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438B1 -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 - Google Patents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438B1
KR101444438B1 KR1020120067644A KR20120067644A KR101444438B1 KR 101444438 B1 KR101444438 B1 KR 101444438B1 KR 1020120067644 A KR1020120067644 A KR 1020120067644A KR 20120067644 A KR20120067644 A KR 20120067644A KR 101444438 B1 KR101444438 B1 KR 10144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ess
weight
grass
main body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514A (ko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4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7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la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은 잔디가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이 마련된 잔디 블록에 있어서, 황토 분말, 소석회, 고로 슬래그, 자갈 및 모래, 감수제, 바인더 수지, 잔량의 물을 혼합한 황토조성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은 황토조성물로 제조하므로 소정의 강도를 갖고, 보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여 잔디가 식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잔디의 성장율이 향상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을 이용한 주차장은 황토 조성물로 이루어진 잔디블럭에 의해 잔디의 성장율이 향상되어 용이하게 주차장을 녹화할 수 있으며, 주차장 내에 유공관이 설치되어 물고임 현상 발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Grass block using loess composition and parking lo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주차하는 주차장의 바닥에 잔디가 식생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 내의 주차장의 경우, 지면을 단순하게 평탄화한 후 콘크리트를 소정 넓이로 타설하고 양생시키고, 그 윗면에 페인트를 이용하여 주차구획선을 표시하여 일정위치에서 차량이 주차되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최근 잔디블록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차공간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하기도 하는데, 이에 사용되는 잔디블록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잔디블록은 시멘트, 모래 및 자갈을 알맞게 섞어 양생시켜 차량과 같은 고중량물이 지나가더라도 균열이나 깨짐발생이 최소화된다.
종래의 잔디블록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24038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개방된 하나의 블록을 여러개 조합하여 상기 개방된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잔디를 식재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잔디블록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블록몸체(1)는 차량의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게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시멘트와 모래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몸체(1)는 복수개를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 좌우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1)의 양측에는 공간부(2,2')를 형성하여 2개 이상의 몸체(1)가 설치되어 흙을 담아서 그 흙에 잔디를 식재하는 것이다.
또한, 식재된 잔디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간부(2,2')를 벗어나 몸체(1)의 상부로 줄기가 성장하게 되면 차량의 바퀴(10)에 짓눌려 잔디의 성장을 억제하게 되는 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간부(2,2')와 연결되고, 일정 넓이와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요홈(3,3')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잔디(5)의 줄기가 성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잔디블록이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블록 내부 틈새가 없으므로 식생공간 내부로 잔디의 식생에 요구되는 물과 공기의 출입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잔디 블록을 다공성 골재로 제작하면 보수성과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내구성이 떨어져 주차장용 블록으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고, 잔디 식생에 요구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보수성이 우수하고, 공기가 식생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성이 우수한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은 잔디가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이 마련된 잔디 블록에 있어서, 황토 분말, 소석회, 고로 슬래그, 자갈 및 모래, 감수제, 바인더 수지, 잔량의 물을 혼합한 황토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잔디블록은 내부에 상기 식생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잔디가 식생될 수 있는 보조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토조성물은 6.1 중량%의 소성황토 또는 소성되지 않은 생황토 분말, 6.5 중량%의 소석회, 19.6 중량%의 분말도 6000 내지 8000㎠/g 고로 슬래그, 30 중량%의 자갈, 28 중량%의 모래, 0.6 중량%의 나프탈란계, 리그린계 및 폴리카르본산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수제, 3.1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바인더 수지 및 6.1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지면에 주차라인으로 다수의 주차공간을 구획한 주차장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 대응되는 지면에 설치되며, 잔디가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이 마련되되, 황토 분말, 소석회, 고로 슬래그, 자갈 및 모래, 감수제, 바인더 