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099B1 -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099B1
KR101443099B1 KR1020120083335A KR20120083335A KR101443099B1 KR 101443099 B1 KR101443099 B1 KR 101443099B1 KR 1020120083335 A KR1020120083335 A KR 1020120083335A KR 20120083335 A KR20120083335 A KR 20120083335A KR 101443099 B1 KR101443099 B1 KR 101443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lling mill
engaging
present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589A (ko
Inventor
김봉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0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25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gripping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거운 조립부재를 용이하게 이송하여 압연기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인이 연결되어 기중기에 의해 승강되는 본체와, 조립부재가 거치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걸림부와, 걸림부를 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COUPLER JIG APPARATUS FOR ROLLING MILL}
본 발명은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거운 조립부재를 용이하게 이송하여 압연기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인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선재로 가공되는 작업 대상물은 복수 개의 워크롤러를 통과하면서 철근과 같은 선재의 작업 대상물로 가공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3009호(2008년 4월 18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선재 압연기용 선재가이드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무거운 조립부재를 용이하게 이송하여 압연기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체인이 연결되어 기중기에 의해 승강되는 본체; 조립부재가 거치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상기 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인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하단에는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동홀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돌기가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돌기를 구속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홀부에 형성되는 삽입홈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 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안착홈부에 삽입되는 고정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는, 무거운 조립부재를 쉽게 거치하여 이동시키고, 압연기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압연기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의 고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의 고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는, 체인(54)이 연결되어 기중기에 의해 승강되는 본체(50)와, 조립부재(30)가 거치되는 걸림돌기(72)를 구비하는 걸림부(70)와, 걸림부(70)를 본체(50)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부(80)를 포함한다.
워크롤러(10)의 회전축(12)에는 볼베어링(14)이 설치되고, 볼베어링(14)과 스탠드 사이에 조립부재(30)가 개재되어 볼베어링(14)을 구속하게 된다.
조립부재(30)는, 회전축(12)에 삽입되는 볼트부(32)와, 회전축(12)에 삽입되고 볼트부(32)와 볼트결합되는 너트부(34)를 포함한다.
워크롤러(10)의 회전축(12)에 볼베어링(14)을 삽입하고, 볼베어링(14)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회전축(12)에 조립부재(30)를 삽입하고, 회전축(12)을 스탠드에 설치한다.
이후에, 볼트부(32)와 너트부(34)를 회전시켜 볼트부(32)와 너트부(34)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조작하면 볼트부(32) 및 너트부(34)가 볼베어링(14)과 스탠드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볼베어링(14)이 워크롤러(10)에 밀착된다.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워크롤러(10)의 회전축(12)에 볼베어링(14)을 조립할 때에는 조립부재(30)의 걸림홈부(36)를 걸림부(70)에 거치시킨 후에 본체(50)에 체인(54)을 연결하고, 체인(54)을 기중기에 연결하여 기중기로 조립부재(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조립부재(30)의 걸림홈부(36)를 걸림부(70)에 거치시킬 때에는 이동부(80)를 조작하여 걸림부(70)가 본체(50)로부터 돌출되게 하고, 다수 개의 걸림부(70) 사이에 조립부재(30)를 위치시킨 후에 다시 이동부(80)를 조작하여 걸림부(70)를 본체(50)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70)에 조립부재(30)의 걸림홈부(36)가 거치된다.
이후에 기중기를 조작하여 본체(50)를 상승시키면 본체(50)에 연결되는 걸림부(70)에 조립부재(30)가 거치된 상태로 상승되어 직립된 워크롤러(10)의 회전축(12) 상단에 대향되도록 조립부재(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체(50)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체인(54)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홀부(52)가 형성되므로 연결홀부(52)에 체인(54)을 연결하여 기중기에 연결하면 링 모양의 본체(50)가 수평을 유지하면 상승되므로 조립부재(30)의 수평을 유지하면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걸림부(70)는, 본체(5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걸림부(70)의 하단에는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72)가 형성된다.
조립부재(30)의 둘레면에는 조립부재(30)를 회전시키기 위해 공구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걸림홈부(36)가 형성되므로 걸림부(70)가 걸림홈부(36) 내부로 삽입되면 걸림돌기(72)의 상면에 조립부재(30)의 하단이 안착되면서 조립부재(30)가 거치된다.
