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564B1 - 캐스터 - Google Patents

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564B1
KR101441564B1 KR1020130144830A KR20130144830A KR101441564B1 KR 101441564 B1 KR101441564 B1 KR 101441564B1 KR 1020130144830 A KR1020130144830 A KR 1020130144830A KR 20130144830 A KR20130144830 A KR 20130144830A KR 101441564 B1 KR101441564 B1 KR 10144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using
wheel
protruding
hou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신동
Original Assignee
여신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신동 filed Critical 여신동
Priority to KR102013014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28Construction of wheels; methods of assembling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13Hub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캐스터의 제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차륜과 해당 하우징과의 보다 긴밀한 결합 내지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물론, 통상 외부에 대해 돌출된 형태로 드러나는 관련 구성요소를 별도의 수단 없이 함몰 타입으로 구현되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적극 배제하여 활용시 움직임의 제한 또는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베어링 체결 부위에 물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소정의 패킹부재를 일괄 체결함에 따라 내구성의 증대가 도모되는 캐스터(100)에 관련되는 것으로, 대차와 직결되고 하방으로 치중되는 대차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10);과, 베어링(50)을 매개로 지지유닛과 상호 결합되어 360°의 회전 반경을 확보하는 고정하우징(20);과, 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양측 단부를 통해 거치 고정되는 차륜(30);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하우징(20)은 양측 각 내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를 갖도록 내부 방향에 대해 연장 형성되는 돌출돌부(24)가 구비되고, 상기 차륜(30)의 중심 영역은 돌출돌부(24)와 대응될 수 있는 함몰부(32)로 형성하여 상기 돌출돌부와 함몰부의 상호 교합으로 고정하우징과 차륜의 결합을 유도하되, 고정하우징(20)과 차륜(30)을 횡단하는 결합부재(25)의 인입 배치시 해당 결합부재는 고정하우징 양측 외면에서 노출되지 않고 돌출돌부(24)가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함몰 배치됨에 따라 고정하우징 양측 외면에 대해 결합부재의 양단이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캐스터{Caster}
본 발명은 각종 이동 및 운반 대차에 범용으로 활용되는 캐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캐스터의 제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차륜과 해당 하우징과의 보다 긴밀한 결합 내지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물론, 통상 외부에 대해 돌출된 형태로 드러나는 관련 구성요소를 별도의 수단 없이 함몰 타입으로 구현되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적극 배제하여 활용시 움직임의 제한 또는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되게 할 뿐만 아니라, 차륜의 장착을 위한 결합부재의 체결시 해당 횡단 면적이 줄어들 수 있는 관련 구조를 제공하여 외부로부터 집중되는 하중에 지지력이 수반되게 하였으며, 특히 베어링 체결 부위에 물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소정의 패킹부재를 일괄 체결함에 따라 내구성의 증대가 도모되는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개 각종 물품이나 기타 대상물을 한꺼번에 힘들이지 않고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이동 및 운반 대차가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대차의 경우, 식당에서는 물론 병원용 침대, 카트, 손수레, 기계장치, 가구, 의자 등의 물체 하부(저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캐스터(caster)를 설치 운용함으로써 사람을 포함한 사물(물체)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예컨대, 국내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96105호(2005. 9. 1. 등록) 캐스터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360°평면회전 및/또는 선회하는 휠(Wheel)이 설치되며, 캐스터에 설치되는 제동장치는 휠의 표면을 가압시켜 마찰을 크게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휠의 구름운동을 저지시켜 제동하게 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 실용신안을 포함한 종래 모든 캐스터는 차륜과 하우징의 상호 교차 배치가 이루어지는 구성에 기인하여 불가피하게 가로 회전축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는바, 이는 신속과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의 대차 이동시 전술한 바와 같은 돌출된 영역에 의해 외부와 간섭을 초래하게 되면서 안전상의 문제점이 유발될 우려가 다분할 뿐만 아니라, 그 크기 및 형태 또한 비대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장소가 협소한 경우 등에서는 활동성을 제한받게 된다.
