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931B1 -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 및 종자 - Google Patents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 및 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931B1
KR101439931B1 KR1020137006233A KR20137006233A KR101439931B1 KR 101439931 B1 KR101439931 B1 KR 101439931B1 KR 1020137006233 A KR1020137006233 A KR 1020137006233A KR 20137006233 A KR20137006233 A KR 20137006233A KR 101439931 B1 KR101439931 B1 KR 10143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iron powder
seed
less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293A (ko
Inventor
타카시 가와노
마사시 후지나가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종자 피복용 철분에 있어서, 입자경이 63㎛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75%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25% 이상 100%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50% 이하로 함으로써, 파종 공정뿐만 아니라 수송 공정에 있어서도 철분의 탈락이 적은 피복을 실현할 수 있는 종자 피복용 철분 및 당해 벼종자 피복용 철분을 피복한 철분 피복 벼종자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벼종자에 대하여 대미지를 줄 가능성이 적고, 나아가서는 취급도 용이한 벼종자 피복용 철분 및 당해 벼종자 피복용 철분을 피복한 철분 피복 벼종자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 및 종자{IRON POWDER FOR DOUBLE COATING SEEDS AND SEEDS}
본 발명은, 벼종자(rice seeds) 피복에 적합한 철분 및 철분을 피복한 종자에 관한 것이다.
농업 종사자의 고령화, 농산물 유통의 글로벌화에 수반하여, 농작업의 생력화(laborsaving)나 농산물 생산 비용의 저감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수도 재배(wet-rice cultivation)에 있어서는, 육묘와 이식의 수고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종자를 포장(圃場;agricultural fields)에 직접 뿌리는 직파법(direct seeding method)이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종자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철분을 피복한 종자를 이용하는 수법은, 논에 있어서의 종자의 부유나 유출을 방지하고, 그리고 조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한다는 메리트가 있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이 철분을 피복한 종자를 이용하여 직파 재배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송이나 파종의 공정에 있어서 피복한 철분 피막이 박리되기 어려울 것이 요구된다. 철분 피막이 박리되면, 종자의 비중이 저하되어 상기의 메리트를 얻을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박리된 피막은 수송이나 파종의 공정에 있어서, 배관의 막힘이나 회전 기구부로의 물려 들어감의 원인이 되어, 박리된 세세한 철분이 분진을 발생하는 원인으로도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철분 피막의 박리는 최대한 억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벼종자 표면에 철분을 부착, 고화(固化)시키는 기술로서는, 특허문헌 1에 철분 피복 벼종자의 제조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벼종자에, 철분, 그리고 철분에 대한 질량비로 0.5∼2%의 황산염(단, 황산 칼슘은 제외함) 및/또는 염화물을 더하고, 추가로 물을 첨가하여 조립(造粒)하고, 물과 산소를 공급하여 금속 철분의 산화 반응에 의해 생성한 녹에 의해, 철분을 벼종자에 부착, 고화시킨 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분 피복 벼종자의 제조법」(특허문헌 1의 청구항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벼종자가 동력 살포기나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되기 때문에, 기계적 충격에 의해 붕괴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 특성이 필요로 되고 있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 벼종자에 대해서, 코팅의 붕괴 정도의 측정법(이하, 코팅의 붕괴 시험이라고 함)으로 측정하여, 코팅에 실용적인 강도가 얻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여기에서, 코팅의 붕괴 시험 방법으로서, 1.3m의 높이로부터 두께 3㎜의 강판에 5회 낙하시켜, 기계적 충격을 주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특히 철분 입도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입도 분포를 갖는 철분을 코팅에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의 철분 피복 벼종자의 붕괴 시험에 있어서, 모두 실용적인 충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Figure 112013021189807-pct00001
일본특허공보 제4441645호
「쌀의 미시적 구조를 본다」(메자키 코쇼 저, 미미(美味) 기술 연구회, 2006년, p.20∼21) 「철코팅 담수(湛水) 직파 매뉴얼 2010」(야마우치 미노루 집필, 독립 행정 법인 농업·식품 산업 기술 종합 연구 기구 킨키 츄고쿠 시코쿠 농업 연구 센터 편, 2010년 3월) JPMA P 11-1992 「금속 압분체의 래틀러값(rattler value) 측정 방법」(일본 분말 야금 공업회 규격, 1992년)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이하의 문제점을 새롭게 찾아냈다.
