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915B1 -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915B1
KR100905915B1 KR1020080105497A KR20080105497A KR100905915B1 KR 100905915 B1 KR100905915 B1 KR 100905915B1 KR 1020080105497 A KR1020080105497 A KR 1020080105497A KR 20080105497 A KR20080105497 A KR 20080105497A KR 100905915 B1 KR100905915 B1 KR 100905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ozzle
hot water
pump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안
김문화
조충형
Original Assignee
(주)조아스텍
김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아스텍, 김문화 filed Critical (주)조아스텍
Priority to KR102008010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87Therapeutic baths with agitated or circul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68Outlet from the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조 내의 욕조 내의 탕수를 유입시키는 흡수노즐과, 상기 흡수노즐의 끝단부에 연결된 유입관(P1)을 통해 탕수를 펌핑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탕수와 혼합시키는 펌프와, 상기 유입관(P1)에서 분기된 공기 유입관(P3)에 설치되어 펌프의 정지시,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 펌핑되어 일정이상의 진공압이 형성될 때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당겨져 공기통로가 열려 펌프에 필요한 공기량만 들어갈 수 있는 공기 유입장치와, 상기 유입관(P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펌프에 의해 탕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펌핑된 탕수와 공기를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가압시켜 공기의 용적률을 높이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의 일단부에서 연결된 배출관(P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혼합된 탕수를 욕조 내에 분출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탕수의 공기를 초미세기포로 변환시켜 욕조의 탕수를 알카리성으로 변화시키고, 그로 인해 탕수가 우유와 같이 부드럽게 되어 입욕자의 피부세척, 각질제거, 피부보습 및 미백, 피부탄력증진 등의 피부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아토피나 여드름, 무좀,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는 물론, 피로회복, 숙취제거, 체온상승, 혈액순환 개선, 불면증 해소 등의 효과에 좋고, 상기 분사노즐은 제 1,2분사케이스 내에 다수개의 메쉬망과 노즐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노즐필터부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분리 결합시 순서의 헷갈림에 의해 잘못된 결합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쉽고 빠른 교체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욕조, 미세기포 발생장치, 분사노즐, 메쉬망, 필터, 펌프

Description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Minuteness-bubble Generator of Bathtub}
본 발명은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조 내의 욕조 내의 탕수를 유입시키는 흡수노즐과, 상기 흡수노즐의 끝단부에 연결된 유입관(P1)을 통해 탕수를 펌핑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탕수와 혼합시키는 펌프와, 상기 유입관(P1)에서 분기된 공기 유입관(P3)에 설치되어 펌프의 정지시,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 펌핑되어 일정이상의 진공압이 형성될 때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당겨져 공기통로가 열려 펌프에 필요한 공기량만 들어갈 수 있는 공기 유입장치와, 상기 유입관(P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펌프에 의해 탕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펌핑된 탕수와 공기를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가압시켜 공기의 용적률을 높이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의 일단부에서 연결된 배출관(P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혼합된 탕수를 욕조 내에 분출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탕수의 공기를 초미세기포로 변환시켜 욕조의 탕수를 알카리성으로 변화시키고, 그로 인해 탕수가 우유와 같이 부드럽게 되어 입욕자의 피부세척, 각질제거, 피부보습 및 미백, 피부탄력증진 등의 피부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아토피나 여드름, 무좀,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는 물론, 피로회복, 숙취제거, 체온상승, 혈액순환 개선, 불면증 해소 등의 효과에 좋고, 상기 분사노즐은 제 1,2분사케이스 내에 다수개의 메쉬망과 노즐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노즐필터부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분리 결합시 순서의 헷갈림에 의해 잘못된 결합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쉽고 빠른 교체를 할 수 있는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탕수에 기포를 발생시켜 사용하는 포말욕은 일반적으로 욕조의 하부에 모터로 작은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 기포에 의해 마사지와 동일한 효과를 얻고자 하는 목욕방법으로서, 기포가 발생할 때 발생하는 초음파가 피부에 압축과 이완의 자극을 주어 온열효과를 준다. 