 재질의 시트 커버가 통상적으로 씌워지게 된다.
종래 이러한 시트 커버를 결합시키는 가장 일반화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커버(1)가 좌판 플레이트(3) 위에 결합되는 쿠션 부재(2)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고 시트 커버(1)의 가장자리 부분이 좌판 플레이트(3)의 저면 안쪽까지 들어오도록 한 후, 가장 자리 끝 부분 주위를 스테이플러(stapler) 철심 또는 나사, 못 등으로 고정시키고, 다시 속판 플레이트(4)를 그 위에 결합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현하는 경우, 시트 커버(1)의 고정 부위를 속판 플레이트(4)가 가리게 되어 외부에서 시트 커버(1)의 결속 부위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기는 하나,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속판 플레이트라는 구성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공정과 가격 면에서 효율성이 저하되며 나아가 시트 커버를 교체할 수 없다는 본질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시트 커버를 좌판 플레이트의 저면 안쪽까지 덧씌우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 시트 커버의 결속 부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마감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며, 시트 커버가 덧씌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부득이 좌판 플레이트를 단차지도록 하여야 하므로 구조적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시트가 더러워지는 경우는 물론, 계절의 변화 또는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시트 커버를 쉽고 간편하게 교환 내지 교체할 수 있는 의자의 좌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 좌판의 내부에 간단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시트 커버가 결속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적 미감이 더욱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시트 커버의 결속을 위한 구조를 좌판의 외부에 채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더욱 높은 형상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는 좌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에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은 외주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어 외주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 벽부와, 상기 가이드 벽부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격 공간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걸림 리브를 포함하는 좌판 플레이트; 상기 좌판 플레이트 상부에 장착되는 쿠션 부재; 및 결속 스트링이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 부재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시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벽부는 상기 좌판 플레이트의 내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입설되며, 상기 시트 커버의 단부는 상기 좌판 플레이트의 외주 상부와 상기 쿠션 부재 외주 하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상기 걸림 리브 방향으로 유입되며, 상기 결속 스트링은 상기 걸림 리브에 걸림 결합되어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 벽부는 상기 좌판 플레이트의 외주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 리브는 상기 가이드 벽부의 최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쿠션 부재는 하면이 상기 걸림 리브의 상면에 대접하며 상기 이격 공간과 대응되는 돌출 형상을 가지는 안착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걸림 리브는 끝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 벽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슬라이딩 공간; 상기 슬라이딩 공간 일측에 위치하며,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구조가 일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상기 슬라이딩 공간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공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레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걸림 리브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걸림부재에 대응되는 걸림 구조가 측면에 형성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격 공간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리브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벽부에 구비되며 수평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노브; 상기 노브와 베벨 기어에 의해 치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나사축;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2지지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걸림 리브는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벽부의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 상태 등을 반영하여 의자 좌판의 시트 커버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 커버가 결속되는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어 더욱 높은 미감의 좌판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좌판의 외부 구조 또는 형상을 단차지도록 하는 등 시트 커버의 결속 내지 고정을 위한 형상 제한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좌판의 형상이나 구조를 더욱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시트 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좌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좌판의 단면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판의 단면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걸림 리브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걸림 리브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걸림 리브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이하 '좌판'이라고 지칭한다)(1000)은 좌판 플레이트(100), 쿠션 부재(200) 및 시트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판 플레이트(100)는 좌판의 베이스가 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플라스틱 재질 등의 합성수지를 성형 사출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등판의 회전, 좌판의 높낮이 저장, 기울기 조정, 틸팅 등을 조작하는 메커니즘 유닛(미도시)이 그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의자의 다리에 해당하는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판 플레이트(100)의 내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사람의 신체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의 골격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쿠션 부재(200)는 상기 좌판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놓이는 구성으로서 사람의 신체 등을 완충적으로 지지하고, 의자 좌판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현하되, 일정 정도의 강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쿠션 부재(200)는 상기 좌판(100)의 외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외주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좌판의 외적 형상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 커버(300)의 결속을 위한 구조가 좌판(100) 내측에 구비되므로 종래와 같이 시트 커버의 고정 내지 결속 등을 고려하여 쿠션 부재(200)의 형상을 좌판 플레이트보다 크게 구현하지 않아도 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시트 커버(300)는 종래에 이용되는 시트 커버와 대응되는데, 쿠션 부재 등의 형상을 미리 고려한 재단, 결합 또는 마감이 이루어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설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트 커버(300)를 어느 정도의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도시하였을 뿐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시트 커버(300)의 재질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커버(300)는 상기 쿠션 부재(200)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쿠션 부재(200)에 결합되며, 결합이 이루어진 후 고정 결속을 위하여 시트 커버(300)의 끝 부분에 재봉된 형태 등으로 구비되는 실, 끈, 매듭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결속 스트링(도 4의 310)이 당겨진 후 결속되거나, 결속 스트링의 묶음 결속이 이루어진다. 결속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속 스트링(310)은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좌판 플레이트(100)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판 플레이트(100)는 가이드 벽부(120) 및 결속 리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 플레이트(100)의 외주(110)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입설된 형태로 설치되어 외주(110)와의 사이에서 이격 공간(13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걸림 리브(140)는 상기 가이드 벽부(120)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130)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커버(300)는 쿠션 부재(200)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게 되고 시트 커버(300)의 끝 부분에 구비되는 결속 스트링(310)은 좌판 플레이트의 양 측면 또는 외주 전반에 걸쳐 구비된 상기 걸림 리브(140)에 걸림 결합되어 결속된다.
