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736B1 - 공기의 충격을 이용한 먼지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의 충격을 이용한 먼지 분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2736B1 KR101442736B1 KR1020140034452A KR20140034452A KR101442736B1 KR 101442736 B1 KR101442736 B1 KR 101442736B1 KR 1020140034452 A KR1020140034452 A KR 1020140034452A KR 20140034452 A KR20140034452 A KR 20140034452A KR 101442736 B1 KR101442736 B1 KR 101442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raw material
- particle raw
- fine particl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미립자 원료 간의 결합을 방지하는 먼지 분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먼지 분리 장치는, 하우징; 미립자 원료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 이물질이 제거된 미립자 원료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1배출구; 상기 유입구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미립자 원료에 정전기에 의해 접착된 이물질이 방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립자 원료와 상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 하우징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미립자 원료 또는 상기 이물질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입된 미립자 원료에 접착된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미립자 원료의 부스러기가 상기 미립자 원료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 상기 미립자 원료로부터 제거된 이물질 또는 상기 부스러기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배출구;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가 음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압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펠렛과 같은 미립자 원료에 포함된 먼지 및 부스러기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고, 제거된 이물질이 공기 공급을 위한 분사구를 막지않으며, 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미립자 원료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립자 원료 간의 결합을 방지하는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펠렛과 같은 미립자 원료에 결합되어 있는 먼지나 미립자 원료의 부스러기를 제거할 수 있는 미립자 원료 간의 결합을 방지하는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 사출되기 위해 사용되는 원료인 펠렛과 같은 미립자 원료 등이 운반되는 과정에서 정전기에 의해 원료에 먼지가 부착되게 되고, 운반과정에서 받는 충격등에 의해 부스러기가 발생되게 된다.
이에 제품 생산에 있어 원료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 중요함에 따라, 원료에 포함된 이물질 및 부스러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원료가 투입되는 장치 내부에서 공기를 공급하여 원료의 유속에 의해 원료와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지만, 내부에 유입된 원료에 균등하게 공기가 공급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부에 공기가 균등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장치 내부에 공기공급부를 별도로 마련하게 되는 경우에는, 장치에 투입된 원료가 서로 융합되거나 먼지 또는 부스러기가 뭉쳐 공기가 공급되는 분사구를 막아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펠렛과 같은 미립자 원료에 포함된 먼지 및 부스러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이 공기 공급을 위한 분사구를 막지않으며, 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미립자 원료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립자 원료 간의 결합을 방지하는 먼지 분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립자 원료 간의 결합을 방지하는 먼지 분리 장치는, 미립자 원료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이물질이 제거된 미립자 원료가 배출되기 위한 제 1배출구,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기공급부, 그리고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기 위한 제 2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유입구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미립자 원료에 정전기에 의해 접착된 이물질이 방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립자 원료와 상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입된 미립자 원료에 접착된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미립자 원료의 부스러기가 상기 미립자 원료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가 음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압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양측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기설정된 기울기를 갖는 제 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플레이트는, 기설정된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립자 원료 간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설정된 다각형에서 적어도 두 개의 빗면은 디딤판 및 챌판이 마련되는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 및 상기 챌판은,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분사되도록 기설정된 직경으로 마련된 다수의 다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플레이트는, 상기 미립자 원료 간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디딤판 및 챌판이 마련되는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배출구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음압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제 2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부스러기의 양을 상기 제 2배출구마다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 2배출구의 수보다 많거나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배출구는, 외부에서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부스러기가 배출되는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이트 글라스(sight glass)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미립자 원료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가림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펠렛과 같은 미립자 원료에 포함된 먼지 및 부스러기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고, 제거된 이물질이 공기 공급을 위한 분사구를 막지않으며, 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미립자 원료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사용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사용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5)는 플라스틱 펠렛과 같은 미립자 원료를 이용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로써, 미립자 원료에 포함된 이물질(8)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먼지 분리 장치(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와 연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통해 먼지 분리 장치(5)가 사용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5)의 일단은 먼지 분리 장치(5)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공급받기 위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1), 공기 팬(2) 및 헤파 필터(3)와 연결되고, 먼지 분리 장치(5)의 타단은 먼지가 제거되어야 하는 미립자 원료(7)를 공급받기 위해 마련되는 원료 탱크(4)와 연결되게 된다.
