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944B1 - 터치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944B1
KR101443944B1 KR1020097025763A KR20097025763A KR101443944B1 KR 101443944 B1 KR101443944 B1 KR 101443944B1 KR 1020097025763 A KR1020097025763 A KR 1020097025763A KR 20097025763 A KR20097025763 A KR 20097025763A KR 101443944 B1 KR101443944 B1 KR 10144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levers
lever
movement
connecting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749A (ko
Inventor
디이터 나우
클라우스-베르너 벤더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1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 작동 표면(9)을 구비하며 상승된 휴지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티핑(tipping)되지 않고(기울어짐 없이) 안내되도록 안내 매커니즘에 의해서 이동 방향(12)으로 이동할 수 있는 터치 패드(8)를 구비하는 터치 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버 매커니즘은 서로 대향되게 놓이는 터치 패드(8)의 최소한 2개의 측부 영역에 배치되며, 레버 매커니즘은 그들 자신의 축을 따라서 대략 서로를 향해서 연장되는 2개의 레버(11)로 구성되며, 레버는 그들의 길이 중심에서 터치 패드(8)의 이동 방향(12)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13)을 구비하는 고정된 조인트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레버(11)는 터치 패드(8)에 의해서 또는 터치 패드(8)를 지지하는 터치 패드 지지부(7)에 의해서 터치 패드(8)의 이동 방향(12)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 쪽을 향하는 레버 단부에 작용될 수 있고, 가요성 연결부를 통해서 그들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Figure R1020097025763
감지 작동 표면, 터치 패드, 터치 패드 지지부, 레버 매커니즘, 시저 매커니즘

Description

터치패드 장치{TOUCHPAD ARRANGEMENT}
본 발명은, 감지 작동 표면(sensitive operating surface)을 구비하며 안내 매커니즘(guide mechanism)에 의해서 티핑(tipping)되지 않고(기울어짐 없이) 안내되면서 상승된 휴지 위치(raised rest position)와 하강된 위치(lower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터치 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터치 패드 장치는, 감지 작동 표면이 사용자에 의한 작동 중에 약 0.5 내지 1 mm 만큼 하강해야 하며, 감지 작동 표면은 이러한 과정 동안에 작동 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수직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의도된다. 그러나 광역 터치 패드(large-area touch pad)의 경우에는, 터치 패드의 에지 영역에서의 작동의 경우 큰 틸팅 모멘트(tilting moment)가 발생하며, 이것은 터치 패드의 틸팅(tilting)으로 이어진다.
이것을 피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은 터치 패드를 시저 매커니즘(scissor mechanism)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터치 패드가 에지 영역에서 작동할 때, 시저 매커니즘은 대향 에지 영역이 동시에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여기서, 시저 매커니즘의 링크(link)에 의해서 힘 전달이 발생하며, 힘은 굽힘 응력(bending stress)에 의해서 일 방향으로, 그리고 비틀림 응력(torsional stress) 에 의해서 그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달된다.
만약 시저 매커니즘이 터치 패드 아래에 배치되지 않는다면, 시저 매커니즘의 치수는 터치 패드의 치수 및 크기와 매칭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크기의 터치 패드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터치 패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터치 패드의 최소한 2개의 상호 대향하는 측부 영역에 레버 매커니즘이 배치되고, 레버 매커니즘은 서로에 대해서 대략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레버로 구성되며, 각각의 레버는, 그들의 길이의 중심에서, 터치 패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을 구비한 고정된 조인트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레버는 서로 멀리 떨어진 레버 단부들에서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를 지지하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의해서 터치 패드의 이동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가요성 연결부에 의해서 그들의 상호 인접한 단부들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지금 분류된 레버 매커니즘은, 간단한 구조(simple construction)이며 공간 절약적(space-saving)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이한 크기의 터치 패드를 위해서 동일한 레버 매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버는 항상 굽힘 상태에서 응력을 받기 때문에, 만약 레버가 시트-금속(sheet-metal) 구성 요소들로 설계된다면, 의도적으로 높은 강도가 달성될 수 있다.