수지, 잔량의 물을 혼합한 황토조성물로 형성된 다수의 잔디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잔디블록은 내부에 상기 식생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잔디가 식생될 수 있는 보조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디블록들은 상기 돌출부재가 상호 접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돌출부재는 인접된 상기 잔디블록의 상기 돌출부재에 대향되는 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되고,인접된 상기 잔디블록들의 상기 돌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인접된 상기 잔디블록들의 상호 대향되는 상기 돌출부재의 삽입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봉이 마련된 연결유닛을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은 상기 주차공간의 지중에 매립되어 상기 주차공간에 물고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중으로 유입되는 물을 수집하여 상기 주차공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유공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공관은 상기 주차라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라인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차공간의 지면에는 상기 차량의 바퀴가 접촉될 수 있도록 바퀴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잔디블록들은 상기 바퀴 가이드라인을 제외한 상기 주차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황토조성물은 6.1 중량%의 소성황토 또는 소성되지 않은 생황토 분말, 6.5 중량%의 소석회, 19.6 중량%의 분말도 6000 내지 8000㎠/g 고로 슬래그, 30 중량%의 자갈, 28 중량%의 모래, 0.6 중량%의 나프탈란계, 리그린계 및 폴리카르본산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수제, 3.1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바인더 수지 및 6.1 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은 황토조성물로 제조하므로 소정의 강도를 갖고, 보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여 잔디가 식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잔디의 성장율이 향상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을 이용한 주차장은 황토 조성물로 이루어진 잔디블럭에 의해 잔디의 성장율이 향상되어 용이하게 주차장을 녹화할 수 있으며, 주차장 내에 유공관이 설치되어 물고임 현상 발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잔디블록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잔디블록을 이용한 주차장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차장에 설치된 식생 잔디블록들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10)은 잔디가 식생할 수 있도록 식생공간(11)이 마련된 잔디블록으로서, 황토 분말, 소석회, 고로 슬래그, 자갈 및 모래, 감수제, 바인더 수지, 잔량의 물을 혼합한 황토조성물로 형성된다.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10)은 식생공간(1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하측 내측면에는 식생공간(11)으로 유입된 우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12)이 형성된다. 배수공(12)은 식생 잔디블록(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식생 잔디블록(10)을 상호 결합시, 상기 배수공(12)들이 상호 일치되게 결합하여 식생공간(11)으로 유입된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우수 배출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잔디블록(15)은 육각형이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10)은 삼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사다리꼴, 마름모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황토조성물은 황토 분말, 소석회, 고로 슬래그, 자갈 및 모래, 감수제, 바인더 수지,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황토분말은 황토 흙을 소성로에서 약 20분간 소성시킨 후 이를 밀로 갈아서 자동 스크린 채망을 이용하여 걸러낸 것을 이용한다. 이러한 소성 가공을 거친 황토는 보다 경화성이 우수해 질 수 있다.
이때, 황토분말의 소성온도는 500∼800℃가 적합한데, 소성 온도가 500℃ 미만이면, 황토분말의 경화도가 낮고, 소성 온도가 800℃를 초과하면, 이미 황토분말이 충분한 경화도를 획득한 이후이다.
한편, 황토 분말은 소성되지 않은 생황토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황토 분말의 경화도의 측면에서는 소성 공정을 거친 황토분말이 생황토분말보다 우수하나, 원적외선 방출 및 미네랄 성분 등과 같은 유효성분의 방출에 있어서는 생황토분말이 소성 공정을 거친 황토분말보다 더 우수하다.
황토 분말의 함량은 전체 황토 조성물 중에 6.1 중량%이 바람직하다.
소석회는 황토 조성물의 산성도를 중화시키는 것으로, 주로 산화칼슘(CaO)을 포함할 수 있는데, 황토 조성물에 알칼리를 공급한다. 소석회의 함량은 6.5 중량%이 바람직하다.
고로 슬래그는 물과 함께 혼합되어 금속이온의 화학적 이온치환 작용에 의한 중화 및 수화반응을 통해 황토 조성물을 고화시킨다.
삭제
이때, 분말도가 6000 내지 8000㎠/g인 고로 슬래그가 사용될 수 있다. 고로 슬래그의 분말도가 6000㎠/g 미만이면, 황토 조성물로 형성될 식생 잔디블록의 압축강도가 약해질 수 있어, 비교적 쉽게 블록 제품 또는 포장재가 깨지거나 크랙등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분말도가 8000㎠/g을 초과하면, 식생 잔디블록의 압축강도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아니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고로 슬래그의 함량은 19.6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갈은 최대입경 13mm 이하의 콘크리트용 부순 굵은골재의 품질에 적합한 자갈과 모래는 최대입경 5mm이하의 콘크리트용 부순모래의 품질에 적합한 모래가 적절하다. 그 수량은 소요강도와 표면 마감성 등을 고려하여 잔골재율(s/a)을 고려하여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황토 조성물의 성능개선을 위하여 골재 중 일부를 규사, 맥반석, 옥 등의 친환경 골재로 대체 함으로써 친환경성을 높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자갈의 함량은 30중량%이고, 모래의 함량은 2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수제는 나프탈란계, 리그린계 및 폴리카르본산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감수제의 함량은 0.6 중량%이 바람직하다.