이와 같이 좌판 플레이트(100)의 내측에 걸림 리브(140)에 대한 구조를 형성하고 커버 시트(300)의 단부에 구비된 결속 스트링(310)이 이 걸림 리브(140)에 걸림 결합되어 결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트 커버(300)의 결속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 결속 스트링(310)이 돌출된 걸림 리브(140)에 효과적으로 결속되므로 시트 커버(300)가 쿠션 부재(200)를 감싼 상태에서 좌판 플레이트(10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결속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걸림 리브(140)는 좌판의 한 면당 복 수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좌판 플레이트(100)의 외주 부분(110)은 쿠션 부재(300)와 접착제 등에 의하여 접합된 것이 아니므로 좌판 플레이트(100) 외주 위의 시트 커버(300)가 감싸진 쿠션 부재(200) 부분을 들어올리고 걸림 리브(140)에 결속된 결속 스트링(310)을 바깥 방향으로 당기는 등의 방법으로 결속 스트링(310)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시트 커버(310)를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 벽부(120)는 좌판 플레이트(100)의 외주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며 걸림 리브(140)는 가이드 벽부(120)의 최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안쪽 부분에 계단 형태의 안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쿠션 부재(200)에는, 하면이 상기 걸림 리브(140)의 상면에 대접하며 가이드 벽부(120)와 좌판 플레이트(100)의 외주(110)가 형성하는 이격 공간(130)과 대응되는 돌출형상을 가지는 안착부(210)가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쿠션 부재(200) 및 쿠션 부재(200)를 감싼 시트 커버(300)가 좌판 플레이트(100)에서 유격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속 및 결속 유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걸림 리브(140)는 일종의 고리 형태가 되도록 끝 부분(141)이 아래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결속 과정을 더욱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시트 커버(300)의 단부에 구비되는 결속 스트링(310)은 본 발명의 걸림 리브(140)에 걸림 결합된 후, 묶음, 매듭 또는 탄력성 있는 재질에 의한 탄성 결합 등과 같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속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결속 고정되는 과정에서 걸림 리브(140)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걸림 결합 및 결속 과정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결속이 이루어진 후, 걸림 리브(140)를 시트 커버(300)가 팽팽해지는 방향으로 즉, 아랫 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시트 커버(300)의 팽팽한 정도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또한 결속 스트링(310)의 결속을 해제하는 경우, 걸림 리브(140)를 상방향으로 즉, 시트 커버(300)가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올리게 되면 결속 스트링(310)의 결속 및 걸림 결합의 해제를 더욱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와 같이 걸림 리브(140)가 가이드 벽부(1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을 포함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 벽부(120)는 슬라이딩 공간(121), 걸림부재(122), 탄성체(123) 및 이동레버(124)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걸림 리브(140)는 지지체(142), 리브 부재(143) 및 돌출 레버(14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벽부(120)에 구비되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12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벽부(12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성된 공간이며, 이 공간에서 상기 걸림 리브(140)의 지지체(14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슬라이딩 공간 일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구조가 일면에 구비된 걸림 부재(122)가 위치하며, 걸림 부재(122)와 대면하는 지지체(142)의 일면에도 이 걸림 부재(122)에 대응되는 걸림 구조가 형성된다.
