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670B1 - 사료 자동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자동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670B1
KR101446670B1 KR1020140074139A KR20140074139A KR101446670B1 KR 101446670 B1 KR101446670 B1 KR 101446670B1 KR 1020140074139 A KR1020140074139 A KR 1020140074139A KR 20140074139 A KR20140074139 A KR 20140074139A KR 101446670 B1 KR101446670 B1 KR 10144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eed
unit
empt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태
Original Assignee
안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태 filed Critical 안광태
Priority to KR102014007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0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대 공급에서부터 사료 충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 포장 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한 사료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이 개구된 복수의 납작한 빈포대가 적층된 포대 적층부;상기 포대 적층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하방으로 흡착력을 발생하는 하부 흡입부가 설치된 포대 받침부;상기 포대 적층부의 상방에 설치되며, 포대 적층부의 맨 위에 배치된 빈포대를 흡착하여 빈포대의 개구된 부위가 포대 받침부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키는 포대 이동부;상기 포대 받침부의 상방에 설치되어 포대 받침부의 상부를 향해 승강되며, 상방으로 흡착력을 발생하는 포대 개방부;상기 포대 받침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사료를 낙하시키는 사료 공급부;상기 포대 받침부와 사료 공급부 사이에 설치되어 사료 공급부와 포대 받침부를 향해 회동되되, 포대의 개방된 내부에 삽입되어 포대의 양 내측면을 향해 펼쳐지면서 포대의 개방된 부위를 유지시키는 포대 개방 유지부;상기 사료 공급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사료 공급부로부터 빈포대에 사료가 충진될 때 포대의 저부를 타격하여 사료포대 내의 사료를 다지는 타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료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료 자동 포장 장치{An automatic feed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사료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TMR 사료 포대처럼 얇고 유연한 포대의 공급부터 사료 충진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사료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젖소, 한우, 돼지나 닭 등을 양호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건강상태, 체중, 산유량, 산란량 등을 고려한 먹이 섭취가 매우 중요하며, 만일 자유 채식을 하도록 놓아두거나, 섬유질이 많은 조사료만을 주거나, 아니면 영양분은 풍부하지만 소화능력이 떨어지는 농후사료만을 주게 되면 이들 동물의 영양상태가 불균형해져 건강이 좋지 않게 되고 체중을 유지할 수 없으며, 산유량, 산란량 등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사육 동물의 소화능력과 영양분을 고려하면서 먹이의 섭취와 함께 각종 무기질, 각종 광물질을 보충할 수 있도록 조사료, 농후사료, 수분, 각종 무기질, 각종 광물질을 적정 함량으로 배합한 사료, 즉 TMR사료(Total Mixed Ration)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예컨대 TMR 사료를 먹은 젖소의 경우 일반 사료 또는 건초를 먹은 젖소와 비교하여 산유량이 2배 이상 증가되면서도 훨씬 더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TMR사료는 국내 생산이 거의 없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입된 사료는 소포장설비가 구비된 포장공장으로 운반하여 농가에서 사용하는 단위인 소포장으로 포장한 후 이를 다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즉, TMR 사료는 건초가 풍부하지 않고 각종 재료를 믹싱하기 위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한 현실에 비추어 일반적인 농가에서는 제조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TMR 사료 제조업체에서 생산하여 20㎏정도의 단위로 포장하게 되며, 농가에서는 이러한 포장된 단위로 구매하여 젖소에게 급여하게 된다.
이를 위해 포장공장에는 사료포대 자동공급장치가 마련되는데,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사료포대 공급장치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TMR사료의 포장공정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바, 도 1을 참조하면, 내용물이 충진되지 않은 빈포대(1)는 호퍼(2)의 하측에 위치되어 사료가 충전된 뒤, 콘베이어(3)를 따라 이동된다.
이후, 사료가 충진된 사료포대(1)는 로봇암(4)에 의해 콘베이어(3)의 일측에 설치된 파렛트(5) 위에 상방으로 적층이 된다.
이후, 파렛트(5) 위에 사료포대(1)의 적재가 완료되면, 지게차는 파렛트(5)를 운반트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료포대 자동화 공급이 완료된다.