이중에서 특히 기포의 지름이 1㎜ 이하인 경우를 초음파욕이라고 하며, 이는 근육통, 피부미용, 외상 후유증 등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면에서 부서진 기포가 공기 중의 플러스 이온에 붙게 되므로 물의 표면 부근은 마이너스 공기이온이 많아지는데, 이때, 마이너스 공기이온에는 진정효과가 있어 마음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포말욕에 사용되는 기포발생장치가 국내 특허출원 제1989-0020628호에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로 제안된 바 있다. 이 기포발생욕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본체(A), 순환펌프(P), 온수순환통로(D), 분출노즐(2,3), 흡기구(5), 인버터(E), 절연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욕조본체(A)는 욕탕수를 담는 욕조용기이며, 순환펌프(P)는 상기 욕조본체(A)의 외부에 장착되어 전원작동모터(M)에 의해 구동된다. 또, 온수순환통로(D)는 욕조본체(A)와 상기 순환펌프(P)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욕조본체(A)로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단을 보유하는 온수강제공급통로와 온수흡입통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분출노즐(2,3)은 상기한 온수강제 공급통로의 상기한 종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되어 있으며, 흡기구(5)는 상기 분출노즐(2,3)로부터 상기 욕조본체(A)로 기포발생온수를 분출하도록 상기 온수강제공급통로에 접속되어 있다. 아울러, 인버터(E)는 상기 순환펌프(P)의 전원작동모터(M)와 전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파수변조에 의해 상기 모터(M)의 회전수를 쉽고 원활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분출온수의 분출량과 분출압력을 여러 가지 다른 모드로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끝으로, 절연장치는 인버터(E)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가 상기 욕조본체(A)의 온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의 기포발생장치는 공기만을 분출시켜 기포를 발생하는 것이므로 단순한 마사지 효과만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마사지 효과와 더불어 세정효과, 피부치료 및 미용효과 등은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일반 가정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욕조 내의 욕조 내의 탕수를 유입시키는 흡수노즐과, 상기 흡수노즐의 끝단부에 연결된 유입관(P1)을 통해 탕수를 펌핑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탕수와 혼합시키는 펌프와, 상기 유입관(P1)에서 분기된 공기 유입관(P3)에 설치되어 펌프의 정지시,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 펌핑되어 일정이상의 진공압이 형성될 때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당겨져 공기통로가 열려 펌프에 필요한 공기량만 들어갈 수 있는 공기 유입장치와, 상기 유입관(P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펌프에 의해 탕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펌핑된 탕수와 공기를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가압시켜 공기의 용적률을 높이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의 일단부에서 연결된 배출관(P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혼합된 탕수를 욕조 내에 분출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탕수의 공기를 초미세기포로 변환시켜 욕조의 탕수를 알카리성으로 변화시키고, 그로 인해 탕수가 우유와 같이 부드럽게 되어 입욕자의 피부세척, 각질제거, 피부보습 및 미백, 피부탄력증진 등의 피부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아토피나 여드름, 무좀,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는 물론, 피로회복, 숙취제거, 체온상승, 혈액순환 개선, 불면증 해소 등의 효과에 좋은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사노즐은 제 1,2분사케이스 내에 다수개의 메쉬망과 노즐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노즐필터부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분리 결합시 순서의 헷갈림에 의해 잘못된 결합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쉽고 빠른 교체를 할 수 있는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욕조 내의 탕수를 유입시키는 흡수노즐과;
상기 흡수노즐의 끝단부에 연결된 유입관(P1)을 통해 탕수를 펌핑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탕수와 혼합시키는 펌프와;
상기 유입관(P1)에서 분기된 공기 유입관(P3)에 설치되어 펌프의 정지시,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 펌핑되어 일정이상의 진공압이 형성될 때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당겨져 공기통로가 열려 펌프에 필요한 공기량만 들어갈 수 있는 공기 유입장치와;
상기 유입관(P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펌프에 의해 탕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펌핑된 탕수와 공기를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가압시켜 공기의 용적률을 높이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의 일단부에서 연결된 배출관(P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혼합된 탕수를 욕조 내에 분출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욕조 내의 욕조 내의 탕수를 유입시키는 흡수노즐과, 상기 흡수노즐의 끝단부에 연결된 유입관(P1)을 통해 탕수를 펌핑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탕수와 혼합시키는 펌프와, 상기 유입관(P1)에서 분기된 공기 유입관(P3)에 설치되어 펌프의 정지시,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 펌핑되어 일정이상의 진공압이 형성될 때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당겨져 공기통로가 열려 펌프에 필요한 공기량만 들어갈 수 있는 공기 유입장치와, 상기 유입관(P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펌프에 