토션 스프링(123) 등과 같은 탄성체(123)는 상기 걸림부재(12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걸림부재(122)가 상기 슬라이딩 공간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한다. 걸림부재(122)가 상기 슬라이딩 공간 즉, 지지체(142)로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면, 도 7에 도시된 토션 스프링을 비롯하여 다양한 변형예의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공간(130)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리브 부재(143)는 상기 지지체(142)에서 연장 형성되므로 리브 부재(143)는 지지체(142)와 상하 이동을 함께하게 된다. 리브 부재(143)가 구비된 위치보다 낮은 지지체(142) 하단 부분에는 사용자가 쉽게 상기 지지체(142)를 내릴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의 돌출 레버(1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걸림 부재(122)는 슬라이딩 공간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지지체(142)와의 치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치합구조는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지지체(142)가 하방으로 내려오는 경우 탄성체(123)의 탄성력을 쉽게 이기고 톱니의 경사를 타고 내려올 수 있는 반면, 반대 방향 즉, 윗 방향으로는 톱니의 걸림 구조에 의하여 걸림 구조가 해제되지 않는 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구성의 동작 관계 및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지체(142) 즉, 결속 스트링(310)이 걸림 결합되는 리브부재(143)를 적절한 상위 위치에 놓은 후, 결속 스트링(310)을 이 리브부재(143)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 후 결속한다. 그 후, 결속 스트링(310)이 결속된 리브 부재(143) 또는, 이 리브 부재(143)보다 아래에 구비된 지지체(142)의 돌출 레버(144)를 잡고 아래 방향으로 내려 시트 커버(300)가 더욱 팽팽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시트 커버(300)가 리브 부재(143)에 결속된 상태로 물리적 영역이 확장되므로 시트 커버(300)는 더욱 긴장감을 가지며 팽팽해지게 된다.
반대로, 시트 커버(300)의 교체 등을 위하여 시트 커버(300)를 분리시키는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부재(122)와 연결된 이동 레버(124)를 상기 슬라이딩 공간(121)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 부재(122)와 지지체(142)의 치합이 해제되므로 리브 부재(143)를 쉽게 윗 방향으로 올릴 수 있게 된다.
시트 커버(300)가 탄성력 있는 직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리브 부재(143)는 윗 방향으로 더욱 쉽게 올라갈 것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42)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체를 더 구비하여 리브 부재(143)이 더욱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트 커버(300)의 결속 부위가 상방향으로 올라가면, 시트 커버(300)가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되므로 결속 스트링(310)의 결속 및 걸림 결합의 해제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와 대응되는 관점에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노브(151), 나사축(154) 및 제2지지체(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노브(151)는 가이드 벽부(120)에 구비되며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나사축(154)은 상기 노브(151)와 베벨 기어에 의해 치합되어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지지체(155)는 나사 통공(55)이 구비되는데 이 나사 통공(55)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축(154)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지지체(155)는 가이드 벽부(120) 또는 하우징에 물리적으로 구속되므로 측면 방향 이동 내지 회전이 억제되므로 나사축(154)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에 따라 제2지지체(15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지지체(155)는 단면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지지체(155)가 노브(151)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 방향 이동하게 되고 이 제2지지체(155)에는 걸림 리브(14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노브(151)의 회전에 의하여 걸림 리브(140)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나사축(154)은, 회전은 가능하되, 위 아래로 움직이지 않도록 노브(151)와 연동하는 베벨기어가 구비된 반대편에 또 다른 베벨기어를 더 위치시켜 이 베벨기어에 의하여 충분히 지지되도록 하거나, 가이드 벽부(120) 또는 하우징에서 연장되는 소정의 프레임에 구비된 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나사축(154)의 베벨기어가 위 아래로 빠지지 않고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힘의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크기가 다른 기어 구조를 상기 베벨기어와 함께 추가시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제2지지체(155)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제2 또는 상부, 하부 또는 상하 등과 같은 표현은 상호 간의 각 구성(요소)을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거나, 절대적인 기준에서 각각의 구성을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님은 자명하다.