이동부(80)는, 본체(50)에 형성되고 이동홀부(84)가 형성되는 지지블록(82)과, 걸림부(70)로부터 연장되고 이동홀부(84)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돌기(88)를 포함한다.
지지블록(82)은 본체(50)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 다수 개가 설치되므로 다수 개의 걸림부(70)에 링 모양의 조립부재(30)가 거치되면 조립부재(30)의 수평이 유지되면서 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지지돌기(88)가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돌기(88)를 구속하는 고정부(90)를 더 포함한다.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지지돌기(88)가 출몰된 후에는 고정부(90)의 작용에 의해 지지돌기(88)가 지지블록(82)으로부터 출몰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의도와 다르게 지지돌기(88)가 지지블록(82)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조립부재(30)가 본체(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90)는, 이동홀부(84)에 형성되는 삽입홈부(86)에 끼워지는 탄성부재(94)와, 탄성부재(94)에 의해 지지돌기(88) 측으로 가압되고, 지지돌기(88)의 안착홈부(88a)에 삽입되는 고정볼(92)을 포함한다.
이동홀부(84)의 내벽에는 이동홀부(84)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삽입홈부(86)가 형성되고, 삽입홈부(86)에는 탄성부재(94)가 삽입된다.
삽입홈부(86)에 대향되는 지지돌기(88)의 둘레면에는 다수 개의 안착홈부(88a)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걸림부(70)를 본체(50) 외측으로 당기거나 본체(50) 내측으로 밀게 되면, 탄성부재(94)가 압축되면서 고정볼(92)이 삽입홈부(86)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돌기(88)가 이동홀부(84)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후에, 지지돌기(88)의 출몰이 완료되어 다른 안착홈부(88a)에 고정볼(92)이 대향되게 배치되면 탄성부재(94)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볼(92)이 삽입홈부(86)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안착홈부(88a)에 삽입된다.
고정볼(92)이 안착홈부(88a)에 삽입되면 탄성부재(94)에 의해 고정볼(92)이 안착홈부(88a) 측으로 가압되므로 지지돌기(88)가 이동홀부(84)를 따라 슬라이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70)가 작업자의 의도와 다르게 본체(50)로부터 이탈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워크롤러(10)에 볼베어링(14)을 설치할 때에는 회전축(12)에 볼베어링(14)을 삽입하고, 볼베어링(14)의 상면에 조립부재(30)가 적층되도록 회전축(12)에 조립부재(30)를 삽입한다.
조립부재(30)를 회전축(12)에 삽입할 때에는 걸림부(70)를 본체(50) 외측으로 당겨 돌출시키는데, 이때, 탄성부재(94)가 압축되면서 고정볼(92)이 삽입홈부(86)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돌기(88)가 이동홀부(84)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본체(50) 외측으로 돌출된다.
다수 개의 걸림부(70)를 본체(50) 외측으로 돌출시킨 후에 걸림부(70) 중앙에 조립부재(30)를 위치시키고, 걸림부(70)를 본체(50)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걸림부(70)가 조립부재(30)의 걸림홈부(36)에 삽입된다.
걸림부(70)가 걸림홈부(36) 내측에 삽입되면 조립부재(30)의 하단이 걸림돌기(72)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조립부재(30)가 걸림부(70)에 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부(70)의 삽입이 완료되어 고정볼(92)이 안착홈부(88a)에 대향되게 배치되면 탄성부재(94)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볼(92)이 삽입홈부(86)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고정볼(92)이 안착홈부(88a)에 삽입된다.
고정볼(92)이 안착홈부(88a)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94)에 의해 고정볼(92)이 안착홈부(88a) 내측으로 가압되므로 지지돌기(88)는 이동홀부(84)를 따라 슬라이딩되지 않고 구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부(70)에 조립부재(30)를 거치시킨 후에는 본체(50)의 연결홀부(52)에 체인(54)을 연결하고, 체인(54)과 기중기를 연결하며, 기중기를 구동시켜 본체(50) 및 조립부재(30)를 상승시킨다.