의해 탕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펌핑된 탕수와 공기를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가압시켜 공기의 용적률을 높이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의 일단부에서 연결된 배출관(P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혼합된 탕수를 욕조 내에 분출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탕수의 공기를 초미세기포로 변환시켜 욕조의 탕수를 알카리성으로 변화시키고, 그로 인해 탕수가 우유와 같이 부드럽게 되어 입욕자의 피부세척, 각질제거, 피부보습 및 미백, 피부탄력증진 등의 피부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아토피나 여드름, 무좀,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는 물론, 피로회복, 숙취제거, 체온상승, 혈액순환 개선, 불면증 해소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사노즐은 제 1,2분사케이스 내에 다수개의 메쉬망과 노즐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노즐필터부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분리 결합시 순서의 헷갈림에 의해 잘못된 결합을 이루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쉽고 빠른 교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욕조 내의 탕수를 유입시키는 흡수노즐과;
상기 흡수노즐의 끝단부에 연결된 유입관(P1)을 통해 탕수를 펌핑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탕수와 혼합시키는 펌프와;
상기 유입관(P1)에서 분기된 공기 유입관(P3)에 설치되어 펌프의 정지시,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 펌핑되어 일정이상의 진공압이 형성될 때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당겨져 공기통로가 열려 펌프에 필요한 공기량만 들어갈 수 있는 공기 유입장치와;
상기 유입관(P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펌프에 의해 탕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펌핑된 탕수와 공기를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가압시켜 공기의 용적률을 높이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의 일단부에서 연결된 배출관(P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혼합된 탕수를 욕조 내에 분출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600)는 욕조(100) 내의 탕수를 유입시키는 흡수노즐(50)과, 상기 흡수노즐(50)의 끝단부에 연결된 유입관(P1)을 통해 탕수를 펌핑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탕수와 혼합시키는 펌프(200)와, 상기 유입관(P1)에서 분기된 공기 유입관(P3)에 설치되어 펌프(200)의 정지시,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펌프(200)의 작동시, 펌핑되어 일정이상의 진공압이 형성될 때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당겨져 공기통로가 열려 펌프(200)에 필요한 공기량만 들어갈 수 있는 공기 유입장치(400)와, 상기 유입관(P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펌프(200)에 의해 탕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펌핑된 탕수와 공기를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가압시켜 공기의 용적률을 높이는 가압탱크(300)와, 상기 가압탱크(300)의 일단부에서 연결된 배출관(P2)의 끝단부에 설치 되어 공기가 혼합된 탕수를 욕조(100) 내에 분출시키는 분사노즐(10)과,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욕조(100) 내의 탕수를 펌핑하는 펌프(200)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펌프(200)에는 욕조(100) 내의 탕수를 흡입하는 유입관(P1)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관(P3)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관(P3)은 탕수 유입관(P1)의 상부에서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관(P3)에는 펌프(200)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공기 및 유입관(P1) 내의 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유입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유입장치(400)는 미사용시, 역류을 방지하고 사용시 펌핑되어 일정이상의 진공압이 형성될 때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미도시)이 당겨져 공기통로가 열려 펌프에 필요한 공기량만 들어갈 수 있게 하여 펌프 소음 감소와 수명연장 및 일정한 미세기포을 발생할 수 있도록 몸체와 개폐부와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유입장치(400)의 몸체(410)는 공기 유입관(P3)에 관통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시, 미세한 공기로 변환되어 유입되도록 미세한 핀홀(413)이 다수개 형성된 유입구(411)와, 상기 유입구(411)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유입된 미세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410)는 내부에 개폐부(420)와 스프링(430)을 구비할 수 있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420)는 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구(411)를 개폐하도록 일측이 고무막(421)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스프링이 지지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30)은 일반적인 탄성 스프링으로 상기 개폐부(420)의 내부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몸체(410)의 내부면 일단부(배출구측)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420)가 유입구(411)를 펌프(200)의 압력에 의해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스프링(430)에 의해 개폐부(420)를 탄성적으로 승강시킨다.