먼저, 공기 주입구(1)는 먼지 분리 장치(5)로 공급될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고, 공기 주입구(1)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기 팬(2)은 일단이 공기 주입구(1)와 연결되고, 공기 주입구(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먼지 분리 장치(5)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헤파 필터(3)는, 일단이 공기 팬(2)과 연결되고, 타단이 먼지 분리 장치(5)와 연결된다.
또한 헤파 필터(3)는, 공기 팬(2)으로부터 송풍되어 먼지 분리 장치(5)로 유입되는 공기가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헤파 필터(3)는 공기 주입구(1)에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여 청정공기가 먼지 분리 장치(5)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원료 탱크(4)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가 저장 및 보관되고, 저장 및 보관된 원료가 먼지 분리 장치(5)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 탱크(4)는 먼지 분리 장치(5)에 공급되는 원료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외부 장치들로부터 청정공기 및 원료를 공급받은 먼지 분리 장치(5)는 원료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과, 원료의 유동에 따라 발생되는 원료 부스러기가 제거되도록 하고, 이물질 및 부스러기가 제거된 원료를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먼지 분리 장치(5)는 원료로부터 제거된 이물질 및 부스러기가 집진되어 처리될 수 있는 별도의 장치와도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6)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 장치(5)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는, 플라스틱 펠렛과 같은 미립자 원(7)료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8)과, 미립자 원료 부스러기(8)를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는, 하우징(100), 유입구(200),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300), 공기 공급부(400), 플레이트(500), 제 1배출구(600), 제 2배출구(700), 음압장치(800) 및 가림막(90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이상의 구성들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거되어야 하는 미립자 원료(7)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해 마련된다.
하우징(100)의 외부 상단은 유입구(200),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300) 및 제2 배출구(700)와 연결됨으로써 미립자 원료(7) 및 이물질(8)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미립자 원료(7)와 분리된 이물질(8) 또는 미립자 원료 부스러기(8)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200)의 내부 중앙, 내부 일측 및 타측에는 플레이트(500)가 위치되고, 유입구(200) 및 플레이트(500) 사이에는 가림막(900)이 위치된다.
또한, 하우징(200)의 외부 하단은 제 1배출구(600)와 연결됨으로써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제거된 미립자 원료(7)가 다음 공정을 위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외부 측면에는 하우징(100)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부(400), 그리고 하우징(100)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음압장치(800)가 위치된다.
한편, 유입구(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상단에 위치되고, 이물질이 포함된 미립자 원료(7)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300)은, 미립자 원료(7)에 붙은 이물질(8)이 미립자 원료(7)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구(200)의 주변에 위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300)은 고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유입구(200)의 외주면과 닿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300)은, 정전기에 의해 미립자 원료(7)에 부착된 이물질(8)이 방전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8)이 미립자 원료(7)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300)에 의해 방전된 이물질(8)은 미립자 원료(7)와 분리되면서 유입구(20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물론 도시된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300)의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유입구(200)로 유입되는 미립자 원료(7)에 포함된 이물질(8) 등을 방전시키기 위해서라면 다른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공기공급부(400)는 도 1에서 설명된 공기팬(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공급받아 하우징(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공기공급부(400)는 공기가 플레이트(5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00) 외부에서 플레이트(5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된 플레이트(5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400)는 하우징(100) 내부로 공기를 분사시켜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300)에 의해 미립자 원료(7)와 분리된 이물질(8)이, 미립자 원료(7)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하우징(100) 상부로 부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기공급부(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절용 밸브(410)와도 연결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2플레이트(520)와 연결된 공기공급부(400)에만 밸브(410)가 표현되었으나, 제 1플레이트(510) 내부에 위치되는 공기공급부(400)와 연결되는 공기조절용 밸브(410)도 마련됨은 물론이며, 도 3에서는 먼지 분리 장치(5)의 정면을 표현하고 있으므로 제 1플레이트(510) 내부에 위치되는 공기공급부(400)와 연결되는 공기조절용 밸브(410)는 미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절용 밸브(410)는 공기공급부(400)가 마련되는 수와 동일하게 마련되어 공기공급부(400)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플레이트(500)는 미립자 원료(7)로부터 이물질(8) 및 미립자 원료의 부스러기(8)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종래의 플레이트(10)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립자 원료(7)에 공기를 분사시켜 미립자 원료(7)에 부착된 이물질 및 부스러기(8)를 제거하기 위해 경사진 빗면에 공기가 분사될 수 있는 다공(9)이 마련되도록 한다.
이 경우, 빗면을 따라 이동되는 미립자 원료(7)로부터 제거되는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경사면에 형성된 다공(9)을 막게 된다.