삭제
황토 조성물의 내구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바인더 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황토 조성물 내에 포함된 다른 조성물들 간의 결합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바인더 수지는 모래 입자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균열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우레탄의 특성과 아크릴레이트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는 하이브리드(hybride)수지이다. 이러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일반적으로 우레탄 프리폴리머(urethane prepolymer)와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의 중합반응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중합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며, 그 종류는 다양하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등이 있다.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황토 조성물 전체에서 3.1 중량%이 바람직하다.
삭제
황토 조성물에는 물이 포함될 수 있다. 물은 다른 조성을 배합하고 잔량이 포함될 수 있다. 물은 물 이외의 다른 조성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물은 6.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황토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식생 잔디블록의 강도와 균열 저항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추가로 보강재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재로는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중에서 통상 사용되는 보강재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보강재는 결합력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식생 잔디블럭의 균열발생을 방지하고, 식생 진디블럭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조성비를 갖는 황토조성물에 대한 성능시험을 시행하였고,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실시예 W/B 바인더 수지 가공
황토
감수제 소석회 슬래그 부순 모래 부순 자갈
1 45.7 6.4 3.2 6.5 0.5 6.5 7.9 31.7 37.3 100
2 40 6.3 3.3 6.5 0.5 6.5 10.7 31.7 34.5 100
3 34.1 6.2 3.1 6.5 0.6 6.5 14.4 30.2 32.5 100
4 28.5 6.1 3.1 6.1 0.6 6.5 19.6 28 30 100
5 41.2 11 0 6.5 0.5 6.4 14.1 29.6 31.9 100
*단위: 중량%
상기 표 1의 함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조성물로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먼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시험하였다. 즉, 표 1의 황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2403-'10에 의해 제작하여 압축강도시험방법 KS F2405-'10와 휨강도시험방법 KS F2408-'10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예시 압축강도 휨강도 비고
7일 14일 28일
1 22.84 24.94 25.79 4.5이상
2 24.77 26.32 32.34
3 24.82 31.83 39.45
4 32.71 38.63 46.01
5 25.31 27.2 29.91
*단위: Mpa
상기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재의 압축강도는 28일째 25.79Mpa, 32.34Mpa, 39.45Mpa, 46.01Mpa, 29.91Mpa이 었고, 휨강도는 모두 4.5Mpa이상이 었다.
표 1의 함량으로 제조된 황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공된 식생 잔디블록의 유해물질방출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결과 환경기준치 (1지역기준) 적정성 시험기관
유해 중금속 카드뮴(Cd) 검출안됨 12 적정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토양오염 공정 시험기준)
6가크롬(Cr) 검출안됨 15 적정
구리(Cu) 13.8mg/kg 450 적정
수은(Hg) 3.03mg/kg 12 적정
납(Pb) 14.5mg/kg 600 적정
아연(Zn) 52.0mg/kg 900 적정
니켈(Ni) 1.39mg/kg 300 적정
유해화학물질 유기인 검출안됨 - 적정
페놀 검출안됨 10 적정
벤젠 검출안됨 3 적정
톨루엔 검출안됨 60 적정
에틸벤젠 검출안됨 150 적정
자일렌 검출안됨 45 적정
트리클로로에틸렌 검출안됨 24 적정
테트라클로로에틸렌 검출안됨 12 적정
벤조피렌 검출안됨 2 적정
상기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고, 환경 기준치에 부합하는 황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2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20)은 내부에 식생공간(23)이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외측면에 상기 본체(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21)의 외측에 상기 잔디가 식생될 수 있는 보조공간(25)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재(22)를 구비한다.