고정된 조인트의 간단한 설계는 고정된 조인트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피봇 핀(pivot pin)을 구비하며 여기에 레버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레버는 피봇 홀(pivot hole)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피봇 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작은 수의 구성 요소를 갖는 고정된 조인트의 설계는 고정된 조인트가 탄성 연결 웹(elastic connecting web)이며 탄성 연결 웹의 일 단부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탄성 연결 웹의 타 단부는 레버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2개의 플렉시블하게 상호 연결된, 레버들의 탄성 연결 웹의 이들 단부들은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는 공통의 기초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2개의 레버가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레버의 상호 인접한 단부에서의 가요성 연결부가 제2 탄성 연결 웹이고, 바람직하게는 레버의 상호 인접한 단부가 이동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편위되어 배치되며, 탄성 연결 웹은 대략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계된다면, 마찬가지로 작은 수의 구성 요소를 갖는 설계를 얻게된다.
레버의 상호 인접한 단부의 가요성 연결부의 또 다른 설계는 레버의 상호 인접한 단부 사이의 가요성 연결부가 기어 세그먼트(gear segment)로 형성되며, 기어 세그먼트는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평면 내의 레버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그의 치형부가 서로 치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만약 그들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에서, 레버가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를 지지하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힌지되어 터치 패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그들이 선회될 수 있으면, 터치 패드는 이러한 힌지부를 통해서 레버에 작용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설계는, 레버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가 종 방향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홀(elongate hole)을 구비하며, 그 내부로 이동 방향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의 피봇 핀이 돌출하고, 연장 홀은 피봇 핀과 레버의 단부 사이에서 필요한 상대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작은 수의 구성 요소를 갖는 또 다른 설계는 레버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가 제3 탄성 연결 웹에 의해서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레버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3 탄성 연결 웹의 단부는, 이동 방향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홀(pivot hole)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안으로 이동 방향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의 저널(journal)이 연장된다.
그러나, 레버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3 탄성 연결 웹의 단부가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는 연결 암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터치 패드에 의한 레버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에 작용을 위한 또 다른 가능성은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가 레버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에 지탱되는 것에 있다.
구성 요소의 관점에서 특히 경제적인 레버 매커니즘의 설계는, 그들의 상호 인접한 단부에서 제2 탄성 연결 웹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레버, 및/또는 탄성 연결 웹으로서 구성되는 고정된 조인트 및/또는 기초 부재 및/또는 레버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의 제3 탄성 연결 웹 및/또는 연결 암이 스프링 탄성 재료로 구성된 일 부품(one-piece) 구성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만약 일 부품 구성 요소가 금속성 재료로 구성되는 스탬핑(stamping)이면 일 부품 구성 요소는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일 부품 구성 요소가 플라스틱, 특히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터치 패드는 사각형 주위 윤곽을 갖는다.
여기서, 레버 매커니즘은 터치 패드의 2개의 상호 대향 에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또한 터치 패드의 제3 에지에도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레버 매커니즘이 터치 패드의 각각의 에지에 배치되면 특히 우수한 안내가 달성된다.
만약 레버가 그들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에 의해서 터치 패드 지지부의 주위 측방향 에지에 힌지되면, 터치 패드 장치의 특히 작은 전체 높이가 달성된다.
터치 패드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원에 의해서 투과될 수 있고, 광원은 감지 작동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쪽을 향하는 터치 패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광원을 지니는 회로 기판이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의 감지 작동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쪽에 배치된다.
만약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가, 그것이 휴지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구동 장치, 특히 전기-모터 구동장치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게 구동될 수 있다면, 작동 표면이 터치될 때 터치 패드는 그것의 하강된 위치로 이동된다. 터치 패드가 작동된 후에, 그것은 그의 휴지 위치로 돌아간다.
간단한 구성의 경우에, 구동 장치는 스핀들 드라이브(spindle drive)일 수 있고, 나사부를 구비하는 스핀들 드라이브의 구동 스핀들은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스핀들 너트에 체결되며, 스핀들 너트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연결되는 지지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장치의 어떤 다른 적합한 구성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터치 패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드 장치의 레버 매커니즘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터치 패드 하우징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터치 패드 하우징에 설치된 터치 패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레버 매커니즘의 레버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레버 매커니즘의 레버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레버 매커니즘의 레버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터치 패드 장치는, 중심 홀(2)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1)를 구비하며, 그 홀을 통해 가역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전기-모터 스핀들 드라이브(electric-motor spindle drive)(4)의 나사형 구동 스핀들(3)이 돌출한다. 스핀들 드라이브(4)는 지지부(1)의 아래에 고정되게 배치되며, 따라서 지지부(1) 위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 조립체가 드라이브 스핀들(3)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수개의 광원(미도시)을 지탱하는 회로 기판(5)이 지지 부재(1)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그로부터 가요성 컨덕터(flexible conductor)가 시작된다. 터치 패드 지지부(7)가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회로 기판(5)에 배치되며, 감지 작동 표면(sensitive operating surface)(9)을 구비한 터치 패드(8)가 그 위에 배치된다. 제2 가요성 컨덕터(17)는 터치 패드(8)로부터 시작된다.