하지만, 종래의 사료 충진은, 소정 규격의 사료포대(1)를 작업자가 일일이 호퍼(2)의 하측에 갖다 대주면 호퍼(2)로부터 소정량의 TMR사료가 사료포대(1)에 충진되는 것인바,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사료포대(1)를 호퍼(2)의 밑부분에 갖다 대주어야하므로 작업효율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로 인한 제품의 가격상승요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작업 속도가 늦어져 작업 생산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18580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 포대의 공급 및 사료 충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사료 자동 포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구된 복수의 납작한 빈포대가 적층된 포대 적층부;상기 포대 적층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하방으로 흡착력을 발생하는 하부 흡입부가 설치된 포대 받침부;상기 포대 적층부의 상방에 설치되며, 포대 적층부의 맨 위에 배치된 빈포대를 흡착하여 빈포대의 개구된 부위가 포대 받침부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키는 포대 이동부;상기 포대 받침부의 상방에 설치되어 포대 받침부의 상부를 향해 승강되며, 상방으로 흡착력을 발생하는 포대 개방부;상기 포대 받침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사료를 낙하시키는 사료 공급부;상기 포대 받침부와 사료 공급부 사이에 설치되어 사료 공급부와 포대 받침부를 향해 회동되되, 포대의 개방된 내부에 삽입되어 포대의 양 내측면을 향해 펼쳐지면서 포대의 개방된 부위를 유지시키는 포대 개방 유지부;상기 사료 공급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사료 공급부로부터 빈포대에 사료가 충진될 때 포대의 저부를 타격하여 사료포대 내의 사료를 다지는 타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료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타격부는, 사료포대를 받치는 안착편;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에 설치된 지지부;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안착편 승강 실린더;상기 안착편의 저면으로부터 지지부를 통과하여 설치되며, 안착편 승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대 이동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제1회전바;상기 제1회전바에 설치되어 제1회전바의 회전과 연동되는 바디;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메인승강실린더 및 메인승강실린더에 의해 포대 적층부를 향해 승강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승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승강 작용하는 서브승강실린더;일측은 서브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승강되며, 타측은 승강부의 결합부재에 축 결합된 회전체;상기 회전체의 양측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상부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대 개방 유지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제2회전바;상기 제2회전바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서로를 향해 회전되는 한 쌍의 회동스틱;상기 회동스틱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포대의 개방된 양 내측면에 밀착되어 사료포대의 개방을 유지시키는 개방날개;상기 한 쌍의 회동스틱 사이에 설치되며, 어느 하나의 회동스틱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스틱 작동 실린더;일단부는 어느 회동스틱의 축 결합된 부위 상측에 축 결합되고, 타단부는 다른 회동스틱의 축 결합된 부위 하측에 축 결합된 링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료 공급부에는, 사료 공급부 하방에 배치된 빈포대의 양측을 잡아주는 포대 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포대 고정부는, 사료 공급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바;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사료 공급부를 향해 이동되며, 포대 양측을 사료 공급부에 압착하는 한 쌍의 압착부;상기 압착부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는 압착부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빈 포대를 집어 개방하고 사료 충진 까지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맨아워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 속도를 높여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료 포대 포장에 대한 전 과정이 자동화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사료 포대의 저부를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가 제공됨으로써, 사료 충진시 사료포대 안에서의 사료가 다져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사료포대의 부피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료포대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포대 이동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포대 개방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포대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포대 이동부 동작을 나타낸 작용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포대 개방부 동작을 나타낸 작용도
도 9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포대 개방 유지부 동작을 나타낸 작용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포대 고정부 동작을 나타낸 작용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타격부 동작을 나타낸 작용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푸셔에 의해 사료포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료 자동 포장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료 자동 포장장치는 빈 포대(B)를 집어 사료를 충진하여 씰링기(미도시)로 보내기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사료 자동 포장장치는 포대 적층부(100)와, 포대 받침부(200)와, 포대 이동부(300)와, 포대 개방부(400)와, 사료 공급부(500)와, 포대 개방 유지부(600)와, 포대 고정부(700)와, 타격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포대 적층부(100)는 빈 포대(B)가 쌓여 적층되는 공간이며, 평평한 면을 제공한다.
