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001B1 -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001B1
KR101444001B1 KR1020130000580A KR20130000580A KR101444001B1 KR 101444001 B1 KR101444001 B1 KR 101444001B1 KR 1020130000580 A KR1020130000580 A KR 1020130000580A KR 20130000580 A KR20130000580 A KR 20130000580A KR 101444001 B1 KR101444001 B1 KR 101444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material
weight
mixed
extrac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954A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박성수 filed Critical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0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주도 특산 해조류의 추출물과 한방약재를 첨가한 한방 탁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모자반 또는 톳의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여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숙취원인 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오가피 또는 조릿대를 첨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해조류의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해조류 한방 막걸리의 항산화성 및 기타 기능적 특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해조류 및 제주도산 한약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아세트알데히드의 함량이 감소되어 숙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Raw Rice Wine}
본 발명은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주도 특산 해조류의 분획추출물과 한방약재를 첨가한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탁주는 한국의 전통주로 빛깔이 뜬물처럼 희고 탁하며 알코올 함량 7도 내외의 술이다. 제조방법은 주로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을 찐 다음 누룩과 물을 섞고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킨 것을 청주를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 짜낸다. 탁주는 오랫동안 즐겨온 술이지만 술을 마신 후 두통과 메스꺼움 등의 숙취가 다른 술에 비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탁주의 풍미를 다양화하고 숙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재료를 첨가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우선, 특허등록번호 제10-1038322호 "유기농 감귤탁주의 제조방법"에서는 소맥분 원료에 중량 대비 물을 25~35 % 혼합하여 탱크에 넣고 상온에서 50분 내지 2시간 방치시키는 살수혼합 단계와; 상기 살수혼합된 원료를 120~150℃의 온도에서 5시간 내지 8시간 뜸을 들이는 증자 단계와; 상기 증자 단계를 거친 원료를 0.5~1.5cm체를 통과시켜 고체 덩어리를 사별하는 단계와; 상기 사별된 원료를 냉각대에 안치시켜 광목 보자기로 감싸 40℃까지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와; 상기 냉각된 탁주 원료의 중량대비 0.23%의 종국을 투입하여 광목 보자기로 감싸 온도가 30~35℃를 유지하도록 12~14시간 동안 파종하는 파종 및 보쌈단계와; 상기 파종 및 보쌈 단계를 거친 탁주 원료를 1~3kg 단위로 입국 상자에 쌓고 40~42℃의 품온을 유지하는 입상 및 갈아쌓기 단계와; 상기 파종 및 보쌈 단계의 개시 후 40시간이 경과하면 입국실로부터 탁주 원료를 출국하는 출국 단계와; 상기 출국 단계를 거친 탁주 원료 대원료 중량대비 140 중량%의 물을 혼합하여 28℃에서 3일간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주모제조 단계와; 상기 제조된 주모에 대원료 중량대비 450~500 중량%의 입국과 600~700 중량%의 물을 혼합하여 23℃에서 24시간 담금하는 1단 담금 단계와 상기 1단 담금 단계가 종료된 탁주 원료를 교반기에 넣고 대원료 중량대비 1200~1300 중량%의 백미분과, 35 중량%의 곡자와, 0.15 중량%의 정제효소제를 첨가한 후, 대원료 중량대비 1900 중량%의 물을 더 혼합하고 30℃에서 100RPM의 속도로 이틀간 교반하는 2단 담금 단계와; 상기 2단 담금 단계를 거친 탁주 원료를 이틀간 방치시킨 후 대원료 중량대비 6800 중량%의 물과 45~55 중량%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갈아서 만든 유기농 감귤즙과 4.5~5.5 중량%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갈아서 만든 유기농 감귤미숙과 과즙과 0.7~0.5 중량%의 아스파탐을 넣고 고르게 혼합하는 제성 단계와; 상기 제성된 원료를 살균탱크에 투입하여 62℃에서 2분간 열처리하는 살균 단계가 순차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농 감귤탁주의 제조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0669233호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탁주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증자된 쌀에 종국을 혼합하여 제조된 입국에 가시오가피 추출액 또는 건조된 잎과 줄기 중 어느 하나를 넣고 효모 및 누룩 등을 순차로 넣어 발효시켜 탁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특허출원번호 제1997-0006475호 "막걸리와 그 혼합주 제조용 첨가제, 그 제조방법 및 막걸리 혼합주의 제조방법"에서는 막걸리 및 그보다 알콜도수가 높은 주정이나 주류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막걸리와 그 혼합주 제조용 첨가제, 그 제조방법 및 막걸리 혼합주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천연첨가제는 감초, 마늘 및 생강을 30~75:10~50:10~3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말로 제조되며, 막걸리자체, 또는 혼합주내의 막걸리의 발효를 억제하여 혼합주의 보존기간을 증대시키고 독특한 맛을 내는 효과를 제시한 