철분 피막의 부착 강도에 관하여,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특히 파종 공정에 있어서의 낙하에 의한 충격에 기인한 철분 피복의 붕괴에 대해서 검토되고 있다. 그 때문에, 강도 시험으로서, 1.3m의 높이로부터 두께 3㎜의 강판에 5회 낙하시켜 기계적 충격을 준다는 붕괴 시험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벼종자는 파종 공정뿐만 아니라, 수송 공정에 있어서도 기계적인 외력을 받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수송 공정에 있어서 벼종자가 받는 기계적 외력은, 낙하에 의한 충격 외에, 종자 간 또는 종자와 용기 간에서 발생하는 미끄러짐이나 구름의 마찰력이다.
낙하에 의한 충격을 받은 경우, 철분 피복은 깨짐에 의해 박리되지만, 마찰력을 받은 경우에는, 마모에 의해 서서히 박리된다는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철분 피복을 파종 공정뿐만 아니라 수송 공정에서의 철분 피막의 박리를 방지하려면, 마찰력에 대한 강도를 갖는 피복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종자의 미끄러짐이나 구름 마찰 응력(rolling friction force)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로 벼종자를 피복할 수 있는 철분이나, 철분을 피복한 종자를 실현하는 기술은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철분의 입도 분포는,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63㎛ 이하의 입경의 비율이 많다.
그러나, 미세한 철분을 사용한 경우에는, 철분이 공기 중의 산소와 급격하게 반응하여, 발열에 의해 철분을 피복한 종자가 대미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대량 취급시에는 화재 방지책이 필요해진다. 게다가, 미세한 철분은 분진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청정한 작업 환경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파종 공정뿐만 아니라 수송 공정에 있어서도 철분의 탈락이 적은 피복을 실현할 수 있는 종자 피복용 철분 및 당해 종자 피복용 철분을 피복한 철분 피복 종자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벼종자에 대하여 대미지를 줄 가능성이 적고, 나아가서는 취급도 용이한 벼종자 피복용 철분 및 당해 벼종자 피복용 철분을 피복한 철분 피복 벼종자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자들은 벼종자의 표면을 관찰하여, 어떠한 철분을 이용하는 것이 박리 방지에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검토했다.
발명자들이 착안한 것은, 벼종자의 표면의 상태이다. 벼의 볍씨(1)의 최외각인 왕겨(3)의 표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털(5)이 나 있고, 볍씨(1)에 철분을 코팅할 때에는, 털(5)의 탄성적 작용에 의해 털(5)과 털(5)의 사이에 배치된 철분이 털(5)에 보존유지(holding)되는 것을 통하여, 부착력이 높아진다고 추찰된다.
「쌀의 미시적 구조를 본다(메자키 코쇼 저)」(비특허문헌 1)의 21페이지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털(5)이 나는 방식에도 조밀(denseness or sparseness)이 있다. 특히, 털(5)이 밀집한 부위에 있어서 철분이 털(5)에 보존유지됨으로써 부착력이 높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부위에 있어서의 털(5)의 간격은 50∼150㎛이다.
이 점에서, 발명자는, 털(5)에 의한 보존유지 작용에 의해 벼종자에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철분의 입자경(particle size)에는 적절한 범위가 있다고 생각하여, 이 보존유지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한 철분 입자경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의 것이 바람직한 것을 찾아냈다.
이 점에서,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의 것을 어느 정도 포함함으로써, 털(5)에 의한 보존유지를 기대할 수 있어, 종자의 구름이나 미끄러짐에 수반되는, 피복막의 박리량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얻었다.
또한, 발명자들은, 벼종자의 털(5)의 보존유지력에 의한 부착 외에, 털(5)을 헤치고 벼종자 표면에 직접 부착하는 철분 입경에 대해서도 검토했다.
일반적으로 분체는, 입경이 작을수록 피(被)부착물에 대한 부착력이 높다. 따라서, 벼종자 표면에 직접 부착시킨다는 의미에서는 철분의 입경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벼종자의 털(5)의 사이를 헤치고 벼종자 표면으로의 직접 부착을 기대할 수 있는 철분 입경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45㎛ 이하의 철분을 소정의 양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을 얻었다.
그리고, 털(5)에 의해 보존유지되는 철분에 더하여 상기 미립경의 철분을 함유함으로써, 벼종자의 표면에는 미립경의 철분이 부착되고, 그의 상방에는 털(5)에 의해 철분이 보존유지되어, 철분이 이중 코팅됨으로써, 종자의 구름이나 미끄러짐에 수반되는, 피복막의 박리량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얻었다.
