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152B1 - 의자 좌판 - Google Patents

의자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152B1
KR101763152B1 KR1020170008567A KR20170008567A KR101763152B1 KR 101763152 B1 KR101763152 B1 KR 101763152B1 KR 1020170008567 A KR1020170008567 A KR 1020170008567A KR 20170008567 A KR20170008567 A KR 20170008567A KR 101763152 B1 KR101763152 B1 KR 101763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over
seat frame
cover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to KR102017000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플레이트가 없이도 시트커버가 쿠션재를 감싼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미관이 우수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좌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의자 좌판은, 쿠션재; 단부가 상기 쿠션재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쿠션재의 상면과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상기 단부에 조임용 스트링이 구비된 시트커버; 및 상기 쿠션재의 하면에 위치된 시트커버를 덮도록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측 테두리 부분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쐐기가 구비된 체결플레이트가 저면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커버를 고정하는 좌판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의자 좌판{SEAT OF A CHAIR}
본 발명은 의자 좌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플레이트가 없이도 시트커버가 쿠션재를 감싼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미관이 우수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좌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통상적으로 사람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판, 좌판 및 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몸체로 구성된다.
의자의 구성품의 하나인 좌판은 착석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며, 쿠션재, 상기 쿠션재를 감싸는 시트커버 및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조립되는 좌판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시트커버가 쿠션재를 감싸도록 구성하기 위해, 상기 시트커버가 쿠션재의 상면과 측면을 감싼 후 시트커버의 단부 테두리 부분이 좌판 프레임의 하면 안측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스테이플러(stapler) 철심 또는 나사, 못 등으로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 테두리 부분을 좌판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시트커버의 단부 테두리를 가리기 위하여, 상기 좌판 프레임의 하부에 별도의 플레이트를 추가적으로 조립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구조의 의자 좌판은,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좌판 프레임의 하부에 별도의 플레이트를 추가로 조립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와,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플레이트가 없이도 시트커버가 쿠션재를 감싼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미관이 우수하게 마감할 수 있는 의좌 좌판에 대한 기술이 요구된다.
일본 등록특허 제3728576호(2005. 10. 14)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플레이트가 없이도 시트커버가 쿠션재를 감싼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미관이 우수하게 마감할 수 있는 의자 좌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임용 스트링이 쿠션재의 외측면 하부와 좌판 프레임의 외측벽 상부의 사이를 통해 유입되어 조여지고, 특히, 좌판 프레임이 쿠션재의 하부에 장착 시, 시트커버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조임용 스트링이 상기 내측 격벽과 체결플레이트의 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걸림쐐기에 걸려 고정됨에 따라 더욱 견고하고 시트커버의 이탈이 없이 탄력적으로 마감이 될 수 있는 의자 좌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자 좌판은, 쿠션재; 단부가 상기 쿠션재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쿠션재의 상면과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상기 단부에 조임용 스트링이 구비된 시트커버; 및 상기 쿠션재의 하면에 위치된 시트커버를 덮도록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측 테두리 부분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쐐기가 구비된 체결플레이트가 저면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커버를 고정하는 좌판 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는 상기 쿠션재의 외측면 하부와 상기 좌판 프레임의 외측벽 상부의 사이를 통해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용 스트링에 의해 조여짐에 상기 시트커버가 상기 쿠션재를 탄력적으로 감싸게 되고, 상기 쿠션재를 탄력적으로 감싸고 있는 시트커버의 단부측 테두리 부분이 상기 조임용 스트링에 의해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걸림쐐기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플레이트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양측 저면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재의 하면에는 상기 쿠션재의 측면에서 단차를 두고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좌판 프레임의 외측벽은 상기 돌출리브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쿠션재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리브의 하면에 마주하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저면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상기 돌출리브의 하면에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상단부가 내삽되는 단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판 프레임은 상기 좌판 프레임의 외측벽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일체로 형성된 내측 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는 상기 내측 격벽과 상기 돌출리브의 사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판 프레임이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장착 