조립부재(30)가 워크롤러(10)의 회전축(12)에 대향되도록 이동시킨 후에는 본체(50)를 하강시키면서 회전축(12)에 조립부재(30)를 삽입하고, 작업자가 걸림부(70)를 본체(50) 외측으로 당겨 걸림부(70)와 조립부재(30)를 분리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구성 및 작동에 의해 무거운 조립부재(30)를 쉽게 거치하여 이동시키고, 워크롤러(10)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볼베어링(14)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무거운 조립부재(30)를 용이하게 이송하여 압연기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조립부재 지그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워크롤러 12 : 회전축
14 : 볼베어링 30 : 조립부재
32 : 볼트부 34 : 너트부
36 : 걸림홈부 50 : 본체
52 : 연결홀부 54 : 체인
70 : 걸림부 72 : 걸림돌기
80 : 이동부 82 : 지지블록
84 : 이동홀부 86 : 삽입홈부
88 : 지지돌기 88a : 안착홈부
90 : 고정부 92 : 고정볼
94 : 탄성부재

Claims (6)

  1. 체인이 연결되어 기중기에 의해 승강되는 본체;
    조립부재가 거치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상기 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동홀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인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하단에는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가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돌기를 구속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홀부에 형성되는 삽입홈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 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안착홈부에 삽입되는 고정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KR1020120083335A 2012-07-30 2012-07-30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KR10144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35A KR101443099B1 (ko) 2012-07-30 2012-07-30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35A KR101443099B1 (ko) 2012-07-30 2012-07-30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89A KR20140016589A (ko) 2014-02-10
KR101443099B1 true KR101443099B1 (ko) 2014-09-19

Family

ID=5026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335A KR101443099B1 (ko) 2012-07-30 2012-07-30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0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7379U (ko) * 1976-05-01 1977-11-08
JPH07206372A (ja) * 1994-01-13 1995-08-08 Kawasaki Steel Corp 竪型圧延機用ロールの吊具
JP2005330042A (ja) * 2004-05-19 2005-12-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モータ用吊り治具
KR20090114647A (ko) * 2008-04-30 2009-11-04 김성식 고중량인 대형 쉘 이송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7379U (ko) * 1976-05-01 1977-11-08
JPH07206372A (ja) * 1994-01-13 1995-08-08 Kawasaki Steel Corp 竪型圧延機用ロールの吊具
JP2005330042A (ja) * 2004-05-19 2005-12-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モータ用吊り治具
KR20090114647A (ko) * 2008-04-30 2009-11-04 김성식 고중량인 대형 쉘 이송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89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099B1 (ko) 압연기용 조립부재 지그장치
KR20120122241A (ko) 롤 조립용 너트 체결 장치
KR101353890B1 (ko) 레스트바 이동장치
KR101184935B1 (ko) 링부재 세척장치
KR101344309B1 (ko)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KR101159775B1 (ko) 압연롤러용 지그장치
KR20170049943A (ko) 수직형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US5152334A (en) Guide roll assembly and method of guiding cast strand
KR100861963B1 (ko) 압연용 백업롤의 하드/소프트 라이너 분해장치
KR101330551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1129891B1 (ko) 압연기의 스트리퍼 장착 장치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KR20130070142A (ko) 롤샤프트 교정 장치
KR101388007B1 (ko) 연원료 이송장치용 이송롤러 교체장치
KR101024587B1 (ko) 열간압연설비
KR101919536B1 (ko) 연속 주조설비의 핀치롤 교체장치 및 교체방법
JP5484275B2 (ja) 軽圧下装置のロール交換装置と方法
KR101357227B1 (ko) 압연기용 롤러 지지블록
KR101109488B1 (ko) 압연장치
JP5944211B2 (ja) 連続鋳造設備のモールド可変装置
KR101291545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1817568B1 (ko) 스크랩의 배출이 용이한 버킷장치
KR20130134358A (ko) 압연기용 워크롤러 착탈장치
JP4248617B2 (ja) 圧延機間の形鋼ガイドの組替装置
KR101246254B1 (ko) 브랜딩 리클레이머용 가이드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