그러나, 기존의 공기 유입장치 방식은 펌핑에 관계없이 전자밸브로 일정주기로 작동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초기펌핑이 잘 안되며 펌프에 고장이 발생하고 조대버블이 많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압탱크(300)로 공급전에 상기 펌프(200)는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미도시)에 의해 펌핑된 탕수 내에 공기가 혼합시킨다. 그러고 나서, 상기 펌프(200)에 의해 공기가 혼합된 탕수를 가압탱크(300)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펌프(200)는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600)의 미사용시, 동절기에 내부에 정제된 탕수에 의해 동파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밸브(210)가 별도로 또는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때, 탕수 및 공기를 펌프(200)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유입관(P1)이 가압탱크(3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탱크(300)의 내부 상부까지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유입관(P1)을 통해 이송된 탕수 내에 공기의 혼합이 더욱 원활하면서 동시에 가압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탱크(300) 내에 구비된 유입관(P1)의 일단부에는 다수개의 자흡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내부에 탕수가 모두 빠진 펌프(200)를 재작동시, 탕수를 유입시켜 작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가압탱크(300)의 상부면에는 탕수에서 분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공기빼기밸브(310)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탱크(300) 내로 공급된 탕수 및 공기를 분사노즐(10)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배출관(P2)은 가압탱크(3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탕수에 공기를 혼합시켰지만 인체를 활성화하는데 좋은 다양한 가스를 공기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필터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0)은 제 1분사케이스(20)와, 노즐필터부(40)와, 제 2분사케이스(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분사케이스(20)는 욕조(100) 내에 미세기포가 분사시 원활하게 분사되도록 일단면에 다수개의 분사홀(21)이 형성되고, 타측(분사홀(21)의 반대측)의 내주면은 제 2분사케이스(30)와의 결합을 위해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분사케이스(20)의 내부 내측면에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결합부(22)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연결홀(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2)는 일측은 제 1분사케이스(20)의 내부면에 일체형으로 접촉되어 막혀있고, 타측은 중공된 내부와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 2분사케이스(30)는 제 1분사케이스(20)와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상호 접촉되는 일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분사케이스(30)의 타측은 배출관(P2)과 연결되어 배출관(P2)을 통해 분사노즐(10) 내부에 탕수가 유입되도록 유입홀(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31)이 형성된 제 2분사케이스(30)의 내부면에는 결합부(22)에 결합된 노즐필터부(4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노즐필터부(40)의 일측을 압박 지지하는 지지부(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2)와 노즐필터부(40) 사이에 기밀을 위한 오링(33)이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분사케이스(30)의 외부형태는 내부에 유입된 탕수가 일측방향으로 방사형태로 퍼져 유동적으로 이송되도록 상협하광의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필터부(40)는 제 1분사케이스(20)의 결합부(22) 일측 즉, 상기 결합부(22)의 내부와 관통된 부위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분사노즐(10)에 유입된 탕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면서 동시에 탕수 내에 유입된 분순물을 여과하도록 하우징(41)과, 노즐판(43)과, 다수개의 메쉬망(4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1)은 내부가 중공되어 양측면이 관통되어 탕수가 이송되고, 상기 하우징(4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림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42)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41)이 결합부(22)에 삽입시 결합부(22)에 걸쳐 지지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1)의 단면상 "T"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판(43)은 하우징(41)의 관통된 일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노즐판(43)의 일단면에는 다수개의 노즐홀(44)이 형성되어 탕수가 노즐홀(44)을 통해 강한 압박을 받아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노즐판(43)의 내측면(하우징(41)의 내부에 형성되는 면)에는 하우징(41)의 내부에 메쉬망(46)이 결합시 상기 노즐판(43)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메쉬망(46)을 받쳐주는 받침돌기(45)가 