시, 상기 조임용 스트링이 상기 내측 격벽과 체결플레이트의 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걸림쐐기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격벽과 상기 걸림쐐기의 단부 사이 간격보다 상기 조임용 스트링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 일측에는 상기 조임용 스트링이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인출부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된 조임용 스트링은 상기 좌판 프레임의 하면에 돌출된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차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돌출리브의 하면에 대응하는 좌판 프레임의 대응부에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저면보다 높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는 상부가 원통형이고 하부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나사못이 삽입되어 상기 시트커버를 관통한 후 쿠션재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플레이트가 없이도 시트커버가 쿠션재를 감싼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미관이 우수하게 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좌판 프레임이 쿠션재의 하부에 장착 시, 시트커버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조임용 스트링이 상기 내측 격벽과 체결플레이트의 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걸림쐐기에 걸려 고정됨에 따라 더욱 견고하고 시트커버의 이탈이 없이 탄력적으로 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좌판 프레임의 하면에 돌출된 걸림돌기에 조임용 스트링을 걸어서 고정됨에 따라 조임용 스트링의 조임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플레이트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의 결합 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의 결합 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재(100), 시트커버(200) 및 좌판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쿠션재(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재(100)는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대략 사각의 블록 형태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착석자가 쿠션감 있게 앉을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재(100)의 하면에는 상기 쿠션재(100)의 측면에서 단차를 두고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리브(102)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좌판 프레임(300)이 상기 쿠션재(100)의 하부에 장착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리브(102)는 상기 좌판 프레임(300)에 형성된 외측벽(302)에 의해 감싸자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재(100)의 돌출리브(102)의 하면에는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상부에 구비된 체결플레이트(310a)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단차홈(102h)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홈(102h)에 대해서는 좌판 프레임(300)에 대한 설명 시 부연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커버(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커버(200)는 상기 쿠션재(100)의 상면과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되고, 그 단부(202a)는 상기 쿠션재(100)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며, 단부(202a)의 내측에는 조임용 스트링(21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시트커버(200)의 후방 중앙측 단부(202a)에는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이 외측으로 인출되게 하는 인출부(204)가 절개되어 구비되며, 상기 인출부(204)를 통해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이 인출됨에 따라 상기 시트커버(200)의 단부(202a)가 오므라들어 조여지면서 상기 쿠션재(100)를 탄력적으로 감쌀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은 조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줄과 같이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좌판의 조립 완료 시, 상기 시트커버(200)의 단부(202a)는 상기 쿠션재(100)의 외측면 하부(100a)와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외측벽 상부(302a)의 사이를 통해 유입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310a)의 상부 내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걸림쐐기(310b)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내측 격벽(304)과 체결플레이트(310a)의 사이로 시트커버(200)의 단부(202a)가 유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이 상기 걸림쐐기(310b)에 걸려지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시트커버(200)가 탄력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이 내장된 시트커버(200)의 단부가 상기 걸림쐐기(310b)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내측 격벽(304)과 체결플레이트(310a)의 사이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이 상기 걸림쐐기(310b)에 걸려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구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상기 쿠션재(100)의 외측면 하부(100a)와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외측벽 상부(302a)의 사이로 찔러 넣은 후 상기 드라이버의 끝 부분으로 상기 시트커버(200)의 단부를 상기 걸림쐐기(310b)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내측 격벽(304)과 체결플레이트(310a)의 사이로 밀어넣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격벽(304)과 상기 걸림쐐기(310b)의 뾰족한 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이 상기 걸림쐐기(310b)의 뾰족한 단부와 내측 격벽(304)의 사이에서 이탈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좌판 프레임(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좌판 프레임(300)은 상기 쿠션재(100)의 하면으로 연장되어 위치된 시트커버(200)의 테두리 부분(202)을 덮도록 상기 쿠션재(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의자 좌판의 베이스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좌판 