포대(B)는 주로, 비닐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빈 포대(B)는 납작한 상태로 복수로 제공되는데 이러한 빈 포대(B)는 포대 적층부(100)에 놓여진다.
다음으로, 포대 받침부(200)는 빈포대(B)의 개방을 위해 한 장의 빈포대(B)가 놓여되는 부위로서, 포대 적층부(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포대 받침부(200)는 사료 충진을 위한 빈포대(B)가 개방을 위해 빈포대(B)의 개구된 일측이 놓여지는 부위로서, 포대 적층부(100) 위로 단차지게 마련된다.
이때, 포대 받침부(200)에는 하부 흡입부(210)가 설치된다.
하부 흡입부(210)는 포대 받침부(200)에 놓여진 빈포대(B)의 일면을 흡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는 수단이면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부 흡입부(210)가 빈포대(B)의 일면을 흡임함으로써, 후술하는 포대 개방부(400)와 더불어 빈포대(B)의 개구된 일측을 벌려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포대 이동부(300)는 포대 적층부(100) 맨 위에 배치된 빈포대(B) 한 장을 상기 포대 받침부(2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포대 이동부(300)는 흡입력을 발생하여 빈포대(B)를 들어올려 이동시키며, 제1회전바(310)와, 바디(320)와, 승강부(330)와, 서브승강실린더(340)와, 회전체(350)와, 상부 흡입부(360)를 포함한다.
제1회전바(310)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되면서 후술하는 바디(320)를 전,후로 회전시킨다.
제1회전바(310)는 대략 45도 정,역 회전되면서 바디(320)를 포대 적층부(100)와 포대 받침부(200) 사이를 오가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바디(3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회전바(310)에 설치되어 연동되며, 포대 이동부(300)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설치되는 부위이다.
바디(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바(310)로부터 하방을 향해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부(330)는 회전체(35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메인승강실린더(331)와, 결합부재(332)를 포함한다.
즉, 승강부(330)는 하방의 빈포대(B)를 들어올리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332)는 메인승강실린더(331)의 동작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결합부재(332)에는 후술하는 회전체(3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서브승강실린더(340)는 회전체(350) 선단의 승강을 위한 작동을 실시하며, 메인승강실린더(331)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체(350)는 서브승강실린더(340)의 동작에 의해 상부 흡입부(36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체(350)는 서브승강실린더(340)의 동작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되므로, 빈포대(B)를 흡착하여 들어올린 상부 흡입부(360)를 포대 받침부(200)에 용이하게 갖다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회전체(350)의 일단부는 서브승강실린더(340)에 축 결합되고, 회전체(350)의 타단부는 결합부재(332)에 축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 흡입부(360)는 포대 적층부(100)에 놓인 빈포대(B)를 흡입하는 역할을 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포대 개방부(400)는 포대 받침부(200)의 하부 흡입부(210)와 더불어 포대 받침부(200)에 놓여진 빈포대(B)의 개구된 일측을 벌려 빈포대(B)의 내부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포대 개방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 받침부(200)의 상방에 설치되며,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포대 개방부(400)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수단(410)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수단(410) 사이에는 포대의 일면을 눌러주는 누름부(42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부(420)는 포대 받침부(200)로 이동된 빈포대(B)의 개구부를 눌러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빈포대(B)는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로 반듯하게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누름부(420)는 평평한 플레이트로 제공되며, 누름 작용시 완충될 수 있도록 포대 개방부(400) 상에 스프링(S)이 개재된다.
다음으로, 사료 공급부(500)는 사료 탱크(미도시)로부터 일정량의 사료만 빈포대(B)에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포대 받침부(2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사료 공급부(500)는 사료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공지된 기술과 동일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포대 개방 유지부(600)는 포대 받침부(200)에서 개방된 빈포대(B)의 개구부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포대 받침부(200)와 사료 공급부(500) 사이에 설치된다.