본체(2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생공간(2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체(21)는 하부 내측면에 식생공간(23)으로 유입된 우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24)이 형성된다. 배수공(24)은 잔디블록(2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잔디블록(20)을 상호 결합시, 상기 배수공(24)들이 상호 일치되게 결합하여 식생공간(23)으로 유입된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우수 배출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돌출부재(22)는 본체(21)의 전후측면에 2개씩 형성되며, 사이에 보조공간(25)이 마련될 수 있도록 본체(21)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돌출부재(22)들은 보조공간(25)이 상기 식생공간(23)에 대응되는 깊이로 마련될 수 있도록 본체(21)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상하방향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1)의 각 측면에 형성된 2개의 돌출부재(22)들은 상호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돌출부재(22)는 본체(21)의 좌우측면에도 각각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돌출부재(22)는 본체(21)의 각 외측면에 각각 2개씩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돌출부재(2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잔디블록(20)의 설치대상 지역에 따라 1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돌출부재(22)들에 의해 본체(21)의 외부에 잔디를 식재할 수 있는 보조공간(25)이 마련되므로 잔디의 식생면적이 확장되고, 다수의 잔디블록(20)의 돌출부재(22)를 상호 연결하여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체(30)는 중심부분에 식생공간(23)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31)는 본체(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면 및 좌우측면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잔디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잔디블록은 본체(40)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본체(40)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에는 각각 2개의 돌출부재(41)가 형성된다.
돌출부재(41)들은 본체(40)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된다. 이때, 잔디블록(20)의 형상이 #자가 되도록 본체(40)의 전후면에 형성된 돌출부재(41)들은 상기 전후면의 좌우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본체(4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재(41)들은 상기 좌우측면의 전후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자의 형상을 갖는 잔디블록(20)의 경우, 다수의 잔디블록(20)이 상호 결합시, 격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체(40)의 상면에는 소정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잔디블록(20)을 이용한 주차장(100)을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차장(100)은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진입부(101)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지면에 주차라인(102)으로 다수의 주차공간을 구획한 주차장(100)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 대응되는 지면에 설치되며, 잔디가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공간(113)이 마련되되, 황토 분말, 소석회, 고로 슬래그, 자갈 및 모래, 감수제, 바인더 수지, 잔량의 물을 혼합한 황토조성물로 형성된 다수의 잔디블록(110)과, 상기 주차공간의 지중에 매립되어 상기 주차공간에 물고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중으로 유입되는 물을 수집하여 상기 주차공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유공관(120)을 구비한다.
이때, 주차라인(102)은 차량의 진입부(101)를 따라 연장되게 지면에 형성된 제1라인(103)과, 제1라인(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제1라인(10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다수의 주차공간을 구획하는 제2라인(104)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주차공간 내의 지면에는 상기 차량의 바퀴가 접촉될 수 있도록 바퀴 가이드 라인(105)이 형성된다. 상기 바퀴 가이드 라인(105)은 복수개가 차량의 바퀴폭에 대응되게 상기 제1라인(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제2라인(104)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바퀴 가이드 라인(105)은 황토 조성물을 주차공간 내의 지면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황토조성물을 이용하여 바퀴 가이드 라인(105)을 형성할 경우,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바퀴에 의한 잔디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주차공간 내에 바퀴 가이드 라인(105)이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차공간 내에 별도의 바퀴 가이드 라인(105)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잔디블록(110)은 잔디가 식생하는 식생공간(113)이 마련된 본체(111)와, 본체(11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재(112)를 구비한다. 상기 잔디블록(110)은 앞서 언급된 잔디블록(110)과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잔디블록(110)들은 차량의 바퀴에 의해 잔디가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퀴 가이드 라인(105)을 제외한 주차공간의 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잔디블록(110)들은 돌출부재(112)들이 상호 접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돌출부재(112)는 인접된 잔디블록(110)의 돌출부재(112)에 대향되는 측면에 삽입공(131)이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잔디블록(110)들은 연결유닛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연결유닛은 인접된 상기 잔디블록(110)들의 상기 돌출부재(112)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인접된 상기 잔디블록(110)들의 상호 대향되는 상기 돌출부재(112)의 삽입공(131)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연결봉(132)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봉(132)에 의해 상기 잔디블록(110)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이동을 따라 외력에도 상호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유공관(120)은 제1라인(103)에 대응되는 지중에 매설되는 제1관부재(121)와, 제1관부재(121)에 연통되며, 제2라인(104)에 대응되는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의 제2관부재(122)를 구비한다.