또한, 식자재 운반용으로 활용되는 대차에 적용될 경우 빈번한 물의 접촉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환경여건에 의해 각 연결부위, 특히 베어링 체결 영역에는 불가피하게 물이 침투되어 캐스터 내부 공간에 머무를 수 있으므로, 관련 구조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고정하우징과 차륜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의 체결시 해당 결합부재의 양단이 고정하우징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편승하여 결합부재의 노출 횡단 거리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면서 해당 결합부재로 전해지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또 다른 지지수단으로 활용됨에 따라 휨이나 기타 변형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특히, 소정의 패킹부재를 베어링 체결 부위에 삽입 개재함으로써 물 등이 유입되지 않게 방지할 뿐만 아니라, 패킹부재가 갖는 형상의 특성으로 인해 물의 흐름을 외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관련 구조의 제공을 또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캐스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100)는 대차와 직결되고 하방으로 치중되는 대차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10);과, 베어링(50)을 매개로 지지유닛과 상호 결합되어 360°의 회전 반경을 확보하는 고정하우징(20);과, 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양측 단부를 통해 거치 고정되는 차륜(3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고정하우징(20)은 양측 각 내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를 갖도록 내부 방향에 대해 연장 형성되는 돌출돌부(24)가 구비되고, 상기 차륜(30)의 중심 영역은 돌출돌부(24)와 대응될 수 있는 함몰부(32)로 형성하여 상기 돌출돌부와 함몰부의 상호 교합으로 고정하우징과 차륜의 결합을 유도하되, 고정하우징(20)과 차륜(30)을 횡단하는 결합부재(25)의 인입 배치시 해당 결합부재는 고정하우징 양측 외면에서 노출되지 않고 돌출돌부(24)가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함몰 배치됨에 따라 고정하우징 양측 외면에 대해 결합부재의 양단이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하우징(20)은 베어링(50)의 수용을 위한 인입홀(21);과, 차륜(30)의 개재를 위하여 하방으로 개방 형성시킨 관통부;와, 차륜을 개재한 상태에서 횡으로 배치되어 차륜의 위치 고정이 유도되는 결합부재(25);와, 결합부재의 인입을 위하여 관통 천공되는 체결홀(22);과, 체결홀을 중심으로 둔덕 형상의 돌출된 영역이 형성되는 돌출돌부(24);와, 결합부재의 일단을 수용하고자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각부(23);와, 결합부재의 타단에서 나사 결합되는 조임부재(26);와, 결합부재의 양단을 커버하면서 각 체결홀이 외부로부터 전면 차단되게 하는 복수의 커버체(27);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체(27)는 고정하우징(20) 양측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고정하우징 각 외면과 동일선상이 되도록 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유닛(10)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차와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 상에서 동심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돌부(12);와, 환형돌부의 중심 영역에서 직교 방향으로 입설되어 베어링(50)과 치합 배치되는 주축(13);과, 고정하우징(20)으로의 끼움 결합을 위해 주축의 하방 영역에서 돌출 확장 형성되는 끼움돌부(15);와, 끼움돌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환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단턱(16);과, 지지단턱과 끼움돌부 사이 공간을 통해 확보되는 수용부(14); 및 끼움돌부 하단 외주연에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부로 안착 개재되는 패킹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패킹부재(40)는 끼움돌부(15)의 진입 개재를 위하여 중앙 영역이 관통 천공되는 중공부(41);와, 중공부를 기점으로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드날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드날부(42)는 중공부를 기점으로 해당 단부에 이르기까지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40)는 끼움돌부(15) 하단 외주연에 중공부(41)가 밀착된 상태에서 수용부(14)로의 안착이 실시되고, 패킹부재의 안착시 패드날부(42)의 단부 방향은 끼움돌부(15)와 접촉되지 않는 외측 상향으로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40)는 중공부(41)와 패드날부(42)의 중첩된 영역을 해당 패드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갖는 또 다른 경사면(44)으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40)는 중공부(41)와 패드날부(42)가 중첩되는 영역에 대해 걸림단턱(43)을 더 형성하여 이물질의 내부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패드날부(42)는 중공부(41)를 기점으로 해당 단부에 이르기까지 두께가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하우징과 차륜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의 체결시 해당 결합부재의 양단이 고정하우징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신속과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의 대차 이동시 외부와 간섭을 초래하지 않게 되어 활동성 및 안전상의 이점을 영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캐스터의 크기 및 형태 또한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은 물론 더욱 광범위하게 그 활용도의 극대화를 유도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소가 협소한 경우 등에서도 활동성이 제한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 경사면이 형성된 소정의 패킹부재를 베어링 체결 부위에 삽입 개재함으로써 물 등이 유입되지 않게 방지할 뿐만 아니라, 패킹부재가 갖는 형상의 특성으로 인해 물의 흐름을 외부로 