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343B1 -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343B1
KR101444343B1 KR1020140011238A KR20140011238A KR101444343B1 KR 101444343 B1 KR101444343 B1 KR 101444343B1 KR 1020140011238 A KR1020140011238 A KR 1020140011238A KR 20140011238 A KR20140011238 A KR 20140011238A KR 101444343 B1 KR101444343 B1 KR 10144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ischarge
unit
housing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경
Original Assignee
(주)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틱스 filed Critical (주)스틱스
Priority to KR102014001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100); 유체흡입구(420)와, 와류를 생성하여 방출하는 와류생성부(430)를 구비한 버블방출유닛(4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흡입구(420)와 연결되어 유체를 흡입하면서 벤츄리 형태로 외부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된 흡입유닛(200); 상기 흡입유닛(200)과 연결배관(P)을 통해 연결되어 흡입유닛(200)으로 유입된 공기를 포함한 유체를 압축하여 상기 와류생성부(430)로 배출하는 배출유닛(3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버블로 인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고 세척력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블 생성장치는 공기를 흡입하여 수중에서 배출하면서 공기방울을 발생시키는 기구로서, 주로 어항이나 수족관에서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용도를 비롯하여 반도체 제조시 세척용도까지 매우 폭넓게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블 생성장치의 대표적인 예는 등록특허 제0890772호, 공개특허 제1994-0008563호, 실용신안등록공고 제1995-0004556호를 비롯하여 다수의 관련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웰빙문화의 열풍과 함께 건강증진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반신욕, 족욕 등이 붐을 이루고 있다.
특히, 족욕은 시간과 공간, 물을 절약하면서 반신욕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한층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한의학 측면에서도 족욕 또한 반신욕과 마찬가지로 하반신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혈액순환 장애를 초래하는 냉기를 없앨 수 있어 두한족열(頭寒足熱) 상태의 건강 목욕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족욕기는 대부분 이온수를 이용한다든지 혹은 지압효과를 높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쪽에 촛점이 맞추어져 기술개발이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버블 효과를 응용한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버블은 족욕시 피부 표면에 타격하면서 지압구에 의한 지압보다 더 효율적이고 우수한 지압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맛사지 효과는 물론 세척 기능도 뛰어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의 응용이 저조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으며, 더욱이 족욕기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욕조에서 족욕 또는 반신욕을 즐기는데 욕조의 경우에는 아예 그러한 기능 자체가 구현되어 있지 않다.
1. 등록특허 제0890772호(2009.03.20) 2. 공개특허 제1994-0008563호(1994.05.16) 3. 실용신안등록공고 제1995-0004556호(1995.06.10) 4. 등록실용 제0398201호(2005.10.04) 5. 등록실용 제0397106호(2005.09.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족욕기를 포함한 욕조 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족욕 또는 반신욕시 쉽고 빠르면서 편리하게 버블을 발생시켜 피부 맛사지는 물론 지압, 나아가 세척 효과까지 얻을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블을 마이크로 크기로 생성하여 와류를 따라 공급케 함으로써 족욕 또는 반신욕 효과를 더욱 더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100); 유체흡입구(420)와, 와류를 생성하여 방출하는 와류생성부(430)를 구비한 버블방출유닛(4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흡입구(420)와 연결되어 유체를 흡입하면서 벤츄리 형태로 외부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된 흡입유닛(200); 상기 흡입유닛(200)과 연결배관(P)을 통해 연결되어 흡입유닛(200)으로 유입된 공기를 포함한 유체를 압축하여 상기 와류생성부(430)로 배출하는 배출유닛(3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흡입유닛(2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정된 흡입하우징(210)과, 상기 흡입하우징(210)에 설치된 흡입펌프(220) 및 상기 흡입하우징(210)과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흡입배관(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배관(230)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배관(230)과 흡입하우징(210)은 회전가능한 흡입측 엘보관(L1)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흡입측 엘보관(L1)에는 벤츄리 효과를 통해 외부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공기흡입구(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출유닛(3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정된 배출하우징(310)과, 상기 배출하우징(310)에 설치된 배출펌프(320) 및 상기 배출하우징(310)과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배출배관(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배관(330)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배관(330)과 배출하우징(310)은 회전가능한 배출측 엘보관(L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은 