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131A -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131A
KR20110065131A KR1020090121998A KR20090121998A KR20110065131A KR 20110065131 A KR20110065131 A KR 20110065131A KR 1020090121998 A KR1020090121998 A KR 1020090121998A KR 20090121998 A KR20090121998 A KR 20090121998A KR 20110065131 A KR20110065131 A KR 20110065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residual water
faucet
water removal
bath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열
Original Assignee
배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열 filed Critical 배정열
Priority to KR102009012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5131A/ko
Publication of KR2011006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87Therapeutic baths with agitated or circul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68Outlet from the bath
    • A61H33/6073Intake mouths for recirculation of fluid in whirlpool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샤워기 또는 수전을 통해 급수되는 상수가 담수되는 욕조 본체와;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흡입배관으로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욕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그 조작에 따라 상기 수전을 개방시키고 펌프를 기동시키는 잔수제거 스위치와; 상기 수전과 펌프 사이에 연결되는 잔수제거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욕조 내부의 담수를 모두 배수시킨 후에 펌프와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에 남아 있을지 모르는 잔수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욕조, 월풀, 잔수, 제거, 배관

Description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residual water of whirlpool bath}
본 발명은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월풀욕조의 사용 후 펌프 및 흡입배관과 연결배관에 남아 있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한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경제성장과정에서 도외시되었던 스트레스 문제가 가정적,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대다수의 국민들이 건강의 소중함을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건강보조기구 및 건강보조식품이 일상생활에 깊숙이 침투하여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민간요법으로 전래되거나, 운동선수 등 특정계층에 사용되던 안마요법까지 대중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안마요법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회전운동을 진동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인체의 경락을 자극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근육의 피로를 완화시 키는 효과가 있다.
근래에 상기한 바와 같은 안마요법에 사용되는 안마장치로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등과 목 등에 안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안마용 의자가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안마용 의자에는 진동발생장치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진동의 강도 및 패턴을 조절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최근에는 유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폭포와 같이 물을 분사하여 마사지 효과를 내는 장치나 물의 분사를 상호 교번적으로 조절하는 진동형 샤워꼭지, 또는 기포를 내뿜어 마시지 효과를 제공하는 월풀욕조 등이 제공되고 있다.
이 중, 기포를 내뿜어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는 월풀욕조는 단순히 기계, 전기적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마사지보다 피로한 근육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갑작스런 충격이나 진동 또는 적외선에 의한 피부의 가열이 아니라, 인체의 75% 정도를 이루고 있는 구성성분인 물 속에서 먼저 피부의 긴장과 피로를 완화시켜 놓은 상태에서 펌프의 가동으로 물의 순환에 따른 제트 기포의 자극에 의하여 피부를 마사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이 월풀욕조(Whirlpool bath)는 욕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욕조 내부로 고압의 물과 기포를 분사시켜 이용자의 전신을 진동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물리적인 마사지 효과와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거나 기포가 피부표면에서 터지면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욕조이다.
즉, 월풀욕조는 욕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고압으로 분사시키고 동시에 에어 공급 및 기포를 발생시켜 수압안마를 얻도록 함으로써, 수압과 기포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입욕자의 전신을 물리적으로 마사지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주도록 하는 효과와, 수류와 기포가 피부의 표면뿐 만 아니라 모공까지 침투하여 땀샘과 피지선에 축적된 노폐물을 제거하여 세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 것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일예의 월풀욕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20)의 내벽면에는 욕조(20)에 담수된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50)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흡입구(50)는 흡입배관(52)을 통해 펌프(6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펌프(60)는 다시 욕조(20)의 내벽면에 형성된 분사구(70)들과 연결배관(7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참고로, 욕조(20)의 상부 일측에는 샤워기(22) 및 수전(24), 샤워기 및 수전의 전환밸브(26), 냉온수 조절밸브(28), 전원스위치(30) 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월풀욕조(10) 마다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월풀욕조(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욕조(20) 상부 일측에 설치된 샤워기(22) 및 수전(24)을 통해 욕조(20) 내부에 담수한다. 이때 샤워기 및 수전의 전환밸브(26)를 조절하여 샤워기(22) 또는 수전(24)을 통해 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냉온수 조절밸브(28)를 조절하여 담수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욕조(20) 내부에 담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욕자가 입욕한 후 마사지 기능을 즉 월풀 기능을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원스위치(30)를 조작한다.