유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적극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돌출돌부의 부가 형성으로 인해 고정하우징 내부로 횡단 관통되면서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결합부재의 노출 면적이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하부로 집중되는 하중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구성에 의한 캐스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지지유닛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고정하우징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패킹부재를 상세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하우징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의 횡단 면적을 비교 도시한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종래 캐스터의 제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차륜과 해당 하우징과의 보다 긴밀한 결합 내지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물론, 통상 외부에 대해 돌출된 형태로 드러나는 관련 구성요소를 별도의 수단 없이 함몰 타입으로 구현되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적극 배제하여 활용시 움직임의 제한 또는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특히 베어링 체결 부위에 물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소정의 패킹부재를 일괄 체결함에 따라 내구성의 증대가 도모되는 캐스터(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아울러, 차륜의 장착을 위한 결합부재의 체결시 해당 횡단 면적이 줄어들 수 있는 관련 구조를 제공하여 외부로부터 집중되는 하중에 지지력이 수반되게 유도할 수 있는 캐스터(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캐스터(100)는 그 기능 및 결합 배치에 따라 크게 지지유닛(10);과, 고정하우징(20);과, 차륜(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차와 직결되고 하방으로 치중되는 대차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10);과, 베어링(50)을 매개로 지지유닛과 상호 결합되어 360°의 회전 반경을 확보하는 고정하우징(20);과, 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양측 단부를 통해 거치 고정되는 차륜(30);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유닛(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대차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캐스터의 운용이 가능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바,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차와의 상호 결합을 위해 별도의 결합공(식별번호 없음)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하우징(20)이라 함은 차륜(30)의 채용을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의 핵심사안이다. 즉, 상측으로는 지지유닛(10)과의 상호 체결을 도모하면서 하측으로는 차륜(3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정하우징(20)의 구조를 전면 개선하여 차륜의 장착을 위해 체결되는 결합부재(25)의 양단이 고정하우징 내부에 함몰 배치되게 함으로써 소형화 제작은 물론, 외부와의 간섭성 내지 돌출된 부위로 하여금 유발될 수 있는 각종 부딪힘 등의 안전사고로부터 보호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과 함께 상세 기재하기로 한다.
상기 차륜(30)은 통상의 바퀴 개념과 동일한 것으로, 다만 본 발명에서는 해당 차륜을 고정하우징(20)의 대응 요소와 부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31) 주변으로 함몰부를 더 형성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하우징(20)은 양측 각 내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를 갖도록 내부 방향에 대해 연장 형성되는 돌출돌부(24)가 구비되고, 상기 차륜(30)의 중심 영역은 돌출돌부(24)와 대응될 수 있는 함몰부(32)로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돌출돌부(24)와 함몰부(32)의 상호 교합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결합 여부에 의해 본 발명의 고정하우징(20)과 차륜(30)의 결합을 유도하게 되는바, 고정하우징(20)과 차륜(30)을 횡단하는 결합부재(25)의 인입 배치시 해당 결합부재는 고정하우징 양측 외면에서 노출되지 않고 돌출돌부(24)가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함몰 배치됨에 따라 고정하우징 양측 외면에 대해 결합부재의 양단이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지지유닛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지지유닛(10)을 좀 더 세분화하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차와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 상에서 동심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돌부(12);와, 환형돌부의 중심 영역에서 직교 방향으로 입설되어 베어링(50)과 치합 배치되는 주축(13);과, 고정하우징(20)으로의 끼움 결합을 위해 주축의 하방 영역에서 돌출 확장 형성되는 끼움돌부(15);와, 끼움돌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환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단턱(16);과, 지지단턱과 끼움돌부 사이 공간을 통해 확보되는 수용부(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15) 하단 외주연에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부(14)로 안착 개재되는 패킹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1)은 대차의 저면과 밀착 배치되는 영역이 되고, 대차로부터 전해지는 모든 하중을 지지되게 하면서 차륜(30)의 회전 및 구름 동작에 간섭을 초래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상기 환형돌부(12)는 후술할 고정하우징의 인입홀(21) 외주연을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지지유닛과 고정하우징의 상호 결합시 해당 연결 부위를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보호하게 된다.