유체흡입구(420)를 갖는 흡배출하우징(410)과, 상기 흡배출하우징(4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와류생성부(430)와, 상기 와류생성부(430)의 선단에 나사체결되며 중앙에 버블방출구멍(444)이 형성된 압축노즐헤드(440)와, 상기 압축노즐헤드(440)의 선단에 체결되는 마이크로 크기의 메쉬로 이루어진 망체(452)를 갖는 망체프레임(4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압축노즐헤드(440)의 후단에는 중앙을 향해 경사 돌출된 형태로 테이퍼부(442)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유체에 압을 가해 싸이클론 동작을 가속시키면서 버블 생성을 촉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P)의 일부에는 체크밸브(C)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크기의 버블 다수개가 족욕 또는 반신욕시 피부에 접촉하므로 지압은 물론 세척, 맛사지 기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펌프와 압축펌프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블 발생효율 및 버블 방사 효과가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크기의 버블을 와류와 함께 나선식으로 고속 방출시키기 때문에 버블에 의한 피부 접촉은 물론 버블들끼리의 충돌 터짐에 의한 연쇄반응을 촉진하여 피부 표면을 시원하게 하고, 피로를 신속하게 회복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의 요부를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판상의 부재로서,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여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의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는 흡입유닛(200)과 배출유닛(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유닛(200)과 배출유닛(300)은 각각 버블방출유닛(40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흡입유닛(2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정된 흡입하우징(210)과, 상기 흡입하우징(210)에 설치된 흡입펌프(220) 및 상기 흡입하우징(210)과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흡입배관(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흡입배관(230)의 일단은 흡입측 엘보관(L1)을 통해 상기 흡입하우징(210)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측 엘보관(L1)의 일부에는 공기흡입구(A)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배관(230)을 통해 유체, 통상 물이 흡입될 때 압력차에 의해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빨려 들어갈 수 있도록 벤츄리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유체, 즉 물이 흡입되면서 동시에 공기도 일부 흡입되기 때문에 버블 발생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흡입배관(230)은 휘어지거나 굽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관으로 형성하면 사용상 편의성이 더욱 더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배관(230)의 타단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구성하는 흡배출하우징(410)의 내부 바닥에 구비된 유체흡입구(420)로 연결 배관된다.
이때, 상기 유체흡입구(420)는 하면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흡배출하우징(410)을 족욕기 혹은 욕조 등의 채워진 물 속에 침지시킬 경우 유체인 물이 흡입하여 흡입하우징(210)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흡입측 엘보관(L1)을 흡입하우징(210)에 연결 배관할 때 로터리 죠인트되게 구성하면 흡입배관(230)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어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배출유닛(3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정된 배출하우징(310)과, 상기 배출하우징(310)에 설치된 배출펌프(320) 및 상기 배출하우징(310)과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배출배관(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출배관(330)의 일단은 배출측 엘보관(L2)을 통해 상기 배출하우징(310)에 연결된다.
덧붙여, 상기 배출배관(330)도 휘어지거나 굽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관으로 형성하면 사용상 편의성이 더욱 더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배관(330)의 타단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구성하는 흡배출하우징(4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와류생성부(430)와 연결 배관된다.
이때, 상기 와류생성부(4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배관(330)의 타단은 상기 와류생성부(430)의 외주면에 연통배관되어 배출되는 유체가 와류생성부(430)의 반경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공급되도록, 소위 싸이클론 형태로 배출되게 하여 와류 생성을 원활하게 유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배출측 엘보관(L2)도 배출하우징(310)에 연결 배관할 때 로터리 죠인트되게 구성하면 배출배관(330)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어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하우징(210)과 배출하우징(310)은 연결배관(P)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흡입하우징(210) 내부의 유체가 상기 배출하우징(310) 쪽으로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역류방지를 위해 상기 연결배관(P)의 일부에는 체크밸브(C)를 구비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은 유체흡입구(420)를 갖는 흡배출하우징(410)과, 상기 흡배출하우징(4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와류생성부(430)와, 상기 와류생성부(430)의 선단에 나사체결되는 압축노즐헤드(440)와, 상기 압축노즐헤드(440)의 선단에 체결되는 망체프레임(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와류생성부(430)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배출배관(330)의 타단, 즉 도시상 하단이 연결 배관된다.