제1관부재(121)는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며, 제1라인(103)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1관부재(121)는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단부에 맨홀(미도시)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제2관부재(122)는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며, 제2라인(104)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2관부재(122)는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제1관부재(121)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단부가 제1관부재(121)의 외주면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유공관(120)은 지중으로 침투된 물의 배수를 촉진하여 물고임의 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차량의 진입부(101)는 차량이 주차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진입하는 경로로서, 황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장할 수 있다. 진입부(101)의 포장방법은 다음과 같다.
6.1 중량%의 황토분말, 6.5 중량%의 소석회, 19.6 중량%의 고로 슬래그, 30 중량%의 부순자갈, 28 중량%의 부순모래, 0.6 중량%의 감수제, 3.1 중량%의 바인더 수지, 6.1 중량%의 물을 혼합하여 황토 조성물을 형성한 다음, 진입부(101) 상부에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10~20cm 두께의 기층면을 형성하여 다진다.
다음, 상기 기층면 상부에 상기 황토 조성물을 7~20cm의 두께로 포설하여 진입부(101)를 형성한다. 필요한 경우, 배수를 위해 진입부(101)의 표면에 구배를 형성하여 표면을 마무리한다. 또한, 이후 진입부(101)의 상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입부(101) 상면을 수분증발 차단막으로 양생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100)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차장(100)으로 사용된 지중에서 유공관(120)을 매설한다. 이때, 유공관(120)의 지면에 형성될 기설계된 주차라인(102)에 대응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공관(120)이 매설이 완료되면, 지면을 평탄화 작업을 한다. 지면의 평탄화 작업이 완료되며, 차량이 진입하는 진입부(101)와, 차량이 주차되는 다수의 주차공간으로 지면을 구획할 수 있도록 주차라인(102)을 형성한다.
주차라인(102)의 형성이 완료되면, 진입부(101)는 황토 조성물로 포장하고, 주차공간 내의 지면에는 차량이 주차시, 차량의 바퀴가 지나갈 수 있도록 바퀴 가이드 라인(105)을 형성한다. 바퀴 가이드 라인(105)의 형성이 완료되며, 바퀴 가이드 라인(105)을 제외한 주차공간 상면에 다수의 잔디블록(110)을 설치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100)은 잔디블록(110)에 의해 차량의 주차되는 주차공간에 잔디가 식재되므로 표면을 녹화시켜 지면에 의한 복사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잔디블록
11: 식생공간
12: 배수공
100: 주차장
101: 진입부
102: 주차라인
105: 바퀴가이드 라인
120: 유공관
121: 제1관부재
122: 제2관부재

Claims (9)

  1. 잔디가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이 마련된 잔디 블록에 있어서,
    황토 분말, 소석회, 고로 슬래그, 자갈 및 모래, 감수제, 바인더 수지, 잔량의 물을 혼합한 황토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황토조성물은
    6.1 중량%의 소성황토 또는 소성되지 않은 생황토 분말,
    6.5 중량%의 소석회,
    19.6 중량%의 분말도 6000 내지 8000㎠/g 고로 슬래그,
    30 중량%의 자갈,
    28 중량%의 모래,
    0.6 중량%의 나프탈란계, 리그린계 및 폴리카르본산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수제,
    3.1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바인더 수지 및
    6.1 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블록은
    내부에 상기 식생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잔디가 식생될 수 있는 보조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
  3. 삭제
  4.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지면에 주차라인으로 다수의 주차공간을 구획한 주차장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 대응되는 지면에 설치되며, 잔디가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이 마련되되, 황토 분말, 소석회, 고로 슬래그, 자갈 및 모래, 감수제, 바인더 수지, 잔량의 물을 혼합한 황토조성물로 형성된 다수의 잔디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황토조성물은
    6.1 중량%의 소성황토 또는 소성되지 않은 생황토 분말,
    6.5 중량%의 소석회,
    19.6 중량%의 분말도 6000 내지 8000㎠/g 고로 슬래그,
    30 중량%의 자갈,
    28 중량%의 모래,
    0.6 중량%의 나프탈란계, 리그린계 및 폴리카르본산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수제,
    3.1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바인더 수지 및
    6.1 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블록은
    내부에 상기 식생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잔디가 식생될 수 있는 보조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블록들은 상기 돌출부재가 상호 접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돌출부재는 인접된 상기 잔디블록의 상기 돌출부재에 대향되는 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인접된 상기 잔디블록들의 상기 돌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인접된 상기 잔디블록들의 상호 대향되는 상기 돌출부재의 삽입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봉이 마련된 연결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의 지중에 매립되어 상기 주차공간에 물고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중으로 유입되는 물을 수집하여 상기 주차공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유공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공관은 상기 주차라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라인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의 지면에는 상기 차량의 바퀴가 접촉될 수 있도록 바퀴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잔디블록들은 상기 바퀴 가이드라인을 제외한 상기 주차공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9. 삭제