상기 주축(13)은 대차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하우징(20) 및 고정하우징에 체결된 차륜(30)의 회전, 이동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바, 베어링(50)의 중심 영역으로 개재되어 고정하우징(20)과 지지유닛(10)을 서로 결부되게 하는 직접적인 연결수단으로 작용하면서 소기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끼움돌부(15)는 고정하우징의 인입홀(21) 내부로 끼움 개재되어 고정하우징과 지지유닛(20)의 또 다른 연결수단으로 작용하고, 특히 끼움돌부 외주연에 대해 본 발명의 패킹부재(40)를 권취시켜 기밀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단턱(16)은 인입홀(21)과의 밀착 배치로 인해 베어링(50) 내부로의 침투 현상이 유발되지 않게 하는 구성요소로, 1차적인 보호 수단이 된다. 또한, 이러한 지지단턱(16)과 끼움돌부(15) 사이 공간으로 적정 크기로 이루어진 수용부(14)를 구획 편성하였는바, 상기 수용부(14)는 패킹부재(40)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수단이 되면서 물 등의 이물질을 캐스터 내부로 유입하지 않게 방지하는 기밀 수단으로 작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고정하우징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하우징(20)은 차륜과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의 체결시 해당 결합부재의 양단이 고정하우징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고자 부여된다.
이를 위해, 베어링(50)의 수용을 위한 인입홀(21);과, 차륜(30)의 개재를 위하여 하방으로 개방 형성시킨 관통부;와, 차륜을 개재한 상태에서 횡으로 배치되어 차륜의 위치 고정이 유도되는 결합부재(25);와, 결합부재의 인입을 위하여 관통 천공되는 체결홀(22);과, 체결홀을 중심으로 둔덕 형상의 돌출된 영역이 형성되는 돌출돌부(24);와, 결합부재의 일단을 수용하고자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각부(23);와, 결합부재의 타단에서 나사 결합되는 조임부재(26);와, 결합부재의 양단을 커버하면서 각 체결홀이 외부로부터 전면 차단되게 하는 복수의 커버체(27);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인입홀(21)은 주지한 것처럼 베어링(50) 및 지지유닛의 주축(13), 환형돌부(12)가 진입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 고정하우징(20)의 360°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결합부재(25)는 통상의 결합 수단을 지칭하는 것일 뿐, 예컨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부를 갖는 볼트 내지 이러한 볼트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결합부재를 고정하우징의 체결홀(22) 내부로 채용되게 하고서 별도의 커버체(27)가 더 부여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체결홀(22)에 결합부재(25) 단부와 일치될 수 있는 체결각부(23)를 형성하고, 체결각부로 하여금 맞춤 수용이 된 결합부재에 연이어 상기 커버체(27)를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해당 체결홀(22)의 전면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돌부(24)는 본 발명에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하우징(20) 두께면을 내측 방향으로 일부 증가시키는 방식에 기인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돌출돌부에 의해 해당 두께면이 제공하는 공간을 할애하여 체결각부(23) 및 체결홀(22)을 함몰된 상태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결합부재(25)의 양단 또한 고정하우징 외면이 아닌 내부 공간 내에서 자리 배치되므로 고정하우징 외면에 대한 결합부재의 노출 내지 돌출 영역은 전혀 발견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종래 기술사상(캐스터,1)을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체결수단(2)의 양측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아니므로 외부와의 간섭을 철저히 배제할 수 있음은 물론, 커버체(27)의 수용 공간 또한 부여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1에서의 식별번호 L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거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에서의 단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의해 이러한 돌출 거리가 형성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기인하여 커버체(27)의 체결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도 해당 커버체가 고정하우징(20) 양측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고정하우징 각 외면과 동일선상이 되도록 부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돌부(24)의 형성으로 인해 결합부재(25)의 횡단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하우징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의 횡단 면적을 비교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 도 8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사상의 캐스터(1)에 비해 본 발명 캐스터(100)의 경우 고정하우징(20) 내부로 횡단 관통되면서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결합부재의 노출 면적이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하부로 집중되는 하중에 보다 견고히 버틸 수 있는 지지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의 종래 캐스터(1)는 고정하우징 외부에 돌출된 형태로 해당 결합부재(25)의 체결이 이루어져 고정하우징 내부로 관통되면서 드러나는 결합부재 노출 면적이 해당 고정하우징(20)의 내부 사이 간극과 동일한 반면, 본 발명의 캐스터(100)는 주지한 것처럼 고정하우징의 내부 사이 간극에 대해 양측 돌출돌부(24)가 차지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결합부재(25)의 횡단 