터치 패드(8), 터치 패드 지지부(7) 및 회로 기판(5)은 동일한 사각형 주위 윤곽을 가지며, 사각형 지지부(1)는 이러한 윤곽을 넘어서 모든 측면으로 돌출한다.
지지부(1)에 부착되는 홀더(10) 및 같은 길이의 한 쌍의 레버(11)를 포함하는 레버 매커니즘이 지지부(1)의 각각의 세 에지 영역에 배치된다.
2개의 레버(11)는 서로에 대해서 대략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들의 길이 중심에서 홀더(10)에 각각 장착되어, 레버는 터치 패드(8)의 이동 방향(12)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봇(13)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상호 인접하는 단부들의 단부면에서, 레버(11)는 기어 세그먼트들(gear segments)(14)을 구비하며, 그것의 치형부는 서로 치합되며, 그 결과로서 일 레버(11)의 선회 운동이 다른 레버에 전달된다.
레버(11)의 종 방향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홀(15)이 레버(11)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 영역에 형성되며, 터치 패드 지지부(7)의 측부 면들(16) 상에 배치되는 피봇 핀(미도시)이 이러한 홀 내로 돌출한다.
전체 터치 패드 장치는 작동 표면(9)을 자유롭게 하는 윈도우(19)를 구비하는 터치 패드 하우징(18) 내에 배치된다.
작동자에 의한 작동 표면(9)의 터칭 및 정확한 작동이 감지되면, 스핀들 드라이브(4)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것은 회로 기판(5), 터치 패드 지지부(7) 및 터치 패드(8)를 포함하는 조립체(assembly)를 그것의 상승된 휴지 위치로부터 하강된 위치로 약 0.5 mm 만큼 하향으로 구동시킨다.
일단 이러한 작동이 종료되면, 구동 스핀들(4)은 상기 언급된 조립체를 그것의 휴지 위치로 다시 구동시킨다.
터치 패드가 중심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중심에서 떨어져서 작용하는 것에 무관하게, 레버 매커니즘은 항상 틸팅이 발생하지 않고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장한다.
그들의 길이를 따라 중앙으로, 도 5에 도시된 레버(11')는 탄성 연결 웹(20)에 의해서 지지부(1)에 단단하게 배치될 수 있는 공통의 기초 부재(21)에 연결된다.
또한 레버(11')의 상호 인접한 단부는 제2 탄성 연결 웹(2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레버(11')의 상호 인접한 단부는 이동 방향(12)으로 서로에 대하여 편위되어 배치되며, 제2 연결 웹(22)은 대략 이동 방향(12)으로 연장된다.
레버(11')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는 대략 이동 방향(12)으로 연장되는 제3 탄성 연결 웹(23)에 의해서 공통의 연결 암(24)에 연결되며, 이것은 레버(11')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며 터치 패드 지지부(7)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부분 대응된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공통의 기초 부재(21)가 없지만, 대신에 각각의 레버(11'')에는 그 자체의 기초 부재(21')가 할당된다.