KR1020120067644A 2012-06-22 2012-06-22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 KR10144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644A KR101444438B1 (ko) 2012-06-22 2012-06-22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644A KR101444438B1 (ko) 2012-06-22 2012-06-22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14A KR20140000514A (ko) 2014-01-03
KR101444438B1 true KR101444438B1 (ko) 2014-09-29

Family

ID=5013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644A KR101444438B1 (ko) 2012-06-22 2012-06-22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7485B (zh) * 2018-04-25 2020-03-24 温州正城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园林环保停车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02U (ja) * 1993-10-05 1995-04-25 高圧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噛合わせ舗石ブロック
KR20040074572A (ko) * 2003-02-19 2004-08-25 김갑중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20490B1 (ko) * 2009-01-12 2009-10-08 주식회사 에코탑 하천생태복원용 다공질 하상보호블록
JP2010041938A (ja) 2008-08-11 2010-02-25 Fukuhara Imono Seisakusho:Kk タイヤガイドとそれを備えた緑化駐車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02U (ja) * 1993-10-05 1995-04-25 高圧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噛合わせ舗石ブロック
KR20040074572A (ko) * 2003-02-19 2004-08-25 김갑중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041938A (ja) 2008-08-11 2010-02-25 Fukuhara Imono Seisakusho:Kk タイヤガイドとそれを備えた緑化駐車場
KR100920490B1 (ko) * 2009-01-12 2009-10-08 주식회사 에코탑 하천생태복원용 다공질 하상보호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14A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443B1 (ko) 산업폐기물을 골재로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품의 제조방법
EP1358299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öden oder trennschichten
KR102154024B1 (ko) 고성능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KR102126301B1 (ko)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혼성 폴리머 콘크리트 그레이팅 및 투수 콘크리트 적층 친환경 가로수 보호판 및 그 제조 또는 시공방법
EP2305620B1 (en) The use of a concrete material comprising aggregates, cement and a cement additive comprising a mixture of three zeolites for making a prefab construction material.
KR101444438B1 (ko)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식생 잔디블록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
KR101182605B1 (ko) 인산석고와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포장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0698488B1 (ko) 운동장 또는 경기장 시공 방법
KR101389557B1 (ko)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
KR100986182B1 (ko) 우드칩과 황토를 이용한 바닥 및 벽면 포장재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1161420B1 (ko) 황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공법
KR100806625B1 (ko)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EP3307687A1 (en) Lightweight fine ceramic particulates
KR102521217B1 (ko) 폐플라스틱 골재 및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3623718B2 (ja) 緑化用軽量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材
KR100740262B1 (ko) 어린이 놀이터 바닥 시공방법
KR100821491B1 (ko) 폐기물 매립지용 고화토
KR20040032135A (ko) 황토 몰탈을 이용한 호안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0972339B1 (ko) 친환경 포장재용 바이오 황토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포장방법
KR101298697B1 (ko) 투수성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용 투수블록
KR100828426B1 (ko) 흙을 이용한 지반조성방법
JP4082508B2 (ja) 石炭灰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石炭灰使用の舗装構造の製造方法
KR100944190B1 (ko) 석분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0661629B1 (ko) 저 품위 철광석을 이용한 고강도 및 고성능을 가지는투수콘크리트
KR101366834B1 (ko)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옹벽용 식생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