프레임(300)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뤄지며,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좌판 프레임(300)은 등판의 회전, 좌판의 높낮이 조절, 기울기 조절, 틸팅 각도 조절 등을 조작하는 의자 메커니즘 기구가 하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상부는 착석자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격벽이 격자로 배열된 골격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양측 저면 상부에는 상기 시트커버(200)의 테두리 부분(202)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플레이트(310a)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플레이트(310a)는 상기 쿠션재(100)의 돌출리브(102)의 하면에 마주하는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저면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판 프레임(300)이 상기 쿠션재(100)의 하부에 장착 시, 상기 체결플레이트(310a)는 상기 쿠션재(100)를 탄력적으로 감싸고 있는 시트커버(200)의 테두리 부분(202)을 상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플레이트(310a)의 상단 부분은 상기 돌출리브(102)의 하면에 형성된 단차홈(102h)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처럼 상기 체결플레이트(310a)의 상단 부분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해줌에 따라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로 시트커버(200)의 단부를 상기 내측 격벽(304)과 체결플레이트(310a)의 사이로 밀어넣기가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시트커버(200)의 단부가 상기 단차홈(102h) 상에 살짝 떠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차홈(102h)으로 드라이버를 넣어 조임용 스트링(210)을 걸러서 상기 내측 격벽(304)과 체결플레이트(310a)의 사이로 밀어넣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외측벽(302)은 상기 돌출리브(102)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쿠션재(100)의 측면에 대응하는 높이가 되도록 연장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외측벽(302) 외부면과 상기 쿠션재(100)의 측면의 외부면이 단차가 없이 평평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좌판 프레임(300)은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외측벽(302)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일체로 형성된 내측 격벽(3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플레이트(310a)의 형상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체결플레이트(310a)는,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플레이트(310a)의 내측면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렬이 되도록 복수의 걸림쐐기(310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쐐기(310b)의 뾰족한 단부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쐐기(310b)의 단부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시트커버(200)의 단부가 견고하게 걸려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하면에는 걸림돌기(306)가 구비되며, 상기 시트커버(200)의 단부(202a) 일측에 구비된 인출부(204)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된 조임용 스트링(210)이 상기 걸림돌기(306)에 걸려 조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차홈(102h)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돌출리브(102)의 하면에 대응하는 좌판 프레임(300)의 대응부에는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저면보다 높게 형된 단차부(315)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315)에는 상부가 원통형이고 하부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홀(300h)이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홀(300h)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나사못(320)이 삽입되어 상기 시트커버(200)를 관통한 후 쿠션재(10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좌판 프레임(300)과 상기 쿠션재(100)를 결합시킴은 물론 상기 시트커버(200)를 보조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쿠션재(100), 시트커버(200) 및 좌판 프레임(300)으로 구성된 의자 좌판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쿠션재(100)의 상면과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시트커버(200)를 씌우고, 시트커버(200)의 단부(202a) 내측에 구비된 조임용 스트링(210)의 일측을 인출부(204)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시켜 시트커버(200)의 단부(202a)가 조여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쿠션재(100)의 하면으로 연장되어 위치된 시트커버(200)의 테두리 부분(202)을 덮도록 상기 쿠션재(100)의 하부에 좌판 프레임(30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시트커버(200)의 단부(202a)는 상기 쿠션재(100)의 외측면 하부(100a)와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외측벽 상부(302a)의 사이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내측 격벽(304)과 상기 돌출리브(102)의 사이로 연장된 상태가 되고,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커버(200)의 단부(202a) 내측에 구비된 조임용 스트링(210)을 상기 내측 격벽(304)과 체결플레이트(310a)의 사이로 위치시켜 상기 걸림쐐기(310b)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내측 격벽(304)과 걸림쐐기(310b)의 뾰족한 단부 사이 간격보다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임용 스트링(210)이 상기 걸림쐐기(310b)의 뾰족한 단부와 내측 격벽(304)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되어 견고한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쿠션재(100)와 좌판 프레임(300)의 상호 간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인출부(204)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된 조임용 스트링(210)을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하면에 돌출된 걸림돌기(306)에 걸어 고정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좌판 프레임(300)의 체결홀(300h)의 하부에 나사못(320)을 삽입하여 상기 시트커버(200)를 관통한 후 쿠션재(100)에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좌판 프레임(300)과 상기 쿠션재(100)를 결합시킴은 물론 상기 시트커버(200)를 보조적으로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쿠션재 100a:쿠션재 외측면 하부