포대 개방 유지부(600)는 사료 공급부(500)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가 충진될 수 있도록, 빈포대(B)를 벌려 개방시킨 후에 사료 공급부(500) 밑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포대 개방 유지부(600)는 제2회전바(610)와, 회동스틱(620)과, 개방날개(630)와, 스틱 작동 실린더(640)와, 링커(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회전바(610)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포대 받침부(200)와 사료 공급부(50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스틱(620)은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개방날개(630)로 하여금 빈포대(B)의 양 내측면을 밀어 빈포대(B)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고, 제2회전바(610)의 회전에 의해 빈포대(B)를 사료 공급부(5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동스틱(6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바(610)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한 쌍으로 제공된다.
이때, 회동스틱(620)은 축을 중심으로 서로를 향해 회전되면서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개방날개(630)는 회동스틱(620)이 회전되어 빈포대(B)의 양 내측면을 밀착하는 역할을 하며, 회동스틱(620)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개방날개(630)는 회동스틱(620)의 하단부로부터 포대 받침부(200) 상에 개방되어 있는 빈포대(B)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평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빈포대(B)의 개구된 부위는 개방날개(630)의 너비만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틱 작동 실린더(640)는 한 쌍의 회동스틱(620)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역할을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동스틱(620) 사이에 설치된다.
즉, 스틱 작동 실린더(640)의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내부에 출입되면서, 회동스틱(620)을 밀거나 당기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링커(650)는 한 쌍의 회동스틱(620)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과정에서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회동스틱(620) 사이에 결합된다.
이때, 링커(650)의 일단부는 어느 회동스틱(620)의 축 결합된 부위 상측에 결합되며, 링커(650)의 타단부는 다른 회동스틱(620)의 축 결합된 부위 하측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링커(650)의 구성에 의해 스틱 작동 실린더(640)의 작동시 피스톤 로드가 어느 회동스틱(620)만 일측으로 밀어내더라도 링커(650)의 연동에 의해 다른 회동스틱(620)도 밀려나면서 한 쌍의 회동스틱(6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라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포대 고정부(700)는 포대 개방 유지부(600)에 의해 사료 공급부(500)의 밑으로 이동된 빈포대(B)의 양측을 사료 공급부(500)에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포대 고정부(700)는 사료 공급부(500)로부터 빈포대(B)에 사료가 충진되는 과정에서 상기 빈포대(B)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포대 고정부(700)는 가이드바(710)와, 압착부(720)와, 압착부 작동 실린더(730)를 포함한다.
가이드바(710)는 사료 공급부(500)로의 압착부(720) 이동을 가이드 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 공급부(500)로부터 양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압착부(720)는 가이드바(710)를 따라 사료 공급부(500)의 양측에서 이동되면서 사료 공급부(500)에 배치된 빈포대(B)의 양 측면을 압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압착부(720)는 사료 공급부(50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공된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압착부 작동 실린더(730)는 상기 한 쌍의 압착부(720)를 밀거나 당기면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바(71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다음으로, 타격부(800)는 사료 공급부(500)로부터 빈포대(B)에 사료가 충진되는 과정에서 포대의 저면을 수차례 타격하여 포대 내의 사료를 다지는 역할을 한다.
즉, 사료 공급부(500)로부터 빈포대(B)에 사료가 낙하되면, 포대 내에서 사료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쌓이게 되는데, 상기 타격부(800)가 사료포대의 저면을 수차례 타격함으로써 사료포대 내의 사료는 다져지면서 충진된 사료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료포대의 개구된 부위를 씰링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타격부(800)는 안착편(810)과, 지지부(820)와, 안착편 승강 실린더(830), 가이드봉(840)을 포함한다.
안착편(810)은 사료 공급부(500)로부터 사료가 충진된 사료포대가 안착되어 받쳐지는 부위이며, 사료 공급부(500)의 하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부(820)는 안착편(8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안착편 승강 실린더(830) 및 가이드봉(840)이 설치되도록 한 설치 매개체이다.
그리고, 안착편 승강 실린더(830)는 안착편(810)을 빠르게 승강시켜 안착편(810)에 배치된 사료포대의 저면을 타격하는 동력을 발생한다.