다만, 미립경의 철분을 다량으로 포함하면 전술의 문제를 발생하는 점에서 소정의 양 이하인 것도 필요하다.
또한, 철분의 입자경이 지나치게 크면 털(5)의 극간(spaces)에 들어가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철분 입자에 작용하는 중력이 커, 털(5)이 철분 입자를 보존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부착 효과가 작아진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입자경이 150㎛ 이상의 철분의 비율은 소정의 양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도 얻었다.
또한, 상기의 검토는 벼종자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다른 종자라도 벼종자와 동일하게 표면에 털을 갖고, 털이 나는 방식(간격 등)이 벼종자에 유사한 경우는, 본 발명의 효과가 전망된다. 표면에 털을 갖는 종자로서는, 예를 들면, 보리, 당근, 토마토 등의 종자가 예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인식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종자 피복용 철분은, 입자경이 63㎛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75%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25% 이상 100%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50% 이하인 것이다.
(2)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입자경이 45㎛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30% 이하인 것이다.
(3) 또한,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의 철분의 질량 비율이 50% 이상인 것이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철분이 환원법 또는 애터마이즈법(atomizing method)으로 제조된 것이다.
(5) 본 발명에 따른 종자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종자 피복용 철분을 종자에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6) 또한, 상기 (5)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종자가 벼종자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자는, 바람직하게는, 종자가 갖는 털에 의해 보존유지되는 철분층(바람직하게는 철분의 평균 입경 63∼150㎛)을 갖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자 바로 옆의 표면에 미립경(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 10∼30㎛)의 철분층이 부착되고, 그리고, 그의 상방에, 종자가 갖는 털에 의해 보존유지되는 조(粗)입경(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 63∼150㎛)의 제2 철분층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 피복용 철분은, 입자경이 63㎛ 이하인 질량 비율이, 0% 이상 75%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질량 비율이 25% 이상 100%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50% 이하인 점에서, 종자 표면에 털을 갖는, 예를 들면 벼종자와 같은 종자에 대하여 털에 의한 보존유지를 기대할 수 있어, 파종 공정뿐만 아니라 수송 공정에 있어서도 철분의 탈락이 적은 피복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농작업의 생력화나 농산물 생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벼종자의 표면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종자 피복용 철분은, 입자경이 63㎛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75%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25% 이상 100%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질량 비율은 말할 필요도 없이, 철분 전량(全量)에 대한 비율이다.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을 25% 이상으로 한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은 종자 표면의 털에 의해 보존유지될 확률이 높다. 이러한 입자경인 것을 25% 이상 포함함으로써, 털에 의한 보존유지를 기대할 수 있어, 파종 공정뿐만 아니라 수송 공정에 있어서도 철분의 탈락이 적은 피복을 실현할 수 있다.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은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철분의 사실상 전량이 63㎛ 초과하고 150㎛ 이하라도 좋기 때문에, 상한은 100%로 했다. 바람직한 상한으로서는 75%이다.
또한, 입자경이 63㎛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을 75% 이하로 한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미립경의 철분의 함유량이 증가하면, 철분이 공기 중의 산소와 급격하게 반응하여, 발열에 의해 철분을 피복한 종자가 대미지를 받을 가능성 있고, 또한, 대량 취급시에는 화재 방지책이 필요해진다. 또한, 미세한 철분의 함유량이 많으면, 분진을 발생하기 쉬워 청정한 작업 환경을 유지하기 어렵다. 입자경이 63㎛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은 7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경이 63㎛ 이하의 철분은 사실상 함유되지 않아도(즉 0%라도) 좋지만, 비용를 들여 과도하게 저감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한 하한으로서는 25%이다.
또한, 입자경이 63㎛ 이하인 철분의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의 실시형태로서는, 입자경이 45㎛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30% 이하이다.
입자경이 45㎛ 이하의 철분은, 종자의 표면에 있는 털의 사이를 헤치고, 종자의 표면에 직접 부착하는 부착력이 강한 점에서, 소정의 양(바람직하게는 5%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전술한 이중 피복이 실현된다.
또한, 45㎛ 이하인 철분의 평균 입경은 10∼30㎛ 정도가 바람직하다.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의 질량 비율을 50% 이하로 한 것은,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은 털에 의한 보존유지 및 종자 표면으로의 직접 부착 모두 기대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입자경인 것을 적게 하는 취지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은 사실상 함유되지 않아도(즉 0%라도) 좋다.