따라서 공기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분사될 수 없게 됨으로써, 미립자 원료료(7)부터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거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물질 및 부스러기(8)로 인해 다공(9)이 막히게 되면 빗면을 따라 이동되는 다수의 미립자 원료(7)들이 서로 뭉치게 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분사되지 못하게 되므로, 미립자 원료(7)가 서로 분리되지 못한 상태로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플레이트(500)의 경우에는 다공(9)이 플레이트 표면이 관통되어 뚫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서처럼 다공의 하부가 일정한 각도만큼 안으로 휘어들어감으로써 형성된다.
일정한 각도만큼 안으로 휘어들어간 다공(9) 내에는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별도로 마련되게 되고, 이러한 분사 노즐을 통해 공기가 다공(9) 외부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미립자 원료(9)에 공기가 접촉되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도 2에서처럼 노즐과 미립자 원료(7)가 이동되는 플레이트(500)의 경사면의 거리(a)가 가깝기 때문에 미립자 원료(7)에 충분한 분사력이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는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단형으로 마련되게 된다.
플레이트(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복수 개로 구비되게 되는데, 하우징(100)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 1플레이트(510) 및 하우징(100)의 양측 하부에 위치되는 제 2플레이트(52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500)는 후술할 도 4 및 도 5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1배출구(600)는, 하우징(100) 외부 하단에 위치되어 하우징(100)과 연결되고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거된 미립자 원료(7)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배출구(700)는, 하우징(100) 외부 상단에 위치되어 하우징(100) 내부에서 미립자 원료(7)로부터 제거된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배출구(700)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제 2플레이트(520)에 대응되는 하우징(100) 상부에 위치되게 된다.
제 2배출구(700)의 위치는 후술할 가림막(900)을 설명할 때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2배출구(700)로 배출되는 이물질 및 부스러기(8)의 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이트 글라스(sight glass)로 마련되게 된다.
사이트 글라스로 마련된 제 2배출구(700)를 통해 사용자는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먼지 분리 장치(5)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2배출구(700)가 사이트 글라스로 마련됨에 따라, 먼지 분리 장치(5) 내부의 기압 상태에 따가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 2배출구(700)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이동되는지에 대한 이동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배출구(700)는 배출량조절용 밸브(710)와 연결되게 된다.
한편 음압장치(800)는,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하우징(100) 내부가 음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하우징(100) 내부에서 미립자 원료(7)부터 분리된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 위치되게 되면 미립자 원료(7)와 재결합하게 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미립자 원료(7)보다 질량이나 크기가 작아 하우징(100) 내부에서 부유하게 되는 이물질(8)이나 부스러기(8)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압장치(800)가 마련되게 된다.
음압장치(800)는, 하우징(100) 내부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압차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된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음압장치(800)는,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 2배출구(700)로 배출되는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의 양이 제 2배출구(700)마다 개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2배출구(700)보다 많거나 동일한 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림막(900)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미립자 원료(7) 및 이물질 (8)등이 제 1배출구(600) 및 제2 배출구(800)가 아닌 유입구(200)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가림막(9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00) 및 플레이트(500) 사이에 위치된다.
가림막(9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경사를 가지고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어 유입구(200)의 아래에 위치된다.
도 3은 먼지 분리 장치(5)의 단면도이므로 가림막(900)이 경사를 가진 빗면으로 표현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900)은 원기둥이 하우징(100) 내부를 향해 테이퍼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물론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으로, 가림막(900)이 단순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림막(900)을 통해 미립자 원료(7)로부터 제거된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유입구(200)로 배출되지 않고 제 2배출구(70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900)은 복수 개의 제 2배출구(700)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제 2배출구(700) 및 가림막(900)의 위치는 플레이트(500)를 통해 미립자 원료(7)로부터 제거된 이물질 및 부스러기(8) 등이 가림막(900)의 경계면을 따라 하우징(100) 상부로 부양되면 제 2배출구(7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플레이트(51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500)는 공기공급부(40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분사압을 통해 미립자 원료(7)로부터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500)는 제 1플레이트(510) 및 제 2플레이트(520)를 포함하게 된다.