바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586801호 "산마를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에서는 산마를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a) 멥쌀을 수세·침지하여 물빼기 한 다음 증자하고, 멥쌀과 산마의 합에 대하여 5∼20중량%의 산마를 수세하여 증자한 다음 파쇄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전처리한 멥쌀에 백국균을 접종·배양하여 35∼45℃에서 43∼45시간 동안 제국하여, 멥쌀입국을 제조하는 단계;(c) 상기 제조된 멥쌀입국에 효모와 물을 첨가하고, 24∼26℃에서 교반하면서 2∼4일간 효모를 배양하여,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제조된 밑술에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멥쌀입국과 물을 첨가하고, 27∼29℃에서 교반하면서 3∼5일간 효모를 확대 배양하여, 1단 담금의 술덧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제조된 1단 담금의 술덧에 상기 (a) 단계에서 전처리한 멥쌀과 산마 및 물을 첨가하고, 27∼29℃에서 교반하면서 4∼6일간 발효시켜, 2단 담금의 숙성술덧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조된 2단 담금의 숙성술덧에 물을 첨가하고 여과하여, 탁주를 제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마를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산마를 이용하여 탁주를 제조할 경우, 탁주의 혼탁성과 음용 촉감을 유지하고, 산마가 가지고 있는 약용 성분을 함께 음용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의 탁주보다 살구 과일향이 나는 i-Amylalcohol을 비롯한 퓨젤유 향기성분이 많이 생성된다고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특정 기능을 하는 물질을 추출하여 탁주에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추출액이나 재료를 첨가해 발효시켜 탁주를 만드는데 그쳤으므로 숙취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향과 맛을 첨가하는데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재료가 갖고 있는 효능을 해당 재료가 함유된 탁주의 효능으로 광고할 뿐 실제적으로 그 효능이 입증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을 토대로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자반 및 톳을 용매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메탄올 엑기스를 첨가한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가피 또는 조릿대를 첨가함으로써 숙취원인 물질을 감소시키는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모자반 및 톳을 용매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메탄올 엑기스를 첨가한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숙취원인 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오가피 또는 조릿대를 첨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멥쌀 40~60중량%와 찹쌀40~6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된 혼합곡물을 만드는 곡물 혼합단계; 상기 곡물 혼합단계를 통해 혼합곡물을 물에 불리는 혼합곡물 침지단계; 상기 혼합곡물 침지단계를 통해 물에 불린 혼합곡물에서 물을 뺀 후 90~110℃의 고압 증기솥에서 30분~1시간30분 동안 삶는 혼합곡물 증자단계; 상기 혼합곡물 증자단계를 통해 삶아진 혼합곡물을 20~40℃로 식히는 혼합곡물 냉각단계; 상기 혼합곡물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혼합곡물에 상온의 물 40~70중량%와, 누룩 6~23중량%, 및 건조효모 24~48중량%를 첨가하여 1차 발효물질을 형성하는 1차 발효물질 형성단계; 상기 1차 발효물질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1차 발효물질 1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9.0~9.9중량부를 첨가하여 2차 발효물질을 조성하는 2차 발효물질 조성단계; 상기 2차 발효물질 조성단계를 통해 조성된 2차 발효물질에 모자반 및 톳의 추출물을, 2차 발효물질 1중량부에 대하여 0.1~0.125중량부로 첨가하여 3차 발효물질을 형성하는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 및 상기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3차 발효물질을 23~27℃에서 10일간 발효시켜 탁주를 제조하는 발효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는 상기 모자반 및 톳을 용매추출법에 의해 추출물을 형성하며; 상기 모자반의 추출물은, 건조된 모자반 1.8kg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80~90℃의 메탄올에서 3시간씩 5회 추출한 것이고; 상기 톳의 추출물은, 톳 3Kg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80~90℃의 메탄올에서 3시간씩 5회 추출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혼합곡물을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획추출법과 효소적 가수분해 방법과의 융합을 통한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해조류 한방 막걸리의 항산화성 및 기타 기능적 특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조류 및 제주도산 한약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아세트알데히드의 함량이 감소되어 숙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조류 한방 탁주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해조류 한방 탁주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해조류 한방 탁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알아보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멥쌀 40~60중량%와 찹쌀40~6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된 혼합곡물을 만드는 곡물 혼합단계(S10)와, 상기 곡물 혼합단계(S10)를 통해 형성된 혼합곡물을 물에 불리는 혼합곡물 