또한, 철분의 입도 분포는, JIS Z2510-2004에 정해진 방법을 이용하여 체(sieve)분리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철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환원법(얻어지는 철분을 환원 철분이라고 칭함)이나 애터마이즈법(얻어지는 철분을 애터마이즈 철분이라고 칭함) 등이 예시된다. 철분은 철 이외에 10 질량% 이하 정도의 합금 성분이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지만, Fe를 9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소위 순철분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건(입자경이 63㎛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75%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25% 이상 100%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50% 이하임)을 충족하는 철분, 혹은 추가로 상기 적합 요건을 충족하는 철분을 종자에 피복하는 방법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철코팅 담수 직파 메뉴얼 2010(독립 행정 법인 농업·식품 산업 기술 종합 연구 기구 킨키 츄고쿠 시코쿠 농업 연구 센터 편)」(비특허문헌 2) p.6∼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의 피복(코팅)을 비롯하여, 종래부터 공지의 혼합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혼합기로서는, 예를 들면, 교반 날개형 믹서(예를 들면 헨셀(Henschel) 믹서 등)나 용기 회전형 믹서(예를 들면 V형 믹서, 더블콘 믹서(double-cone mixer), 경사 회전형 팬형 혼합기(counter current mixer), 회전 둥근 집게형 혼합기(plough share mixer)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철코팅 담수 직파 매뉴얼 20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철분 코팅시에 있어서는 소(燒)석고 등의 코팅 강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종자 피복용 철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예로서 여러 가지의 입도 분포의 철분인 발명예 1∼9를 이용하여 벼종자의 피복을 행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본 발명의 입도 분포의 범위를 벗어나는 입도 분포의 철분인 비교예 1∼5를 이용하여 벼종자의 피복을 행했다.
철분의 피복(코팅)은, 전술한 「철코팅 담수 직파 매뉴얼 2010」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처음에 볍씨와 소석고와 수종의 철분을 준비했다. 다음으로, 경사 회전형 팬형 혼합기를 이용하여, 적량의 물을 분무하면서 종자(볍씨) 10㎏에 대하여 철분 5㎏과 0.5㎏의 소석고를 코팅하고, 또한 0.25㎏의 소석고를 마무리로 코팅했다.
철분이 피복(코팅)된 종자의 구름 마찰이나 미끄럼 마찰에 대한 코팅 피막의 강도 평가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JPMA P 11-1992 「금속 압분체의 래틀러값 측정 방법」(비특허문헌 3)에 기재된 시험 방법에 준하여 피막 강도를 조사했다. 또한, 본 시험 방법을 래틀러 시험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래틀러 시험(rattler test)에 있어서는, 철분을 코팅한 종자 20±0.05g을 래틀러 시험기의 통(basket)에 밀봉하고, 그 통을 87±10rpm의 회전 속도로 1000 회전시켰다. 이 방법에 의하면, 통 내에서 종자가 구르면서 유동함으로써 종자 간 및 종자와 통 용기 내면과의 사이에서, 구름이나 미끄러짐의 마찰력이 부하된다.
따라서, 본 방법을 적용하면, 구름 마찰력과 미끄러짐 마찰력이 복합적으로 부하된 경우의, 코팅 피막의 강도를 평가할 수 있다.
표 2에 철분의 입도 분포와 래틀러 시험에서의 중량 감소율을 나타낸다. 또한, 중량 감소율은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구했다.
중량 감소율=(래틀러 시험에서 박리된 피막의 질량)/(시험 전의 종자 질량)×100(%)
따라서, 중량 감소율이 작을수록, 피막의 강도가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3021189807-pct00002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발명예 1∼9에 기재된 것은 전부, 「입자경이 63㎛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75%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25% 이상 100% 이하, 그리고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50% 이하」라는 본 발명의 입도 분포의 범위 내이고, 래틀러 시험에서의 중량 감소율이 4% 미만으로 되어 있다.
다른 한편, 상기의 입도 분포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1∼5에서는, 래틀러 시험에서의 중량 감소율이 4% 이상이다.
이 점에서, 철분의 입도 분포를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중량 감소율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표 2에 있어서 비교예 1∼5에 있어서의 입도 분포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숫자에는 밑줄을 그어 두었다.