또한, 제3 연결 웹(23)은 공통 연결 암(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지 않으나, 피봇 홀(25)를 구비하며, 그 안으로 터치 패드 지지부(7) 상의 스핀들(미도시)이 돌출하며, 상기 스핀들은 이동 방향(12)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레버(11''')는 연결 웹(connecting web)(2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도 2에서와 같이, 레버는 레버가 피봇(13)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홀더(10)에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8)를 지향하는 베어링 스터브(bearing stub)(26)가 그들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에 형성되며, 그 위에 회로 기판(5), 터치 패드 지지부(7) 및 터치 패드(8)를 포함하는 조립체가 자유롭게 유지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Claims (24)

  1. 감지 작동 표면을 구비하며 안내 매커니즘에 의해서 기울어짐 없이 안내되면서 상승된 휴지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터치 패드 장치에 있어서,
    레버 매커니즘이 터치 패드(8)의 최소한 2개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 영역에 배치되고, 레버 매커니즘은 서로에 대해서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레버들(11, 11', 11'', 11''')로 구성되며, 이들 레버들은, 그들의 길이의 중앙에서, 터치 패드(8)의 이동 방향(12)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13)을 구비한 고정된 조인트를 중심으로 레버들이 선회할 수 있게 각각 장착되고, 레버들(11, 11', 11'', 11''')은 서로 멀리 떨어진 레버 단부에서 터치 패드(8)에 의해서 또는 터치 패드(8)를 지지하는 터치 패드 지지부(7)에 의해서 터치 패드(8)의 이동 방향(12)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가요성 연결부에 의해서 그들의 상호 인접한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된 조인트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피봇 핀을 구비하며, 그에 레버(11, 11'')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레버(11, 11'')는 피봇 홀을 구비하며, 피봇 홀에 의해서 레버가 피봇 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된 조인트는 탄성 연결 웹(20)이며, 탄성 연결 웹(20)의 일 단부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탄성 연결 웹(20)의 타 단부는 레버(11', 11'', 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2개의 플렉시블하게 상호 연결되는 레버(11')의 탄성 연결 웹(20)의 단부가,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는 공통의 기부 부재(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레버(11', 11'', 11''')의 상호 인접한 단부의 가요성 연결부는 제2 탄성 연결 웹(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레버(11', 11'', 11''')의 상호 인접한 단부는 이동 방향(12)으로 서로에 대해서 편위되어 배치되며, 제2 탄성 연결 웹(22)은 이동 방향(12)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버(11)의 상호 인접한 단부들 사이의 가요성 연결부는 기어 세그먼트(14)로 형성되고, 기어 세그먼트는 이동 방향(12)에 대응하는 평면에서 레버(11)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되고 그의 치형부는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그들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에서, 레버(11, 11'')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를 지지하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힌지되어, 그들이 터치 패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레버(11)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는 종 방향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홀(15)을 구비하며, 그 내부로 이동 방향(12)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의 피봇 핀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레버(11, 11')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는 제3 탄성 연결 웹(23)에 의해서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레버(11, 11', 11'')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3 탄성 연결 웹(23)의 단부는, 이동 방향(12)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홀을 구비하며, 그 내부로 이동 방향(12)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의 저널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레버(11, 11', 11'')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3 탄성 연결 웹(23)의 단부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는 연결 암(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는 레버(11''')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에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5. 제4항 내지 제7항 및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들의 상호 인접한 단부에서 제2 탄성 연결 웹(2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레버(11, 11', 11'', 11'''), 탄성 연결 웹(20)으로서 구성되는 고정된 조인트, 기초 부재(21), 레버(11', 11'', 11''')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의 제3 탄성 연결 웹(23) 및 연결 암(24) 중 적어도 하나가 스프링 탄성 재료로 구성된 일 부품 구성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일 부품 구성 요소는 금속성 재료로 구성된 스탬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8)는 사각형 주위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레버(11, 11', 11'', 11''')는 그들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에 의해서 터치 패드 지지부(7)의 주위 측방향 에지에 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8)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광원에 의해서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광원은 감지 작동 표면(9)으로부터 이격된 쪽을 향하는 터치 패드(8)의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 지지부(7)가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회로 기판(5)에 배치되며, 감지 작동 표면(9)을 구비한 터치 패드(8)가 상기 터치 패드 지지부(7)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8)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는 구동 장치에 의해서 그것이 휴지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는 스핀들 드라이브(4)이며, 나사부를 구비하는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의 구동 스핀들(3)은 이동 방향(12)으로 연장되고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스핀들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 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드 지지부(7)에 연결되는 지지부(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KR1020097025763A 2007-05-11 2008-04-16 터치패드 장치 KR101443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2085A DE102007022085A1 (de) 2007-05-11 2007-05-11 Touchpadanordnung