다수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망(46)은 하우징(41)의 관통된 타측(노즐판(43)이 형성된 반대측)에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메쉬 형태를 취하여 상기 노즐판(43)을 통해 빠르게 분사되는 탕수가 메쉬망(46)에 부딪혀 무수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다수개의 메쉬망(46)이 적층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메쉬망(46)에 구멍의 크기는 각각 다르게 하여 더 많은 양의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렇듯, 상기 노즐필터부(40)의 하우징(41)과 노즐판(43)과 메쉬망(46)은 하나의 구성품으로 일체화로 제작되어 상품시, 사용자에게 많은 양의 개수를 지급하여 노즐필터부에 분술물에 의해 막힐 때마다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노즐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수노즐(50)은 욕조(100) 내에 구비되어 욕조(100) 내의 탕수를 펌프(200)에 의해 흡입시켜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제 1흡수케이스(60)와, 제 2흡수케이스(70)와, 필터(80)와, 받침판(9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흡수케이스(60)는 욕조(100) 내의 탕수가 흡수노즐(50) 내로 흡입되도록 일단면에 다수개의 흡입홀(6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홀(61)이 형성된 일단면과 욕조(10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흡입홀(61)이 막힘없이 수월하게 탕수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제 1흡수케이스(60)의 일단면(흡입홀(61)이 형성된 동일한 일단면)에 원통형의 돌출부(6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62)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탕수가 이송되도록 이송홈(63)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흡수케이스(60)의 타측 즉, 돌출부(62)가 형성된 반대측 내주면에는 제 2흡수케이스(70)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흡수케이스(60)의 중앙부에는 실리콘 재질의 고정부(64)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흡수노즐(50)이 수도꼭지 또는 연결부재와 연결시 고정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흡수케이스(70)는 상기 제 1흡수케이스(60)의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일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제 2흡수케이스(70)의 타측은 유입관과 연결되어 흡수노즐(50)에 흡입된 탕수가 유입관(P1)을 통해 이송되도록 이송홀(7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흡수케이스(70)도 제 2분사케이스(30)와 동일하게 외부형태가 내부에 흡수된 탕수가 일측방향(유입관측)으로 빠른 유속을 위해 유동적으로 이송되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흡수케이스(70)의 외주면 일단부에는 흡수노즐(50)을 욕조(100)에 담그면 내부 공기층에 의해 가라앉지 않고 뜨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미세홀(72)이 제 2흡수케이스(70)의 내부와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홀(72)은 수도꼭지 등의 연결부재와 흡수노즐(50)이 연결하여 사용시, 미세기포에 필요한 공기가 입수구부터 유입되어 양질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80)는 제 1흡수케이스(60)와 제 2흡수케이스(70)의 결합시,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흡입홀(61)을 통해 내부에 유입된 탕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퍼지를 사용하지만 사용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필터링이 가능한 모든 재질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판(90)은 제 2흡수케이스(70)의 내주면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필터(80)의 일단면을 지지하고, 상기 받침판(90)의 일단면에는 필터(80)를 통해 필터링된 탕수가 이송되도록 다수개의 홀(91)이 관통 형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필터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노즐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사노즐 20 : 제 1분사케이스
30 : 제 2분사케이스 40 : 노즐필터부
50 : 흡수노즐 60 : 제 1흡수케이스
70 : 제 2흡수케이스 80 : 필터
90 : 받침판 100 : 욕조
200 : 펌프 300 : 가압탱크
400 : 공기 유입장치 500 : 제어장치
600 :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Claims (5)

  1. 욕조(100) 내의 탕수를 유입시키는 흡수노즐(50)과;
    상기 흡수노즐(50)의 끝단부에 연결된 유입관(P1)을 통해 탕수를 펌핑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탕수와 혼합시키는 펌프(200)와;
    상기 유입관(P1)에서 분기된 공기 유입관(P3)에 설치되어 펌프(200)의 정지시,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펌프(200)의 작동시, 펌핑되어 일정이상의 진공압이 형성될 때만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당겨져 공기통로가 열려 펌프(200)에 필요한 공기량만 들어갈 수 있는 공기 유입장치(400)와;
    상기 유입관(P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펌프(200)에 의해 탕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펌핑된 탕수와 공기를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가압시켜 공기의 용적률을 높이는 가압탱크(300)와;