전원스위치(30)의 조작에 따라 펌프(60)가 기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욕조(20) 내부에 담수된 물은 흡입구(50)를 통해 흡입배관(52)을 따라 펌프(60) 쪽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펌프(60) 쪽으로 빨려 들어간 물은 다시 여러 갈래로 분기되는 연결배관(70)을 통해 각 분사구(72)들로 이송되고, 각 분사구(72)들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됨으로써, 입욕자의 신체를 마사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펌프(60)는 외기를 흡입하여 물과 함께 연결배관(70)을 통해 분사구(72)들로 공급함으로써, 분사구(72)를 통해 물과 함께 기포가 분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월풀욕조(10)의 경우, 욕조(20)를 다 사용하고 난 후에 욕조(20)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을 모두 배수시키게 되는데, 이때 펌프(60)와 연결되는 흡입배관(52)과 연결배관(72)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U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흡입배관(52) 및 연결배관(72)과 펌프(60) 내부에 일부의 물이 배수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펌프(60)와 흡입배관(52) 및 연결배관(72)에 남은 잔수에는 인체의 각질 등 노폐물이 포함되어 있는바, 이러한 잔수가 오랜 시간 방치될 경우, 잔수 속에 각종 세균 등이 번식하여 욕조 재사용시 인체에 유해함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악취 발생으로 사용에 따른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각종 부품들이 부식 되도록 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인체로부터 벗겨진 각질 등의 노폐물이 잔수와 함께 펌프(60)와 흡입배관(52) 및 연결배관(72)에 남아서 펌프(60)와 흡입배관(52) 및 연결배관(72(의 막힘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욕조 내부의 담수를 모두 배수시킨 후에 펌프와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에 남아 있을지 모르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한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펌프와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의 잔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욕조의 재사용시 항상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이면서도 피부 마사지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는, 샤워기 또는 수전을 통해 급수되는 상수가 담수되는 욕조 본체와;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흡입배관으로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욕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그 조작에 따라 상기 수전을 개방시키고 펌프를 기동시키는 잔수제거 스위치와; 상기 수전과 펌프 사이에 연결되는 잔수제거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잔수제거 스위치의 조작시 수전의 개방과 펌프의 기동이 설정 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방법은, (a) 욕조 내부에 담수된 물을 배수시키는 단계; (b) 상기 잔수제거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 (c) 상기 잔수제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수전이 개방되고 펌프가 기동하는 단계; (d) 상기 수전의 개방과 펌프의 기동에 따라 수전을 통해 상수가 잔수제거 배관을 통해 펌프로 공급되는 단계 및; (e) 상기 펌프로 공급된 상수는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을 통과하여 흡입구 및 분사구를 통해 욕조 내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잔수제거 스위치의 조작시 설정시간 동안 수전이 개방되고 펌프가 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는, 샤워기 또는 수전을 통해 급수되는 상수가 담수되는 욕조 본체와,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흡입배관으로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월풀욕조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흡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펌프와 흡입구를 연결하는 흡입배관이 펌프와 연결되는 부위를 기점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펌프가 분사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펌프와 분사구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이 펌프와 연결되는 부위를 기점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구가 복수개일 경우, 상기 펌프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펌프보다 조금 낮은 위치에,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조금 더 낮은 위치에, 마지막 위치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제일 낮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펌프로부터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하향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욕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그 조작에 따라 상기 수전을 개방시키고 펌프를 기동시키는 잔수제거 스위치와; 상기 수전과 펌프 사이에 연결되는 잔수제거 배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욕조 내부의 담수를 모두 배수시킨 후에 펌프와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에 남아 있을지 모르는 잔수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펌프와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의 잔수가 효과적으로 배출됨으로써, 욕조의 재사용시 항상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바, 위생적이면서도 피부 마사지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월풀욕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풀욕조(10)는, 담수가 이루어지는 욕조 본체(20)의 내벽면에 흡입구(50)와 복수의 분사구(70)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50)는 흡입배관(52)에 의해 펌프(60)와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분사구(70)들은 연결배관(72)에 의해 역시 펌프(60)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욕조 본체(20)의 상부 일측에는 샤워기(22)와 수전(24), 샤워기 및 수전의 전환밸브(26), 냉온수 조절밸브(28), 전원스위치(30)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더하여 잔수제거 스위치(10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또 한편으로, 상기 수전(24)과 펌프(60)는 별도의 잔수제거 배관(11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잔수제거 스위치(100)의 조작시 수전(24)의 밸브가 개방되면서 상수가 잔수제거 배관(110)을 통해 펌프(60)로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동시에 펌프(60)가 기동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잔수제거 스위치(100)의 조작에 따라 수전(24)이 개방되고, 펌프(60)가 기동되는 것은 공지된 전기적인 연결로서 충분히 구현이 가능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작동관계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잔수제거 장치를 갖는 월풀욕조의 사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욕조 본체(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샤워기(22) 및 수전(24)을 통해 욕조 내부에 담수한다. 이때 샤워기 및 수전의 전환밸브(26)를 조절하여 샤워기(22) 또는 수전(24)을 통해 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냉온수 조절밸브(28)를 조절하여 담수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욕조 내부에 담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욕자가 입욕한 후 마사지 기능 즉 월풀 기능을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원스위치(30)를 조작한다.