침지단계(S20)와, 상기 혼합곡물 침지단계(S20)를 통해 물에 불린 혼합곡물에서 물을 뺀 후 90~110℃의 고압 증기솥에서 30분~1시간30분 동안 삶는 혼합곡물 증자단계(S30)와, 상기 혼합곡물 증자단계(S30)를 통해 삶아진 혼합곡물을 20~40℃로 식히는 혼합곡물 냉각단계(S40)와, 상기 혼합곡물 냉각단계(S40)를 통해 냉각된 혼합곡물에 상온의 물 40~70중량%와, 누룩 6~23중량%, 및 건조효모 24~48중량%를 첨가하여 1차 발효물질을 형성하는 1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50)와, 상기 1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50)를 통해 형성된 1차 발효물질 1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9.0~9.9중량부를 첨가하여 2차 발효물질을 조성하는 2차 발효물질 조성단계(S60)와, 상기 2차 발효물질 조성단계(S60)를 통해 조성된 2차 발효물질에 모자반 및 톳의 분획추출물 또는 효소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2차 발효물질 1중량부에 대하여 0.1~0.125중량부로 첨가하여 3차 발효물질을 형성하는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70), 및 상기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70)를 통해 형성된 3차 발효물질을 23~27℃에서 10일간 발효시켜 탁주를 제조하는 발효단계(S8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곡물 혼합단계(S10)는, 멥쌀 40~60중량%와 찹쌀 40~6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곡물을 만들며, 이때, 상기 멥쌀과 찹쌀의 중량비는 1:1이 가장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혼합곡물 침지단계(S20)는, 상기 곡물 혼합단계(S10)를 통해 형성된 혼합곡물을 물에 불린다. 이때, 상기 혼합곡물을 세척한 후 물에 12시간 침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곡물 증자단계(S30)는, 상기 혼합곡물 침지단계(S20)를 통해 물에 불린 혼합곡물을 채반에 올려 자연배수하는 방식으로 물을 뺀 후 고압의 증기솥에 90~110℃로 30분~1시간30분 정도 삶는다. 이때, 상기 혼합곡물을 고압의 증기솥에서 100℃로 1시간 동안 삶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곡물 냉각단계(S40)는, 상기 혼합곡물 증자단계(S30)를 통해 증자된 혼합곡물을 자연방치로 20~40℃로 식히도록 냉각한다. 이때, 상기 혼합곡물의 냉각온도는, 30℃가 될 때까지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50)는, 상기 혼합곡물 냉각단계(S40)를 통해 냉각된 혼합곡물과, 상온의 물 40~70중량%와, 누룩 6~23중량%, 및 건조효모 24~48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1차 발효물질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온의 물 60중량%에 누록 8중량% 및 건조효모 32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발효물질 조성단계(S60)는, 상기 1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50)를 통해 형성된 1차 발효물질의 1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를 9.0~9.9중량부로 첨가하여 2차 발효물질을 조성한다. 이때, 상기 1차 발효물질의 1중량부에 대해 증류수 9.8중량부로 조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70)는 상기 2차 발효물질 조성단계(S70)를 통해 조성된 2차 발효물질에 모자반 또는 톳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상기 2차 발효물질 1중량부에 대하여 0.1~0.125중량부로 첨가하여 3차 발효물질을 형성한다. 이때 2차 발효물질 1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단계(S80)는, 상기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70)를 통해 형성된 3차 발효물질을 23~27℃에서 10일간 발효하여 탁주를 완성한다. 이때, 3차 발효물질을 25℃에서 발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70)에서는, 가시오가피 잎과 줄기 또는 조릿대를 더 첨가한다.
다음은 모자반과 톳의 추출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모자반과 톳의 추출물을 추출은 용매추출법을 사용한다. 상기 모자반 추출물은, 건조된 모자반 1.8kg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80~90℃의 MeOH(메탄올)에서 3시간씩 5회 추출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톳 추출물은, 톳 3kg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8O~90℃의 MeOH에서 3시간씩 5회 추출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주도산 한방재 첨가구를 분석한 과정과 결과를 나타낸다.
우선 고두밥+해조류추출액 첨가구로 발효된 약주를 발효개시 후 6일이 경과한 시점에 제주도산 섬오가피(Acanthopanax koreanum, 탐라오가피)의 줄기와 잎 100g에 1.5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혼합 열수추출액(100℃, 2hr) 및 같은 비율로 추출한 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ai) 열수 추출액(100℃, 2hr)을 30%(V/V)씩 첨가한 후 6일간 발효를 더 행한 후의 알콜도수 및 pH 그리고 총산도를 측정한 결과는 (표 1)와 같다. 우선 알콜함량에 있어 섬오가피를 첨가할 경우 알콜도수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알콜이 분해된 것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오가피 추출액이 추가됨으로서 총 부피가 증가함에 따른 감소라 판단되어 진다. 또한, 조릿대에 비하여 알콜 발효가 활발하게 일어나지 않아 알콜 함량이 증가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에 비하여 조릿대는 오가피의 줄기와 잎 추출액에 비하여 알콜발효를 저해하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pH에 있어서는 조릿대 추출액 첨가 발효주가 가장 pH가 낮았으며, 총산도에 있어서도 조릿대 추출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타 시료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해조류 발효주에 제주도산 한방재 첨가 후 특성분석 1) Mean±SD (n=3).

