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819B1 -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19B1
KR102124819B1 KR1020190026413A KR20190026413A KR102124819B1 KR 102124819 B1 KR102124819 B1 KR 102124819B1 KR 1020190026413 A KR1020190026413 A KR 1020190026413A KR 20190026413 A KR20190026413 A KR 20190026413A KR 102124819 B1 KR102124819 B1 KR 10212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plastic
static electricity
dust remova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현
박소현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0Cleaning implements actuated by electrostatic attraction; Devices for cleaning same; Magnetic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6/00Cleaning by electrostatic mean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먼지제거 장치는 본체와 헤드로 구성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에 있어서, 본체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헤드에서의 마찰전기 발생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전원장치의 전원인 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전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는 마찰전기를 발생시켜 먼지를 집진하는 플라스틱 부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Dust Removal Apparatus Using an Electrostatic}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 장치를 사용하여 마찰전기 발생을 유도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먼지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찰전기 발생을 유도하는 진동 장치를 이용하여 두 소재를 마찰시켜 장치의 외면을 음(-)전하로 대전시켜, 정전기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양(+)전하를 띄는 동물의 털, 머리카락, 보풀, 먼지 등의 미세 이물질을 옷, 이불, 커튼, 카페트 등의 대상물로부터 집진하는 원리로 작동하는 먼지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동물의 털, 머리카락, 보풀, 먼지 등의 미세 이물질을 옷, 이불, 커튼, 카페트 등의 대상물로부터 제거할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식 로울러 형 먼지제거기는 로울러 부분이 접착테이프로 구성되어 있어 미세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대상물에 로울러를 대고 밀거나 당겨 회전시키면서 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먼지를 대상물로부터 떼어내었다. 이러한 접착식 로울러형 먼지제거기는 접착테이프가 롤 형식으로 감겨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겉면의 접착테이프에 이물질이 어느 정도 부착되거나 또는 공기 중에 오랜시간 노출되어 접착력을 상실하면, 겉면의 접착테이프를 제거하여 내부의 새로운 접착테이프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먼지제거기의 먼지 접착부는 일회성의 소모품으로서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제품을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접착식 로울러형 먼지제거기가 가지는 일회성이라는 단점을 개선하고, 먼지 제거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전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부 제10-2018-0069153호. 2018.06.2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진동 장치를 사용하여 마찰전기 발생을 유도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본체와 헤드로 구성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에 있어서, 본체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헤드에서의 마찰전기 발생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전원장치의 전원인 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전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는 마찰전기를 발생시켜 먼지를 집진하는 플라스틱 부도체를 포함하고, 본체 및 헤드는 연결부로 연결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는 전원 장치의 전원으로 구동되며, 플라스틱 부도체와 연결되어, 플라스틱 부도체를 진동시키는 진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외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레벨의 세기로 진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는 플라스틱 부도체에 집진되어 붙어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금속 막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막대는 본체의 손잡이 부분의 일면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부도체는 손잡이부분의 플라스틱 보다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찰을 통해 정전기를 발생시켜 미세먼지 또는 손쉽게 떨어지지 않는 작은 이물질을 기존의 테이프 접착형식 먼지제거기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일회성이라는 단점을 반영구성으로 전환하여 제품교환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전기 유도를 위해 진동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막대를 사용하여 집진 이후에 장치로부터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 내용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의 금속 막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 장치(10)는 헤드와 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헤드는 플라스틱 부도체(101), 본체는 진동 장치(103), 전원 장치(105), 전지 케이스(107) 및 금속 막대(109)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체와 헤드로 구성되며, 본체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헤드에서의 마찰전기 발생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105) 및 전원 장치(105)의 전원인 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전지 케이스(107)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는 마찰전기를 발생시켜 먼지를 집진하는 플라스틱 부도체(101)를 포함하고, 본체 및 헤드는 연결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전원 장치(105)의 전원으로 구동되며, 플라스틱 부도체(101)와 연결되어, 플라스틱 부도체(101)를 진동시키는 진동 장치(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집진되어 붙어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금속 막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는 플라스틱 부도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부도체(101)는 먼지제거 장치(10)의 헤드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찰전기를 발생시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진동 장치(103)는 전원 장치(105) 및 플라스틱 부도체(101)와 연결되어, 플라스틱 부도체(101)에서 마찰전기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장치(105)의 스위치를 켜면 진동 장치(103)가 작동하고, 진동 장치(103)는 옷에 붙어있는 이물질과 맞닿는 부분인 플라스틱 부도체(101)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 장치(103)는 외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레벨의 세기로 진동할 수 있다. 진동 장치(103)를 이용함으로써, 먼지와 플라스틱 부도체(101)사이에 정전기 유도를 촉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먼지를 제거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장치(103)는 플라스틱 부도체(101)가 옷에 맞닿을 때, 정전기 유도현상을 촉진하기 위해 플라스틱 부도체(101)를 진동 장치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플라스틱 부도체(101)의 마찰만으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진동 장치(103)를 사용하여 진동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진동 장치(103)는 진동의 세기를 강, 중간 또는 약의 세기로 진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원 장치(105)는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마찰전기 발생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장치(105)는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체 외부에 위치한 스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장치(105)는 본체 외부에 위치한 스위치를 통해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전원 장치(105)는 전지 케이스(107)와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 케이스(107)에 수납된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지 케이스(107)는 전원 장치의 전원인 전지를 수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지 케이스(107)는 내부에 전지를 삽입하여 전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막대(109)는 먼지가 집진된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붙어있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막대(109)는 본체의 손잡이 부분의 일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금속 막대(109)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의 금속 막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 장치(10)는 플라스틱 부도체(101) 및 금속 막대(109)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부도체(101)는 먼지제거 장치(10)의 헤드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찰전기를 발생시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찰전기와 정전기로 인해 양전하를 띠는 먼지가 일시적으로 음전하를 띠는 플라스틱에 달라붙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부도체(101)는 먼지보다 쉽게 음전하를 띠는 부도체로써, 플라스틱 부도체(101)를 옷에 마찰시켜 음전하를 띠게 함으로써 양전하를 띠는 먼지를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부도체(101) 손잡이부분의 플라스틱 보다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플라스틱 부도체(101)는 손잡이부분의 플라스틱 보다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먼지가 플라스틱 손잡이 보다 전도성이 높은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집진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부도체(101)를 옷에 문지르면, 정전기 유도현상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먼지는 양전하를 띠며, 플라스틱 부도체(101)는 음전하를 띠게 된다. 이 경우, 먼지와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대전된 전하에 인력이 작용하여 먼지가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달라붙게 된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금속 막대(109)는 먼지가 집진된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붙어있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속 막대(109)는 본체의 손잡이 부분의 일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막대(109)는 일시적으로 음전하를 띄고 있는 먼지가 집진된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전도체인 금속을 접촉 시키면, 먼지와 금속 막대(109)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으로 인해 먼지를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제거 장치(10)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먼지가 집진된 경우, 재사용을 위해서는 집진된 먼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집진된 먼지를 인위적으로 제거하려고 하면 먼지와 플라스틱 부도체(101)간에 발생한 인력으로 인해 먼지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이 경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음전하를 띠고 있는 플라스틱 부도체(101)에 전도체인 금속 막대(109)를 가져다대면 금속 막대가 순간적으로 양전하를 띠게 되면서 양전하를 띠는 먼지와 상극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먼지와 금속 막대 사이에 척력으로 인해 먼지가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먼지제거 장치
101: 플라스틱 부도체
103: 진동 장치
105: 전원 장치
107: 전지 케이스
109: 금속 막대