전원스위치(30)의 조작에 따라 펌프(60)가 기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욕조 내부에 담수된 물은 흡입구(50)를 통해 흡입배관(52)을 따라 펌프(60) 쪽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펌프(60) 쪽으로 빨려 들어간 물은 다시 여러 갈래로 분기되는 연결배관(72)을 통해 각 분사구(70)들로 이송되고, 각 분사구(70)들을 통해 고압으로 분출됨으로써, 입욕자의 신체를 마사지할 수 있게 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전원스위치(30)를 오프시키게 되면, 펌프(60)의 기동이 멈추면서 더 이상 흡입구(50)를 통해 욕조 본체(20) 내의 물이 흡입배관(52)을 통해 펌프(60)로 유입되지 않고, 더불어 펌프(60) 및 연결배관(72)과 분사구(70)를 통해 다시 욕조 본체(20)내로 물이 분사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욕조 본체(20) 내부에 담수된 물을 배수시키게 되면, 흡입배 관(52)과 펌프(60) 및 연결배관(72)에는 인체의 각질 등의 노폐물이 포함된 잔수가 존재하게 되는바, 욕조 본체(20) 내부에 담수된 물을 완전히 배수시킨 상태에서 잔수제거 스위치(100)를 조작함으로써, 흡입배관(52)과 펌프(60) 및 연결배관(72)에 남은 잔수를 완전히 배수시키면 되는데, 이의 작동관계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욕조 본체(20) 내부에 담수된 물이 완전히 배수되면 입욕자는 잔수제거 스위치(100)를 조작한다. 이에 따라 수전(24) 내부의 밸브가 개방되고, 동시에 펌프(60)가 기동되면서 상수가 잔수제거 배관(110)을 통해 펌프(60)로 유입됨과 동시에 펌프(60)로 유입된 상수는 다시 흡입배관(52) 및 연결배관(72)을 통해 각각 흡입구(50) 및 분사구(70)를 통해 욕조 본체(20)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흡입배관(52)과 펌프(60) 및 연결배관(72)에 남아 있던 잔수 즉, 인체의 각질 등 노폐물이 포함된 잔수는 흡입구(50) 및 분사구(70)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일정 시간(2~3초) 정도 경과 후, 잔수제거 스위치(100)의 조작을 정지시키게 되면, 흡입배관(52)과 펌프(60) 및 연결배관(72)에는 깨끗한 상수가 잔존하게 되는바, 차후에 월풀욕조(10)를 재사용하더라도 오염된 물이 아닌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잔수제거 스위치(100)의 조작시 수전(24)이 개방되고 펌프(60)가 기동됨에 따라 수전(24)과 펌프(60)를 연결하는 잔수제거 배관(110)을 통해 물이 펌프로 공급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잔수제거 스위치(100)를 한 번 조작한 후에 설정 시간(예컨대 2~3초)이 경과 하면 자동으로 수전(24)이 폐쇄되고 펌프(60)의 기동이 멈추도록 하는 타이머(미도시됨)가 더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 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잔수제거 장치를 갖는 월풀욕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5에서 펌프와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제 1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잔수제거 장치가 구비된 월풀욕조(10) 또한 담수가 이루어지는 욕조 본체(20)의 내벽면에 흡입구(500)와 복수의 분사구(700)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500)는 흡입배관(520)에 의해 펌프(600)와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분사구(700)들은 연결배관(720)에 의해 역시 펌프(60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펌프(600)가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구(500)는 상기 펌프(60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600)와 흡입구(500)를 연결하는 흡입배관(520)은 펌프(600)와 연결된 부위로부터 하향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펌프(600)와 연결배관(720)으로 연결되는 분사구(700)들은 펌 프(600)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분사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분사구가 점차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분사구(7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라고 가정할 경우, 펌프(600)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펌프(600)보다 조금 낮은 위치에,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조금 더 낮은 위치에, 마지막 위치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제일 낮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펌프(600)로부터 연결되는 연결배관(720) 또한 하향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펌프(600)와 흡입배관(520) 및 연결배관(720)이 설치된 상태에서, 욕조 내에 담수된 물을 완전히 배수시키게 되면, 펌프(600)와 흡입배관(520) 및 연결배관(720)에 남아 있는 잔수는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로 각각 흡입구(500) 및 분사구(700)를 통해 욕조 내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펌프(600)와 흡입배관(520) 및 연결배관(720)에는 잔수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제 3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잔수제거 장치를 갖는 월풀욕조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월풀욕조(10)는, 앞선 제 2실시 예에 따른 월풀욕조 구성에 제 1실시 예에 따른 구성 즉, 잔수제거 스위치(100)와, 수전(24)과 펌프(60)를 연결하는 잔수제거 배관(11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각각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앞선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일 예의 월풀욕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펌프와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월풀욕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월풀욕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펌프와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월풀욕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월풀욕조 20 : 욕조 본체