102:돌출리브 102h:단차홈
200:시트커버 202:시트커버 단부측 테두리 부분
204:인출부 202a:시트커버 단부
210:조임용 스트링 300:좌판 프레임
302:외측벽 302a:좌판 프레임 외측벽 상부
304:내측 격벽 306:걸림돌기
310a:체결플레이트 310b:걸림쐐기

Claims (8)

  1. 쿠션재;
    단부가 상기 쿠션재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쿠션재의 상면과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상기 단부에 조임용 스트링이 구비된 시트커버; 및
    상기 쿠션재의 하면에 위치된 시트커버를 덮도록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측 테두리 부분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쐐기가 구비된 체결플레이트가 저면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커버를 고정하는 좌판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는 상기 쿠션재의 외측면 하부와 상기 좌판 프레임의 외측벽 상부의 사이를 통해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용 스트링에 의해 조여짐에 상기 시트커버가 상기 쿠션재를 탄력적으로 감싸게 되고,
    상기 쿠션재를 탄력적으로 감싸고 있는 시트커버의 단부측 테두리 부분이 상기 조임용 스트링에 의해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걸림쐐기에 걸려서 고정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양측 저면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쿠션재의 하면에는 상기 쿠션재의 측면에서 단차를 두고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좌판 프레임의 외측벽은 상기 돌출리브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쿠션재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체결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리브의 하면에 마주하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저면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상기 돌출리브의 하면에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상단부가 내삽되는 단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프레임은 상기 좌판 프레임의 외측벽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일체로 형성된 내측 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는 상기 내측 격벽과 상기 돌출리브의 사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판 프레임이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장착 시, 상기 조임용 스트링이 상기 내측 격벽과 체결플레이트의 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걸림쐐기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격벽과 상기 걸림쐐기의 단부 사이 간격보다 상기 조임용 스트링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의 단부 일측에는 상기 조임용 스트링이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인출부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된 조임용 스트링은 상기 좌판 프레임의 하면에 돌출된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돌출리브의 하면에 대응하는 좌판 프레임의 대응부에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저면보다 높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는 상부가 원통형이고 하부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나사못이 삽입되어 상기 시트커버를 관통한 후 쿠션재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KR1020170008567A 2017-01-18 2017-01-18 의자 좌판 KR101763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67A KR101763152B1 (ko) 2017-01-18 2017-01-18 의자 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67A KR101763152B1 (ko) 2017-01-18 2017-01-18 의자 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152B1 true KR101763152B1 (ko) 2017-08-04

Family

ID=5965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567A KR101763152B1 (ko) 2017-01-18 2017-01-18 의자 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1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85B1 (ko) * 2014-03-24 2014-10-07 부호체어원(주)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KR101565371B1 (ko) * 2015-05-15 2015-11-03 한유시스템 주식회사 절첩식 의자의 좌판에 씌워진 직물 고정용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85B1 (ko) * 2014-03-24 2014-10-07 부호체어원(주) 시트 커버의 착탈이 가능한 의자 좌판
KR101565371B1 (ko) * 2015-05-15 2015-11-03 한유시스템 주식회사 절첩식 의자의 좌판에 씌워진 직물 고정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866B1 (en) Chair backrest with ventilating function
US7066550B1 (en) Seat assembly for chair
US8777321B2 (en) Stretching structure of chair upholstery material
US20210323452A1 (en) Isofix interface structure of vehicle seat
CN110285121A (zh) 家具系统
KR101763152B1 (ko) 의자 좌판
KR102382087B1 (ko) 의자의 탄성력 있는 굴곡조절모듈
US9986834B1 (en) Structure of reception chair
US11344128B2 (en) Height adjustment assembly
KR101763541B1 (ko) 의자 좌판
JPH06304351A (ja) シート
US20200163465A1 (en) Assembling structure of seat or backrest of mesh chair
KR200299579Y1 (ko) 악세스 플로어패널의 엣지 보강구조
KR200250543Y1 (ko) 의자용 등받이
KR102088567B1 (ko) 교체가 용이한 팔걸이를 갖는 소파
KR200402960Y1 (ko) 가구용 판넬 연결구조체
KR101399127B1 (ko) 접이식 의자의 좌판 탈부착 구조
JP2004248840A (ja) 椅子における背凭れの取付装置
CN211673315U (zh) 椅背与椅座快锁结构
KR102259032B1 (ko) 책상 보관함
KR200227612Y1 (ko) 조립식 책상의 측판과 뒷판의 연결구조
EP4356790A1 (en) Sofa module and assembled sofa
KR101300630B1 (ko) 의자
KR100588307B1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JP3038289B2 (ja) 椅子への脚カバーの取付方法および椅子の脚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