또한, 발명예 1, 2, 3, 4, 6에서는,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50% 이상 그리고 45㎛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30% 이하이고, 이들 래틀러 시험에서의 중량 감소율은, 3.5% 이하로 낮아져 있는 점에서,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을 크게 하고, 그리고 입자경이 45㎛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을 작게 함으로써 철분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 피복용 철분은, 파종 공정뿐만 아니라 수송 공정에 있어서도 철분의 탈락이 적은 피복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농작업의 생력화나 농산물 생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1 : 볍씨
3 : 왕겨
5 : 털

Claims (9)

  1. 표면에 털을 갖는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으로서,
    종자 바로 옆의 표면에 직접 부착하는 미립경의 철분층과, 그 상방에 종자가 갖는 털에 의해 보존유지되는 조(粗)입경의 제2 철분층을 가지며,
    상기 미립경의 평균 입자경은 10∼30㎛이고, 상기 조입경의 평균 입자경은 63∼150㎛이며,
    입자경이 63㎛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75% 이하로서, 평균 입자경이 10㎛를 초과하고 3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30% 이하이고, 또한,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25% 이상 100% 이하이고, 또한, 입자경이 150㎛를 초과하는 철분의 질량 비율이 0% 이상 50% 이하인 것에 의해, 종자의 털에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입자경이 63㎛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철분의 질량 비율이 50% 이상인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환원법 또는 애터마이즈법(atomizing method)으로 제조된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
  6.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을 종자에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
  7. 제6항에 있어서,
    종자가 벼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
  8. 제5항에 기재된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을 종자에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
  9. 제8항에 있어서,
    종자가 벼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
KR1020137006233A 2010-08-31 2011-08-30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 및 종자 KR101439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3337 2010-08-31
JP2010193337 2010-08-31
JPJP-P-2011-158024 2011-07-19
JP2011158024A JP4957859B2 (ja) 2010-08-31 2011-07-19 種子被覆用鉄粉及び種子
PCT/JP2011/070091 WO2012029969A1 (ja) 2010-08-31 2011-08-30 種子被覆用鉄粉及び種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293A KR20130060293A (ko) 2013-06-07
KR101439931B1 true KR101439931B1 (ko) 2014-09-12

Family

ID=4577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233A KR101439931B1 (ko) 2010-08-31 2011-08-30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 및 종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69249A1 (ko)
EP (1) EP2612547B1 (ko)
JP (1) JP4957859B2 (ko)
KR (1) KR101439931B1 (ko)
CN (1) CN103079395B (ko)
CA (1) CA2809229C (ko)
WO (1) WO2012029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8110B2 (ja) * 2012-02-17 2016-12-21 住友化学株式会社 イネ種子の発芽促進方法及びイネの栽培方法
JP5565453B2 (ja) * 2012-12-19 2014-08-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圧粉磁芯用鉄粉
JP5929819B2 (ja) 2013-04-19 2016-06-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圧粉磁芯用鉄粉
US9451774B2 (en) * 2013-05-24 2016-09-27 Mitsui Chemicals Agro, Inc. Paddy rice seed treated by herb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ed
JP6274615B2 (ja) * 2014-03-03 2018-02-07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難吸水性種子検出法ならびに難吸水性の解消法
JP6052419B2 (ja) * 2014-04-02 2016-12-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圧粉磁芯用鉄粉および圧粉磁芯用鉄粉の選別方法
JP6372637B1 (ja) * 2017-01-30 2018-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種子被覆剤、被覆種子及び種子被覆方法
CN108770891A (zh) * 2018-07-25 2018-11-09 长沙浩然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抗盐碱长效玉米拌种剂及其制备方法