실험구

에탄올함량 (%)

pH

총산도 (%)

S (해조류 비첨가 탁주)

11.1±0.151)

3.59±0.35

0.26±0.33

해조류 탁주
(분획추출물 첨가탁주)

10.8±0.23

.02±0.21

0.25±0.19


해조류 탁주+섬오가피 줄기+잎 추출액

10.6±0.16

3.6±0.22

0.32±0.25

해조류 탁주+조릿대 추출액

11.4±0.17

3.55±0.16

0.39±0.24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분석이다.
앞서 실험에서 분획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 첨가 탁주 및 한방재 첨가 탁주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분석 결과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나 있다. 도 2는 고두밥을 사용하였을 때 해조류 한방 발효주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비교 그래프이고, 도 3은 쌀가루를 이용하였을 때의 해조류 한방 발효주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비교 그래프이다.
도 2와 도 3에 표시된 시료명은 다음과 같다.(모든 실험치는 Mean±standard (n=3))
SM-1 ~ 5: 표 2의 실험 시료군 구성표 참조
SM-1-O:SM-1+오가피
SM-1-J:SM-1+조릿대
SM-4-O:SM-4+오가피
SM-4-J:SM-4+조릿대

시 료

내 역

분 류

M

시판탁주(제주지역)


비교시료

S

해조류 비첨가 제조 탁주

SM-1

모자반 분획 CH2Cl2




분획추출시료

SM-2

모자반 hexane 분획

SM-3

톳 EtOAC 분획

SM-4

모자반 효소 Mix 가수분해산물


효소 가수분해 산물

SM-5

톳 효소 Mix 가수분해산물
고두밥사용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이 높게 보이는 SM-1 ~ SM-5의 아세트알데히드 평균함량은 108.67ppm 으로 이는 탁주(M, S)의 아세트알데히드 평균함량 115.71ppm 보다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쌀가루 사용구의 경우도 108.67ppm으로 탁주의 평균?량 114.85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분획추출물과 효소 가수분해산물 첨가 탁주에 오가피와 조릿대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 아세트알데히드함량은 눈에 띄게 감소하여 평균 20%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감소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해조류 및 제주도산 한약 재료를 첨가한 경우 아세트알데히드의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해조류한방약주의 일반 발효주에 비해 기능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모자반과 톳과 같은 제주도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해조류 한방 막걸리의 항산화성 및 기타 기능적 특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제주도산 한약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아세트알데히드의 함량이 감소되어 숙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S10 : 곡물혼합단계
S20 : 침지단계
S30 : 증자단계
S40 : 냉각단계
S50 : 발효물질혼합단계
S60 : 쌀원료액조성단계
S70 : 첨가단계
S80 : 발효단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에 있어서,
    멥쌀 40~60중량%와 찹쌀40~6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된 혼합곡물을 만드는 곡물 혼합단계(S10);
    상기 곡물 혼합단계(S10)를 통해 혼합곡물을 물에 불리는 혼합곡물 침지단계(S20);
    상기 혼합곡물 침지단계(S20)를 통해 물에 불린 혼합곡물에서 물을 뺀 후 90~110℃의 고압 증기솥에서 30분~1시간30분 동안 삶는 혼합곡물 증자단계(S30);
    상기 혼합곡물 증자단계(S30)를 통해 삶아진 혼합곡물을 20~40℃로 식히는 혼합곡물 냉각단계(S40);
    상기 혼합곡물 냉각단계(S40)를 통해 냉각된 혼합곡물에 상온의 물 40~70중량%와, 누룩 6~23중량%, 및 건조효모 24~48중량%를 첨가하여 1차 발효물질을 형성하는 1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50);
    상기 1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50)를 통해 형성된 1차 발효물질 1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9.0~9.9중량부를 첨가하여 2차 발효물질을 조성하는 2차 발효물질 조성단계(S60);
    상기 2차 발효물질 조성단계(S60)를 통해 조성된 2차 발효물질에 모자반 및 톳의 추출물을, 2차 발효물질 1중량부에 대하여 0.1~0.125중량부로 첨가하여 3차 발효물질을 형성하는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70); 및
    상기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70)를 통해 형성된 3차 발효물질을 23~27℃에서 10일간 발효시켜 탁주를 제조하는 발효단계(S80)로 이루어지고;
    상기 3차 발효물질 형성단계(S70)는 상기 모자반 및 톳을 용매추출법에 의해 추출물을 형성하며;
    상기 모자반의 추출물은, 건조된 모자반 1.8kg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80~90℃의 메탄올에서 3시간씩 5회 추출한 것이고;
    상기 톳의 추출물은, 톳 3Kg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80~90℃의 메탄올에서 3시간씩 5회 추출한 것;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30000580A 2013-01-03 2013-01-03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 KR10144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580A KR101444001B1 (ko) 2013-01-03 2013-01-03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580A KR101444001B1 (ko) 2013-01-03 2013-01-03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954A KR20140092954A (ko) 2014-07-25
KR101444001B1 true KR101444001B1 (ko) 2014-09-29