노출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결국, 별도의 지지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캐스터(1)는 결합부재의 횡단 면적(W')을 해소할 수 없어 크나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 해당 결합부재의 노출된 영역이 휘어지거나 변형될 우려가 크지만, 돌출돌부(24)라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캐스터(100)는 결합부재의 횡단 면적(W)을 양측 돌출돌부로 하여금 일부 커버하게 되는 작용에 기인하여 결합부재(25)의 노출 영역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패킹부재를 상세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킹부재(40)는 끼움돌부(15)의 진입 개재를 위하여 중앙 영역이 관통 천공되는 중공부(41);와, 중공부를 기점으로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드날부(4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패드날부(42)는 중공부를 기점으로 해당 단부에 이르기까지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킹부재(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끼움돌부(15) 하단 외주연에 중공부(41)가 밀착된 상태에서 수용부(14)로의 안착이 실시되는데, 이때 해당 패킹부재의 안착시 패드날부(42)의 단부 방향은 끼움돌부(15)와 접촉되지 않는 외측 하향으로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 도면은 도 7의 단면 영역에서 상세 도시하였으며, 역 경사가 되도록 패킹부재를 끼움 개재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40)는 중공부(41)와 패드날부(42)의 중첩된 영역을 해당 패드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갖는 또 다른 경사면(4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중공부(41)와 패드날부(42)가 중첩되는 영역에 대해 걸림단턱(43)을 더 형성하여 패드날부의 역 경사에도 불구하고 침투가 이루어진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재차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부가적으로 패드날부(42)는 중공부(41)를 기점으로 해당 단부에 이르기까지 두께가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캐스터(100)에 의하면, 고정하우징(20)과 차륜(30)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25)의 체결시 해당 결합부재의 양단이 고정하우징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신속과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의 대차 이동시 외부와 간섭을 초래하지 않게 되어 활동성 및 안전상의 이점을 영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캐스터의 크기 및 형태 또한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은 물론 더욱 광범위하게 그 활용도의 극대화를 유도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소가 협소한 경우 등에서도 활동성이 제한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 경사면이 형성된 소정의 패킹부재(40)를 베어링 체결 부위에 삽입 개재함으로써 물 등이 유입되지 않게 방지할 뿐만 아니라, 패킹부재가 갖는 형상의 특성으로 인해 물의 흐름을 외부로 유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적극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돌출돌부(24)의 부가 형성으로 인해 고정하우징(20) 내부로 횡단 관통되면서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결합부재(25)의 노출 면적이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하부로 집중되는 하중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지유닛 11. 베이스판
12. 환형돌부 13. 주축
14. 수용부 15. 끼움돌부
16. 지지단턱 20. 고정하우징
21. 인입홀 22. 체결홀
23. 체결각부 24. 돌출돌부
25. 결합부재 26. 조임부재
27. 커버체 30. 차륜
31. 관통홀 32. 함몰부
40. 패킹부재 41. 중공부
42. 패드날부 43. 걸림단턱
44. 경사면 50. 베어링
100. 캐스터

Claims (9)

  1. 삭제
  2. 대차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10);과, 베어링(50)을 매개로 지지유닛과 상호 결합되는 고정하우징(20);과, 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양측 단부를 통해 거치 고정되는 차륜(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하우징(20)은 양측 각 내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에 대해 연장 형성되는 돌출돌부(24)가 구비되며, 차륜(30)의 중심 영역은 돌출돌부(24)와 대응될 수 있는 함몰부(32)로 형성하여 돌출돌부와 함몰부의 상호 교합으로 고정하우징과 차륜의 결합을 유도하되, 상기 고정하우징(20)과 차륜(30)을 횡단하는 결합부재(25)의 인입 배치시 해당 결합부재는 고정하우징 양측 외면에서 노출되지 않고 돌출돌부(24)가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함몰 배치됨에 따라 고정하우징 양측 외면에 대해 결합부재의 양단이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우징(20)은 베어링(50)의 수용을 위한 인입홀(21);과, 차륜(30)의 개재를 위하여 하방으로 개방 형성시킨 관통부;와, 차륜을 개재한 상태에서 횡으로 배치되어 차륜의 위치 고정이 유도되는 결합부재(25);와, 결합부재의 인입을 위하여 관통 천공되는 체결홀(22);과, 체결홀을 중심으로 둔덕 형상의 돌출된 영역이 형성되는 돌출돌부(24);와, 결합부재의 일단을 수용하고자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각부(23);와, 결합부재의 타단에서 나사 결합되는 조임부재(26);와, 고정하우징(20) 양측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결합부재의 양단을 커버하면서 고정하우징 각 외면과 동일선상이 되도록 부착하는 복수의 커버체(27);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캐스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10)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차와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 