제 1플레이트(510)는 하우징(100) 내부 중앙에 단수개로 마련되고, 제 2플레이트(520)는 하우징(100) 내부 하단에 마련되는데,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마련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플레이트(510)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게 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빗면 중 적어도 두개의 빗면은 계단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플레이트(510)가 미립자 원료(7)가 일정한 경사를 따라 하우징(100)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단면이 마름모로 형성된다면 네 개의 빗면 중 상부에 위치된 빗면이 계단형으로 마련되게 되는 것이고, 제 1플레이트(510)의 단면이 오각형으로 형성된다면, 다섯 개의 빗면 중 유입구(200)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된 두 개의 빗면이 계단형으로 마련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2플레이트(520) 역시 제 1플레이트(510)와 마찬가지로 미립자 원료(7)로부터 이물질 및 부스러기(8)를 제거하기 위해 마련되고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2플레이트(520)는, 제 1플레이트(510)에서 미립자 원료로(7)부터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다시 한번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레이트(10)의 경우에는 플레이트(500)의 빗면을 따라 이동되는 미립자 원료(7)로부터 제거되는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경사면에 형성된 다공(9)을 막게 되고, 이로 인해 미립자 원료(7)로부터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거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빗면을 따라 이동되는 다수의 미립자 원료(7)들이 서로 뭉치게 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분사되지 못하게 되므로, 미립자 원료(7)가 서로 분리되지 못한 상태로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공기가 분사되는 다공(9)과 미립자 원료(7) 간의 거리(a)가 가까워 미립자 원료(7)에 충분한 분사력이 제공되지 못하게 된다.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판(501) 및 챌판(502)을 포함하는 계단형으로 마련되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판(501)은 미립자 원료(7),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하우징(100) 하부로 이동되면서 닿게 되는데,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부착된 미립자 원료(7)는 다수의 디딤판(501)들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이동될 때마다 디딤판(501)과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와 분리되게 된다.
한편, 챌판(502)은 각 단의 디딤판(501)과 디딤판(501) 사이에서 각 단의 디딤판(501)과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챌판(50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다공(503)이 마련되게 된다.
미립자 원료(7),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디딤판(501)에 위치되게 되면, 챌판(502)에 위치된 다공(503)으로부터 공기가 분사되게 되고, 분사된 공기에 의해 미립자 원료(7)는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와 분리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제거된 미립자 원료(7)는 공기 분사에 의해 다음 디딤판(501)으로 이동되게 되고, 미립자 원료(7)로부터 제거된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는 공기 분사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에서 부유하게 되어 제 2배출구(70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다공(503)은 플레이트(500)의 디딤판(501)이 아닌 챌판(502)에 마련되게 됨으로써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에 의해 다수의 다공(503)이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중력에 의해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하우징(100) 하부로 하락되더라도, 디딤판(501)과 수직으로 마련되는 챌판(502)에 이물질(8) 또는 부스러기(8)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는 계단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미립자 원료(7)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립자 원료(7)가 윗단의 디딤판(501)에서 아랫단의 디딤판(501)으로 이동됨으로써 디딤판(501)과 미립자 원료(7)가 부딪히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미립자 원료(7)가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됨으로써, 미립자 원료(7) 간의 결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미립자 원료(7)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게 되며,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거된 미립자 원료(7)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500)는, 다공(503)으로 배출되는 공기로도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미립자 원료(7)로부터 충분히 제거되지 않더라도, 미립자 원료(7)가 윗단의 디딤판에서 아랫단의 디딤판으로 하락하게 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미립자 원료(7)로부터 추가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는 두 쌍의 디딤판(501) 및 챌판(502)으로 구성된 계단에서 미립자 원료(7)로부터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윗단의 챌판(502)에 마련된 다공(503)으로부터 공기가 분사되게 되면 1차적으로 공기의 충격에 의해 미립자 원료(7)로부터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거되게 된다. 1차적으로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거된 미립자 원료(7)는 공기의 압력 및 중력에 의해 아랫단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동된 미립자 원료(7)는 아랫단의 디딤판(501)에 닿게 된다.
이 과정에서 챌판(502)의 높이만큼 미립자 원료(7)가 위치에너지를 갖게 되고, 아랫단의 디딤판(501)에 닿으면서 위치에너지만큼의 충격을 받게 된다.