Family

ID=5173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580A KR101444001B1 (ko) 2013-01-03 2013-01-03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3603B (zh) * 2014-10-20 2017-01-18 临沂大学 一种牛蒡盐藻酒及其制作工艺
CN104388260A (zh) * 2014-11-12 2015-03-04 江苏品王酒业集团股份有限公司 五谷杂粮养生酒及其生产工艺
KR102630630B1 (ko) * 2023-08-07 2024-01-29 농업회사법인기장발효주식회사 미역 탁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765A (ko) * 2003-03-13 2004-09-20 강달순 약주의 제조방법
KR20040092302A (ko) * 2003-04-26 2004-11-03 윤광식 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건강보조식품
KR20120132208A (ko) * 2011-05-27 2012-12-05 (주) 해뜰날 버섯균사체쌀과 해조류를 이용한 발효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765A (ko) * 2003-03-13 2004-09-20 강달순 약주의 제조방법
KR20040092302A (ko) * 2003-04-26 2004-11-03 윤광식 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건강보조식품
KR20120132208A (ko) * 2011-05-27 2012-12-05 (주) 해뜰날 버섯균사체쌀과 해조류를 이용한 발효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954A (ko) 201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05403B (zh) 一种荔枝营养酒及其酿造方法
KR101620095B1 (ko) 흑울금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흑울금의 추출액과 분말
CN105087347A (zh) 一种黄秋葵养生醋的制备方法
CN105410850A (zh) 一种梨竹叶保健料酒及其制作方法
CN112430515A (zh) 一种低糖低醇桑果酒的生产方法
KR101444001B1 (ko) 해조류 한방 탁주 제조방법
CN105533068B (zh) 一种辣木固体发酵茶的加工方法
CN103275858A (zh) 一种柑橘白兰地的酿制方法
KR101750191B1 (ko) 양파, 도라지, 연잎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돼지사육용 음용수 제조방법
KR101837937B1 (ko) 황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간장과 된장의 제조 방법
KR101733549B1 (ko) 와송 당류 추출액을 발효하여 제조한 와송 와인 또는 식초
KR100988378B1 (ko) 산돌배 증류주 제조 방법
KR101617431B1 (ko) 누룩을 이용한 당화액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당화액 추출물
KR20180115650A (ko) 갈근과 쑥과 호프구과 즙으로 빚는 전통호프막걸리
CN105176743A (zh) 一种果蔬混合型营养白酒制备方法
KR20200062769A (ko) 맛과 향이 향상된 소곡화주의 제조방법
KR20150117025A (ko) 비타민 나무 식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타민 나무 식혜
KR20190111592A (ko) 호장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새로운 제조방법
CN112812919A (zh) 一种干桑葚白兰地及其制备方法
JP2006129821A (ja) ハマナス成分含有酒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2843B1 (ko) 노근 첨가 참다래주의 제조방법
CN106085748A (zh) 一种柿子酒的酿造方法
CN112143600A (zh) 一种草本莲花酒及其酿造方法
KR20150111196A (ko) 천년초 줄기 추출물로 만든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천년초 막걸리와 그 제조방법
KR100925892B1 (ko) 보리수 발효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