DE102007022085.7 2007-05-11
PCT/EP2008/054579 WO2008138700A1 (de) 2007-05-11 2008-04-16 Touchpad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749A KR20100017749A (ko) 2010-02-16
KR101443944B1 true KR101443944B1 (ko) 2014-09-23

Family

ID=3943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763A KR101443944B1 (ko) 2007-05-11 2008-04-16 터치패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81858B2 (ko)
EP (1) EP2054791B1 (ko)
JP (1) JP4852171B2 (ko)
KR (1) KR101443944B1 (ko)
CN (1) CN101681207B (ko)
DE (1) DE102007022085A1 (ko)
WO (1) WO2008138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0772A1 (en) 2009-05-28 2010-12-02 Synaptics Incorporated Depressable touch sensor
US9927886B2 (en) 2010-09-24 2018-03-27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with transmission element actuated switch
US10261550B2 (en) * 2016-09-12 2019-04-16 Quanta Computer Inc. Touchpad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ouchpad
DE102017220780B3 (de) * 2017-11-21 2019-02-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astschalter und Kraftfahrzeug mit einem Tastschalter
DE102019201901B3 (de) * 2019-02-13 2020-04-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CN114610117A (zh) * 2022-03-18 2022-06-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触摸板总成及笔记本电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9145A1 (en) 1989-09-22 1991-03-27 Psion Plc Input device
JP2000200141A (ja) 1999-01-01 2000-07-18 Smk Corp スイッチ付タブレット
US20030076298A1 (en) 2001-03-09 2003-04-24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of using tactile feedback to deliver silent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of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9846B2 (en)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JP2000311052A (ja) * 1999-04-27 2000-11-07 Narubishi Kikai:Kk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1184164A (ja) * 1999-12-24 2001-07-06 Stanley Electric Co Ltd 透明タッチスイッチ
US6822635B2 (en) *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JP4500485B2 (ja) * 2002-08-28 2010-07-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US7499040B2 (en)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TWM259236U (en) * 2004-05-31 2005-03-1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FR2875024B1 (fr) 2004-09-09 2007-06-08 Itt Mfg Enterprises Inc Dalle tactile comportant des moyens pour produire une impulsion mecanique en reponse a une action de commande, et agencement pour le montage de cette dal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9145A1 (en) 1989-09-22 1991-03-27 Psion Plc Input device
JP2000200141A (ja) 1999-01-01 2000-07-18 Smk Corp スイッチ付タブレット
US20030076298A1 (en) 2001-03-09 2003-04-24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of using tactile feedback to deliver silent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of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749A (ko) 2010-02-16
DE102007022085A1 (de) 2008-11-13
US20100300770A1 (en) 2010-12-02
JP4852171B2 (ja) 2012-01-11
EP2054791B1 (de) 2016-12-14
CN101681207B (zh) 2013-05-29
JP2010527082A (ja) 2010-08-05
US8581858B2 (en) 2013-11-12
CN101681207A (zh) 2010-03-24
WO2008138700A1 (de) 2008-11-20
EP2054791A1 (de)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944B1 (ko) 터치패드 장치
ES2833128T3 (es) Dispositivo para el manejo de varias funciones en un vehículo de motor
KR1023534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463667A3 (en) Flexible probe
JP2008251476A5 (ko)
JP7034267B2 (ja) 主保持体と機器保持体とを有する装置
RU2007149519A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содержащее узел колеса прокрутки
JP6474495B2 (ja) 操作装置
KR20130039318A (ko) 광 파이버 커터
EP1754926A2 (en) Apparatus stand
KR102117634B1 (ko) 레버 시스템
US20090146018A1 (en) Control device
US20090225027A1 (en)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RU2005121740A (ru) Заземляющ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JP6703519B2 (ja) 電気装置用操作ユニット、特に車両部品用操作ユニット
DE60231690D1 (de) Kraftrückkopplungseingabegerät mit zwei Kipppositionserfassungseinrichtungen für das Betätigungsglied
JP4774191B2 (ja) 操作レバー装置
JP2008105650A (ja) シフト装置
US7939775B2 (en) Button unit for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KR100746534B1 (ko) 입체 전개각을 갖는 수동지그가 장착된 3차원 측정기
ES2710427T3 (es) Contenedor y procedimiento para activar un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un contenedor
KR20210138584A (ko) 차량용 조작장치
JP2015220064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DE50207179D1 (de) Schweisseinrichtung
KR200294328Y1 (ko) 장갑 착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