따라서 아랫단의 디딤판(501)에 부딪힌 충격에 의해 미립자 원료(7)에 부착된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추가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레이트(10)의 경우에는 공기가 분사되는 다공(9)과 미립자 원료(7) 간의 거리(a)가 가까워 미립자 원료(7)에 충분한 분사력이 제공되지 못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에는 디딤판(501)이 마련됨으로써 미립자 원료(7)는 다공(503)이 마련되는 챌판(502)과 일정한 거리(b)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립자 원료(7) 및 다공(503) 간의 거리(b)를 통해 통해 다공(503)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미립자 원료(7) 전체에 골고루 제공될 수 있게 되면서, 미립자 원료(7)의 겉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종래의 플레이트(10)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는 다수의 디딤판(501) 및 챌판(502)으로 구성된 계단형으로 마련되게 됨으로써 이상의 과정을 통해 미립자 원료(7)로부터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제 1플레이트(510) 및 제 2플레이트(520) 모두 계단형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제 1플레이트(510) 및 제 2플레이트(520) 중 어느 하나만 계단형으로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는 일반적인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플레이트(500)에 마련되는 다공(50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기설정된 형상으로 마련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다공(503)의 확대도는 플레이트(500)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503)은 공기공급부(4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플레이트(500) 외부로 분사시키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분사력을 강화하기 위한 형상으로 마련되게 된다.
이상에서 다공(503)의 기설정된 형상이라 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챌판(502)에 위치되어 관로 형상으로 마련되는 다공(503)의 직경이 챌판(502)의 표면에서 공기공급부(400)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다가 설정된 직경에 도달되게 되면 설정된 직경을 유지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고, 다시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되는 벤츄리관처럼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공(503)이 벤츄리관처럼 형성됨으로써 공기공급부(40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챌판(502)을 통과해 플레이트(500) 외부로 분사되게 되는 공기의 분사력이 증대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00)는 이상의 과정을 통해 미립자 원료(7)에 붙어있는 이물질 및 부스러기(8)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서는 챌판(502)에서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다공(503)을 함께 표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단면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다공(503)을 점선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는 다공(503)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공(503)은 도시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유입구
300 :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 400 : 공기 공급부
410 : 공기조절용 밸브 500 : 플레이트
501 : 디딤판 502 : 챌판
503 : 다공 510 : 제 1플레이트
520 : 제 2플레이트 600 : 제 1배출구
700 : 제 2배출구 710 : 배출량조절용 밸브
800 : 음압장치 900 : 가림막
300 :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 400 : 공기 공급부
410 : 공기조절용 밸브 500 : 플레이트
501 : 디딤판 502 : 챌판
503 : 다공 510 : 제 1플레이트
520 : 제 2플레이트 600 : 제 1배출구
700 : 제 2배출구 710 : 배출량조절용 밸브
800 : 음압장치 900 : 가림막
Claims (7)
- 미립자 원료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이물질이 제거된 미립자 원료가 배출되기 위한 제 1배출구,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기공급부, 그리고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기 위한 제 2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유입구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미립자 원료에 정전기에 의해 접착된 이물질이 방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립자 원료와 상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정전기제거용 마그네틱;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입된 미립자 원료에 접착된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미립자 원료의 부스러기가 상기 미립자 원료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가 음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양측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기설설정된 기울기를 갖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단면이 기설정된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립자 원료 간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설정된 다각형에서 적어도 두 개의 빗면은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미립자 원료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될 때 마다 상기 미립자 원료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진동에 의해 상기 미립자 원료로부터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부스러기가 제거되도록 하는 디딤판 및 상기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다수의 다공을 통해 상기 미립자 원료에 부착된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부스러기가 상기 미립자 원료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미립자 원료가 디딤판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챌판을 복수개씩 포함하도록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분리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플레이트 및 상기 챌판은,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분사되도록 기설정된 직경으로 마련된 다수의 다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분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플레이트는,