안착편 승강 실린더(830)는 지지부(820)에 설치되며, 안착편 승강 실린더(830)의 피스톤 로드는 안착편(810)의 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봉(840)은 안착편 승강 실린더(830)에 의한 안착편(810) 승강시, 안착편(810)의 균형이 깨지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안착편(8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봉(840)은 지지부(820)를 통과하여 설치됨으로써, 안착편(810)은 가이드봉(840)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료 자동 포장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포대 적층부(100)의 맨 위에 있는 빈포대(B)를 향해 메인승강실린더(331)의 피스톤로드가 하강된다.
이때, 메인승강실린더(331)의 하강 작용에 의해 결합부재(332) 역시 하강되고, 결합부재(332)에 결합된 회전체(350) 역시 하강된다.
이때, 상부 흡입부(36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포대(B)의 일면에 흡입력을 발생하여 빈포대(B)를 흡착시킨다.
이후, 메인승강실린더(331)는 상승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된 빈포대(B)를 들어올린다.
이때, 빈포대(B) 전체가 들리는 것은 아니며, 빈포대(B)의 흡착된 개구된 부위만 들리게 된다.
이후, 서브승강실리더(340)가 상승하여 회전체(350)의 선단부를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50)는 축 결합된 타단부를 중심으로 일단부가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들리게 된다.
이후,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바(31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포대 받침부(200) 측으로 바디(320)를 회전시킨다.
이후, 서브승강실린더(340)는 하강하여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포대(B)의 개구된 부위를 포대 받침부(200)에 가져다 댄다.
이때, 빈포대(B)의 개구부는 포대 이동부(200)의 경사각에 의해 포대 받침부(200) 상에서 약간 들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포대 받침부(200)에 근접한 빈포대(B)의 개구부를 향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포대 개방부(400)가 하강된다.
이때, 포대 개방부(400)의 누름부(420)는 포대 받침부(200) 상에서 들려 있던 빈포대(B)의 개구부를 눌러 포대 받침부(200)에 빈포대(B)를 압착시킨다.
이때, 빈포대(B)의 일면은 포대 개방부(400)의 흡입수단(410)에 밀착되고, 빈포대(B)의 타면은 포대 받침부(200)의 하부 흡입부(210)에 밀착이 된다.
이후, 각 흡입수단(410)과 하부 흡입부(210)로부터 각각 흡입력이 발생하고, 포대 개방부(400)는 상승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포대(B)의 개구된 부위가 벌어져 빈포대(B) 내부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모터가 구동을 하여 제2회전바(610)를 회전시키면 포대 개방 유지부(600)는 제2회전바(610)와 연동되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 받침부(200) 상에서 개방되어 있는 빈포대(B)의 내부에 삽입된다.
정확하게는, 포대 개방 유지부(600)의 양 개방날개(630)가 빈포대(B)의 내부에 삽입이 된다.
이때, 포대 개방 유지부(600)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빈포대(B)의 양 내측면에 밀착이 된다.
즉, 스틱 작동 실린더(640)의 피스톤 로드가 인출되면서 어느 회동 스틱(620)을 밀어내고, 이와 동시에 링커(650)는 한 쌍의 회동스틱(620)을 밀어내면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날개(630)로 하여금 빈포대(B)를 팽팽하게 압착시키는 것이다.
이후, 빈포대(B)의 일면과 타면에서 각각 흡입력을 발생하고 있던 흡입수단(410) 및 하부 흡입부(210)의 흡입력은 해제되고, 모터에 의해 제2회전바(610)는 원위치로 회전되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포대(B)를 사료 공급부(500) 밑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포대 개방 유지부(600)의 제2회전바(610)가 상방으로 재차 회전함에 따라 회동스틱(620)은 빈포대(B)로부터 빠지고, 이때, 압착부 작동 실린더(730)는 작동하여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720)로 하여금 사료 공급부(500) 밑에 배치된 빈포대(B)의 양측면을 압착시킨다.