DE102019106384B4 (de) 2019-03-13 2022-12-15 Aquasust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oduktes zur Saatgutbesch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1904A (ja) * 1998-06-02 1999-12-14 Sumika Nogyo Shizai Kk 種子の被覆材および被覆方法並びに保存方法
JP2005192458A (ja) * 2004-01-06 2005-07-21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鉄粉被覆稲種子の製造法
KR20060094008A (ko) * 2005-02-23 2006-08-28 도꾸리쯔 교세호징 노우교ㆍ세이부쯔께이 토쿠세이산교 기쥬쯔 겡뀨 기꼬우 벼 세균성 병해의 방제방법
KR20100054704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규산, 철분 및 소석고 코팅 종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0492A (en) * 1966-11-07 1969-08-12 Ben Wade Oakes Dicki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eeds coated with a magnetic material
JPS5497208A (en) * 1978-01-11 1979-08-01 Ishihara Sangyo Kaisha Magnetic powder for coating seed
JPS54114500A (en) * 1978-02-27 1979-09-06 Ishihara Sangyo Kaisha Ltd Manufacture of magnetic iron oxide for seed coat
JPS6434203A (en) * 1987-10-28 1989-02-03 Hidekazu Nishioka Direct sowing culture of flooding channel sowing for paddy-rice plant without soil covering and direct sowing machine
US5298055A (en) * 1992-03-09 1994-03-29 Hoeganaes Corporation Iron-based powder mixtures containing binder-lubricant
GB9420403D0 (en) * 1994-10-07 1994-11-23 Chown Peter A C A seed with a magnetic coating
CN100469232C (zh) * 2005-10-14 2009-03-18 江苏大学 一种磁粉包衣种子和磁粉包衣剂及磁化处理方法
JP5771207B2 (ja) * 2009-08-07 2015-08-26 ダウ アグロサイエンシィズ エルエルシー 有害生物防除組成物
JP3157337U (ja) * 2009-11-27 2010-02-12 株式会社バリューデザイン カード
JP4957861B1 (ja) * 2010-10-05 2012-06-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副資材含有種子被覆用鉄粉、副資材付着種子被覆用鉄粉、種子被覆用合金鋼粉及び、副資材含有種子被覆用鉄粉、副資材付着種子被覆用鉄粉または種子被覆用合金鋼粉で被覆された種子
KR20140020245A (ko) * 2011-02-10 2014-02-18 도와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코팅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1904A (ja) * 1998-06-02 1999-12-14 Sumika Nogyo Shizai Kk 種子の被覆材および被覆方法並びに保存方法
JP2005192458A (ja) * 2004-01-06 2005-07-21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鉄粉被覆稲種子の製造法
KR20060094008A (ko) * 2005-02-23 2006-08-28 도꾸리쯔 교세호징 노우교ㆍ세이부쯔께이 토쿠세이산교 기쥬쯔 겡뀨 기꼬우 벼 세균성 병해의 방제방법
KR20100054704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규산, 철분 및 소석고 코팅 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79395B (zh) 2015-02-11
WO2012029969A1 (ja) 2012-03-08
JP2012070728A (ja) 2012-04-12
US20130269249A1 (en) 2013-10-17
KR20130060293A (ko) 2013-06-07
CN103079395A (zh) 2013-05-01
JP4957859B2 (ja) 2012-06-20
EP2612547A1 (en) 2013-07-10
EP2612547A4 (en) 2014-05-07
CA2809229C (en) 2014-12-30
EP2612547B1 (en) 2016-03-16
CA2809229A1 (en)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931B1 (ko) 종자 이중 피복용 철분 및 종자
KR101497429B1 (ko) 종자 피복제 및 종자 피복제 피복 종자
JP2017163997A (ja) 金属コーティング材
KR102273412B1 (ko) 종자의 금속 코팅 방법 및 금속 코팅 종자
JP2020124141A (ja) 種子被覆剤、被覆種子及び種子被覆方法
JP5403030B2 (ja) 種子被覆剤、種子被覆剤被覆種子
JP5403031B2 (ja) 種子被覆剤、種子被覆剤被覆種子
WO2012046865A1 (ja) 副資材含有種子被覆用鉄粉、副資材付着種子被覆用鉄粉、種子被覆用合金鋼粉及び、鉄基粉末含有被覆付き種子
JP2012213383A (ja) 種子被覆用鉄粉及び種子
KR101512794B1 (ko) 종자 피복제 및 종자 피복제 피복 종자
JP6350565B2 (ja) 種子被覆剤、種子被覆方法及び被覆剤被覆種子
JP6108003B2 (ja) 稲種子被覆用鉄粉及び稲種子
JP2016129521A (ja) 稲種子被覆用鉄粉及び稲種子
WO2012063967A1 (ja) 種子被覆剤及び種子被覆剤被覆種子
WO2012046861A1 (ja) 副資材含有種子被覆用鉄粉、副資材付着種子被覆用鉄粉、種子被覆用合金鋼粉及び、鉄基粉末含有被覆付き種子
WO2012063966A1 (ja) 種子被覆剤及び種子被覆剤被覆種子
TH132899A (th) วัสดุเคลือบโลหะ (metal coating material)
TH132899B (th) "วัสดุเคลือบโลหะ (metal coat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