상기 미립자 원료 간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디딤판 및 챌판이 마련되는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분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배출구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음압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제 2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부스러기의 양을 상기 제 2배출구마다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 2배출구의 수보다 많거나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분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배출구는,
외부에서 상기 이물질 또는 상기 부스러기가 배출되는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이트 글라스(sight glass)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분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미립자 원료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06946 | 2014-01-20 | ||
KR1020140006946 | 2014-01-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2736B1 true KR101442736B1 (ko) | 2014-09-22 |
Family
ID=5176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4452A KR101442736B1 (ko) | 2014-01-20 | 2014-03-25 | 공기의 충격을 이용한 먼지 분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273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5292A (ko) * | 2016-10-18 | 2019-06-11 | 헬리오스 게뢰테바우 퓌어 쿤스트슈토프테히닉 게엠베하 | 특히 이온화를 이용해서 벌크 물질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2124819B1 (ko) * | 2019-03-07 | 2020-06-19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
KR102173003B1 (ko) | 2020-03-20 | 2020-11-02 | 한국원자력연구원 | 미세분말 집진 장치 |
KR102208061B1 (ko) * | 2019-10-30 | 2021-01-27 | (주)코넵 | 계단형 배플판 및 이를 적용한 분진 분리기 |
CN113182186A (zh) * | 2021-05-12 | 2021-07-30 | 华侨大学 | 一种混合物料逐级分离装置及其分离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4791A (ja) * | 1994-07-14 | 1996-01-30 | Shionogi & Co Ltd | 流動層風篩装置 |
KR200409728Y1 (ko) * | 2005-12-07 | 2006-02-24 | 주식회사 방태 | 수평 다단식 디스크 분류기 |
KR100582028B1 (ko) * | 2005-10-18 | 2006-05-22 | 신명환경(주) | 송풍식 선별장치 |
KR20100105471A (ko) * | 2009-03-18 | 2010-09-29 | 펠레트론 코오포레이션 | 입자 물질을 위한 실린더형 먼지 제거 장치 |
-
2014
- 2014-03-25 KR KR1020140034452A patent/KR1014427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4791A (ja) * | 1994-07-14 | 1996-01-30 | Shionogi & Co Ltd | 流動層風篩装置 |
KR100582028B1 (ko) * | 2005-10-18 | 2006-05-22 | 신명환경(주) | 송풍식 선별장치 |
KR200409728Y1 (ko) * | 2005-12-07 | 2006-02-24 | 주식회사 방태 | 수평 다단식 디스크 분류기 |
KR20100105471A (ko) * | 2009-03-18 | 2010-09-29 | 펠레트론 코오포레이션 | 입자 물질을 위한 실린더형 먼지 제거 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5292A (ko) * | 2016-10-18 | 2019-06-11 | 헬리오스 게뢰테바우 퓌어 쿤스트슈토프테히닉 게엠베하 | 특히 이온화를 이용해서 벌크 물질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2351295B1 (ko) | 2016-10-18 | 2022-01-13 | 헬리오스 게뢰테바우 퓌어 쿤스트슈토프테히닉 게엠베하 | 특히 이온화를 이용해서 벌크 물질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2124819B1 (ko) * | 2019-03-07 | 2020-06-19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
KR102208061B1 (ko) * | 2019-10-30 | 2021-01-27 | (주)코넵 | 계단형 배플판 및 이를 적용한 분진 분리기 |
KR102173003B1 (ko) | 2020-03-20 | 2020-11-02 | 한국원자력연구원 | 미세분말 집진 장치 |
CN113182186A (zh) * | 2021-05-12 | 2021-07-30 | 华侨大学 | 一种混合物料逐级分离装置及其分离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2736B1 (ko) | 공기의 충격을 이용한 먼지 분리 장치 | |
CN112752621B (zh) | 对松散物料除尘的装置及方法 | |
KR102018300B1 (ko) | 분진 적체 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 |
KR101469509B1 (ko) |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 |
CN104646337A (zh) | 清洁基板的设备 | |
KR101475866B1 (ko) | 백필터 집진장치 | |
JP2022133419A (ja) | 空気研磨装置用粉末室及び空気研磨装置 | |
JP2009273969A (ja) | 粉取り装置及び粒体分離システム | |
KR102152490B1 (ko) | 에어 나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분진 제거 장치 | |
KR101129782B1 (ko) | 집진장치 | |
KR101643574B1 (ko) | 백필터 탈진용 분사노즐 | |
US10118275B2 (en) | Blast treatment device and blast treatment method | |
KR102152491B1 (ko) | 에어 나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분진 제거 장치 | |
KR101344133B1 (ko) | 탄산칼슘 자동공급장치 | |
JP2017522183A (ja) | 互いに分離された二つの制御バルブと圧縮空気管を有する集塵機バグフィルター脱塵システム | |
KR101732273B1 (ko) | 공기유도판이 구비된 내부 포집형 집진기 | |
KR20140100037A (ko) | 기판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노즐 방식의 건식 클리너 | |
KR101536694B1 (ko) | 입상 물질 분리장치 | |
KR102026867B1 (ko) | 이물질 제거장치 | |
KR20220150707A (ko) | 레이저 가공용 석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 |
KR20180039985A (ko) | 분진 적체 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 |
KR101717589B1 (ko) | 전기집진 장치 | |
KR101690681B1 (ko) | 유체 분사용 에어나이프 | |
KR102208061B1 (ko) | 계단형 배플판 및 이를 적용한 분진 분리기 | |
KR20190140816A (ko) | 블로우 파이프 및 집진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