이후, 사료 공급부(500)로부터 정해진 양의 사료가 낙하되어 빈포대(B)에 충진됨과 동시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800)는 사료포대의 저면을 빠른 속도로 수회 타격한다.
이때, 사료포대는 안착편 승강 실린더(830)에 의한 안착편(810)의 타격에 의해 충진된 사료가 다져지면서 사료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이후, 사료포대에 충진된 사료가 최적화됨에 따라, 사료 충진은 완료되며, 이후 사료포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실린더(900)에 의해 씰링기 측으로 이송된다.
이로써, 사료 자동 포장장치에 의한 사료 자동 포장 작업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포장장치는 빈포대 공급에서부터 사료 충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자동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히, 사료가 빈포대에 충진되는 과정에서, 포대의 저면을 타격하는 타격부가 설치됨으로써 사료포대의 부피를 줄이고 충진된 사료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료 포장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포대 적층부 200 : 포대 받침부
210 : 하부 흡입부 300 : 포대 이동부
310 : 제1회전바 320 : 바디
330 : 승강부 331 : 메인승강실린더
332 : 결합부재 340 : 서브승강실린더
350 : 회전체 360 : 상부 흡입부
400 : 포대 개방부 410 : 흡입수단
420 : 누름부 500 : 사료공급부
600 : 포대 개방 유지부 610 : 제2회전바
630 : 개방날개 640 : 스틱 작동 실린더
650 : 링커 700 : 포대 고정부
710 : 가이드바 720 : 압착부
730 : 압착부 작동 실린더 800 : 타격부
810 : 안착편 820 : 지지부
830 : 안착편 승강 실린더 840 : 가이드봉
900 : 이송실린더

Claims (5)

  1. 일측이 개구된 복수의 납작한 빈포대가 적층된 포대 적층부;
    상기 포대 적층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하방으로 흡착력을 발생하는 하부 흡입부가 설치된 포대 받침부;
    상기 포대 적층부의 상방에 설치되며, 포대 적층부의 맨 위에 배치된 빈포대를 흡착하여 빈포대의 개구된 부위가 포대 받침부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키는 포대 이동부;
    상기 포대 받침부의 상방에 설치되어 포대 받침부의 상부를 향해 승강되며, 상방으로 흡착력을 발생하는 포대 개방부;
    상기 포대 받침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사료를 낙하시키는 사료 공급부;
    상기 포대 받침부와 사료 공급부 사이에 설치되어 사료 공급부와 포대 받침부를 향해 회동되되, 포대의 개방된 내부에 삽입되어 포대의 양 내측면을 향해 펼쳐지면서 포대의 개방된 부위를 유지시키는 포대 개방 유지부;
    상기 사료 공급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사료 공급부로부터 빈포대에 사료가 충진될 때 포대의 저부를 타격하여 사료포대 내의 사료를 다지는 타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료 자동 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사료포대를 받치는 안착편;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에 설치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안착편 승강 실린더;
    상기 안착편의 저면으로부터 지지부를 통과하여 설치되며, 안착편 승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포장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이동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제1회전바;
    상기 제1회전바에 설치되어 제1회전바의 회전과 연동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메인승강실린더 및 메인승강실린더에 의해 포대 적층부를 향해 승강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
    승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승강 작용하는 서브승강실린더;
    일측은 서브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승강되며, 타측은 승강부의 결합부재에 축 결합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양측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상부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포장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개방 유지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제2회전바;
    상기 제2회전바의 양측에 축 결합되어 서로를 향해 회전되는 한 쌍의 회동스틱;
    상기 회동스틱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포대의 개방된 양 내측면에 밀착되어 사료포대의 개방을 유지시키는 개방날개;
    상기 한 쌍의 회동스틱 사이에 설치되며, 어느 하나의 회동스틱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스틱 작동 실린더;
    일단부는 어느 회동스틱의 축 결합된 부위 상측에 축 결합되고, 타단부는 다른 회동스틱의 축 결합된 부위 하측에 축 결합된 링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포장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공급부에는,
    사료 공급부 하방에 배치된 빈포대의 양측을 잡아주는 포대 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포대 고정부는,
    사료 공급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사료 공급부를 향해 이동되며, 포대 양측을 사료 공급부에 압착하는 한 쌍의 압착부;
    상기 압착부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는 압착부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포장 장치.