    상기 가압탱크(300)의 일단부에서 연결된 배출관(P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혼합된 탕수를 욕조(100) 내에 분출시키는 분사노즐(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사노즐(10)은, 욕조(100) 내에 미세기포가 분사되도록 다수개의 분사홀(21)이 일단면에 형성되고, 내측면에서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결합부(22)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연결홀(23)이 형성되는 제 1분사케이스(20)와;
    상기 제 1분사케이스(20)의 결합부(22) 일측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걸림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10)에 유입된 탕수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면서 동시에 탕수 내에 유입된 분순물을 여과하는 노즐필터부(40)와;
    상기 제 1분사케이스(20)와 일측이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배출관(P2)과 연결되어 배출관(P2)을 통해 분사노즐(10) 내부에 탕수가 유입되도록 유입홀(31)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31)이 형성된 내부면에는 결합부(22)에 결합된 노즐필터부(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노즐필터부(40)의 일측을 압박 지지하는 지지부(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2)와 노즐필터부(40) 사이에 기밀을 위한 오링(33)이 더 설치되는 제 2분사케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수노즐(50)은, 욕조(100) 내의 탕수가 흡입되도록 일단면에 다수개의 흡입홀(6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홀(61)이 형성된 일단면과 욕조(10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흡입홀(61)이 형성된 일단면에 원통형의 돌출부(6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62)의 원주방향으로 탕수가 이송되도록 이송홈(63)이 다수개 형성되고, 중앙부에 실리콘재질의 고정부(64)가 관통 형성되는 제 1흡수케이스(60)와;
    상기 제 1흡수케이스(60)과 일측이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유입관(P1)과 연결되어 흡수노즐(50)에 흡입된 탕수가 유입관(P1)을 통해 이송되도록 이송홀(71)이 형성되며, 외주면 일단부에는 미세홀(72)이 내부와 관통 형성되는 제 2흡수케이스(70)와;
    상기 제 1흡수케이스(60)와 제 2흡수케이스(70)의 결합시,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흡입홀(61)을 통해 내부에 유입된 탕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80)와;
    상기 제 2흡수케이스(70)의 내주면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필터(80)의 일단면을 지지하는 받침판(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즐필터부(40)는, 내부가 중공되어 양측면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걸림부(42)가 형성된 "T" 형태의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관통된 일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면서 일단면에 다수개의 노즐홀(44)이 형성되는 노즐판(43)과;
    상기 하우징(41)의 관통된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판(43)을 통해 빠르게 이송되는 탕수에 미세기포가 발생되도록 다수개가 적층되는 메쉬망(46);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41)에 노즐판(43)과 메쉬망(46)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장치(400)는,
    공기 유입관(P3)에 관통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시, 미세한 공기로 변환되어 유입되도록 미세한 핀홀(413)이 다수개 형성된 유입구(411)와, 상기 유입구(411)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유입된 미세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12)로 이루어진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구(411)를 개폐하도록 일측이 고무막(421)으로 형성되는 개폐부(420)와;
    상기 개폐부(420)의 내부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몸체(410)의 내부면 일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420)가 유입구(411)를 개폐하도록 개폐부(420)를 탄성적으로 승강시키는 스프링(4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05497A 2008-10-27 2008-10-27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90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497A KR100905915B1 (ko) 2008-10-27 2008-10-27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497A KR100905915B1 (ko) 2008-10-27 2008-10-27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915B1 true KR100905915B1 (ko) 2009-07-07

Family

ID=4133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497A KR100905915B1 (ko) 2008-10-27 2008-10-27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91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893A1 (ko) * 2010-03-12 2011-09-15 No Myongae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및 그 장치의 미세기포 분출 헤드 조립체