24 : 수전 50, 500 : 흡입구
52, 520 : 흡입배관 60 : 펌프
70, 700 : 분사구 72, 720 : 연결배관
100 : 잔수제거 스위치 110 : 잔수제거 배관

Claims (7)

  1. 샤워기 또는 수전을 통해 급수되는 상수가 담수되는 욕조 본체와;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흡입배관으로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욕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그 조작에 따라 상기 수전을 개방시키고 펌프를 기동시키는 잔수제거 스위치와;
    상기 수전과 펌프 사이에 연결되는 잔수제거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제거 스위치의 조작시 수전의 개방과 펌프의 기동이 설정 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월풀욕조 잔수제거 장치의 잔수제거 방법 에 있어서,
    (a) 욕조 내부에 담수된 물을 배수시키는 단계;
    (b) 상기 잔수제거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
    (c) 상기 잔수제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수전이 개방되고 펌프가 기동하는 단계;
    (d) 상기 수전의 개방과 펌프의 기동에 따라 수전을 통해 상수가 잔수제거 배관을 통해 펌프로 공급되는 단계 및;
    (e) 상기 펌프로 공급된 상수는 흡입배관 및 연결배관을 통과하여 흡입구 및 분사구를 통해 욕조 내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잔수제거 스위치의 조작시 설정시간 동안 수전이 개방되고 펌프가 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방법.
  5. 샤워기 또는 수전을 통해 급수되는 상수가 담수되는 욕조 본체와,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흡입배관으로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욕조 본체의 내벽면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월풀욕조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흡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펌프와 흡입구를 연결하는 흡입배관이 펌프와 연결되는 부위를 기점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펌프가 분사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펌프와 분사구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이 펌프와 연결되는 부위를 기점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가 복수개일 경우,
    상기 펌프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펌프보다 조금 낮은 위치에,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조금 더 낮은 위치에, 마지막 위치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제일 낮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펌프로부터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하향경사진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욕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그 조작에 따라 상기 수전을 개방시키고 펌프를 기동시키는 잔수제거 스위치와;
    상기 수전과 펌프 사이에 연결되는 잔수제거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KR1020090121998A 2009-12-09 2009-12-09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10065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998A KR20110065131A (ko) 2009-12-09 2009-12-09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998A KR20110065131A (ko) 2009-12-09 2009-12-09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31A true KR20110065131A (ko) 2011-06-15

Family

ID=4439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998A KR20110065131A (ko) 2009-12-09 2009-12-09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51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26Y1 (ko) * 2018-09-05 2019-08-16 권종욱 월풀욕조 자동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26Y1 (ko) * 2018-09-05 2019-08-16 권종욱 월풀욕조 자동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811B2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US8720867B2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US8579266B2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KR100905915B1 (ko) 욕조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US20100176221A1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WO2006065832A2 (en) Feminine hydro-therapeutic massage device
CN110603022B (zh) 健康促进装置
US8992450B1 (en) Feminine hydro-therapeutic massage device
KR20110099978A (ko) 월풀 욕조의 살균장치
KR20110065131A (ko) 월풀욕조의 잔수제거 장치 및 방법
KR20090065016A (ko) 초미세기포 발생기능을 가지는 욕조
JP2008023304A (ja) 簡易シャワー装置
KR200449701Y1 (ko) 월풀욕조의 잔물 제거장치
CN107041702A (zh) 一种自动洗澡装置
KR20090000774U (ko) 월풀 욕조의 잔물 자동제거장치
CN2096383U (zh) 多功能保健洗澡机
KR200434880Y1 (ko) 얼굴 마사지기
KR200406633Y1 (ko) 족욕기용 가열관
KR100714236B1 (ko) 테라피 요법을 위한 욕조
KR100453839B1 (ko) 수중식 물안마 구조를 갖는 건강탕
KR20090094413A (ko)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나노 버블 혼합장치
KR20120008601A (ko) 직수 사용이 가능한 월풀시스템
KR20090008625A (ko) 월풀욕조
TW201836577A (zh) 負壓氧療機
JPH04166152A (ja) 吸引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