KR1020140074139A 2014-06-18 2014-06-18 사료 자동 포장 장치 KR10144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139A KR101446670B1 (ko) 2014-06-18 2014-06-18 사료 자동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139A KR101446670B1 (ko) 2014-06-18 2014-06-18 사료 자동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670B1 true KR101446670B1 (ko) 2014-10-06

Family

ID=5199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139A KR101446670B1 (ko) 2014-06-18 2014-06-18 사료 자동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6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361B1 (ko) * 2015-02-10 2015-07-30 (주)원팩 분·입체용 포대 포장장치
KR20180112218A (ko) * 2017-03-31 2018-10-12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분체형 포장대상물용 충전포장장치
CN111619879A (zh) * 2020-06-08 2020-09-04 苏州阡晨金属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包装袋供料及张口的装置
KR102427200B1 (ko) * 2021-08-30 2022-07-28 권기창 제설제의 소포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624B1 (ko) 1999-10-05 2001-12-13 장철수 압축 혼합사료 포장기
KR100656067B1 (ko) 2005-11-02 2006-12-15 (유)대도 가축사료 포장기
KR101200818B1 (ko) 2012-02-27 2012-11-13 주식회사 린도 혼합사료 성형포장장치
KR101242769B1 (ko) 2012-12-06 2013-03-25 주식회사 린도이앤씨 사료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624B1 (ko) 1999-10-05 2001-12-13 장철수 압축 혼합사료 포장기
KR100656067B1 (ko) 2005-11-02 2006-12-15 (유)대도 가축사료 포장기
KR101200818B1 (ko) 2012-02-27 2012-11-13 주식회사 린도 혼합사료 성형포장장치
KR101242769B1 (ko) 2012-12-06 2013-03-25 주식회사 린도이앤씨 사료 포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361B1 (ko) * 2015-02-10 2015-07-30 (주)원팩 분·입체용 포대 포장장치
KR20180112218A (ko) * 2017-03-31 2018-10-12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분체형 포장대상물용 충전포장장치
KR101964942B1 (ko) * 2017-03-31 2019-08-08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분체형 포장대상물용 충전포장장치
CN111619879A (zh) * 2020-06-08 2020-09-04 苏州阡晨金属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包装袋供料及张口的装置
KR102427200B1 (ko) * 2021-08-30 2022-07-28 권기창 제설제의 소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670B1 (ko) 사료 자동 포장 장치
CN209756188U (zh) 一种饲料砖自动压制系统
KR100930536B1 (ko) 사료포대 적재시스템
KR100913704B1 (ko) 포대 정렬장치
KR200469522Y1 (ko) 육묘상자 공급기
KR200355927Y1 (ko) 사료 포대 자동 공급장치
CN200994300Y (zh) 食用菌全自动装袋机
CN113207488B (zh) 一种自走式育苗钵装填摆码机
CN204606333U (zh) 全自动菌料装袋机
CN108887092A (zh) 一种食用菌栽培基质袋套环装置
KR101481055B1 (ko) 사료포대 이송 자동화 시스템
KR200403026Y1 (ko) 포대 봉합시 포대 일시 정지장치
KR101189219B1 (ko) 포대 자동 공급장치
CN210681318U (zh) 一种用于药品包装的传输装置
CN208836690U (zh) 一种食用菌栽培基质袋套环装置
CN210112594U (zh) 一种食用菌培养料装袋装置
CN210928813U (zh) 一种全自动营养钵装料机
KR101481056B1 (ko) 사료포대 타격장치
CN109110193B (zh) 容器和盖的整层定量装箱送料装置
CN106387963A (zh) 一种全自动饲料生产线
KR101455228B1 (ko) 사료포대 평탄장치
CN111776585A (zh) 一种饲料仓仓储取料装置及方法
CN203997043U (zh) 一种大包机
CN207083483U (zh) 一种饲用谷子收割机
CN112373854A (zh) 一种实验动物饲料生产用成品包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