1000 : 좌판
100 : 좌판 플레이트 110 : 외주
120 : 가이드 벽부 130 : 이격 공간
140 : 걸림 리브
200 : 쿠션 부재 210 : 안착부
300 : 시트 커버 310 : 결속 스트링

Claims (5)

  1. 외주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어 외주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 벽부와, 상기 가이드 벽부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격 공간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걸림 리브를 포함하는 좌판 플레이트;
    상기 좌판 플레이트 상부에 장착되는 쿠션 부재; 및
    결속 스트링이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 부재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시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벽부는 상기 좌판 플레이트의 내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입설되며, 상기 시트 커버의 단부는 상기 좌판 플레이트의 외주 상부와 상기 쿠션 부재 외주 하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상기 걸림 리브 방향으로 유입되며,
    상기 결속 스트링은 상기 걸림 리브에 걸림 결합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부는,
    상기 좌판 플레이트의 외주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 리브는 상기 가이드 벽부의 최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쿠션 부재는,
    하면이 상기 걸림 리브의 상면에 대접하며 상기 이격 공간과 대응되는 돌출 형상을 가지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리브는,
    끝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슬라이딩 공간;
    상기 슬라이딩 공간 일측에 위치하며,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구조가 일면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상기 슬라이딩 공간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공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리브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걸림부재에 대응되는 걸림 구조가 측면에 형성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격 공간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리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부에 구비되며 수평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노브;
    상기 노브와 베벨 기어에 의해 치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나사축;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2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리브는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벽부의 상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KR1020140034286A 2014-03-24 2014-03-24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KR10144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86A KR101446985B1 (ko) 2014-03-24 2014-03-24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CN201410280124.XA CN104939562B (zh) 2014-03-24 2014-06-20 具有可拆式座椅罩的椅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86A KR101446985B1 (ko) 2014-03-24 2014-03-24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985B1 true KR101446985B1 (ko) 2014-10-07

Family

ID=5199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286A KR101446985B1 (ko) 2014-03-24 2014-03-24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6985B1 (ko)
CN (1) CN104939562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659B1 (ko) * 2015-07-28 2017-06-08 차호진 차량용 시트커버의 구조
KR101763541B1 (ko) * 2016-12-16 2017-08-02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KR101763152B1 (ko) * 2017-01-18 2017-08-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JP2019131054A (ja) * 2018-01-31 2019-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19131053A (ja) * 2018-01-31 2019-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構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164B1 (ko) * 2019-05-21 2019-10-29 부호체어원(주) 테이블용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KR102061098B1 (ko) * 2019-05-21 2019-12-30 (주)베스툴 폴딩 구동이 가능한 테이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128A (ja) * 1997-10-23 1999-05-11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8142209A (ja) 2006-12-08 2008-06-26 Okamura Corp 椅子における表皮材の張設構造
JP2009172275A (ja) 2008-01-28 2009-08-06 Takano Co Ltd 椅子の表皮材の留め構造
JP2014018600A (ja) 2012-07-24 2014-02-03 Okamura Corp 椅子の基板への表皮材の取付方法及び椅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337A (ja) * 2002-05-31 2004-01-08 T S Tec Kk シート表皮の吊込み構造
JP4642346B2 (ja) * 2003-12-10 2011-03-02 株式会社内田洋行 椅子の布張り構造
JP4893285B2 (ja) * 2006-12-11 2012-03-0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カバー被覆構造
JP5527026B2 (ja) * 2010-06-04 2014-06-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8474917B2 (en) * 2010-06-04 2013-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front seat back panel
JP5767994B2 (ja) * 2012-03-26 2015-08-26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128A (ja) * 1997-10-23 1999-05-11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8142209A (ja) 2006-12-08 2008-06-26 Okamura Corp 椅子における表皮材の張設構造
JP2009172275A (ja) 2008-01-28 2009-08-06 Takano Co Ltd 椅子の表皮材の留め構造
JP2014018600A (ja) 2012-07-24 2014-02-03 Okamura Corp 椅子の基板への表皮材の取付方法及び椅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659B1 (ko) * 2015-07-28 2017-06-08 차호진 차량용 시트커버의 구조
KR101763541B1 (ko) * 2016-12-16 2017-08-02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KR101763152B1 (ko) * 2017-01-18 2017-08-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JP2019131054A (ja) * 2018-01-31 2019-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19131053A (ja) * 2018-01-31 2019-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39562A (zh) 2015-09-30
CN104939562B (zh)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985B1 (ko)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US8181923B2 (en) Combination of furniture foot cover and sliding device
US10736425B2 (en) Lifting seating device
CN203619157U (zh) 多功能儿童餐椅
US20150239707A1 (en) Spool holder and sewing machine
KR101538689B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200474929Y1 (ko) 면적이 확장되는 다기능 매트리스 커버
JP2008194127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3191915U (ja) ベッド用保護柵
JP5230929B2 (ja) 椅子における表皮材の張設構造
CN105722434B (zh) 椅子
JP6045311B2 (ja) 椅子の背もたれ構造
KR101488624B1 (ko) 다목적 휴대용 의자
KR101763541B1 (ko) 의자 좌판
KR200484812Y1 (ko) 차량용 시트커버의 측방고정구
KR101637657B1 (ko) 컴퓨터 본체 받침대
JP2013022080A (ja) 椅子及びその座部
AU2020100367A4 (en) Decorative Cover Assembly for an Object
US10334953B2 (en) Furniture, load support member for chair, and chair
JP3189595U (ja) テーブルチェア固定構造
KR200342400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US20230304648A1 (en) Ceiling Light Bulb Socket Decorative Cover
JP6429376B2 (ja) 天板及びテーブル兼用椅子
KR20190060142A (ko) 쉽게 탈부착 가능한 발 받침대
KR200468032Y1 (ko) 요추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31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206

Effective date: 201705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