KR101125723B1 (ko) * 2010-05-31 2012-03-27 김남천 무필터 초미세 마이크로성 버블발생기능을 갖는 분사노즐
KR101382820B1 (ko) * 2012-08-30 2014-04-08 이표학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101743061B1 (ko) 2015-07-09 2017-06-16 옥씨뱅크(주)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저수조
CN108217904A (zh) * 2018-01-31 2018-06-29 王志华 一种用于洗浴的微纳米气泡发生装置
KR102267248B1 (ko) * 2020-06-10 2021-06-21 (주)신넥앤테크 소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20220106415A (ko) * 2021-01-22 2022-07-29 (주)신넥앤테크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
CN117627938A (zh) * 2024-01-25 2024-03-01 佛山市南海圣罗兰卫浴洁具有限公司 一种用于浴缸生成泡沫的水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880A (ja) * 1992-09-18 1994-04-19 Inax Corp 気泡浴槽
JP2001198031A (ja) * 2000-01-19 2001-07-24 Bridgestone Corp 気泡風呂の湯循環構造
KR100737435B1 (ko) * 2006-10-09 2007-07-10 박종후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847696B1 (ko) * 2007-04-15 2008-07-23 김신숙 미세기포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880A (ja) * 1992-09-18 1994-04-19 Inax Corp 気泡浴槽
JP2001198031A (ja) * 2000-01-19 2001-07-24 Bridgestone Corp 気泡風呂の湯循環構造
KR100737435B1 (ko) * 2006-10-09 2007-07-10 박종후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847696B1 (ko) * 2007-04-15 2008-07-23 김신숙 미세기포 발생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893A1 (ko) * 2010-03-12 2011-09-15 No Myongae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및 그 장치의 미세기포 분출 헤드 조립체
KR101125723B1 (ko) * 2010-05-31 2012-03-27 김남천 무필터 초미세 마이크로성 버블발생기능을 갖는 분사노즐
KR101382820B1 (ko) * 2012-08-30 2014-04-08 이표학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101743061B1 (ko) 2015-07-09 2017-06-16 옥씨뱅크(주)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저수조
CN108217904A (zh) * 2018-01-31 2018-06-29 王志华 一种用于洗浴的微纳米气泡发生装置
KR102267248B1 (ko) * 2020-06-10 2021-06-21 (주)신넥앤테크 소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20220106415A (ko) * 2021-01-22 2022-07-29 (주)신넥앤테크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
KR102558831B1 (ko) * 2021-01-22 2023-07-24 (주)신넥앤테크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
CN117627938A (zh) * 2024-01-25 2024-03-01 佛山市南海圣罗兰卫浴洁具有限公司 一种用于浴缸生成泡沫的水泵
CN117627938B (zh) * 2024-01-25 2024-04-02 佛山市南海圣罗兰卫浴洁具有限公司 一种用于浴缸生成泡沫的水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915B1 (ko)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EP2246029B1 (en)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EP2226057B1 (en) Bath with micro bubble apparatus
US9475011B2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KR101282388B1 (ko) 상수압을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EP2226056B1 (en)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0450938Y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AU2018217289A1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EP2226055B1 (en)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080092750A (ko)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버블 공급장치
US20210001286A1 (en) Enhanced micro bubble device,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20160325242A1 (en) Micro Bubble Device,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2008023304A (ja) 簡易シャワー装置
KR20090065016A (ko) 초미세기포 발생기능을 가지는 욕조
KR200433951Y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905916B1 (ko) 다용도 미세기포 마사지 목욕장치
KR20120039277A (ko) 욕조용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100714236B1 (ko) 테라피 요법을 위한 욕조
KR20090104538A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1382820B1 (ko)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20110065131A (ko)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