또한, 상기 압축노즐헤드(440)는 중앙에 버블방출구멍(444)이 형성되고, 상기 와류생성부(430)에 체결되었을 때 최대한 밀착되어 압축노즐헤드(440)와 와류생성부(430)의 내벽면간 거리를 좁게 하여 배출배관(330)으로부터 방출된 유체가 좁은 공간 사이로 배출되면서 싸이클론 현상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와류 생성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면, 싸이클론 현상을 일으키면서 유체에 포함된 공기들이 충돌되면서 버블 생성 효율이 증대되고, 이는 나선상으로 회전하면서 버블방출구멍(444)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압축노즐헤드(440)의 후단면을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여 테이퍼부(442)를 더 구성하면 배출되는 유체의 입장에서는 점점 좁아지는 공간상으로 압을 받으면서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압, 또는 와류생성압이 증대되어 와류 발생효율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망체프레임(45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개방된 공간에는 망체(Screen)(452)가 고정되며, 상기 압축노즐헤드(440)의 선단에 체결되어 버블방출구멍(444)을 통해 배출되는 버블을 더욱 더 잘게 부수면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일종의 필터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망체프레임(450)은 탈부착을 쉽게 구성하여 막힘시 분리하여 털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면 더욱 좋다.
이를 위해, 상기 망체(452)는 메쉬가 마이크로 단위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사용자는 족욕기 혹은 욕조 등에서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키고자 할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적정위치에 배치한 다음 버블방출유닛(400)을 물 속에 침지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는 크기를 작게하여 하나의 유닛 형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사용상 제약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그런 다음, 흡입펌프(220) 및 배출펌프(320)를 가동시키면 먼저, 유체흡입구(420)를 통해 물이 흡입배관(410)을 타고 흡입된 후 흡입하우징(210)으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흡입구(A)를 통해 공기의 일부가 물과 함께 흡입되게 된다.
이어, 흡입펌프(220)의 배출단을 통해 배출된 유체, 즉 공기가 포함된 물은 연결배관(P)을 타고 배출하우징(310) 속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연결배관(P) 상에는 체크밸브(C)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의 역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꼭 체크밸브(C)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체크밸브(C)가 없을 경우 흡입하우징(210)의 내부 구조를 적절히 설계하여 흡입펌프(220)로 유입되는 유로와 배출되는 유로를 구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체크밸브(C)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여, 배출하우징(310) 속으로 이동된 물은 배출배관(330)을 타고, 와류생성부(430)로 공급되면서 싸이클론 형태로 나선 운동하면서 버블 생성이 증폭되게 된다.
특히, 와류생성부(430)에서는 상당한 압력을 받기 때문에 버블 생성 촉진이 더욱 더 가속화되며, 이렇게 생성된 버블은 압축노즐헤드(440)의 버블방출구멍(444) 및 망체(452)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 크기로 분쇄된 후 방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방출된 버블은 피부와 접촉되면서 세척은 물론 맛사지, 지압 등의 작용을 일으켜 혈액순환 촉진, 피부미용 향상, 각질 제거 등의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베이스플레이트 200: 흡입유닛
300: 배출유닛 400: 버블방출유닛

Claims (8)

  1.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100);
    유체흡입구(420)와, 와류를 생성하여 방출하는 와류생성부(430)를 구비한 버블방출유닛(4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흡입구(420)와 연결되어 유체를 흡입하면서 벤츄리 형태로 외부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된 흡입유닛(200);
    상기 흡입유닛(200)과 연결배관(P)을 통해 연결되어 흡입유닛(200)으로 유입된 공기를 포함한 유체를 압축하여 상기 와류생성부(430)로 배출하는 배출유닛(30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은 유체흡입구(420)를 갖는 흡배출하우징(410)과, 상기 흡배출하우징(4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와류생성부(430)와, 상기 와류생성부(430)의 선단에 나사체결되며 중앙에 버블방출구멍(444)이 형성된 압축노즐헤드(440)와, 상기 압축노즐헤드(440)의 선단에 체결되는 마이크로 크기의 메쉬로 이루어진 망체(452)를 갖는 망체프레임(4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2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정된 흡입하우징(210)과, 상기 흡입하우징(210)에 설치된 흡입펌프(220) 및 상기 흡입하우징(210)과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흡입배관(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하우징(210)은 흡입측 엘보관(L1)을 회전가능게 더 연결한 것으로 하고,
    상기 흡입배관(230)은 플렉시블한 것이며,