상에서 동심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돌부(12);와, 환형돌부의 중심 영역에서 직교 방향으로 입설되어 베어링(50)과 치합 배치되는 주축(13);과, 고정하우징(20)으로의 끼움 결합을 위해 주축의 하방 영역에서 돌출 확장 형성되는 끼움돌부(15);와, 끼움돌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환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단턱(16);과, 지지단턱과 끼움돌부 사이 공간을 통해 확보되는 수용부(14); 및 끼움돌부 하단 외주연에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부로 안착 개재되는 패킹부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40)는 끼움돌부(15)의 진입 개재를 위하여 중앙 영역이 관통 천공되는 중공부(41);와, 중공부를 기점으로 해당 단부에 이르기까지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드날부(42);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캐스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40)는 끼움돌부(15) 하단 외주연에 중공부(41)가 밀착된 상태에서 수용부(14)로의 안착이 실시되고, 패킹부재의 안착시 패드날부(42)의 단부 방향은 끼움돌부(15)와 접촉되지 않는 외측 하향으로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캐스터.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40)는 중공부(41)와 패드날부(42)의 중첩된 영역을 해당 패드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갖는 또 다른 경사면(44)으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캐스터.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40)는 중공부(41)와 패드날부(42)가 중첩되는 영역에 대해 걸림단턱(43)을 더 형성하여 이물질의 내부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캐스터.
  9.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날부(42)는 중공부(41)를 기점으로 해당 단부에 이르기까지 두께가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KR1020130144830A 2013-11-26 2013-11-26 캐스터 KR101441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830A KR101441564B1 (ko) 2013-11-26 2013-11-26 캐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830A KR101441564B1 (ko) 2013-11-26 2013-11-26 캐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564B1 true KR101441564B1 (ko) 2014-09-22

Family

ID=5176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830A KR101441564B1 (ko) 2013-11-26 2013-11-26 캐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12A (ko) 2019-03-06 2020-09-16 이상복 설치가 편리한 가구용 바퀴 및 이를 위한 타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916A (ja) * 2002-06-10 2004-01-22 Hando Industrial Co Ltd 車輪軸受装置
US20040068831A1 (en) * 2002-07-06 2004-04-15 Caruso Jerome C. Caster construction
JP2005192760A (ja) * 2004-01-06 2005-07-21 Hammer Caster Kk キャスターを有する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916A (ja) * 2002-06-10 2004-01-22 Hando Industrial Co Ltd 車輪軸受装置
US20040068831A1 (en) * 2002-07-06 2004-04-15 Caruso Jerome C. Caster construction
JP2005192760A (ja) * 2004-01-06 2005-07-21 Hammer Caster Kk キャスターを有する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12A (ko) 2019-03-06 2020-09-16 이상복 설치가 편리한 가구용 바퀴 및 이를 위한 타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0669B2 (ja) 鉄道車両用台車及び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
CN105966184B (zh) 具有锁止装置的悬架防撞装置
KR101441564B1 (ko) 캐스터
US3202460A (en) Wheel cover for road vehicles
JP6479215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ユニット、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本体
KR20130135144A (ko)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조립체 장치
KR20130040915A (ko) 브레이크 커버 플레이트
US20210053395A1 (en) Roller and attachment damping part for a roller
CN104385842A (zh) 一种弹性车轮
US7108334B2 (en) Snap-on wheel cover
ES2501049T3 (es) Rueda de vehículo ferroviario
JP5492629B2 (ja) ソリッドタイヤ
JP4188270B2 (ja) 車両用懸架装置
KR101885142B1 (ko) 휠베어링 조립체
US9321304B2 (en) Tractor/trailer wheel cover
CN104718458B (zh) Abs编码器设备
JP2009248800A (ja) キャスター
US2352464A (en) Tire guard for straddle trucks
RU2667983C1 (ru) Тележка и ваг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885141B1 (ko) 휠베어링 조립체
CN204200810U (zh) 汽车轮毂的轮毂螺母总成
KR101184288B1 (ko) 차량용 휠커버의 체결 구조
KR101919322B1 (ko)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CN206485142U (zh) 一种多片式轮辋安装的轮胎内支撑体
JPH01279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