Claims (7)

  1. 본체와 헤드로 구성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마찰전기를 발생시켜 먼지를 집진하는 사각형태의 플라스틱 부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에서의 마찰전기 발생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상기 전원 장치의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플라스틱 부도체와 연결되어, 플라스틱 부도체를 진동시켜 정전기 유도를 촉진시키는 진동 장치;
    상기 본체의 손잡이 부분의 일면에 탈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부도체에 집진되어 붙어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금속 막대; 및
    상기 전원장치의 전원인 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전지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헤드는 연결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외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레벨의 세기로 진동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부도체는,
    상기 손잡이부분의 플라스틱 보다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KR1020190026413A 2019-03-07 2019-03-07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KR102124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413A KR102124819B1 (ko) 2019-03-07 2019-03-07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413A KR102124819B1 (ko) 2019-03-07 2019-03-07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19B1 true KR102124819B1 (ko) 2020-06-19

Family

ID=7113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413A KR102124819B1 (ko) 2019-03-07 2019-03-07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8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36B1 (ko) * 2014-01-20 2014-09-22 (주)태광크린텍 공기의 충격을 이용한 먼지 분리 장치
KR101749972B1 (ko) * 2016-01-06 2017-06-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제거장치
KR20180069153A (ko) 2016-12-14 2018-06-25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정전기 먼지 제거기
KR20180129357A (ko) * 2017-05-26 2018-12-05 임상윤 미세먼지를 제거해주는 휴대용 의류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36B1 (ko) * 2014-01-20 2014-09-22 (주)태광크린텍 공기의 충격을 이용한 먼지 분리 장치
KR101749972B1 (ko) * 2016-01-06 2017-06-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제거장치
KR20180069153A (ko) 2016-12-14 2018-06-25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정전기 먼지 제거기
KR20180129357A (ko) * 2017-05-26 2018-12-05 임상윤 미세먼지를 제거해주는 휴대용 의류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59470B2 (ko)
KR101749972B1 (ko)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제거장치
CN204636169U (zh) 清洁装置
KR102124819B1 (ko)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장치
US5924153A (en) Dust removal device
JP2001275753A (ja) 洗浄装置
KR940006008A (ko) 대전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JPS633313B2 (ko)
JP4427826B2 (ja) 除塵方法
US20040163667A1 (en) Electrostatic mop, cleaning device and a method for collecting particles
KR20210051098A (ko)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JPS61212880A (ja) クリ−ニング装置
JPS5846351A (ja) 磁気ブラシ現像法
KR20100025814A (ko) 정전기를 활용한 청소 시스템
KR20180069153A (ko) 휴대용 정전기 먼지 제거기
JP2010131107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JPS61140963A (ja) コロナ放電装置
JPH0229221B2 (ja) Zotanjitaikuriiningusochi
US20230132625A1 (en) Electrostatic cleaning device
RU93706U1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локирования
JPH02763Y2 (ko)
JP2000098755A (ja) 電子写真装置
JPS58176671A (ja) 磁気フア−ブラシクリ−ニング装置
JPH0310103B2 (ko)
JPS5825681A (ja) クリ−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