    상기 흡입배관(230)과 흡입하우징(210)의 연결은 상기 흡입배관(230)의 일단이 대응하는 상기 흡입측 엘보관(L1)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유닛(200)이 유체를 흡입하면서 벤츄리 형태로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것은 상기 흡입측 엘보관(L1)이 벤츄리 효과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있도록 하는 공기흡입구(A)를 더 형성한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유닛(3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정된 배출하우징(310)과, 상기 배출하우징(310)에 설치된 배출펌프(320) 및 상기 배출하우징(310)과 상기 버블방출유닛(400)을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배출배관(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330)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배관(330)과 배출하우징(310)은 회전가능한 배출측 엘보관(L2)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노즐헤드(440)의 후단에는 중앙을 향해 경사 돌출된 형태로 테이퍼부(442)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유체에 압을 가해 싸이클론 동작을 가속시키면서 버블 생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P)의 일부에는 체크밸브(C)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KR1020140011238A 2014-01-29 2014-01-29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KR101444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38A KR101444343B1 (ko) 2014-01-29 2014-01-29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38A KR101444343B1 (ko) 2014-01-29 2014-01-29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343B1 true KR101444343B1 (ko) 2014-09-24

Family

ID=5176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238A KR101444343B1 (ko) 2014-01-29 2014-01-29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3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848B1 (ko) * 2014-09-24 2015-11-13 이호석 워터스크린 기능을 갖는 수처리 장치
KR20180021954A (ko) 2016-08-22 2018-03-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 계면활성제 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336198B1 (ko) * 2021-03-16 2021-12-08 주식회사 아인스 마이크로버블과 와류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발 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63A (ja) * 1989-05-30 1991-01-08 Tokyo Electric Co Ltd 浴中気泡発生機
JP2731410B2 (ja) 1989-02-15 1998-03-25 松下電工株式会社 浴中気泡発生装置
JP2894727B2 (ja) 1989-07-13 1999-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浴槽水の循環装置
KR20080092750A (ko) * 2007-04-13 2008-10-16 (주)아이엘씨엠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버블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1410B2 (ja) 1989-02-15 1998-03-25 松下電工株式会社 浴中気泡発生装置
JPH031863A (ja) * 1989-05-30 1991-01-08 Tokyo Electric Co Ltd 浴中気泡発生機
JP2894727B2 (ja) 1989-07-13 1999-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浴槽水の循環装置
KR20080092750A (ko) * 2007-04-13 2008-10-16 (주)아이엘씨엠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버블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848B1 (ko) * 2014-09-24 2015-11-13 이호석 워터스크린 기능을 갖는 수처리 장치
KR20180021954A (ko) 2016-08-22 2018-03-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 계면활성제 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336198B1 (ko) * 2021-03-16 2021-12-08 주식회사 아인스 마이크로버블과 와류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발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6029B1 (en)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EP2226057B1 (en) Bath with micro bubble apparatus
KR101444343B1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KR101395824B1 (ko) 미세기포 생성-수환 수단이 구비된 족욕기
EP2226056B1 (en)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US20130037972A1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JP2008237601A (ja) シャワー装置
KR100905915B1 (ko)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EP2226055B1 (en)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120096368A (ko) 흡입노즐에 여과부재를 구비한 나노버블 발생장치
CN109806785A (zh) 一种直流式臭氧水混合装置及臭氧水混合方法
TW201900270A (zh) 多功能细微氣泡生成裝置及其方法
CN207385224U (zh) 一种浴缸的微气泡发生系统
TWM568731U (zh) Micro-nano hydrogen bubble water cleaning device
KR20140101212A (ko) 초미세 기포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초미세 기포 발생방법
KR20120096369A (ko) 흡입노즐에 용출부재를 구비한 나노버블 발생장치
CN107625470A (zh) 奶浴足浴盆
RU147274U1 (ru) Гидровакуумная массажная насадка для душевой головки
KR102550186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JP2000166789A (ja) 浴槽用簡易バブルジェット発生装置
CN220369634U (zh) 一种微气泡洗头仪
RU22084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сыщения воды газом и выделения его в виде микропузырьков при водолечении ваннами
JPH10151085A (ja) 浴中気泡発生装置
RU152624U1 (ru) Гидро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аэратор
JPS63300764A (ja) 気泡液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